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민주당 (일본)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자유민주당
自由民主党 | |||
| |||
![]() | |||
약칭 | 자민당, 자민 | ||
---|---|---|---|
상징색 | 초록, 파랑 | ||
이념 | 일본 민족주의[1] 민족보수주의[2] 사회보수주의[3] 자유보수주의[4] 경제적 자유주의[5] 신보수주의[6] 우익대중주의[7] | ||
스펙트럼 | 중도우파[8][9][10]~ 극우[11][12] | ||
당원 (2017년) | 1,068,560명 | ||
국가 재정지원 (2017년) |
17,602,968,000 엔 | ||
당직자
| |||
총재 | 아베 신조 | ||
부총재 | 고무라 마사히코 | ||
간사장 | 니카이 도시히로 | ||
역사
| |||
창당 | 1955년 11월 15일 | ||
예하 부문
| |||
중앙당사 | 일본 도쿄도 지요다 구 나가타초 1초메 11-23, 〒100-8910 | ||
기관지 | 자유민주(自由民主) | ||
의석
| |||
참의원 | 122 / 242 | ||
중의원 | 282 / 465 | ||
도도부현 | 1,266 / 2,614 | ||
시정촌 | 2,009 / 30,101 | ||

1955년의 자유민주당 창당 대회
자유민주당(일본어: 自由民主党 지유민슈토[*], 영어: Liberal Democratic Party, LDP), 약칭 자민당(일본어: 自民党 지민토[*])은 1955년에 자유당과 일본 민주당이 합쳐져 창당된 일본의 보수주의 정당이다. 2018년 현재 총재는 아베 신조, 간사장은 니카이 도시히로이다.
1955년의 창당 이후 중의원 내에서 지속적으로 여당 자리를 지켜오면서 야당인 일본사회당과 55년 체제라 불리는 양대정당 구조를 이루고 있었으나, 이후 1993년에 자민당과 공산당을 제외한 정당들이 연립정권을 수립하면서 일당 우위 정당제가 처음으로 붕괴하였다. 그러나 익년인 1994년 다시 내각을 이룬 이후로도 2009~2012년의 기간을 제외하고는 제1당의 자리를 빼앗긴 적이 없으며, 계속적으로 총리를 배출해내고 있는 등 일본국내의 정치계에서의 그 영향력은 거대하다.
소속 의원들은 당내의 특정 파벌에 속해있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총리나 내각 인사의 선출에 강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연혁[편집]
- 1955년 11월 15일: 자유당과 일본 민주당을 합쳐 결성(보수합동). 초대 총재는 하토야마 이치로.
- 1993년 8월 9일: 일본사회당·신생당·공명당·민사당·민주개혁연합·일본신당·신당 사키가케의 7개 군소정당이 일본신당의 호소카와 모리히로를 총리로 삼아 연립 내각을 구성함으로써 처음으로 야당이 됨.
- 1994년 6월 30일: 일본사회당·신당 사키가케와 연합해 일본 사회당의 무라야마 도미이치를 총리로 하는 연립 내각을 구성하여 여당으로 복귀.
- 1996년 1월 11일: 연립내각에서 하시모토 류타로가 총리가 됨.
- 2005년 11월 22일: 창당 50주년 기념 당대회에서 “신헌법 초안”을 정식으로 발표.
- 2009년 8월 30일: 중의원 의원 선거에서 119석(정수 480)을 얻어 야당이 되었고, 여당은 308석을 얻은 민주당이 되었다.
- 2010년 4월 11일: 자민당 강경파 의원 6명이 당의 노선과 운영을 비판, 탈당하여 신당 일어나라 일본을 창당해 의석수가 113석으로 줄었다.
- 2012년 12월 16일: 중의원 의원 선거에서 294석(정수 480)을 얻어 여당이 되었다.
- 2014년 12월 14일: 중의원 의원 선거에서 291석(정수 475)을 얻어 여당이 되었다.
- 2017년 10월 22일: 중의원 의원 선거에서 284석(정수 465)을 얻어 여당이 되었다.
- 2018년 9월 20일: 아베 신조가 총재 선거에서 당선되어 사토 에이사쿠 전 총재 이후 46년만에 3연임에 성공한 총재가 되었다.
총재[편집]
자유민주당의 당수이며, 당의 최고 책임자로서 당을 지휘하는 직책이다. 임기는 3년으로, "연속 3기"에 한정하여 재임할 수 있다. 제1당의 총재가 내각총리대신직을 맡게 되는 관례에 따라 일반적으로 자유민주당의 총재는 총리직을 겸하게 된다. 현재 총재는 제90·96·97·98대 총리대신인 아베 신조이다.
역대 선거 결과[편집]
중의원[편집]
선거 | 총재 | 당선자 | 득표율 (선거구) | 득표율 (비례대표) | 집권 여부 |
---|---|---|---|---|---|
1958년 | 기시 노부스케 | 298 / 467 |
![]() ![]() ![]() ![]() |
집권 | |
1960년 | 이케다 하야토 | 300 / 467 |
![]() ![]() ![]() |
집권 | |
1963년 | 283 / 467 |
![]() ![]() ![]() |
집권 | ||
1967년 | 사토 에이사쿠 | 277 / 486 |
![]() ![]() ![]() ![]() |
집권 | |
1969년 | 288 / 486 |
![]() ![]() ![]() ![]() ![]() |
집권 | ||
1972년 | 다나카 가쿠에이 | 271 / 491 |
![]() ![]() ![]() ![]() |
집권 | |
1976년 | 미키 다케오 | 249 / 511 |
![]() ![]() ![]() |
집권 | |
1979년 | 오히라 마사요시 | 248 / 511 |
![]() ![]() ![]() ![]() |
집권 | |
1980년 | 284 / 511 |
![]() ![]() ![]() ![]() ![]() |
집권 | ||
1983년 | 나카소네 야스히로 | 250 / 511 |
![]() ![]() ![]() |
자민-신자유클럽 연립 | |
1986년 | 300 / 512 |
![]() ![]() ![]() ![]() ![]() |
집권 | ||
1990년 | 가이후 도시키 | 275 / 512 |
![]() ![]() ![]() ![]() |
집권 | |
1993년 | 미야자와 기이치 | 223 / 511 |
![]() ![]() ![]() |
비집권 (1993~1994) | |
자민-사회-사키가케 연립 (1994~1996) | |||||
1996년 | 하시모토 류타로 | 239 / 500 |
![]() ![]() ![]() |
![]() ![]() ![]() |
자민-사민-사키가케 연립 |
2000년 | 모리 요시로 | 233 / 480 |
![]() ![]() |
![]() ![]() ![]() ![]() |
자민-공명-신보수 연립 |
2003년 | 고이즈미 준이치로 | 237 / 480 |
![]() ![]() ![]() |
![]() ![]() ![]() |
자민-공명 연립 |
2005년 | 296 / 480 |
![]() ![]() ![]() ![]() ![]() |
![]() ![]() ![]() |
자민-공명 연립 | |
2009년 | 아소 다로 | 119 / 480 |
![]() ![]() ![]() |
![]() ![]() ![]() ![]() |
비집권 |
2012년 | 아베 신조 | 294 / 480 |
![]() ![]() ![]() |
![]() ![]() ![]() ![]() ![]() |
자민-공명 연립 |
2014년 | 291 / 475 |
![]() ![]() ![]() ![]() |
![]() ![]() |
자민-공명 연립 | |
2017년 | 284 / 465 |
![]() ![]() ![]() ![]() |
![]() ![]() |
자민-공명 연립 |
참의원[편집]
선거 | 총재 | 선거 후 의석수 | 득표율 (선거구) | 득표율 (비례대표) | 원내 지위 |
---|---|---|---|---|---|
1956년 | 하토야마 이치로 | 122 / 250 |
![]() ![]() ![]() ![]() |
![]() ![]() ![]() ![]() |
소수 여당 |
1959년 | 기시 노부스케 | 132 / 250 |
![]() ![]() ![]() |
![]() ![]() ![]() |
다수 여당 |
1962년 | 이케다 하야토 | 142 / 250 |
![]() ![]() ![]() ![]() ![]() |
![]() ![]() ![]() ![]() |
다수 여당 |
1965년 | 사토 에이사쿠 | 140 / 251 |
![]() ![]() ![]() ![]() |
![]() ![]() ![]() ![]() ![]() |
다수 여당 |
1968년 | 137 / 250 |
![]() ![]() ![]() ![]() |
![]() ![]() ![]() ![]() |
다수 여당 | |
1971년 | 142 / 250 |
![]() ![]() ![]() ![]() |
![]() ![]() ![]() ![]() |
다수 여당 | |
1974년 | 다나카 가쿠에이 | 126 / 250 |
![]() ![]() ![]() ![]() |
![]() ![]() ![]() ![]() |
다수 여당 |
1977년 | 후쿠다 다케오 | 124 / 249 |
![]() ![]() ![]() ![]() |
![]() ![]() |
소수 여당 |
1980년 | 오히라 마사요시 | 135 / 250 |
![]() ![]() ![]() ![]() |
![]() ![]() ![]() |
다수 여당 |
1983년 | 나카소네 야스히로 | 137 / 252 |
![]() ![]() ![]() |
![]() ![]() |
다수 여당 |
1986년 | 143 / 252 |
![]() ![]() ![]() |
![]() ![]() ![]() |
다수 여당 | |
1989년 | 우노 소스케 | 109 / 252 |
![]() |
![]() ![]() ![]() ![]() ![]() |
소수 여당 |
1992년 | 미야자와 기이치 | 107 / 252 |
![]() ![]() ![]() |
![]() ![]() |
소수 여당 (1992~1993) |
소수 야당 (1993~1994) | |||||
다수 연립 여당 (1994~1995) | |||||
1995년 | 고노 요헤이 | 111 / 252 |
![]() ![]() ![]() ![]() ![]() |
![]() ![]() ![]() |
다수 연립 여당 |
1998년 | 하시모토 류타로 | 103 / 252 |
![]() |
![]() ![]() ![]() |
다수 연립 여당 |
2001년 | 고이즈미 준이치로 | 111 / 247 |
![]() ![]() ![]() |
![]() ![]() ![]() |
다수 연립 여당 |
2004년 | 115 / 242 |
![]() ![]() |
![]() |
다수 연립 여당 | |
2007년 | 아베 신조 | 83 / 242 |
![]() ![]() |
![]() ![]() ![]() ![]() |
소수 연립 여당 (2007~2009) |
소수 야당 (2009~2010) | |||||
2010년 | 다니가키 사다카즈 | 84 / 242 |
![]() ![]() |
![]() ![]() ![]() ![]() |
소수 야당 (2010~2012) |
소수 연립 여당 (2012~2013) | |||||
2013년 | 아베 신조 | 115 / 242 |
![]() ![]() ![]() ![]() |
![]() ![]() ![]() |
다수 연립 여당 |
2016년 | 121 / 242 |
![]() ![]() ![]() ![]() |
![]() ![]() |
다수 연립 여당 |
자유민주당 역대 중의원 총선거 득표
50%
40%
30%
20%
10%
0%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 ↑ https://www.theglobalist.com/japan-shinzo-abe-nationalism-germany/
- ↑ Ganesan (2015). Bilateral Legacies in East and Southeast Asia. Institute of Southeast Asian Studies. p. 67.
- ↑ https://web.archive.org/web/20160616022229/https://blogs.wsj.com/japanrealtime/2013/09/20/same-sex-marriage-in-japan-a-long-way-away/
- ↑ https://books.google.co.kr/books?id=Exa7XoW-1n8C&pg=PA211&redir_esc=y#v=onepage&q&f=false
- ↑ Muramatsu, Michio (1997). State and Administration in Japan and Germany: A Comparative Perspective on Continuity and Change. Walter de Gruyter. p. 117.
- ↑ Hebert (2011). Wind Bands and Cultural Identity in Japanese Schools.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p. 44.
- ↑ https://www.duo.uio.no/bitstream/handle/10852/24218/Lindgren.pdf?sequence=2
- ↑ https://books.google.co.kr/books?id=wGnROS_ToTkC&pg=PA54&redir_esc=y#v=onepage&q&f=false
- ↑ https://books.google.co.kr/books?id=WjFwStO4ONwC&pg=PA268&redir_esc=y#v=onepage&q&f=false
- ↑ https://books.google.co.kr/books?id=1-iXGKN1AK4C&pg=PT236&redir_esc=y#v=onepage&q&f=false
- ↑ https://www.theguardian.com/world/2014/oct/13/japan-ruling-party-far-right-extremists-liberal-democratic
- ↑ https://repository.usfca.edu/cgi/viewcontent.cgi?article=1023&context=hono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