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내륙로
일반 국도 | |
---|---|
36 ![]() | |
충청내륙로 | |
국도 제36호선의 일부 | |
총연장 | 57.13km |
기점 | 충청북도 청주시 청원구 율량동 |
주요 경유지 |
충청북도 청주시 |
종점 | 충청북도 청주시 청원구 북이면 |
주요 교차도로 |
국도 제36호선 지방도 제511호선 지방도 제540호선 지방도 제592호선 |
충청내륙로(Chungcheongnaeryuk-ro)는 충청북도 청주시 청원구 율량동 상리 교차로와 북이면 내추 교차로를 잇는 충청북도의 도로이다. 다른 이름으로 충청내륙고속화도로라고도 한다.
개요[편집]
국도 제19호선, 국도 제36호선, 국도 제38호선 청주 ~ 충주 및 충주 ~ 제천 구간의 간선도로 기능 제고를 위해 충청북도에서 추진하는 고속화도로이다. 이 도로를 통해 충청내륙권 경제 활성화 기여 및 교통인프라 확충, 접근성 개선을 통한 지역간 교류 확대, 세종 ~ 충북 ~ 강원권 주요도시간 접근 통행시간 단축을 도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기존 개통된 청주 율량 ~ 북이 구간을 제외하고 추진되는 구간은 청주 ~ 증평 ~ 음성 ~ 충주 구간이며, 장기적으로 제천까지 이어질 예정이다.
연혁[편집]
- 2005년 9월 6일 : 청주시 상당구 율량동 ~ 청원군 북이면 옥수리 13.43 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1]
- 2008년 4월 3일 : 율량 ~ 북이간 도로(청주시 상당구 율량동 ~ 청원군 북이면 옥수리) 자동차 전용도로 구간에서 종점을 청원군 북이면 금암리로 변경해 1.92 km 구간 단축[2]
- 2010년 12월 22일 : 충청내륙고속화도로 타당성 인정 (비용대 편익비율 (B/C) = 0.85, 종합적 정책분석(AHP) = 0.503)[3]
- 2013년 12월 30일 : 청주 ~ 증평간 도로(청주시 상당구 율량동 ~ 청원군 북이면 옥수리) 13.4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11.2 km 구간 폐지[4]
- 2014년 3월 21일 : 2개 이상 시·군에 걸쳐 있는 도로로 충청내륙로를 고시[5]
- 2016년 3월 10일 : 일괄 예비타당성 조사 통과[6]
주요 경유지[편집]
노선[편집]
전 구간 국도 제36호선에 속하므로 이에 대한 별도 표기는 생략한다.
이름 | 접속 노선 | 소재지 | 비고 | |
---|---|---|---|---|
1순환로와 직결 | ||||
상리 교차로 | 2순환로 | 청주시 | 청원구 | |
상리교 | 상리로 | 증평 방면 진입 불가 청주 방면 진출 불가 | ||
상리터널 | 증평 방면 연장 487m 청주 방면 연장 547m | |||
청원구 내수읍 | ||||
국동 교차로 | 3순환로 | |||
국동1교 묵방1교 |
||||
묵방2교 | 묵방2길 | |||
도원1교 | ||||
도원 교차로 (도원2교) |
도원세교로 | 증평 방면 진입 불가 청주 방면 진출 불가 | ||
학평 교차로 | 지방도 제511호선 (초정약수로) |
|||
학평지하차도 법득1교 |
||||
서당1교 | ||||
청원구 북이면 | ||||
서당2교 | ||||
신기 교차로 | 신기초정로 | |||
장재1교 | ||||
장재 교차로 | 장재금대로 | 증평 방면 진입 불가 청주 방면 진출 불가 | ||
금암1교 | ||||
내추1교 | ||||
내추 교차로 | 국도 제36호선 지방도 제592호선 (충청대로) |
|||
충청대로와 직결 |
각주[편집]
- ↑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5-138호, 2005년 9월 6일.
- ↑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8-55호, 2008년 4월 3일.
- ↑ 충청내륙고속화도로 타당성 인정, 충청일보, 2010년 12월 22일 작성.
- ↑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3-244호, 2013년 12월 30일.
- ↑ 충청북도고시 제2014-74호, 2014년 3월 21일.
- ↑ 충청내륙고속화도로 등 충북 8개 도로 정부 예비타당성 통과, 연합뉴스, 2016년 3월 10일 작성.
외부 링크[편집]
- 충청내륙로 (청주시 청원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