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차 (음식)
![]() | |
종류 | 납작빵, 무효병 |
---|---|
원산지 | 이스라엘 |
관련 나라별 요리 | 이스라엘 요리 |
보통 사용되는 재료 | 마사 또는 밀가루 |
100 g (3.5 oz)당 영양가 | |
---|---|
에너지 | 1,653 kJ (395 kcal) |
83.70 g | |
1.40 g | |
10.00 g | |
비타민 | 함량 %DV† |
비타민 A | 0 IU |
티아민 (B1) | 34% 0.387 mg |
리보플라빈 (B2) | 24% 0.291 mg |
나이아신 (B3) | 26% 3.892 mg |
판토테산 (B5) | 9% 0.443 mg |
비타민 B6 | 9% 0.115 mg |
엽산 (B9) | 4% 17.1 μg |
무기질 | 함량 %DV† |
칼슘 | 1% 13 mg |
철분 | 24% 3.16 mg |
마그네슘 | 7% 25 mg |
망간 | 31% 0.650 mg |
인 | 13% 89 mg |
칼륨 | 2% 112 mg |
나트륨 | 0% 0 mg |
아연 | 7% 0.68 mg |
기타 성분 | 함량 |
수분 | 4.30 g |
(Values are for matzo made with enriched flour) | |
†백분율은 대략적으로 성인 기준 권고안을 사용한 추정치임. 출처: USDA Nutrient Database |
마차(히브리어: מַצָּה)는 유대인의 납작빵 또는 크래커이다. 유대교와 기독교 경전 등에서는 "누룩을 넣지 않고 만든 빵"이라는 뜻인 무교병(無酵餠)이나 무효병(無酵餠)으로 불린다.
유대인들이 이집트 신왕국에서 해방된 것을 기념하기 위하여 유월절 다음 날부터 7일 동안 만들어 먹는다.
한자 '酵'의 발음은 지금은 '효' 하나로 정해져 있으나, 개역개정으로 개정되기 이전에 개신교회에서 많이 읽던 한글성서인 개역한글판성서가 편찬되던 당시에는 '교'라고 흔히 칭해진 관계로 "무효병"이 아닌 "무교병"으로 불리게 되었다. 이는 예를 들어 '발견'의 '견'과 '알현'의 '현'과 같이 동일한 한자가 자음 'ㄱ'과 'ㅎ'으로 발음되는 경우가 많았던 것과 관련이 있다.[1]
같이 보기[편집]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각주[편집]
- ↑ 15. 무교병(無酵餠)의 한자가 궁금합니다. 2010년 9월 27에 확인.
![]() |
이 글은 빵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
![]() |
이 글은 유대교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