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이적 집합: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문자열 변경 (]]에서, ''' → ]]에서 ''')
37번째 줄: 37번째 줄:


임의의 추이적 집합들의 족 <math>\mathcal X</math>에 대하여, <math>\bigcup\mathcal X</math>와 <math>\bigcap\mathcal X</math> 역시 추이적 집합이다.
임의의 추이적 집합들의 족 <math>\mathcal X</math>에 대하여, <math>\bigcup\mathcal X</math>와 <math>\bigcap\mathcal X</math> 역시 추이적 집합이다.

=== 자명하지 않은 동형의 부재 ===
추이적 모임과 원소 관계로 이루어진 [[구조 (논리학)|구조]] 사이의 [[동형 사상]]은 [[항등 함수]]밖에 없다. 즉, [[추이적 모임]] 사이의 [[전단사 함수]] <math>f\colon X\to Y</math>가
:<math>A\in B\in X\iff f(A)\in f(B)\in Y</math>
를 만족시킨다면, <math>X=Y</math>이며, <math>f=\operatorname{id}_X</math>이다.<ref name="Jech">{{서적 인용
|성1=Jech
|이름1=Thomas
|제목=Set theory
|언어=en
|판=3
|총서=Springer Monographs in Mathematics
|출판사=Springer
|위치=Berlin
|날짜=2003
|isbn=978-3-540-44085-7
|issn=1439-7382
|doi=10.1007/3-540-44761-X
|mr=1940513
|zbl=1007.03002
}}</ref>{{rp|67, Theorem 6.7}} 이는 [[정칙성 공리]]를 사용하여 보일 수 있다. 특히, [[폰 노이만 전체]]는 자명하지 않은 [[자기 동형 사상]]을 갖지 않는다.
{{증명}}
임의의 <math>A\in X</math>에 대하여, <math>f(A)=A</math>를 보이는 것으로 충분하다. <math>(X,\in)</math> 위에서 [[초한 귀납법]]을 사용하여, 임의의 <math>B\in A</math>에 대하여 <math>f(B)=B</math>라고 가정하자. 다음 두 가지를 보이면 족하다.
* <math>A\subseteq f(A)</math>
** 임의의 <math>B\in A</math>에 대하여, <math>B=f(B)\in f(A)</math>이다.
* <math>f(A)\subseteq A</math>
** 임의의 <math>f(B)\in f(A)</math>에 대하여, <math>B\in A</math>이므로, <math>f(B)=B\in A</math>이다.
{{증명 끝}}


== 예 ==
== 예 ==

2023년 12월 31일 (일) 06:35 판

집합론에서 추이적 집합(推移的集合, 영어: transitive set)은 원소의 원소를 원소로 하는 집합이다.

정의

집합 에 대하여 다음 조건들이 동치이며, 이를 만족시키는 집합을 추이적 집합이라고 한다.

  • 임의의 에 대하여,
  • 임의의 에 대하여,

마찬가지로, 추이적 모임(영어: transitive class)을 정의할 수 있다.

집합 추이적 폐포(영어: transitive closure)는 를 포함하는 가장 작은 추이적 집합이다. 즉, 다음과 같다.

초추이적 집합

집합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동치이며, 이를 만족시키는 집합을 초추이적 집합(영어: supertransitive set)이라고 한다.

  • 임의의 에 대하여, 만약 또는 라면,
  • 임의의 에 대하여,

초추이적 집합은 추이적 집합이다.

보다 일반적으로, 순서수 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누적 위계

를 생각하자. 이 경우,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집합을 -초추이적 집합(영어: -supertransitive set)이라고 한다.

  • 임의의 및 순서수 에 대하여,

즉, 모든 집합은 0-초추이적 집합이며, 1-초추이적 집합은 추이적 집합이며, 2-초추이적 집합은 초추이적 집합이다.

집합 -초추이적 폐포를 포함하는 가장 작은 -초추이적 집합이며, 다음과 같다.

성질

연산에 대한 닫힘

임의의 추이적 집합 에 대하여, 역시 추이적 집합이다.

임의의 추이적 집합들의 족 에 대하여, 역시 추이적 집합이다.

자명하지 않은 동형의 부재

추이적 모임과 원소 관계로 이루어진 구조 사이의 동형 사상항등 함수밖에 없다. 즉, 추이적 모임 사이의 전단사 함수

를 만족시킨다면, 이며, 이다.[1]:67, Theorem 6.7 이는 정칙성 공리를 사용하여 보일 수 있다. 특히, 폰 노이만 전체는 자명하지 않은 자기 동형 사상을 갖지 않는다.

증명:

임의의 에 대하여, 를 보이는 것으로 충분하다. 위에서 초한 귀납법을 사용하여, 임의의 에 대하여 라고 가정하자. 다음 두 가지를 보이면 족하다.

    • 임의의 에 대하여, 이다.
    • 임의의 에 대하여, 이므로, 이다.

순서수의 폰 노이만 정의에 따르면, 순서수는 추이적 집합만을 원소로 하는 추이적 집합이다.

폰 노이만 전체의 정의에서, 임의의 순서수 에 대하여 는 추이적 집합이다. 폰 노이만 전체 는 추이적 고유 모임이다.

구성 가능 전체의 정의에서, 임의의 순서수 에 대하여 는 추이적 집합이다. 구성 가능 전체 은 추이적 고유 모임이다.

응용

추이적 집합 · 모임은 모형 이론에서 집합론의 모형을 정의하기 위하여 쓰인다. 모스토프스키 붕괴 보조정리에 의하여, "괜찮은" 모형은 항상 추이적 모형으로 나타낼 수 있다.

외부 링크

  1. Jech, Thomas (2003). 《Set theory》. Springer Monographs in Mathematics (영어) 3판. Berlin: Springer. doi:10.1007/3-540-44761-X. ISBN 978-3-540-44085-7. ISSN 1439-7382. MR 1940513. Zbl 1007.03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