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위스터 이론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트위스터 이론(영어: Twistor theory)은 1967년 로저 펜로즈[1] 양자 중력에 이를 수 있는 하나의 길로[2] 제안하였으며 이론수리물리학의 한 분야로 발전했다. 로저 펜로즈는 물리학의 근본적인 배경의 수학적 모형을 트위스터 공간이라는 수학적 공간으로 두자고 제안하며, 이로부터 시공간 자체가 나타난다고 하였다. 트위스터 공간과 트위스터 이론이 연구 되면서, 미분 및 적분 기하학, 비선형 미분 방정식표현론, 일반 상대성이론양자장론, 특히 산란 진폭에 대한 물리학에 적용되는 강력한 수학적 개념들이 발전되었다. 트위스터 이론의 등장은 간접적으로 아인슈타인-카르탕-시아마–키블 이론의 영향을 받은 것 같다.[3]

개요[편집]

사영 트위스터 공간 는 3차원 복소 사영 다양체 이다. 더 자세하게, 사영 트위스터 공간은 계량 부호수 (2,2)인 에르미트 형식과 정칙 부피 형식이 주어진 4차원 복소 선형 공간 를 사영화 해서 얻은 공간이다. 는 비 사영 트위스터 공간이라고 불린다. 이것은 민코프스키 공간의 등각군 에 대한 바일 스피너들의 공간으로 가장 매끄럽게 이해할 수 있다. 이는 등각군 스핀군 기본 표현이다. 이 정의는 등각 군에 대한 사영 순수 스피너의 공간으로 사영 트위스터 공간을 정의하는 것을 제외하고 4차원을 넘어서 임의의 차원으로 확장될 수 있다.[4][5] 사영 트위스터 공간의 물리적 해석은 스핀을 가진 질량이 없는 입자들의 공간과 관련되어 있다.

원래 형태에서 트위스터 이론은 민코프스키 공간의 물리적 장을 펜로즈 변환을 통해 트위스터 공간의 복소 해석학적 대상으로 형식화 한다. 이 과정은 특히 임의의 스핀을 가진 질량이 없는 장에 대해 자연스럽다. 첫 번째 예시에서 이들은 트위스터 공간의 영역에서 자유 정칙 함수 측면에서 선적분 공식을 통해 얻어진다. 질량 없는 장 방정식에 대한 해를 제공하는 정칙 트위스터 함수는 의 영역 위에서 해석적 코호몰로지 류들의 체흐 대표원들로 이해될 수 있다. 이러한 대응관계는 펜로즈의 비선형 중력자 구성[6]자기 쌍대 중력과 와드 구성의 자체 쌍대 양-밀스 장을 포함하여 특정 비선형 장들로 확장되었다.[7] 이러한 구조는 특히 적분가능계 이론을 포함한 다양한 분야에 널리 응용된다.[8][9][10]

자기 쌍대성 조건은 양-밀스–힉스 자기 홀극순간자에 대해 충분하지만 물리적 이론의 완전한 비선형성을 통합하는 데 주요한 제한 사항이다(ADHM 구성 참조).[11] 이 제한을 극복하기 위한 초기 시도는 에드워드 위튼[12]과 아이젠베르크, 예스킨 & 그린의 Ambitwistor 도입이었다.[13] Ambitwistor 공간은 복소화된 광선 또는 질량이 없는 입자들의 공간이며 원래 트위스터 설명의 복소화 또는 여접다발로 간주될 수 있다. 이들은 일반 장에 적용되지만 장 방정식은 더 이상 그렇게 간단하게 표현되지 않는다.

자기 쌍대 섹터를 넘어서는 상호 작용에 대한 트위스터 공식은 에드워드 위튼의 트위스터 끈 이론에서 처음 나왔다.[14] 이것은 리만 곡면에서 트위스터 공간으로가는 정칙 사상의 양자 이론이다. 이 이론에서 양-밀스 이론의 트리 수준 S-행렬에 대한 아주 컴팩트한 RSV(Roiban, Spradlin & Volovich)공식이 나왔지만,[15] 이것의 중력 자유도는 적용 가능성을 제한하는 등각 초중력 버전을 발생시켰다. 등각 중력은 유령을 포함하기 때문에 물리적이지 않은 이론이지만, 그 상호 작용은 트위스터 끈 이론을 통해 계산된 루프 진폭에서 양-밀스 이론의 상호 작용과 결합된다.[16]

이런 단점들에도 불구하고 트위스터 끈 이론은 산란 진폭 연구에서 급속한 발전을 가져왔다. 하나는 분리된 끈에 느슨하게 기반을 둔 이른바 MHV 형식주의[17]이지만 트위스터 공간에서 전체 양-밀스 이론에 대한 트위스터 작용 측면에서 더 기본적인 토대를 제공했다.[18] 또 다른 주요 개발은 BCFW 재귀의 도입이었다.[19] 이것은 트위스터 공간에서 자연스러운 공식을 가지며,[20][21] 그 결과 그라스만 적분 공식[22][23]다포체 측면에서 산란 진폭의 놀라운 공식을 이끌어 냈다.[24] 이러한 아이디어는 최근에 양의 그라스마니안과 진폭면체로 발전되었다.

트위스터 끈 이론은 먼저 RSV 양-밀스 진폭 공식을 일반화한 다음 기본 끈 이론을 찾아 확장했다. Cachazo & Skinner[25]가 중력에 대한 확장을 하였고 David Skinner가 최대 초중력에 대한 트위스터 끈 이론으로 공식화하였다. Cachazo, He & Yuan은 양-밀스 이론과 중력[26]에 대해, 그리고 이후 다양한 다른 이론에 대해 모든 차원에서 유사한 공식을 발견했다.[27] 그런 다음 Mason & Skinner[28]에 의해 원래 트위스터 끈을 포함하고 확장되어 여러 가지 새로운 모델과 공식을 제공하는 일반적 이론의 틀에서 ambitwistor 공간의 끈이론으로 이해되었다.[29][30][31] 끈 이론으로서 그것들은 전통적인 끈 이론과 같은 임계 차원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유형 II 초대칭 버전은 10차원에서 중요하며 10차원에서 유형 II 초중력의 전체 장 이론과 동일하다. 그들은 루프 진폭에 대한 공식을 제공하기 위해 확장되고[32][33] 휘어진 배경에서 정의될 수 있다.[34]

트위스터 대응[편집]

민코프스키 공간 의 좌표 및 부호수 인 로런츠 계량 을 생각하자. 2 성분 스피너 지수 를 도입하고 다음과 같이 두자:

두 개의 상수 바일 스피너 에 대해, 비사영 트위스터 공간 는 좌표가 과 같은 4차원 복소 선형 공간이다. 에르미트 형식은 에서 쌍대 공간 로 가는 복소 켤레 를 정의하여 표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에르미트 형식은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이것은 정칙 부피 형식과 함께, 는 컴팩트화된 민코프스키 시공간의 등각 군 C(1,3)의 4중 커버인 군 SU(2,2)에서 불변이다.

민코프스키 공간의 점은 입사 관계를 통해 트위스터 공간의 부분 공간과 관련된다.

입사 관계는 트위스터의 전체 크기 조정 하에서 보존되므로 일반적으로 사영 트위스터 공간 에서 작동한다. 이는 복소 다양체 와 동형이다. 따라서, 점 안에 로 매개변수화 되는 직선 을 결정한다. 시공간 안에서 트위스터 는 자체 쌍대인 완전히 null인 두 면을 정하는 좌표의 복소수 값에 대해 가장 쉽게 이해된다. 실수 를 취할 때, 가 사라지면 는 광선 위에 놓여 있는 반면, 만약 가 사라지지 않고 해가 없으면 는 실 시공간에 국한되지 않는 스핀을 가진 질량이 없는 입자에 해당한다.

변형[편집]

슈퍼트위스터[편집]

슈퍼트위스터는 1978년 Alan Ferber가 도입한 트위스터의 초대칭 확장이다. 비사영 트위스터 공간은 페르미온 좌표에 의해 확장된다. 은 트위스터가 반교환인 과 함께로 주어지도록 하는 초대칭의 수이다. 초등각 군 이 이 공간에 자연스럽게 작용하고 펜로즈 변환의 초대칭 버전은 슈퍼트위스터 공간의 코호몰로지 류를 수퍼 민코프스키 공간의 질량 없는 초대칭 multiplet들로 변환한다. 인 경우는 펜로즈의 원래 트위스터 스트링의 경우고, Skinner의 초중력 일반화의 경우이다.

초켈러 다양체[편집]

차원 초켈러 다양체 또한 복소 차원 트위스터 공간과 트위스터 대응된다.[35]

같이 보기[편집]

외부 링크[편집]

각주[편집]

  1. Penrose, R. (1967). “Twistor Algebra”. 《Journal of Mathematical Physics8 (2): 345–366. Bibcode:1967JMP.....8..345P. doi:10.1063/1.1705200. 
  2. Penrose, R.; MacCallum, M.A.H. (1973). “Twistor theory: An approach to the quantisation of fields and space-time”. 《Physics Reports》 6 (4): 241–315. Bibcode:1973PhR.....6..241P. doi:10.1016/0370-1573(73)90008-2. 
  3. “Dennis William Sciama. 18 November 1926 — 19 December 1999”. 2010: 411. doi:10.1098/rsbm.2009.0023. 
  4. Penrose, Roger; Rindler, Wolfgang (1986). 《Spinors and Space-Time》 (영어). Cambridge University Press. Appendix쪽. doi:10.1017/cbo9780511524486. ISBN 9780521252676. 
  5. Hughston, L. P.; Mason, L. J. (1988). “A generalised Kerr-Robinson theorem”. 《Classical and Quantum Gravity》 (영어) 5 (2): 275. Bibcode:1988CQGra...5..275H. doi:10.1088/0264-9381/5/2/007. ISSN 0264-9381. 
  6. Penrose, R (1976). “Non-linear gravitons and curved twistor theory”. 《Gen. Rel. Grav.》 7: 31–52. doi:10.1007/BF00762011. 
  7. Ward, R. S. (1977). “On self-dual gauge fields”. 《Physics Letters A》 61 (2): 81–82. Bibcode:1977PhLA...61...81W. doi:10.1016/0375-9601(77)90842-8. 
  8. Ward, R. S. (1990). 《Twistor geometry and field theory》. Wells, R. O. (Raymond O'Neil), 1940-. Cambridge [England]: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978-0521422680. OCLC 17260289. 
  9. Mason, Lionel J; Woodhouse, Nicholas M J (1996). 《Integrability, self-duality, and twistor theory》. Oxford: Clarendon Press. ISBN 9780198534983. OCLC 34545252. 
  10. Dunajski, Maciej (2010). 《Solitons, instantons, and twistors》.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8570622. OCLC 507435856. 
  11. Atiyah, M.F.; Hitchin, N.J.; Drinfeld, V.G.; Manin, Yu.I. (1978). “Construction of instantons”. 《Physics Letters A》 65 (3): 185–187. Bibcode:1978PhLA...65..185A. doi:10.1016/0375-9601(78)90141-x. 
  12. Witten, Edward (1978). “An interpretation of classical Yang–Mills theory”. 《Physics Letters B》 77 (4–5): 394–398. Bibcode:1978PhLB...77..394W. doi:10.1016/0370-2693(78)90585-3. 
  13. Isenberg, James; Yasskin, Philip B.; Green, Paul S. (1978). “Non-self-dual gauge fields”. 《Physics Letters B》 78 (4): 462–464. Bibcode:1978PhLB...78..462I. doi:10.1016/0370-2693(78)90486-0. 
  14. Witten, Edward (2004년 10월 6일). “Perturbative Gauge Theory as a String Theory in Twistor Space”. 《Communications in Mathematical Physics》 252 (1–3): 189–258. arXiv:hep-th/0312171. Bibcode:2004CMaPh.252..189W. doi:10.1007/s00220-004-1187-3. 
  15. Roiban, Radu; Spradlin, Marcus; Volovich, Anastasia (2004년 7월 30일). “Tree-level S matrix of Yang–Mills theory”. 《Physical Review D》 70 (2): 026009. arXiv:hep-th/0403190. Bibcode:2004PhRvD..70b6009R. doi:10.1103/PhysRevD.70.026009. 
  16. Berkovits, Nathan; Witten, Edward (2004). “Conformal supergravity in twistor-string theory”. 《Journal of High Energy Physics》 (영어) 2004 (8): 009. arXiv:hep-th/0406051. Bibcode:2004JHEP...08..009B. doi:10.1088/1126-6708/2004/08/009. ISSN 1126-6708. 
  17. Cachazo, Freddy; Svrcek, Peter; Witten, Edward (2004). “MHV vertices and tree amplitudes in gauge theory”. 《Journal of High Energy Physics》 (영어) 2004 (9): 006. arXiv:hep-th/0403047. Bibcode:2004JHEP...09..006C. doi:10.1088/1126-6708/2004/09/006. ISSN 1126-6708. 
  18. Adamo, Tim; Bullimore, Mathew; Mason, Lionel; Skinner, David (2011). “Scattering amplitudes and Wilson loops in twistor space”. 《Journal of Physics A: Mathematical and Theoretical》 44 (45): 454008. arXiv:1104.2890. Bibcode:2011JPhA...44S4008A. doi:10.1088/1751-8113/44/45/454008. 
  19. Britto, Ruth; Cachazo, Freddy; Feng, Bo; Witten, Edward (2005년 5월 10일). “Direct Proof of the Tree-Level Scattering Amplitude Recursion Relation in Yang–Mills Theory”. 《Physical Review Letters》 94 (18): 181602. arXiv:hep-th/0501052. Bibcode:2005PhRvL..94r1602B. doi:10.1103/PhysRevLett.94.181602. PMID 15904356. 
  20. Mason, Lionel; Skinner, David (2010년 1월 1일). “Scattering amplitudes and BCFW recursion in twistor space”. 《Journal of High Energy Physics》 (영어) 2010 (1): 64. arXiv:0903.2083. Bibcode:2010JHEP...01..064M. doi:10.1007/JHEP01(2010)064. ISSN 1029-8479. 
  21. Arkani-Hamed, N.; Cachazo, F.; Cheung, C.; Kaplan, J. (2010년 3월 1일). “The S-matrix in twistor space”. 《Journal of High Energy Physics》 (영어) 2010 (3): 110. arXiv:0903.2110. Bibcode:2010JHEP...03..110A. doi:10.1007/JHEP03(2010)110. ISSN 1029-8479. 
  22. Arkani-Hamed, N.; Cachazo, F.; Cheung, C.; Kaplan, J. (2010년 3월 1일). “A duality for the S matrix”. 《Journal of High Energy Physics》 (영어) 2010 (3): 20. arXiv:0907.5418. Bibcode:2010JHEP...03..020A. doi:10.1007/JHEP03(2010)020. ISSN 1029-8479. 
  23. Mason, Lionel; Skinner, David (2009). “Dual superconformal invariance, momentum twistors and Grassmannians”. 《Journal of High Energy Physics》 (영어) 2009 (11): 045. arXiv:0909.0250. Bibcode:2009JHEP...11..045M. doi:10.1088/1126-6708/2009/11/045. ISSN 1126-6708. 
  24. Hodges, Andrew (2013년 5월 1일). “Eliminating spurious poles from gauge-theoretic amplitudes”. 《Journal of High Energy Physics》 (영어) 2013 (5): 135. arXiv:0905.1473. Bibcode:2013JHEP...05..135H. doi:10.1007/JHEP05(2013)135. ISSN 1029-8479. 
  25. Cachazo, Freddy; Skinner, David (2013년 4월 16일). “Gravity from Rational Curves in Twistor Space”. 《Physical Review Letters》 110 (16): 161301. arXiv:1207.0741. Bibcode:2013PhRvL.110p1301C. doi:10.1103/PhysRevLett.110.161301. PMID 23679592. 
  26. Cachazo, Freddy; He, Song; Yuan, Ellis Ye (2014년 7월 1일). “Scattering of massless particles: scalars, gluons and gravitons”. 《Journal of High Energy Physics》 (영어) 2014 (7): 33. arXiv:1309.0885. Bibcode:2014JHEP...07..033C. doi:10.1007/JHEP07(2014)033. ISSN 1029-8479. 
  27. Cachazo, Freddy; He, Song; Yuan, Ellis Ye (2015년 7월 1일). “Scattering equations and matrices: from Einstein to Yang–Mills, DBI and NLSM”. 《Journal of High Energy Physics》 (영어) 2015 (7): 149. arXiv:1412.3479. Bibcode:2015JHEP...07..149C. doi:10.1007/JHEP07(2015)149. ISSN 1029-8479. 
  28. Mason, Lionel; Skinner, David (2014년 7월 1일). “Ambitwistor strings and the scattering equations”. 《Journal of High Energy Physics》 (영어) 2014 (7): 48. arXiv:1311.2564. Bibcode:2014JHEP...07..048M. doi:10.1007/JHEP07(2014)048. ISSN 1029-8479. 
  29. Berkovits, Nathan (2014년 3월 1일). “Infinite tension limit of the pure spinor superstring”. 《Journal of High Energy Physics》 (영어) 2014 (3): 17. arXiv:1311.4156. Bibcode:2014JHEP...03..017B. doi:10.1007/JHEP03(2014)017. ISSN 1029-8479. 
  30. Geyer, Yvonne; Lipstein, Arthur E.; Mason, Lionel (2014년 8월 19일). “Ambitwistor Strings in Four Dimensions”. 《Physical Review Letters》 113 (8): 081602. arXiv:1404.6219. Bibcode:2014PhRvL.113h1602G. doi:10.1103/PhysRevLett.113.081602. PMID 25192087. 
  31. Casali, Eduardo; Geyer, Yvonne; Mason, Lionel; Monteiro, Ricardo; Roehrig, Kai A. (2015년 11월 1일). “New ambitwistor string theories”. 《Journal of High Energy Physics》 (영어) 2015 (11): 38. arXiv:1506.08771. Bibcode:2015JHEP...11..038C. doi:10.1007/JHEP11(2015)038. ISSN 1029-8479. 
  32. Adamo, Tim; Casali, Eduardo; Skinner, David (2014년 4월 1일). “Ambitwistor strings and the scattering equations at one loop”. 《Journal of High Energy Physics》 (영어) 2014 (4): 104. arXiv:1312.3828. Bibcode:2014JHEP...04..104A. doi:10.1007/JHEP04(2014)104. ISSN 1029-8479. 
  33. Geyer, Yvonne; Mason, Lionel; Monteiro, Ricardo; Tourkine, Piotr (2015년 9월 16일). “Loop Integrands for Scattering Amplitudes from the Riemann Sphere”. 《Physical Review Letters》 115 (12): 121603. arXiv:1507.00321. Bibcode:2015PhRvL.115l1603G. doi:10.1103/PhysRevLett.115.121603. PMID 26430983. 
  34. Adamo, Tim; Casali, Eduardo; Skinner, David (2015년 2월 1일). “A worldsheet theory for supergravity”. 《Journal of High Energy Physics》 (영어) 2015 (2): 116. arXiv:1409.5656. Bibcode:2015JHEP...02..116A. doi:10.1007/JHEP02(2015)116. ISSN 1029-8479. 
  35. Hitchin, N. J.; Karlhede, A.; Lindström, U.; Roček, M. (1987). “Hyper-Kähler metrics and supersymmetry”. 《Communications in Mathematical Physics》 108 (4): 535–589. doi:10.1007/BF01214418. ISSN 0010-3616. MR 877637. 

참고 문헌[편집]

  • Roger Penrose (2004), The Road to Reality, Alfred A. Knopf, ch. 33, pp. 958–1009.
  • Roger Penrose and Wolfgang Rindler (1984), Spinors and Space-Time; vol. 1, Two-Spinor Calculus and Relativitic Field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 Roger Penrose and Wolfgang Rindler (1986), Spinors and Space-Time; vol. 2, Spinor and Twistor Methods in Space-Time Geomet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추가 자료[편집]

  • Atiyah, Michael; Dunajski, Maciej; Mason, Lionel J. (2017). “Twistor theory at fifty: from contour integrals to twistor strings”. 《Proceedings of the Royal Society A: Mathematical, Physical and Engineering Sciences》 473 (2206): 20170530. doi:10.1098/rspa.2017.0530. 
  • Baird, P., "An Introduction to Twistors[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Huggett, S. and Tod, K. P. (1994). An Introduction to Twistor Theory, second edi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9780521456890ISBN 9780521456890OCLC 831625586.
  • Hughston, L. P. (1979) Twistors and Particles. Springer Lecture Notes in Physics 97, Springer-Verlag. ISBN 978-3-540-09244-5ISBN 978-3-540-09244-5.
  • Hughston, L. P. and Ward, R. S., eds (1979) Advances in Twistor Theory. Pitman. ISBN 0-273-08448-8ISBN 0-273-08448-8.
  • Mason, L. J. and Hughston, L. P., eds (1990) Further Advances in Twistor Theory, Volume I: The 펜로즈 Transform and its Applications. Pitman Research Notes in Mathematics Series 231, Longman Scientific and Technical. ISBN 0-582-00466-7ISBN 0-582-00466-7.
  • Mason, L. J., Hughston, L. P., and Kobak, P. K., eds (1995) Further Advances in Twistor Theory, Volume II: Integrable Systems, Conformal Geometry, and Gravitation. Pitman Research Notes in Mathematics Series 232, Longman Scientific and Technical. ISBN 0-582-00465-9ISBN 0-582-00465-9.
  • Mason, L. J., Hughston, L. P., Kobak, P. K., and Pulverer, K., eds (2001) Further Advances in Twistor Theory, Volume III: Curved Twistor Spaces. Research Notes in Mathematics 424, Chapman and Hall/CRC. ISBN 1-58488-047-3ISBN 1-58488-047-3.
  • Penrose, Roger (1999). “The Central Programme of Twistor Theory”. 《Chaos, Solitons and Fractals》 10 (2–3): 581–611. doi:10.1016/S0960-0779(98)00333-6. 2005년 8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11월 21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