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 군: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29번째 줄: 29번째 줄:
그러나 리의 논문들은 (처음 하나를 제외하고) 모두 독일 저널이 아닌 [[노르웨이]] 저널에 출판되었기 때문에, 수학계에서 별다른 관심을 받지 못하였다. 1884년에 젊은 독일 수학자 프리드리히 엥겔({{llang|de|Friedrich Engel}})이 리의 이론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리와 엥겔은 리 이론에 대한 총 3권의 책 《변환군론》({{llang|de|Theorie der Transformationsgruppen}})을 1888년~1893년에 독일어로 출판하였고,<ref>{{서적 인용 | last = Lie | first = Sophus | 저자고리=소푸스 리 | 이름2=Friedrich | 성2= Engel | title = Theorie der Transformationsgruppen. Erster Abschnitt | publisher = Druck und Verlag von B. G. Teubner | year = 1888 | location = [[라이프치히]] | jfm = 20.0368.01 | url = https://archive.org/details/theotransformation01liesrich | 언어고리 = de}}</ref><ref>{{서적 인용 | last = Lie | first = Sophus |저자고리=소푸스 리 | 이름2=Friedrich | 성2= Engel | title = Theorie der Transformationsgruppen. Zweiter Abschnitt | publisher =Druck und Verlag von B. G. Teubner | year = 1890 | location = [[라이프치히]] | jfm=23.0364.01 | url = https://archive.org/details/theotransformation02liesrich | 언어고리 = de }}</ref><ref>{{서적 인용 | last = Lie | first = Sophus | 저자고리=소푸스 리 | 이름2=Friedrich | 성2= Engel | title = Theorie der Transformationsgruppen. Dritter und Letzter Abschnitt | publisher =Druck und Verlag von B. G. Teubner | year = 1893 | location = [[라이프치히]] | jfm = 25.0623.01 | url =https://archive.org/details/theotransformation03liesrich |언어고리 = de }}</ref> 이후 리 이론은 수학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다.
그러나 리의 논문들은 (처음 하나를 제외하고) 모두 독일 저널이 아닌 [[노르웨이]] 저널에 출판되었기 때문에, 수학계에서 별다른 관심을 받지 못하였다. 1884년에 젊은 독일 수학자 프리드리히 엥겔({{llang|de|Friedrich Engel}})이 리의 이론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리와 엥겔은 리 이론에 대한 총 3권의 책 《변환군론》({{llang|de|Theorie der Transformationsgruppen}})을 1888년~1893년에 독일어로 출판하였고,<ref>{{서적 인용 | last = Lie | first = Sophus | 저자고리=소푸스 리 | 이름2=Friedrich | 성2= Engel | title = Theorie der Transformationsgruppen. Erster Abschnitt | publisher = Druck und Verlag von B. G. Teubner | year = 1888 | location = [[라이프치히]] | jfm = 20.0368.01 | url = https://archive.org/details/theotransformation01liesrich | 언어고리 = de}}</ref><ref>{{서적 인용 | last = Lie | first = Sophus |저자고리=소푸스 리 | 이름2=Friedrich | 성2= Engel | title = Theorie der Transformationsgruppen. Zweiter Abschnitt | publisher =Druck und Verlag von B. G. Teubner | year = 1890 | location = [[라이프치히]] | jfm=23.0364.01 | url = https://archive.org/details/theotransformation02liesrich | 언어고리 = de }}</ref><ref>{{서적 인용 | last = Lie | first = Sophus | 저자고리=소푸스 리 | 이름2=Friedrich | 성2= Engel | title = Theorie der Transformationsgruppen. Dritter und Letzter Abschnitt | publisher =Druck und Verlag von B. G. Teubner | year = 1893 | location = [[라이프치히]] | jfm = 25.0623.01 | url =https://archive.org/details/theotransformation03liesrich |언어고리 = de }}</ref> 이후 리 이론은 수학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다.


1888년~1890년 동안 [[빌헬름 킬링]]은 리 군과 리 대수의 개념을 독자적으로 재발견하였고, [[반단순 리 군]]의 구조론을 제창하였다.<ref>{{저널 인용|이름=Wilhelm|성=Killing|제목=Die Zusammensetzung der stetigen endlichen Transformationsgruppen. Erster Theil|저널=Mathematische Annalen|권=31|호=2|날짜=1888-06|쪽=252–290|doi=10.1007/BF01211904|언어고리=de}}</ref><ref>{{저널 인용|이름=Wilhelm|성=Killing|제목=Die Zusammensetzung der stetigen endlichen Transformationsgruppen. Zweiter Theil|저널=Mathematische Annalen|권=33|호=1|날짜=1888-03|쪽=1–48|doi=10.1007/BF01444109|언어고리=de}}</ref><ref>{{저널 인용|이름=Wilhelm|성=Killing|제목=Die Zusammensetzung der stetigen endlichen Transformationsgruppen. Dritter Theil|저널=Mathematische Annalen|권=34|호=1|날짜=1889-03|쪽=57–122|doi=10.1007/BF01444109|언어고리=de}}</ref><ref>{{저널 인용|이름=Wilhelm|성=Killing|제목=Die Zusammensetzung der stetigen endlichen Transformationsgruppen. Vierter Theil (Schluss)|저널=Mathematische Annalen|권=36|호=2|날짜=1890-06|쪽=161–189|doi=10.1007/BF01207837|언어고리=de}}</ref> 1893년에 리의 제자 아르튀르 트레스({{llang|fr|Arthur Tresse}})는 "리 군"({{llang|fr|groupe de Lie}})이라는 용어를 최초로 사용하였다.<ref>{{cite journal |title= Sur les invariants différentiels des groupes continus de transformations | 이름= Arthur|성=Tresse |journal=Acta Mathematica|volume=18|year=1893|pages=1–88 |doi=10.1007/bf02418270|issn=0001-5962|언어고리=fr}}</ref>{{rp|3}} 킬링의 구조론은 이후 [[엘리 카르탕]]에 의하여 개량·정리되었다. 카르탕은 1930년에 카르탕 닫힌 부분군 정리를 증명하였다.<ref name="Cartan1930"/>{{rp|§26}}
1888년~1890년 동안 [[빌헬름 킬링]]은 리 군과 리 대수의 개념을 독자적으로 재발견하였고, [[반단순 리 군]]의 구조론을 제창하였다.<ref>{{저널 인용|이름=Wilhelm|성=Killing|제목=Die Zusammensetzung der stetigen endlichen Transformationsgruppen. Erster Theil|저널=Mathematische Annalen|권=31|호=2|날짜=1888-06|쪽=252–290|doi=10.1007/BF01211904|언어고리=de}}</ref><ref>{{저널 인용|이름=Wilhelm|성=Killing|제목=Die Zusammensetzung der stetigen endlichen Transformationsgruppen. Zweiter Theil|저널=Mathematische Annalen|권=33|호=1|날짜=1888-03|쪽=1–48|doi=10.1007/BF01444109|언어고리=de}}</ref><ref>{{저널 인용|이름=Wilhelm|성=Killing|제목=Die Zusammensetzung der stetigen endlichen Transformationsgruppen. Dritter Theil|저널=Mathematische Annalen|권=34|호=1|날짜=1889-03|쪽=57–122|doi=10.1007/BF01446792|언어고리=de}}</ref><ref>{{저널 인용|이름=Wilhelm|성=Killing|제목=Die Zusammensetzung der stetigen endlichen Transformationsgruppen. Vierter Theil (Schluss)|저널=Mathematische Annalen|권=36|호=2|날짜=1890-06|쪽=161–189|doi=10.1007/BF01207837|언어고리=de}}</ref> 1893년에 리의 제자 아르튀르 트레스({{llang|fr|Arthur Tresse}})는 "리 군"({{llang|fr|groupe de Lie}})이라는 용어를 최초로 사용하였다.<ref>{{cite journal |title= Sur les invariants différentiels des groupes continus de transformations | 이름= Arthur|성=Tresse |journal=Acta Mathematica|volume=18|year=1893|pages=1–88 |doi=10.1007/bf02418270|issn=0001-5962|언어고리=fr}}</ref>{{rp|3}} 킬링의 구조론은 이후 [[엘리 카르탕]]에 의하여 개량·정리되었다. 카르탕은 1930년에 카르탕 닫힌 부분군 정리를 증명하였다.<ref name="Cartan1930"/>{{rp|§26}}


[[헤르만 바일]]은 반단순 리 군의 [[기약 표현]]들을 [[무게 (표현론)|무게]]로서 분류하였고, 이를 [[양자역학]]에 응용하였다. 그 뒤 [[클로드 슈발레]]와 [[하리시찬드라]] 역시 리 군의 이론에 큰 공헌을 하였고, 이는 이후 [[로버트 랭글랜즈]]의 [[랭글랜즈 프로그램]]으로 이어졌다.
[[헤르만 바일]]은 반단순 리 군의 [[기약 표현]]들을 [[무게 (표현론)|무게]]로서 분류하였고, 이를 [[양자역학]]에 응용하였다. 그 뒤 [[클로드 슈발레]]와 [[하리시찬드라]] 역시 리 군의 이론에 큰 공헌을 하였고, 이는 이후 [[로버트 랭글랜즈]]의 [[랭글랜즈 프로그램]]으로 이어졌다.

2015년 9월 8일 (화) 09:33 판

리 군(Lie群, 영어: Lie group)은 매끄러운 다양체위상군이다. 즉 의 연산이 미분구조에 따라 매끄러운 경우다. 소푸스 리의 이름을 땄다. 연속적인 대칭을 나타내기 위하여 쓰인다.

정의

실수 리 군(영어: real Lie group)은 군의 구조를 지니고, 그 연산(곱셈과 역)이 매끄러운, 매끄러운 다양체다. 즉 군과 다양체의 구조를 동시에 지니며, 그 두 구조가 서로 호환되는 경우다. 유사하게 복소 리 군(영어: complex Lie group)을 정의할 수 있다. 또는 범주론적으로 매끄러운 다양체군 대상으로 정의할 수도 있다.

표현

리 군 G의 유한 차원 벡터 공간 V 위에서의 표현(表現, 영어: representation)은 매끄러운 준동형 이다. 힐베르트 공간 위의 표현일 경우, 대개 유계(有界, bounded)이고, 가역(可易, invertible)이고, 그 역이 유계인 작용소(operator)군 으로 가는 매끄러운 준동형 로 정의한다.

반단순 리 군의 유한 차원 표현은 기약(旣約, irreducible) 표현의 직합으로 나타내어진다.

성질

리 군은 다음과 같은 연산에 대하여 닫혀 있다.

분류

연결 공간이 아닌 리 군 는 다음과 같이 이산군과 연결 리 군으로 분해할 수 있다. 을 단위원을 포함하는 최대 연결 부분군이라고 하자. 그렇다면 은 이산군이다. 다시 말해, 모든 리 군은 연결 리 군의 이산군에 대한 확대(extension)다. 모든 연결 리 군은 또한 (보편적 덮개를 취하여) 단일 연결 리 군 몫군 (여기서 은 이산 중심 정규 부분군)으로 나타내어진다. 따라서 리 군의 분류는 단일 연결 리 군의 분류로 귀결된다.

(유한 차원) 단일 연결 리 군은 그 리 대수로 완전히 결정된다. 리 대수는 그 가해 부분 대수와 단순 부분 대수로 분해된다. 단순 리 군은 분류가 완료되었으나, 가해 리 군의 분류는 매우 어렵다.

역사

리 군의 이론은 노르웨이의 수학자 소푸스 리가 1873년 경에 미분 방정식의 대칭성을 연구하기 위하여 "변환군"(독일어: Transformationsgruppe 트란스포르마치온스그루페[*])이라는 이름으로 도입하였다.[2][3][4][5][6][7] 그러나 리의 논문들은 (처음 하나를 제외하고) 모두 독일 저널이 아닌 노르웨이 저널에 출판되었기 때문에, 수학계에서 별다른 관심을 받지 못하였다. 1884년에 젊은 독일 수학자 프리드리히 엥겔(독일어: Friedrich Engel)이 리의 이론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리와 엥겔은 리 이론에 대한 총 3권의 책 《변환군론》(독일어: Theorie der Transformationsgruppen)을 1888년~1893년에 독일어로 출판하였고,[8][9][10] 이후 리 이론은 수학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다.

1888년~1890년 동안 빌헬름 킬링은 리 군과 리 대수의 개념을 독자적으로 재발견하였고, 반단순 리 군의 구조론을 제창하였다.[11][12][13][14] 1893년에 리의 제자 아르튀르 트레스(프랑스어: Arthur Tresse)는 "리 군"(프랑스어: groupe de Lie)이라는 용어를 최초로 사용하였다.[15]:3 킬링의 구조론은 이후 엘리 카르탕에 의하여 개량·정리되었다. 카르탕은 1930년에 카르탕 닫힌 부분군 정리를 증명하였다.[1]:§26

헤르만 바일은 반단순 리 군의 기약 표현들을 무게로서 분류하였고, 이를 양자역학에 응용하였다. 그 뒤 클로드 슈발레하리시찬드라 역시 리 군의 이론에 큰 공헌을 하였고, 이는 이후 로버트 랭글랜즈랭글랜즈 프로그램으로 이어졌다.

참고 문헌

  1. Cartan, Élie (1930). “La théorie des groupes finis et continus et l’Analysis situs. 《Mémorial des sciences mathématiques》 42: 1–61. JFM 56.0370.08. 
  2. Lie, Sophus (1874). “Ueber Gruppen von Transformationen”. 《Nachrichten von der Königlichen Gesellschaft der Wissenschaften und der Georg-Augusts-Universität zu Göttingen》 1874: 529–542. JFM 06.0093.01. 
  3. Lie, Sophus (1876). “Theorie der Transformations-Gruppen. Erste Abhandlung”. 《Archiv for Mathematik og Naturvidenskab》 3: 19–58. JFM 08.0212.01. 
  4. Lie, Sophus (1876). “Theorie der Transformations-Gruppen. Abhandlung II”. 《Archiv for Mathematik og Naturvidenskab》 3: 152–202. JFM 08.0212.01. 
  5. Lie, Sophus (1878). “Theorie der Transformations-Gruppen, III. Bestimmung aller Gruppen einer zweifach ausgedehnten Punkt-Mannigfaltigkeit”. 《Archiv for Mathematik og Naturvidenskab》 3: 93–165. JFM 10.0258.01. 
  6. Lie, Sophus (1878). “Theorie der Transformations-Gruppen. Abhandlung IV”. 《Archiv for Mathematik og Naturvidenskab》 3: 375–460. JFM 10.0260.01. 
  7. Lie, Sophus (1879). “Theorie der Transformations-Gruppen V”. 《Archiv for Mathematik og Naturvidenskab》 4: 232–261. JFM 11.0258.02. 
  8. Lie, Sophus; Engel, Friedrich (1888). 《Theorie der Transformationsgruppen. Erster Abschnitt》. 라이프치히: Druck und Verlag von B. G. Teubner. JFM 20.0368.01. 
  9. Lie, Sophus; Engel, Friedrich (1890). 《Theorie der Transformationsgruppen. Zweiter Abschnitt》. 라이프치히: Druck und Verlag von B. G. Teubner. JFM 23.0364.01. 
  10. Lie, Sophus; Engel, Friedrich (1893). 《Theorie der Transformationsgruppen. Dritter und Letzter Abschnitt》. 라이프치히: Druck und Verlag von B. G. Teubner. JFM 25.0623.01. 
  11. Killing, Wilhelm (1888년 6월). “Die Zusammensetzung der stetigen endlichen Transformationsgruppen. Erster Theil”. 《Mathematische Annalen》 31 (2): 252–290. doi:10.1007/BF01211904. 
  12. Killing, Wilhelm (1888년 3월). “Die Zusammensetzung der stetigen endlichen Transformationsgruppen. Zweiter Theil”. 《Mathematische Annalen》 33 (1): 1–48. doi:10.1007/BF01444109. 
  13. Killing, Wilhelm (1889년 3월). “Die Zusammensetzung der stetigen endlichen Transformationsgruppen. Dritter Theil”. 《Mathematische Annalen》 34 (1): 57–122. doi:10.1007/BF01446792. 
  14. Killing, Wilhelm (1890년 6월). “Die Zusammensetzung der stetigen endlichen Transformationsgruppen. Vierter Theil (Schluss)”. 《Mathematische Annalen》 36 (2): 161–189. doi:10.1007/BF01207837. 
  15. Tresse, Arthur (1893). “Sur les invariants différentiels des groupes continus de transformations”. 《Acta Mathematica》 18: 1–88. doi:10.1007/bf02418270. ISSN 0001-5962. 

리 이론의 역사

응용

바깥 고리

같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