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헨산
![]() | |
이름 | |
---|---|
IUPAC 이름
Docosanoic acid
| |
별칭
Behenic acid, Docosanoic acid; 1-Docosanoic acid; n-Docosanoic acid, n-Docosanoate, Glycon B-70, Hydrofol Acid 560, Hydrofol 2022-55, Hystrene 5522, Hystrene 9022, Prifrac 2989, C22:0 (Lipid numbers)
| |
식별자 | |
3D 모델 (JSmol)
|
|
ChEBI | |
ChEMBL | |
ChemSpider | |
ECHA InfoCard | 100.003.646 |
EC 번호 |
|
KEGG | |
PubChem CID
|
|
UNII | |
CompTox Dashboard (EPA)
|
|
| |
| |
성질 | |
C22H44O2 | |
몰 질량 | 340.592 g·mol−1 |
겉보기 | White to yellowish crystals or powder |
녹는점 | 80.0 °C (176.0 °F; 353.1 K)[1] |
끓는점 | 306 °C (583 °F; 579 K) |
위험 | |
NFPA 704 (파이어 다이아몬드) | |
달리 명시된 경우를 제외하면, 표준상태(25 °C [77 °F], 100 kPa)에서 물질의 정보가 제공됨. | |
![]() ![]() ![]() | |
정보상자 각주 | |
베헨산(영어: behenic acid) 또는 도코산산(영어: docosanoic acid)은 카복실산이며, 화학식이 C21H43COOH 인 22개의 탄소로 구성된 포화 지방산이다. 베헨산은 흰색의 결정 또는 분말이며 녹는점은 80°C, 끓는점은 306°C이다.
공급원[편집]
베헨산은 벤오일 나무(Moringa oleifera)의 씨앗에서 추출한 벤오일(또는 베헨오일)의 주성분이다. 베헨산이란 이름은 벤오일 나무의 뿌리가 수확되었을 때가 페르시아 달력으로 11월이어서 페르시아어로 11월을 의미하는 "Bahman"에서 유래되었다.[2]
베헨산은 또한 유채기름(카놀라유), 땅콩기름, 땅콩껍질을 포함하는 일부 기름과 기름을 함유한 식물에도 존재한다. 땅콩껍질 1톤에는 5.9 kg의 베헨산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추산된다.[3]
특성[편집]
식용유로서 베헨산은 잘 흡수되지 않는다. 베헨산은 올레산과 비교했을 때 낮은 생체 이용률에도 불구하고, 인체에서 콜레스테롤을 높이는 포화 지방산이다.[4]
용도[편집]
상업적으로 베헨산은 린스 및 보습제에서 매끈하게 하는 특성을 부여하기 위해 종종 사용된다.[3] 또한 윤활유 및 페인트 제거제의 용매 증발 억제제로도 사용된다. 베헨산의 아마이드는 세제, 바닥 광택제, 흘러 내리지 않는 양초에 거품 방지제로 사용된다. 베헨산이 환원되면 베헤닐 알코올을 생성한다.
프라칵시 오일(pracaxi oil) (Pentaclethra macroloba 의 씨앗에서 유래)은 베헨산의 농도가 가장 높은 천연 제품으로 헤어 컨디셔너에 사용된다.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 ↑ “Lexicon of lipid nutrition (IUPAC Technical Report)”. 《Pure and Applied Chemistry》 73 (4): 685–744. 2001. doi:10.1351/pac200173040685.
- ↑ http://www.numericana.com/answer/culture.htm
- ↑ 가 나 USDA Scientists Find Treasure in Peanut Skins Archived 2006년 3월 23일 - 웨이백 머신.
- ↑ Caterm, Nilo B and Margo A Denke. January 2001 Behenic acid is a cholesterol-raising saturated fatty acid in humans. Americ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v 73, No. 1, pp41-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