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윤기견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윤기견(尹起畎, ? ~ ?)은 조선 시대의 문신이자 외척으로, 조선 제9대 임금 성종의 계비 폐비 윤씨, 병조참판 윤구의 아버지이자 10대 임금 연산군의 외할아버지이다. 자와 호는 미상이고, 본관은 함안(咸安)이다. 중종반정 후 추탈된 시호 역시 미상이다.

세조 때의 권신 신숙주의 인척이고, 고려 때의 시중 윤관의 10대손이다.

생애

[편집]

1439년 친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고 집현전 등에서 근무했다. 관직은 봉상시판사 등을 지냈고, 고려사절요의 편찬에 참여하였다. 사후 의정부 영의정에 추증되고 함안부원군(咸安府院君)에 추봉되었다가 중종반정 이후 추탈되었다.

가계와 선조

[편집]

출생년대는 미상으로, 윤기견은 윤응(尹應)과 안동 권씨의 4남 2녀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그러나 생년은 미상이다. 아버지 윤응은 통훈대부(通訓大夫) 교하현감(交河縣監)을 지냈고 사후 증 의정부 영의정에 증직되었으며, 어머니 권씨는 선공감부정(繕工監副正)을 지낸 권소(權紹)의 딸이다. 생몰년은 실전되어 전하지 않는다.

윤기견의 선대는 본래 파평 윤씨(坡平 尹氏)로 윤신달윤관의 후손이었다.[1] 파평윤씨의 시조인 윤신달의 7대손이며 윤관의 증손인 윤위(尹威)는 고려조에 남원백(南原伯)에 봉해진 뒤 남원 윤씨(南原尹氏)로 분가하였으며, 윤위의 손자 중 윤돈(尹敦)과 증손(윤돈의 아들) 윤희보(尹希輔)가 출세하여 함안백에 봉해지면서 윤돈의 후손들은 함안 윤씨 (咸安 尹氏)로 다시 분가했다.

윤희보의 아들 중 장남인 4세 윤희(尹禧)는 고려 말에 정순대부(正順大夫)와 좌산기상시(左散騎常侍), 보문각 대제학을 지내면서 집안을 일으켰으며 그가 윤기견의 증조할아버지이다. 윤희의 아들이며 윤기견의 할아버지인 윤득룡(尹得龍)은 조선조정에 처음 벼슬하여 자헌대부(資憲大夫)와 호조전서(戶曹典書)를 지냈다. 윤득룡에게는 3남 2녀 중 셋째 아들이 윤기견의 아버지 윤응(尹應)이다.

과거 급제와 관료 생활

[편집]

1439년(세종 21) 생원으로 친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세종 말년에 그는 김종서, 윤회, 박팽년, 신숙주, 유성원, 이극감 등과 함께 고려사절요의 편찬에 참여하였다. 첫 부인은 양성이씨이고, 사후 신숙주의 사촌 누이 고령신씨와 재혼하였다. 후처 고령신씨의 딸이 성종의 계비 폐비 윤씨가 된다.

1450년(문종 즉위) 집현전부수찬, 사경을 지냈다. 1452년(문종 2년) 집현전 부교리로서 춘추관기주관, 겸 지제교 경연 부검토관(知製敎經筵副檢討官)을 겸하여 《세종실록》의 편찬에 참여하였다.

1453년(단종 즉위년) 계유정난에 참여한 공로로 사헌부 지평(司憲府持平)이 되었다. 1454년 초에는 단종에게 불당의 철거를 청하다가 성삼문 등과 함께 좌천되었다. 세조 즉위 후 지군사로 재직 중 1455년 12월 27일 좌익원종공신(原從功臣) 2등관에 녹선되었다. 1456년(세조 2) 예천군수로 부임하였다. 그 뒤 최종관직은 봉상시판사에 이르렀다.

사후

[편집]

죽은 뒤 경기도 양주군 별비면 화접리(현재의 남양주시 별내면 화접리 산58-4) 산에 안장되었다. 1473년(성종 4) 그의 딸이 숙의(淑儀)로 책봉 되어 연산군 융을 낳았으며, 의정부 영의정이 증직되고 함안군(咸安君)에 추봉되었다. 1479년(성종 11) 딸 윤씨가 폐출되자 증직과 작위 역시 추탈되었다.

그 뒤 1494년 연산군이 즉위하자 다시 관직이 복구되고 함안부원군(咸安府院君)에 추봉되었다. 그러나 연산군이 폐출당한 뒤 그의 증직 벼슬과 작위, 시호 역시 모두 다시 추탈되었다. 그의 아들 윤구(尹遘)는 병조참판(兵曹參判)을 지냈다. 윤구의 손녀는 효령대군의 5대손인 왕족 이량과 결혼한다.

가족 관계

[편집]

그의 후처 부부인 고령 신씨신숙주의 사촌 여동생이다. 중종 때의 왕족이자 권신인 이량은 그의 증손녀사위이다. 윤기무(尹起畝)로 기록되기도 한다.[2]

함안 윤씨(咸安 尹氏)

  • 할아버지 : 윤득룡(尹得龍)
  • 할머니 : 미상
    • 아버지 : 윤응(尹應, 통훈대부 교하현감(交河縣監)
    • 어머니 : 안동 권씨(安東 權氏) 권소의 딸.
      • 누나 : 윤씨(尹氏)
      • 매부 : 최첨로(崔添老, 내시령(內侍令))
      • 부인 : 증 부부인 양성 이씨 (贈 府夫人 陽城 李氏), 이온(李蒕)의 딸
        • 장남 : 윤우(尹遇)
          • 손녀 : 윤씨(尹氏), 정진(鄭秦, 혹은 정주(鄭奏))에게 출가
        • 차남 : 윤해(尹邂)
        • 삼남 : 윤후(尹逅)
    • 장인 : 사간원 정언 정은공 신평(司諫院 正言 靜隱公 申枰, 1390∼1455)
    • 장모 : 장흥 마씨(長興馬氏) 마천목의 딸
      • 부인 : 증 부부인 고령 신씨 (贈 府夫人 高靈 申氏, ? - 1504)
        • 사남 : 병조참판 윤구(兵曹參判 尹遘, ? - 1513)
          • 손자 : 윤지임(尹之任)
          • 손자 : 윤지화(尹之和, 1476~1558)
          • 손자 : 윤지청(尹之淸)
            • 증손녀: 함안 윤씨( 이량의 처)
        • 장녀 : 폐비 윤씨(廢妃 尹氏, 1455~1482)
        • 사위 : 제9대 성종(成宗, 1457~1495, 재위 1469~1495)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윤신달에게는 14대손, 윤관에게는 10대손이 된다.
  2. 무(畝)자가 실록 원문에는 ‘畎’와 ‘畝’자로 되어 있는데 《국조방목(國朝榜目)》에는 ‘畝’자로, 만성보(萬姓譜:사본)에는 ‘畝’로 되어 있고, 윤씨 후손들은 ‘畝’자라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