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범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우범곤
출생 1955년 2월 24일
대한민국 경상남도 부산시 초량동
사망 1982년 4월 27일(1982-04-27)(27세)
대한민국 경상남도 의령군 궁류면 평촌리
죄명 연속살인
현황 사망
피해자 수 90~100
사망자 수 56~62
부상자 수 30~39
범행기간 1982년 4월 26일 오후 9시 40분~1982년 4월 27일 오전 3시 40분경
사용한 흉기 M2 카빈, 실탄 180발, 수류탄

우범곤(禹範坤, 1955년 2월 24일~1982년 4월 27일)은 90명을 연속으로 살해 혹은 부상을 입히고 자살한 전 대한민국의 경찰관이자 범죄자이다. 우범곤은 아네르스 베링 브레이비크2011년 노르웨이 테러를 저질러 기록을 경신할 때까지 세계에서 가장 많은 대량살인을 저지른 총기살인범이었다.[1]

생애[편집]

부산 출신으로 해병 복무 중 특등사수로 뽑히기도[2]했던 우범곤은 순경으로 임용된 후 1980년 12월 20일부터 1981년 12월 27일까지 청와대를 경호하는 제101경비단에서 근무한 적이 있었지만, 별명이 "미친 호랑이"일 정도로 술버릇이 좋지 않아 인사 과정에서 업무 부적격자로 판정됨으로써 제101경비단 근무에서 탈락하여 1982년 3월 경남 의령으로 좌천되었고(꼬리에 꼬리를 무는 이야기, SBS), 동거인과의 사이가 몹시 좋지 않았다.[3] 당시 경찰은 평소 술버릇이 나빴던 우범곤이 동거인과 말다툼을 벌인 뒤 흥분 상태에서 우발적인 범행을 저지른 것으로 결론지었다.[4]

총기 난사 사건[편집]

1982년 4월 26일 오후 7시 30분경에 예비군 무기고에서 카빈소총 2정, 실탄 180발, 수류탄 8개를 들고 나왔다. 우범곤은 우선 우체국에서 자신이 맡은 배달지역 주민들에게 편지를 배달하는 일을 하던 집배원과 살해 직전까지 전화를 연결하던 전화교환원 전은숙씨, 위험을 알리던 택시 운전노동자 등 3명을 살해해 외부와의 통신을 두절시킨 후(꼬리에 꼬리를 무는 그날 이야기, SBS), 궁류면 내 4개 마을을 돌아다니며 전깃불이 켜진 집을 찾아다니며, 카빈소총을 쏘고 수류탄을 터뜨렸다. 자정이 지나자 우범곤은 총기 난사를 멈추고 평촌리 주민 서인수의 집에 들어가 일가족 5명을 깨운 뒤, 4월 27일 새벽 5시경 수류탄 2발을 터뜨려서 자살했다. 이 사건으로 주민 56명이 사망하는 참혹한 사태가 벌어졌으며, 33명이 중경상을 입었다.[5] SBS 꼬리에 꼬리를 무는 이야기 제작진이 경찰청에 정보공개를 요구하여 당시 정확한 사망자 수를 밝혀내고자 했는데, "주민 56명이 사망했으며, 부상 치료중 사망한 사람들이 얼마나 있는지는 밝혀지지 않았습니다."라고 답장을 10일후에 보냈다고 한다. 경상남도에서 발표한 연감에 의하면 사망자가 62명이었다고 하니, 당시 우범곤 순경의 분노범죄가 얼마나 심각한지를 알 수 있다. 당시 희생자들은 52세인 장년부터 12세, 1세인 어린이까지 있었으며, 취재를 한 기자에 의하면 언어장애인 문 아무개씨는 어머니와 세 자녀를 잃어 하루에 3번이나 장례를 치루어야 했고, 너무 슬픈 마음을 말을 하지 못하니 드러내지 못함에 지역 주민들이 같이 슬퍼했다고 한다. 만가 곧 죽은 이들을 기억하기 위한 민중들의 노래가 "어린 네가 강을 건넜다면, 나도 못 건너랴"(우리나라 무속신앙의 서사무가인 바리데기 공주 설화에서는 죽음을 강에 비유한다. 황천이 우리말로 풀어쓰면 노란 강이다.)였고, 장례는 상여를 사용하는 전통 의례이다. 당시 희생자가 매우 많아서 한국방송에서 취재한 영상을 보면, 관들을 트럭에 싣고 와서 내릴 정도였으니 죽임을 당한 이들이 많았음을 짐작할 수 있다. 살아남은 분들의 바람은 백서, 위령탑으로써 기억되기를, 잊혀지지 않기를 바라는 것이라고 꼬리에 꼬리를 무는 그날 이야기에서 말했다.

여파[편집]

이 사건으로 당시 내무부 장관이었던 서정화가 자진 사퇴하고, 후임으로 노태우내무부 장관으로 임명되면서 정치계에 입문하게 되었다.[6] 그리고 사건 당시 근무지를 이탈했던 의령서장 등 3명의 경찰관과 방위병 3명이 구속됐다.

한편 당시 의령경찰서장은 직무유기죄로 기소되었으나 당시 법원은 주관적으로 직무를 버린다는 인식이 없고 객관적으로는 직무 또는 직장을 벗어나는 행위가 없다고 보고 무죄를 선고했다.

당시 수사본부는 범인 우범곤의 수법이 너무 잔인해 일반인과 뇌조직이 어떻게 다른지를 가려내기 위해 국립과학수사연구소에 시신을 보내 뇌세포 검사를 하려 했으나 검사가 불가능해 이를 포기함으로써 영구미제사건으로 남게 됐다.[7]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1. “Norway massacre 'work of a madman'. breakingNEWS.ie. 2011년 7월 23일. 
  2. 한홍구 우범곤 의령 총기 난사 사건[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한국현대사이야기》, 2009년 3월 31일 작성, 2011년 7월 4일 확인
  3. 동아일보, 1982년 4월 28일,7면
  4. 경향신문, 1982년 4월 27일,11면
  5. “28명 죽이고 초상집 문상… 부의금 3000원 낸 뒤 또 난사”. 한겨례. 2012년 4월 18일. 2019년 2월 19일에 확인함. 
  6. 노태우는 이것을 시발점으로 정치를 시작하여 대통령까지 올라가게 된다.
  7. “우순경 뇌해부포기, 세포이상 밝히려다”. 경향신문. 1982년 4월 29일. 2011년 1월 27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