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알비스의 공식문장, 문장에 써 있는 프랑스어 Nouvel Ordre Libre 의 뜻은
자유로운 새 질서 이며, 날짜는 알비스의 생일을 의미하며, 숫자 밑의 프랑스어는
알비스연방공화국 이라는뜻이다.
* 이 글은 위키백과 문서형식으로 설명된 알비스 사용자 소개입니다. 실제 문서가 아닌 사용자 문서임을 유의바랍니다.
알비스 라 알려진 장지용 (張智勇, 1989년 12월 1일 , 음력 1989년 음력 11월 4일 ~)은 대한민국의 직장인(현재 구직 중) 이자 사진작가이다. 알비스는 노르드 신화 속의 드워프 인 알비스 에게서 따 온것이다.
그는 많은 힘든 일이 있지만, 행복을 채워가는 중이라고 말했다. 자폐증 의 일종인 아스퍼거 증후군 으로 인한 발달 장애 로 매일매일이 투쟁이라고도 이야기했다.
공식 모토는 경계를 뛰어넘어 (프랑스어 : Sans Frontière )[1] 이다.
2006년 11월 3일 부터 위키백과 편집에 참가하고 있다.
알비스의 표기 [ 편집 ]
한국어: 장지용(실명), 알비스
韓國語 漢字混用: 張智勇
Revised Romanization(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 Jang Jiyong , Alvis
알비스 공식 채용 서양식 이름 표기: Alvis Cyrille Jiyong Jang(알비스 키릴 지용 장)
동양인들은 자신의 서양식 이름의 미들네임으로 자기의 원래 동양이름을 쓰는 경향이 있습니다.
키릴 (Cyrille)은 알비스의 성공회 세례명(신명)이며, 표기 언어가 프랑스어식입니다.
키릴 문자 사용시(러시아어 기준): Альвис(알비스)/Чанг Чи Йон(장지용)
인간 알비스 [ 편집 ]
알비스, 즉 장지용은 1989년 12월 1일 인천 에서 출생하였다.
알비스는 공식적으로 아스퍼거 증후군 로 인한 자폐성장애가 있다는 판정(3급)을 받았습니다. (2012년)
가끔 멘붕이 오기 쉬우니 주의해주세요!
알비스를 알기 위하여 알아야하는 사실 [ 편집 ]
이 사실들은 알비스를 알기 위하여 알아둬야하는 사실이다.
메이저 사실 [ 편집 ]
알비스는 파시즘 과 나치즘 등 전체주의에 매우 적대적인 인식을 보이고 있습니다.
그럴것이다. 전체주의 이념에 의하면 알비스는 제거되었기 때문.
그렇기 때문에, 알비스는 자유한국당 과 조중동 , 기타 여러 극우파를 적대시하고 있습니다.
자유한국당의 경우, 이명박의 장애인 낙태 옹호발언과 나경원의 장애인 알몸목욕 사진 사건 이후 일말의 지지도, 희망도 가지지 않습니다. 바른미래당은 선행조직 문제로 자유한국당에 대한 입장과 똑같은 입장을 취하고 있습니다.
알비스는 일부 인사들의 오해와 달리 종북주의자 가 아니라 사회적 자유주의자 ·사회민주주의자 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더불어민주당 을 공식적으로 지지하고 기타 자유주의/사회민주주의 정당에 우호적입니다.
그렇긴 하더라도 사회주의가 이룩한 성과를 어느정도 인정하고 있습니다. 알비스는 사회주의의 영향을 일부 받았습니다.
알비스는 이념을 도면화 할 경우, 사회주의나 사회민주주의와 자유주의를 가로지르는 선 중간에 서 있다고 정의하고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사회자유주의인것입니다.
더 중요한 사실은, 알비스는 공식적으로 2010년 지방선거 직후에 입당하여 현재 더불어민주당 당원이라는것입니다. [2]
알비스는 공식적으로 2012년 10월 29일 부로 아스퍼거 증후군 으로 인한 자폐성 장애 를 가지고 있음이 판정되었습니다. 현재의 대외활동은 이 사실에 기초한 부분이 많습니다.
알비스는 공식적으로, 특별한 이유가 없는 한 근현대 역사학·정치학·사회학적인 의미의 'People'을 '인민'으로 번역합니다. [3]
알비스는 다음 국가에 좋고 좋지 않은 감정이 있습니다.
알비스는 원래 개신교도 (장로교파)였으나 2016년 5월 1일부로 성공회 로 회심하였습니다. 이후 같은해 8월 7일 에 정식으로 세례 , 12월 18일에 견진 을 받았습니다. 알비스 교적상 신명 은 키릴 입니다.
마이너 사실 [ 편집 ]
알비스는 친일파 와 반민주행위자에 부정적이지만 다니게 된 중학교 설립자는 반민주행위자[5] 였고, 고등학교 [6] 와 대학교 [7] 는 친일파(백선엽 ·백인엽 /배상명 )들이 세웠습니다.
알비스는 제대로 된 연애 경력이 없습니다.
알비스는 육식을 즐깁니다. 그러나 해산물을 좋아하지는 않습니다.
알비스는 책을 좋아합니다. 특히 역사/사회/정치/경제/예술, 특히 사진 관련 서적을 좋아합니다.
실제로 교보문고 회원카드, 인천광역시 도서관 통합회원카드를 보유하고 있으며, 상명대학교 도서관도 자주 이용했습니다. 상명대학교 도서관은 서울중앙도서관과 천안도서관 양쪽 다 이용했습니다.
알비스는 미녀들의 수다 를 애청하였습니다.
알비스는 전기 기타 와 베이스 기타 를 구별할줄 모릅니다.
알비스는 야구에서의 스트라이크 존 을 잘 읽어내지 못합니다.
알비스는, 가끔 빅뱅 의 지드래곤 과 유사한 이름을 가졌기에 지드래곤으로 불리기도 합니다.
알비스는 SK 와이번스 와 NC 다이노스 의 팬입니다. SK 와이번스는 연고지가 인천이어서 좋아하는것이며, NC 다이노스는 모기업의 영향력때문입니다.
알비스라는 이름은 오프라인에서도 부분적으로 사용합니다. 대표적으로 서양식 이름에 채용되는 것이 대표적입니다. 다만 'Cyrille'(키릴)과 하이픈 표기를 할 것인지 여부는 확정되지 않았습니다.
위키백과인 알비스 [ 편집 ]
알비스는 위키백과 이용자로써 사소한것 편집부터 자체적인 문서 제작, 번역을 추진하고 있다.
완료하고, 완료된 문서 [ 편집 ]
로버트 카파 - 이 사용자는 로버트 카파의 사진을 좋아합니다. ※알비스 개설
주의력결핍과다행동장애 (ADHD).- 실제로 이 사용자는 이 질병을 앓고 있습니다. - 외부인이 해결
크립테리아 - 알비스 개설
지금 특히나 주시중인 문서 [ 편집 ]
언제 끝날지 모르는 문서 [ 편집 ]
T-4 작전 - T-4작전 - 이 사용자는 나치를 반대하는 사람으로, 이 사용자는 나치의 장애인 학살 계획을 번역할 생각입니다. ※알비스 개설
다룰 계획이 있는 문서 [ 편집 ]
정작 안 다룬다는...
그 외 활동 [ 편집 ]
각종 오류나 빠진것을 메꾸기도 합니다.
멸칭, 비칭, 구칭을 올바른 표현이나 현재의 표현으로 고치기도 합니다.
Award [ 편집 ]
확인된 제1번째 편집 활동 : 2006년 11월 3일 (금) 23:57 샤를 드골
확인된 제1000번째 편집활동 : 2008년 3월 9일 (일) 01:09 위키백과토론:비자유 자료의 인용 에 대한 의견 개진
확인된 제2000번째 편집활동 : 2009년 3월 22일 (일) 18:54 1박 2일의 역대 방문지 목록
확인된 제3000번째 편집활동 : 2011년 4월 30일 (토) 23:31 미국 평화 봉사단 - 분류 추가활동이었음.
확인된 제4000번째 편집활동 : 2015년 5월 12일 (화) 02:37 간질 (동음이의)
알비스 내부 통계자료 [ 편집 ]
확인된 알비스가 생성한 문서
확인된 알비스가 살찌운 문서 [ 편집 ]
반스타 [ 편집 ]
모임 참석 기념(지부 1차 모임)
이번 지부모임 에 나오신 분께 반스타 를 드립니다. -- 분당선M (T · C. ) 2012년 3월 10일 (토) 18:01 (KST)
모임 참석 기념
나는 창립준비위원회 총회에 참석하신 분께 이 반스타 를 드립니다. -- 분당선M (T · C. ) 2012년 6월 9일 (토) 19:04 (KST)
알비스 틀 제작 [ 편집 ]
알비스는 자체적인 유저박스 제작에 노력하고 있습니다. 그 결과물은 다음에 있습니다.
사용자:Alvis/유저박스제작공업소
외부 연결고리 [ 편집 ]
↑ 2013년 이전까지는 "자유로운 새 질서(Nouvel Ordre Libre)"였으며, 2013년 8월 18일 부터 2017년 5월 15일 까지는 "자유로운 새 질서, 거침없이 가자(Nouvel Ordre Libre, Allez san Hésité)"였다. 현 모토는 2017년 5월 16일 에 문재인 정부 의 출범을 기념하여 제2차 개정을 한 것이다.
↑ 한국장애인개발원 재직 기간(2013년 2월 27일, 당적정리는 2월 25일 ~ 2015년 2월 26일, 당적복구는 2015년 2월 27일) 제외: 기타공공기관 인 기관 특성상 임직원의 당적 보유 금지 규정에 따른 것임.
↑ 이 이유는, 일반적인 표현이라는 '국민'은 "국가의 구성원" 이라는 뜻이 있어 국가 우월주의적인 색채가 있다는 것과, 현재 세계적으로 불고 있는 세계화 및 다문화 현상을 반영하지 못하였기 때문이다. 참고로 알비스가 정의하는 '인민'이란, "국가도 침해할 수 없는 자유와 권리의 주체" 이며, 유진오 도 비슷한 해석을 하였다.
↑ 알비스는 미얀마라는 호칭을 절대로 쓰지 않습니다. 1989년의 현지 군사독재정권의 일방적 국호변경을 반대하며, 버마의 군부세력의 잔재까지 축출된 진정한 민주화를 지지하기 때문입니다. 민주 버마 만세!
↑ 4.19 혁명 당시 서울시경 관계자였음
↑ 1994년 이후 공립화로 인해 현재는 공립학교. 알비스가 재학한 당시에도 공립학교
↑ 사진영상미디어전공(현 사진영상미디어콘텐츠학과) 졸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