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송 월정리 침류정

월정리침류정
(月亭里枕流亭)
대한민국 경상북도문화재자료
Replace this image male-ko.svg
종목문화재자료 제266호
(1992년 11월 26일 지정)
수량1동
위치
청송 원정리은(는) 대한민국 안에 위치해 있다
청송 원정리
청송 원정리
청송 원정리 (대한민국)
주소경상북도 청송군 현서면 청송로 538-94 (월정리)
좌표북위 36° 13′ 17″ 동경 128° 54′ 10″ / 북위 36.22139° 동경 128.90278°  / 36.22139; 128.90278
정보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정보

청송 월정리 침류정(靑松 月亭里 枕流亭)은 경상북도 청송군 현서면 월정리에 있는 정자이다. 1992년 11월 26일 경상북도의 문화재자료 제266호로 지정되었다.

개요[편집]

침류정은 조선 중기 학자인 김성진(1558∼1634)이 후배양성에 전념하기 위해 지은 정자이다.

김성진은 학식이 높고 효성이 지극하였으며, 후학을 위해 문집 목판각을 만들어 책을 인쇄하여 널리 보급하였다.

건물을 세운 정확한 시기는 알 수 없으나, 임진왜란(1592) 뒤인 1600년대로 추정하고 있다.

계곡을 낀 낮은 언덕 위에 자리잡고 있으며, 주변의 커다란 나무들과 함께 정원 건축 연구에 좋은 자료가 되고 있다.

현지 안내문[편집]

이 건물은 조선 중기의 학자 김성진(金聲振, 1558~1634)의 정자로 17세기의 건물로 추정된다.[1]

김성진은 의성김씨 청송 입향조인 김한경(金漢卿)의 증손으로 학식이 높고 효행이 지극하였으며 임진왜란을 당하자 동생들을 창의케 하고 자신은 노모를 피난 시켰으며 난후에 이 정자를 지어 후진 양성에 전념하였다.[1]

이 집은 낮은 언덕 위에 세워진 누각 형식의 정자로 정면 3칸, 측면 2칸의 팔작기와집이다. 큰 수목과 함께 조원건축연구에 자료가 되는 거물이다.[1]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1. 현지 안내문 인용

참고 자료[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