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 만우정

만우정
(晩愚亭)
대한민국 경상북도문화재자료
Replace this image male-ko.svg
종목문화재자료 제37호
(1985년 8월 5일 지정)
수량1동
위치
안동 만우정은(는) 대한민국 안에 위치해 있다
안동 만우정
안동 만우정
안동 만우정 (대한민국)
주소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수곡리 산44번지
좌표북위 36° 33′ 35″ 동경 128° 54′ 56″ / 북위 36.55972° 동경 128.91556°  / 36.55972; 128.91556
정보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정보

만우정(晩愚亭)은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수곡리에 있는 건축물이다. 1985년 8월 5일 경상북도의 문화재자료 제37호로 지정되었다.

개요[편집]

조선시대 병조참판을 지낸 유치명(1771∼1861)이 학문을 연구하던 곳으로 철종 6년(1855)에 세운 정자이다.

처음에는 임하면 사의동에 자리잡고 있었으나, 임하댐 수몰로 1988년 이곳으로 옮겨 지었다.

건물 규모는 앞면 3칸·옆면 2칸이며, 지붕은 옆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인 팔작지붕이다.

이원조가 쓴 ‘만우정’이라고 쓴 현판이 걸려 있고, 유치명이 스스로 지은 기문이 있다.

현판 도난[편집]

1988년경(추정) 임하댐 수몰 전 만우정 현판이 도난되었다.[1]

각주[편집]

  1. “(도난)만우정 현판 1점 및 서책 등 200점”. 《http://www.cha.go.kr/robbery/selectRobberyView.do?id=311428&pageIndex=1&pageUnit=10&strWhere=&strValue=&sdate=&edate=&mn=NS_03_12》. 문화재청 - 도난문화재 정보.  |제목=에 라인 피드 문자가 있음(위치 8) (도움말); |웹사이트=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참고 자료[편집]

  • 만우정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