자음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조음 위치 |
입술소리 |
---|
혀끝소리 |
혓바닥소리 |
목구멍소리 |
조음 방법 |
조음 방법 |
장애음 |
---|
공명음 |
유음 |
공명강 |
기류의 방향 |
기류의 근원 |
성대의 울림 |
긴장도 |
자음(子音, 영어: consonant) 또는 닿소리는 성문을 벗어나 조음된 소리가 목, 입, 혀 따위의 발음 기관에 의하여 방해를 받으면서 나는 소리이다.[1] 모음과 대비되는 개념이다.
자음의 기술 방법 : 조음 음성학[편집]
조음 음성학에서는 자음을 기술하기 위하여 모음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먼저 자음 음소 목록과 각 자음 음소의 변이음 목록을 작성한다. 그리고 다음과 같은 특성을 관찰하여 기술한다.
- 어떻게 발동되는가? - 폐소리, 목소리, 입안소리
- 기류는 어떻게 생성되는가? - 날숨 소리, 들숨 소리
- 성대가 진동하는가? - 유성음, 무성음
- 성대의 불완전한 진동이나 개방이 수반되는가? - 속삭임 소리, 짜내기 소리, 유성 속삭임 소리, 유성 짜내기 소리, 유성 날숨 소리
- 비강이 닫히는가? - 구강음, 비강음 (혹 비음)
- 막음, 좁힘 등이 어떻게 수반되는가? - 파열음, 파찰음, 마찰음, 비음, 유음, 반모음
- 성문의 막음이나 좁힘이 수반되는가? - 성문 파열음, 성문 마찰음
- 막음, 좁힘이 어디에서 형성되는가? - 양순음, 치음, 치조음, 경구개음, 연구개음, 성문음
- 막음, 좁힘을 일으키는 조음 기관은?
- 조음 기관의 긴장을 수반하는가? - 경음, 연음
- 기식을 수반하는가? - 유기음, 무기음
위와 같은 특성 중 한국어 또는 우리에게 널리 알려진 외국어들의 자음을 기술하는 데 사용되는 일반적이고 기본적인 기준은 다음과 같다. 조음 방법과 조음 위치가 가장 기본적인 분류 기준이 된다. 그리고 여기에 기식, 긴장, 성대 진동이 수반되는지 여부에 따라 세부적인 구분이 이루어지게 된다.
- 조음 방법: 파열음, 파찰음, 마찰음, 비음, 유음, 반모음
- 조음 위치: 양순음, 치음, 치조음, 경구개음, 연구개음, 성문음
- 기식 유무: 유기음, 무기음
- 긴장 유무: 경음, 연음
- 성대 울림: 유성음, 무성음
문자로서의 자음[편집]
문자로서의 자음은 또한 자음 소리를 내는 알파벳이나 한글의 글자를 뜻하기도 한다.
영어[편집]
B, C, D, F, G, H, J, K, L, M, N, P, Q, R, S, T, V, X, Z이며, 가끔 W, Y도 포함한다.
- Y가 "yoke"와 같이 자음을 나타내는 문자일 때는 자음 [j]이며, "myth"와 같이 모음을 나타낼 때는 모음 [ɪ]이다. 예를 들면, W는 "crwth" "cwm"와 같이 드물게 나타나는 단어(대부분 웨일스어에서 빌려온 것들)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항상 자음이다.
한글[편집]
- 닿소리: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
- 겹닿소리: ㄲ, ㄸ, ㅃ, ㅆ, ㅉ
- 겹받침: ㄲ, ㅆ, ㄳ, ㄵ, ㄶ, ㄺ, ㄻ, ㄼ, ㄽ, ㄾ, ㄿ, ㅀ, ㅄ
- 사라진 닿소리: ㅸ, ㅿ, ㆁ
같이 보기[편집]
참고 문헌[편집]
- 이호영, 1996, 국어음성학, 태학사, 67-68쪽.
- 시대가 흐르는 국어의 역사
- 음성기관(organ of speech)[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각주[편집]
- ↑ 브루스 M. 로우, 장영준역, 《언어학개론》, 시그마프레스, 2007년, ISBN 8958323167, 39쪽
IPA 폐장기류음표 이미지
| ||||||||||||||||||||||||||
위치 → | 입술소리 | 혀끝소리 | 혓바닥소리 | 목구멍소리 | ||||||||||||||||||||||
↓ 방법 | 양순음 | 순치음 | 치음 | 치경음 | 후치경음 | 권설음 | 치경구개음 | 경구개음 | 연구개음 | 구개수음 | 인두음 | 후두개음 | 성문음 | |||||||||||||
비음 | m̥ | m | ɱ | n̥ | n | ɳ̊ | ɳ | ȵ̊ * | ȵ * | ɲ̊ | ɲ | ŋ̊ | ŋ | ɴ | ||||||||||||
파열음 | p | b | p̪ | b̪ | t | d | ʈ | ɖ | ȶ * | ȡ * | c | ɟ | k | ɡ | q | ɢ | ʡ | ʔ | ||||||||
치찰음 | s | z | ʃ | ʒ | ʂ | ʐ | ɕ | ʑ | ||||||||||||||||||
비 치찰 마찰음 | ɸ | β | f | v | θ | ð | θ̱ | ð̠ | ç | ʝ | x | ɣ | χ | ʁ | ħ | ʕ | ʜ | ʢ | h | ɦ | ||||||
접근음 | ʋ | ɹ | ɻ | j̊ | j | ɰ | ||||||||||||||||||||
탄음 | ѵ̟ | ѵ | ɾ̥ | ɾ | ɽ̊ | ɽ | ȡ̆ * | ɢ̆ | ʡ̯ | |||||||||||||||||
전동음 | ʙ | r̥ | r | ɽ͡r | ʀ | ᴙ * | ||||||||||||||||||||
설측 마찰음 | ɬ | ɮ | ꞎ * | ʎ̝̊ | ʎ̝ | ʟ̝̊ | ʟ̝ | |||||||||||||||||||
설측 접근음 | l̥ | l | ɭ̊ | ɭ | ȴ̊ * | ȴ * | ʎ̥ | ʎ | ʟ̥ | ʟ | ʟ̠ | |||||||||||||||
설측 탄음 | ɺ | ɺ̢ * | ʎ̯ | ʟ̆ |
비폐장기류음 | |||||||||
---|---|---|---|---|---|---|---|---|---|
흡착음 | ʘ | ǀ | ǃ | ǂ | ǁ | ||||
ʘ̃ | ʘ̃ˀ | ʘ͡q | ʘ͡qʼ | ‼ | |||||
내파음 | ɓ̥ | ɓ | ɗ̥ | ɗ | ᶑ | ʄ̊ | ʄ | ɠ | ʛ |
방출음 | pʼ | t̪ʼ | tʼ | ʈʼ | cʼ | kʼ | qʼ | fʼ | θʼ |
sʼ | ɬʼ | ʃʼ | ʂʼ | ɕʼ | xʼ | χʼ | t͡sʼ | t͡ɬʼ | |
c͡ʎ̝̥ʼ | t͡ʃʼ | ʈ͡ʂʼ | k͡xʼ | k͡ʟ̝̊ʼ | q͡χʼ |
파찰음 | |||||||||
---|---|---|---|---|---|---|---|---|---|
p̪͡f | b̪͡v | t͡s | d͡z | t̪͡s̪ | d̪͡z̪ | t͡θ | d͡ð | t͡ʃ | d͡ʒ |
t͡ɕ | d͡ʑ | ʈ͡ʂ | ɖ͡ʐ | t͡ɬ | d͡ɮ | c͡ç | ɟ͡ʝ | c͡ʎ̥˔ | ɟ͡ʎ˔ |
k͡x | ɡ͡ɣ | k͡ʟ̝̊ | ɡ͡ʟ̝ | q͡χ | ɢ͡ʁ |
이중 조음 | ||||
---|---|---|---|---|
지속음 | ʍ | w | ɥ | ɧ |
폐쇄음 | k͡p | ɡ͡b | ŋ͡m |
— 이 표는 일부 브라우저에서 정확히 표시되지 않을 수도 있는 음성 기호를 포함하고 있다. |
— 쌍으로 있는 기호는 왼쪽이 무성음, 오른쪽이 유성음이다. |
— 어두운 부분은 조음이 불가능하다고 알려진 곳이다. |
— 별표(*)가 붙어있는 곳은 비공식 기호인 경우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