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론에서 켤레류(-類, 영어: conjugacy class)는 켤레 원소를 취하는 군의 작용의 궤도이다.[1]
군 의 원소 의 켤레류는 다음과 같다.[2]:196
즉, 이는 의 자기 자신 위의 켤레 작용
의 궤도이다. 즉 위의 켤레 관계
의 동치류이다. 의 모든 켤레류들의 집합을 로 표기하자.
만약 가 위상군이라면, 는 그 몫공간이므로 자연스러운 위상 공간 구조를 가진다.
유한군 의 원소 의 켤레류의 집합의 크기는 궤도-안정자군 정리에 따라 다음과 같다.
여기서 는 중심화 부분군이다.
유한군 의 켤레류의 수는 번사이드 보조정리에 따라 다음과 같다.
여기서 는 중심화 부분군이다.
유한군 의 켤레류들은 의 분할을 이룬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공식이 성립하며, 이를 켤레류 방정식(-類方程式, 영어: class equation)이라고 한다.
여기서 는 중심화 부분군이며, 는 군의 중심이다.
특히,
이므로, 이는 1의 이집트 분수 분해를 이룬다. 1을 주어진 개수의 이집트 분수들로 분해하는 방법은 유한하므로, 따라서 주어진 수의 켤레류를 갖는 유한군의 수는 유한하다. 예를 들어, 아벨 군의 경우 이러한 이집트 분수 분해는
이다.
가 콤팩트 리 군이라고 하자. 이 경우, 는 항상 극대 원환면 을 가지며, 모든 원소 는 의 어떤 원소와 켤레 동치이다. 또한, 임의의 의 켤레류와 의 교집합은 의 어떤 원소 의 바일 군 궤도와 같다.
다시 말해, 의 켤레류들의 공간은 몫공간인 오비폴드
와 표준적인 일대일 대응을 갖는다.
특히, 항등원 근처의 ‘무한소 원소’(즉, 그 리 대수의 원소)의 ‘켤레류’는 카르탕 부분 대수의 바일 군 궤도, 즉 바일 방의 원소가 된다.
아벨 군 의 경우, 켤레류는 (자명하게) 한원소 집합이며, 따라서
이다.
차 대칭군 을 생각하자. 그 원소가 다음과 같은 꼴의 순환 분해를 갖는다고 하자.
즉,
- 개의 순환이 존재한다.
- 각 순환의 길이는 이다. 편의상 이며 이라고 하자. 즉, 는 의 자연수 분할을 이룬다.
그렇다면, 대칭군의 두 원소 , 에 대하여, 만약
일 경우, 두 원소가 같은 순환형(영어: cycle type)이라고 하자.
그렇다면, 대칭군에서, 두 원소가 켤레 동치일 필요 충분 조건은 같은 순환형을 갖는 것이다. 즉, 그 켤레류의 집합은 다음과 같다.
여기서 우변은 의 자연수 분할들의 집합이다.
자연수 분할 이 주어졌을 때,
를 정의하자. 그렇다면, 이 자연수 분할에 대응하는 켤레류의 크기는
이다. 다시 말해, 이 자연수 분할에 대응하는 중심화 부분군의 크기는
이다.
리 군 를 생각하자. 기하학적으로, 이는 3차원 초구 와 미분 동형이다. 이 경우, 극대 원환면은 (1차원) 원군 이며, 이는 2×2 대각 행렬의 부분군
으로 여길 수 있다. 이 경우, 바일 군은 2차 대칭군이며, 그 두 원소 가운데 항등원이 아닌 것은 원군 위에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즉, SU(2)의 켤레류들의 공간은 반원 에 해당한다. 구체적으로, 행렬군 위에서 대각합과 행렬식은 유함수이다. SU(2)의 경우 행렬식은 물론 상수 함수 1이지만, 그 대각합은 자명하지 않으며, 사실 켤레류는 대각합으로 완전히 결정된다. 즉,
이므로, 대각합의 값은 의 원소이다. 이는 3차원 초구의 ‘위도’로 해석할 수 있다. 켤레류는 같은 ‘위도’에 있지만, 다른 ‘경도’를 가지는 점들의 집합이며, 이는 (위도가 ‘북극’ 또는 ‘남극’이 아니라면) 2차원 구를 이룬다. ‘북극’과 ‘남극’은 각각 대각합이 가 되는 경우, 즉 인 경우이며, 이 경우 켤레류는 한원소 집합 이다.
켤레류 방정식을 통하여, 작은 수의 켤레류를 갖는 유한군들의 목록을 계산할 수 있다. 켤레류의 수가 5개 이하인 유한군들의 목록은 다음과 같다.[3]:Table 1
켤레류의 수 |
군 |
이집트 분수 분해
|
1 |
자명군 |
|
2 |
2차 대칭군 |
|
3 |
3차 교대군 |
|
3차 대칭군 |
|
4 |
4차 교대군 |
|
5차 정이면체군 |
|
4차 순환군
|
|
클라인 4원군
|
5 |
5차 순환군 |
|
4차 정이면체군
|
|
사원수군
|
5차 교대군 |
|
4차 대칭군 |
|
7차 정이면체군 |
|
프로베니우스 군 |
|
프로베니우스 군 |
|
정확히 개의 켤레류를 갖는 유한군의 수는 다음과 같다. (OEIS의 수열 A73043)
- 1, 1, 2, 4, 8, 8, 12, 21, 26, 38, 35, 3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