샌프란시스코 국제공항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샌프란시스코 국제공항
San Francisco International Airport


샌프란시스코 국제공항 전경

국제 항공 운송 협회 IATA: SFO - 국제 민간 항공 기구 ICAO: KSFO
- 연방항공국 FAA LID: SFO
개요
공항종별 민간
시간기준 UTC-08:00
운영시간 24시간
운영기관 샌프란시스코 공항 위원회
위치 미국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머테이오 군
건립시기 1927년 5월 7일
사용시기 1927년 5월 7일 ~ 현재
해발고도 4 m / 13 ft
좌표 북위 37° 37′ 08″ 서경 122° 22′ 30″ / 북위 37.61889° 서경 122.37500°  / 37.61889; -122.37500
웹사이트 공식 웹사이트
지도
SFO은(는) 캘리포니아주 안에 위치해 있다
SFO
SFO
샌프란시스코 국제공항 위치
활주로
방향 면적(m*m) ILS 표면
길이
10L/28R 3,618 61 YES 아스팔트
10R/28L 3,231 61 YES 아스팔트
1R/19L 2,636 61 YES 아스팔트
1L/19R 2,286 61 NO 아스팔트
통계 (2008)
이용객 37,405,467
항공기 운항회수 379,500
출처 : FAA Airport Master Record for SFO
샌프란시스코 국제공항

샌프란시스코 국제공항(영어: San Francisco International Airport, IATA: SFOICAO: KSFO)은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 시내에서 남쪽으로 21킬로미터 떨어진 곳에 위치한 국제 공항이다. 종종 SFO라고 불린다. 공항은 북미 주요 공항과 유럽, 아시아, 오세아니아 지역의 관문 역할을 하고 있다.

개요[편집]

샌프란시스코 만 지역에서 가장 큰 공항이고 로스앤젤레스 국제공항 다음으로 캘리포니아 지역에서 두 번째로 큰 국제공항이다. 2008년 이용자 수를 기준으로 샌프란시스코 국제공항은 미국에서 10번째로 큰 공항이며 전 세계적으로 21번째로 큰 공항이다. 공항은 유나이티드 항공의 주요 허브 공항이며, 버진 아메리카항공의 주요 운영 거점이다. 또한 유나이티드 항공의 주 정비 거점으로 샌프란시스코 국제공항은 알래스카 항공의 주요 취항 공항이기도 하다.

샌프란시스코 국제공항은 다양한 식음료 매장과, 쇼핑, 수화물 보관, 공공 샤워실, 의료 시설, 여행객 및 군인에 대한 안내를 포함하는 여러 가지 여객 편의 시설을 갖추고 있다. 공항 내 여객 터미널의 대부분의 장소에서 유료로 제공되는 공용 와이파이 시설이 갖춰져 있다.

2011년 미국의 여행 전문지 '트래블 앤드 레저 매거진'의 조사에서 미국 내에서 가장 위험한 공항 4위에 올랐다. 이는 주변에 산이 있기 때문이다.[1]

터미널[편집]

샌프란시스코 국제공항의 터미널 지도

공항에는 4개의 터미널(1, 2, 3, International)과 7개의 콩쿠르(보딩 영역 A ~ G)가 있으며, 총 115개의 관문이 시계 반대방향 링에 알파벳 순으로 배열되어 있다. 터미널 1(Boarding Area B), 터미널 2(Boarding Area C 및 D), 터미널 3(Boarding Area, F)은 국내 항공편(캐나다로부터의 사전 정리된 항공편 포함)을 취급한다. 국제선 터미널(선박 지역 A와 G)은 국제선과 국내선 일부를 취급한다.

역사적으로 가장 오래된 터미널 건물은 제2터미널로 1954년 4개의 콩쿠르(피어 B, C, D, E, 북에서 남으로 순차적으로 놓아짐)로 완공되었다. 제1터미널은 1963년 피어스 F/FF(Piere F는 위성 로툰다 두 개를 가지고 있다)와 G로 남쪽 터미널로 추가되었고, 피어 E는 완공과 동시에 남쪽 터미널로 재지정되었다. 국제 교통은 Pier G를 통과했고, 1974년에 새로운 Rotunda G가 Pier G를 확장하기 위해 완공되었다. 터미널 3이 북부로 추가되었다.

운항 노선[편집]

터미널 1[편집]

보딩 지역 B(게이트 20-23, 24A-24B, 25-31, 32A-32B-32C, 33-35, 36A-37B, 37-39)
항공사목적지
미국 알래스카 항공 팜스프링스, 포틀랜드(오리건주), 솔트레이크시티, 산 호세 델 카보, 시애틀(터코마)
미국 프론티어 항공 덴버
미국 사우스웨스트 항공 애틀랜타, 시카고(미드웨이), 덴버, 라스베이가스, 로스앤젤레스, 밀워키, 오렌지카운티, 피닉스, 샌디에고
미국 선 컨트리 항공 미니애폴리스(세인트폴)
보딩 에어리어 C(게이트 40, 42-44, 45A-45B, 46-48)
항공사목적지
미국 델타 항공 애틀랜타, 신시내티/노던켄터키, 디트로이트, 호놀룰루, 로스앤젤레스, 미니애폴리스(세인트폴), 뉴욕(JFK), 솔트레이크시티

터미널 2[편집]

항공사목적지
미국 아메리칸 항공 샬롯, 시카고(오헤어), 댈러스(포트워스), 로스앤젤레스, 마이애미, 뉴욕(JFK), 필라델피아, 피닉스
미국 버진 아메리카 오스틴, 보스턴, 캉쿤, 시카고(오헤어), 댈러스(포트워스), 포트로더데일, 라스베이거스, 로스앤젤레스, 뉴욕(JFK), 뉴어크, 필라델피아, 포틀랜드(오리건주), 푸에르토 바야르타, 우아라타, 샌디에고, 산 호세 델 카보, 시애틀(터코마), 워싱턴(덜레스), 워싱턴(내셔널)

터미널 3[편집]

항공사목적지
미국 유나이티드 항공 애틀랜타, 오스틴, 볼티모어, 보스턴, 캘거리, 시카고(오헤어), 신시내티, 클리블랜드, 댈러스(포트워스), 덴버, 디트로이트, 유진, 포트로더데일, 호놀룰루, 휴스턴, 인디애나폴리스, 카훌루이, 카일루아코나, 라스베이거스, 리후에, 로스앤젤레스, 미니애폴리스(세인트폴), 내슈빌, 뉴올랜즈, 뉴어크, 오렌지컨트리, 올랜도, 필라델피아, 피닉스(스카이하노버), 피츠버그, 포틀랜드, 롤리/더럼, 샌디에고, 시애틀(터코마), 템파, 밴쿠버, 워싱턴(덜레스), 워싱턴(내셔널)
계절편 : 앵커리지, 팜스프링스, 레노(타호), 솔트레이크시티, 세인트루이스, 크라이스트처치 - (2023년 12월 3일 취항)
미국 유나이티드 익스프레스 앨버커키, 오스틴, 바커즈필드, 보이즈, 보즈맨, 버뱅크, 캘거리, 댈러스(포트워스), 유진, 아르카타, 페이엣빌/벤톤빌, 프레스노, 캔자스시티, 라스베이거스, 로스앤젤레스, 메드포드, 미니애폴리스(세인트폴), 몬테리, 노스 밴드/코즈베이, 오클라호, 오마하, 온타리오, 오렌지 컨트리, 팜 스프링스, 피닉스(스카이 하노버), 포틀랜드, 리딩, 레드몬드/밴드, 레노/타호, 새크라멘토, 세인트루이스, 솔트레이크시티, 산 안토니오, 샌디에고, 샌루이스오비스포, 샌타바버라, 트리시티즈, 투싼, 밴쿠버, 빅토리아
계절편 : 아스펜, 잭슨 홀, 칼리스펠, 맘모스 레이크, 미줄라

국제선(1 터미널)[편집]

보딩 에어리어 A(게이트 A1-A12)[편집]

항공사목적지
멕시코 아에로멕시코 멕시코시티, 할리스코, 실라오
계절편 : 모렐리아
프랑스 에어프랑스 파리(샤를 드 골)
미국 알래스카 항공 익스타파(지와타네호), 로스카보스, 마제토랑, 푸에트로 바야르타
영국 영국항공 런던(히스로)
홍콩 캐세이퍼시픽 항공 홍콩(첵랍콕)
대만 중화항공 타이페이(도원)
중국 중국동방항공 상하이(푸둥), 칭다오
중국 중국남방항공 광저우, 우한
아랍에미리트 에미레이트 항공 두바이
아랍에미리트 에티하드 항공 아부다비
하와이주 하와이안 항공 국내선 : 호놀룰루, 카훌루이
일본 일본항공 도쿄(나리타, 하네다)
미국 제트블루 항공 국내선 : 오스틴, 에드워드, 포트로더데일, 롱비치, 뉴욕(JFK), 라스베이거스
네덜란드 KLM 암스테르담
대한민국 대한항공 서울(인천)
대한민국 아시아나항공 서울(인천)
페루 LATAM 페루 페루
필리핀 필리핀 항공 마닐라
엘살바도르 아비앙카 엘살바도르 엘살바도르
오스트레일리아 콴타스 항공 시드니[2]
영국 버진 애틀랜틱 항공 런던(히스로)
캐나다 웨스트제트 캘거리, 밴쿠버
프랑스 XL 에어웨이즈 프랑스 파리(샤를 드 골)
베트남 뱀부항공 하노이

보딩 지역 G(게이트 G91-G102)[편집]

항공사목적지
아일랜드 에어 링구스 더블린
캐나다 에어 캐나다 밴쿠버, 토론토(피어슨), 몬트리올
중국 중국국제항공 베이징(수도)
뉴질랜드 에어 뉴질랜드 오클랜드
일본 전일본공수 도쿄(나리타, 하네다)
대만 에바 항공 타이페이(도원)
독일 루프트한자 프랑크푸르트, 뮌헨
덴마크 노르웨이 스웨덴 스칸디나비아 항공 코펜하겐
싱가포르 싱가포르 항공 싱가포르, 홍콩(첵랍콕)
스위스 스위스 국제항공 취리히
튀르키예 터키항공 이스탄불(아르나부코이)
미국 유나이티드 항공 베이징(수도), 캉쿤, 청두, 프랑크푸르트, 항저우, 홍콩(첵랍콕), 런던(히드로), 멕시코시티, 멜버른, 오사카(간사이), 파리(샤를 드 골), 서울(인천), 상하이(푸둥), 싱가포르, 시드니, 암스테르담, 타이페이(도원), 텔아이브(벤구리온), 도쿄(하네다, 나리타), 오클랜드(뉴질랜드)
계절편 : 푸에르토 바야르타, 산 호세 델 카보, 시안

화물 노선[편집]

항공사목적지
미국 ABX 에어 로스엔젤레스
대한민국 아시아나항공 카고 서울(인천)
대만 중화항공 카고 앵커리지, 타이페이(도원)
독일 DHL 항공 신시내티, 로스엔젤레스
대만 에바 항공 카고 앵커리지, 타이페이(도원)
미국 페덱스 익스프레스 멤피스
대한민국 대한항공 카고 서울(인천)
일본 일본화물항공 도쿄(나리타)

연계 교통[편집]

도로 교통[편집]

  • 메인 스트리트와 폴섬 스트리트에서 팔로 알토 칼트레인 역까지 운행하는 397번과 급행버스 KX선이 있으며 두 노선 모두 샌프란시스코 국제공항을 경유하며 KX선의 경우 397번 버스와 달리 고속도로를 경유하기 때문에 KX 노선을 타는 것이 더욱 편리하다.

철도 교통[편집]

  • 에어트레인 플라이 어웨이 노선으로 거의 자동으로 되어 있고 2개의 국제 터미널 주차장, 바트 역, 공항의 렌탈 카센터를 연결한다.
  • BART 노선으로 국제 터미널 파킹 가라게 G에 위치하고 있으며 공항의 유일한 철도 노선으로 샌프란시스코의 도시를 연결한다. 이 외에 BART와 SFO를 연결하는 칼트레인이 존재한다.

통계[편집]

사건 및 사고[편집]

유나이티드 항공 811편[편집]

1989년 2월 24일 샌프란시스코 국제공항을 출발하여 LA, 호놀룰루, 오클랜드를 마지막으로 기착하여 시드니로 도착 예정이였던 유나이티드 항공 811편 여객기(보잉 747-100)가 화물칸 도어의 적당하지 않은 디자인과 화물 적재 담당자의 부주의로 인해 비행 중 화물칸 도어의 열림으로 폭발적 감압현상이 생겼고 또한, 객실에 구멍이 생겼고 그로 인해 3번 엔진과 4번 엔진에 화재가 발생 조종사들은 이 두 엔진을 끄고 호놀룰루에 무사히 착륙하였다. 9명이 사망하고 38명이 부상을 입었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생존했으며, 이 사건으로 보잉은 화물칸의 디자인을 바꿨고 조종사들은 사고 당시의 영웅적인 대처로 상을 받았다.

유나이티드 항공 93편[편집]

2001년 9월 11일 미국 뉴저지주 뉴어크 리버티 국제공항을 출발하여 샌프란시스코 국제공항으로 향하던 유나이티드 항공 93편이 납치되어 자살폭탄테러가 일어났다. 그 후 이를 추모하여 부근에 있는 자유의 여신상의 이름을 따 공항 명칭에 리버티(Liberty)를 추가하였다.

아시아나항공 214편 착륙 사고[편집]

2013년 7월 6일 아시아나항공 소속 보잉 777-200ER 항공기가 대한민국 인천국제공항을 출발하여 미국 샌프란시스코 국제공항에 도착할 예정이었으나, 착륙하는 도중 활주로에 부딪혀서 발생한 사고이다. 이 사고로 중국인 3명이 사망하였으며, 182명이 부상당했다.

각주[편집]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