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라이글리세라이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트리글리세리드 또는 트라이글리세라이드(영어: triglyceride, TG, triacylglycerol, TAG, triacylglyceride)는 지질의 한 종류로 글리세린 한 분자에 지방산 3분자가 에스터 결합을 하는 구조이다. 중성 지방이 이 종류이다.

구조[편집]

글리세롤에 3분자의 지방산이 에스터(ester)결합을 한 구조이다. 각 지방산에는 길이의 제한이 없다. 각 지방산을 R1, R2, R3라고 부르는데, 세개의 지방산이 모두 같은 것은 자연에서 찾기 어렵고 대부분 길이가 다르다. 그리고 글리세린과의 결합위치에 특이성을 지니고, R2 위치에 불포화 지방산이 많이 관찰된다.[1]

종류[편집]

트리글리세리드는 중성지방으로도 불린다. 중성지방은 대부분의 동물의 저장지방으로 간주되지만 식물이나 미생물류에도 존재한다. R1, R2, R3 기의 포화도에 따라서 포화지방과 불포화 지방이 나뉜다. 포화지방은 지방산 기에 수소가 포화적으로(탄소의 이중결합 없이) 존재하는 경우이고, 불포화지방은 탄소의 이중결합이 존재하여 수소가 포화적으로 결합하지 못하는 경우이다. 대부분의 동물성 지방이 포화지방이고, 식물성 오일류(oil)류는 불포화 지방이다. 후자는 다시 이중결합에 연결된 탄소의 모양에 따라서 cis형과 trans형으로 나뉘는데, cis 형일 경우 이중결합이 존재하는 부분이 꺾이게 된다. trans형은 흔히 말하는 트랜스지방이다.

상태[편집]

대부분의 포화지방은 분자간 결합력이 높기 때문에 상온에서 고체 상태로 존재한다. 하지만 불포화지방은 이중결합에 의한 분자간 인력 약화로 상온에서 액체상태로 존재한다.

변환[편집]

식물성 지방은 이중결합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이 지방을 수소화를 통해서 이중결합을 끊게 하고 대신 수소를 집어넣을 수 있는데 이 과정의 결과로 포화지방산을 만들 수 있다. 그리고 그 중에서 위에서 언급한 트랜스지방이 생기기도 한다.

소화[편집]

중성지방은 먼저 담즙에 의해서 유화가 일어난다. 그 후엔 이자액의 라이페이스에 의해서 글리세롤과 지방산으로 분리된다. 유화되지 않은 중성지방은 라이페이스에 의해서 분해되지 못한다. 글리세롤과 지방산은 소장의 암죽관을 통해서 소화되는데, 암죽관에서 림프관을 통해서 가슴관, 빗장밑정맥, 그리고 최종적으로는 심장으로 이동되어서 사용된다. 그 둘은 소장세포에서 흡수되면 먼저 트리글리세리드로 결합되어 이동한다. 이 중 글리세롤은 나중에 포도당 재합성 중 해당 과정 중 일부인 인글리세르알데하이드(phosphoglyceraldehide)로 사용되고, 지방산은 베타 산화를 통해서 활성아세트산(아세틸 CoA)로 합성되어서 시트르산 회로(TCA 회로)로 들어간다.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1. “트리글리세리드”. 2013년 3월 31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