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설음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조음 방법 |
---|
장애음 |
파열음 |
불파음 |
마찰음 |
파찰음 |
치찰음 |
공명음 |
비강음 |
탄음 |
전동음 |
유음 |
접근음 |
홀소리 |
반모음 |
공명강 |
구강음 |
비강음 |
비모음 |
기류의 방향 |
설측음 |
치측음 |
중설음 |
기류의 근원 |
폐장기류음 |
고립기류음 (비 폐장기류음) |
흡착음 |
방출음 |
내파음 |
성대의 울림 |
유성음 |
무성음 |
기식 |
유기음 |
무기음 |
긴장도 |
연음 |
경음 |
조음 위치 |
중설음(中舌音, central consonant)은 닿소리를 발음할 때 혀의 가운데 부분으로 공기가 나가면서 나는 소리. 모음에서 언급하는 중설음은 대부분 중설모음이다.
대부분의 자음이 중설음이다.
한국어[편집]
종성 'ㄹ'을 제외한 모든 자음이 중설음이다.
![]() |
이 글은 언어학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