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원봉: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태그: m 모바일 웹
태그: m 모바일 웹
34번째 줄: 34번째 줄:


== 생애 ==
== 생애 ==
[[파일:Kimwb-parkchj-01.jpg|섬네일|200px|왼쪽|독립운동가 [[박차정]]과의 결혼 사진 (1931년)]][[파일:Kwb2.jpg|섬네일|200px|조선의용대 선전 영상에 등장한 김원봉|대체글=|왼쪽]][[파일:Korean Volunteers.jpg|섬네일|조선의용대 성립기념 사진. (1938년 10월 10일)|대체글=|200x200픽셀|왼쪽]][[파일:Kim Won-bong 1946's.jpg|섬네일|180px|왼쪽|[[1946년]] [[2월]] [[민족주의 민주전선]] 회의장에서 연설하는 약산 김원봉.]][[1898년]] [[9월 28일]] 지금의 [[경상남도]] [[밀양시]] 밀양읍 내이리 901번지에서 태어났다. 참판 김영견(金永堅)의 17대손이다. 어머니 이경념은 김원봉이 4살 되던 해 김경봉을 출산하다가 사망했다. 아버지 김주익은 천연이와 재혼하여 8남 2녀를 두었고, 천연이가 사망하자 박순남과 재혼해서 3명의 이복 남동생이 태어났다. 김익봉은 요절했고 계모 천연이가 낳은 이복 남동생들 중 김봉철, 김봉기, 김덕봉, 김구봉은 [[보도연맹]]원으로 몰려서 [[한국 전쟁]] 중 처형되었다.
[[파일:Kimwb-parkchj-01.jpg|섬네일|200px|왼쪽|독립운동가 [[박차정]]과의 결혼 사진 (1931년)]][[파일:Kwb2.jpg|섬네일|200px|조선의용대 선전 영상에 등장한 김원봉|대체글=|왼쪽]][[파일:Korean Volunteers.jpg|섬네일|조선의용대 성립기념 사진. (1938년 10월 10일)|대체글=|200x200픽셀|왼쪽]][[파일:Kim Won-bong 1946's.jpg|섬네일|180px|왼쪽|[[1946년]] [[2월]] [[민족주의 민주전선]] 회의장에서 연설하는 약산 김원봉.]] 김원봉은 [[1898년]] 지금의 [[경상남도]] [[밀양시]] 밀양읍 내이리 901번지에서 태어났다. 참판 김영견(金永堅)의 17대손이다. 어머니 이경념은 김원봉이 4살 되던 해 김경봉을 출산하다가 사망했다. 아버지 김주익은 천연이와 재혼하여 8남 2녀를 두었고, 천연이가 사망하자 박순남과 재혼해서 3명의 이복 남동생이 태어났다. 김익봉은 요절했고 계모 천연이가 낳은 이복 남동생들 중 김봉철, 김봉기, 김덕봉, 김구봉은 [[보도연맹]]원으로 몰려서 [[한국 전쟁]] 중 처형되었다.


중앙학교 재학 중 김원봉은 [[김약수]](본명 김두전)·[[이여성]](본명 이명건) 등과 교류하였다. [[중앙중학교 (서울)|중앙중학교]]를 먼저 졸업한 [[김두봉]], [[윤치영]]과 나중에 졸업하게 된 [[김무정|무정]] 등을 만나 친분관계를 쌓는다. [[1916년]] 봄 [[경성부|경성]] [[중앙중학교 (서울)|중앙중학교]]를 졸업한 뒤 [[중국]]으로 망명 후 상해에 있는 예관 신규식을 찾아가서 항일 비밀결사체인 동제사에 가입하였으며 신규식의 도움으로 금릉대학에서 수학을 하였다. 그리고 동제사의 지도를 받아서 의열단을 조직하여 항일 혁명 일선에서 활약하였다.
중앙학교 재학 중 김원봉은 [[김약수]](본명 김두전)·[[이여성]](본명 이명건) 등과 교류하였다. [[중앙중학교 (서울)|중앙중학교]]를 먼저 졸업한 [[김두봉]], [[윤치영]]과 나중에 졸업하게 된 [[김무정|무정]] 등을 만나 친분관계를 쌓는다. [[1916년]] 봄 [[경성부|경성]] [[중앙중학교 (서울)|중앙중학교]]를 졸업한 뒤 [[중국]]으로 망명 후 상해에 있는 예관 신규식을 찾아가서 항일 비밀결사체인 동제사에 가입하였으며 신규식의 도움으로 금릉대학에서 수학을 하였다. 그리고 동제사의 지도를 받아서 의열단을 조직하여 항일 혁명 일선에서 활약하였다.

2021년 2월 20일 (토) 15:33 판

김원봉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가부수반
임기 1957년 9월 ~ 1958년 10월
주석 김일성

신상정보
출생일 1898년 9월 28일
출생지 대한제국 경상남도 밀양군 부내면 내이리
(現 대한민국 경상남도 밀양시 내이동 901번지)
사망일 1958년 11월 (60세)
사망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적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학력 경성 중앙중학교 졸업
신흥무관학교 자퇴
황푸 군관학교 졸업
경력 의열단
민족혁명당 총서기
조선의용대
한국 광복군 부사령관 겸 제1지대장
대한민국 임시 정부 국무위원 및 군무부장
조선인민공화당 중앙위원회 위원장
북조선 제1기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북한 내각 국가검열성상·로동성상·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부위원장
정당 조선민족혁명당
인민공화당
조선로동당
배우자 최씨 부인(최남선)
박차정(재혼)
최동선(삼혼)
자녀 슬하 2남
상훈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로력훈장(1952년, 1958년)

김원봉(金元鳳, 1898년 9월 28일 (음력 8월 13일) ~ 1958년)은 일제 강점기의열단장이자 난창에서 중국 공산당에 관여한 군인이었으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전쟁범죄자이다. 호는 약산(若山), 본관은 김해(金海)이다. 경남 밀양에 의열 기념관이 있다.

1919년 아나키즘 단체인 의열단(義烈團)을 조직하였고, 황푸 군관학교를 거쳐 조선의용대를 조직하였다. 대한민국 임시정부에 합류하여 임시의정원(경상도 지역구)의원, 한국 광복군 부사령관 겸 제1지대장으로 활동하였고, 1944년 임시정부 군무부장에 선출됐다.

1946년 2월 민족주의민주전선 공동의장, 6월 인민공화당 위원장을 역임하였다. 1948년 김구·김규식 등과 함께 남북협상에 참여한 뒤에 그대로 북한에 남았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부수립 후 국가검열상, 조선인민공화당 중앙위원회 위원장, 노동상,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부위원장을 역임했다.

한국전쟁이 발발하자 군사위원회 평안북도 전권대표로서 후방에서 북한군의 군량미를 생산하는 일을 했다.[1] 이로 인해 김일성으로부터 로력훈장을 수여받았다. 남파활동을 벌이기도 했는데, 실제로 1954년 1월 25일 김원봉의 직접 지휘 하에 대한민국의 경제 혼란 및 선거 방해를 목적으로 남파된 간첩단 4명이 체포되었다.[2] 이후 김일성과의 정치 암투에서 패배하여 1958년 10월 '반국가적 및 반혁명적 책동의 죄'로 대의원 권한이 박탈되었고, 체포되었다고 한다.[3] 그의 사망에 관해서는 자세히 알려진 바가 없으나, 정치범수용소에서 청산가리를 먹고 자살했다는 설이 가장 유력하다.[4] 경상남도 밀양에 의열 기념관이있다.

생애

독립운동가 박차정과의 결혼 사진 (1931년)
조선의용대 선전 영상에 등장한 김원봉
조선의용대 성립기념 사진. (1938년 10월 10일)
1946년 2월 민족주의 민주전선 회의장에서 연설하는 약산 김원봉.

김원봉은 1898년 지금의 경상남도 밀양시 밀양읍 내이리 901번지에서 태어났다. 참판 김영견(金永堅)의 17대손이다. 어머니 이경념은 김원봉이 4살 되던 해 김경봉을 출산하다가 사망했다. 아버지 김주익은 천연이와 재혼하여 8남 2녀를 두었고, 천연이가 사망하자 박순남과 재혼해서 3명의 이복 남동생이 태어났다. 김익봉은 요절했고 계모 천연이가 낳은 이복 남동생들 중 김봉철, 김봉기, 김덕봉, 김구봉은 보도연맹원으로 몰려서 한국 전쟁 중 처형되었다.

중앙학교 재학 중 김원봉은 김약수(본명 김두전)·이여성(본명 이명건) 등과 교류하였다. 중앙중학교를 먼저 졸업한 김두봉, 윤치영과 나중에 졸업하게 된 무정 등을 만나 친분관계를 쌓는다. 1916년경성 중앙중학교를 졸업한 뒤 중국으로 망명 후 상해에 있는 예관 신규식을 찾아가서 항일 비밀결사체인 동제사에 가입하였으며 신규식의 도움으로 금릉대학에서 수학을 하였다. 그리고 동제사의 지도를 받아서 의열단을 조직하여 항일 혁명 일선에서 활약하였다.

평안도 출신의 최석진이라는 사람의 딸과 결혼하였다.[5] 첫 번째 배우자가 사망한 후 독립운동가 박차정과 결혼하였다.[5]

1919년 11월 9일 길림성에서 양건호, 한봉근, 곽재기, 김옥 등과 회합하여 일본의 침략본거를 파괴할 것을 결의하고 의열단을 조직하여 의백에 취임, 국내의 기관 파괴, 요인암살 등 여러 차례 무정부주의적 항일 투쟁 활동을 벌인다. 단원은 김원봉, 양건호, 곽재, 김옥, 윤세위, 윤치형, 이성우, 강세우, 한봉인, 신철휴, 배동선, 서상락, 권준 등 13명이었다.(의열단 참고.) 이어 그는 공약 10조를 발표하였다.

  1. 천하에 정의로운 일을 맹렬히 실행하기로 한다.
  2. 조선의 독립과 세계 만인의 평등을 위하여 신명을 바쳐 희생하기로 한다.
  3. 충의의 기백과 희생정신이 화고한 자라야 단원이 될 수 있다.
  4. 단의를 우선하고 단원의 의를 급히 한다.
  5. 의백 1인을 선출하여 단체를 대표하게 한다.
  6. 어떤 시간, 어떤 곳에서든 매일 1차씩 사정을 보고케 한다.
  7. 어떤 시간, 어떤 곳에서든 초회에는 필히 응한다.
  8. 죽음을 피하지 아니하여 단의에 뜻을 다한다.
  9. 일이 구를 위하여 구가 일을 위하여 헌신한다.
  10. 단의를 배반한 자는 학살한다.

제거해야 할 대상으로는 조선총독부 총독 이하 고관, 주조선 일본군 주둔군 수뇌, 대만총독부 총독과 대만총독부 고관, 매국적, 친일파 거두, 적의 밀정, 반민족적 귀족 및 대지주를 설정하였다.

1924년 사회주의운동과 노동대중운동이 급격히 성장하는 추세에 편성하여 의열단 고위 간부 출신으로 국내 서울청년회의 유력한 성원이었다가 상해에 들어와 청년동맹회를 결성한 윤자영(尹滋英)에게 많은 젊은이들이 찾아갔고, 윤자영 등은 그의 노선을 비판하였으며 단원의 이탈과 자금의 부족으로 생활마저 궁핍한 지경에 다달아 의열단의 활동은 점차 쇠퇴하게 되었다. 그래서 1925년 2월 김원봉은 2월 20일과 21일 동아일보를 통해 민족주의 운동과 사회주의 운동이 합치되어야 함을 역설했다.

이후 의열단의 소수의 의열투쟁에 한계에 도달되자 1926년 황푸 군관학교에 4기로 입학하였다. '최림(崔林)'이라는 가명을 쓰고, 조선공산당재건동맹, 조선민족혁명당을 조직하여 활동했다.

1926년 10월 졸업과 동시에 국민혁명군 소위로 임관되어 황푸 군관학교 군관단에 배속되었다. 1935년 7월 민족혁명당을 조직하여 활동을 벌였지만 분열되었다. 민족혁명당의 노선과 당수 김원봉에 반대하는 공산주의자 최창익(최창석)은 1938년 6월 조선청년전위동맹을 창건하였다.[6]

1937년 조선총독부의 정보기관 보고에 의하면 김원봉은 자신의 자동차를 보유하고 있었으며, 임시정부보다는 장쉐량 일파에게 더 많은 자금을 받고 있었다고 보고하였다.[7][8] 1937년 7월 10일, 중화민국 정부의 초청으로 피서지이자 중국 고관들의 회의 장소인 난징 서쪽의 루산(蘆山)에 초대되었다. 루산에는 김구 등이 와 있었다. 초대에서 중국 정부측 대표자는 일본을 상대로 통일전선을 결성해야 한다고 설득하였다. 귀환하기 전 중국 정부 대표자로부터 자금을 지원받았다.[9] 1938년 10월 1일에는 조선의용대를 결성하고 대장이 됐다.

1942년 김원봉은 한국 광복군 부사령관이 되었다. 1942년 7월 중국 화북에서 조선독립동맹이 창설되자, 민족혁명당과 의용대의 대원들 일부는 김원봉의 곁에서 이탈하여 독립동맹으로 건너갔다.[10] 1943년 박차정은 총상 후유증으로 사망하였다.

1945년 12월 3일. 임시정부요인 귀국기념 사진.
광복 후 독립운동가이자 부인 박차정의 유해를 밀양에 안장하는 김원봉.

1944년 장준하를 영입하려 했으나, 거부당했다. 장준하는 '그가 미인계를 써서 현혹시키려 했다'고 비판하였다.

제1차 미소공위 환영 시민대회 집회에서. 왼쪽부터 김원봉, 허헌, 박헌영.

한편 김원봉은 조선의용대를 탈퇴하고 연안으로 떠난 동지들과 꾸준히 연락하였다. 이에 이범석은 '김원봉 일파는 자기세력 확충에 혈안이 되어 옌안(延安)과 내통을 하고 있다'고 비판하였다.[11]

1945년 1월 민혁당 중앙감찰위원장이었던 우강 최석순의 맏딸 최동옥(崔東玉)과 결혼하였다. 그리 하여 아들 김중근(金重根)을 낳았다.

1945년 12월 3일 임시정부 요인들과 함께 제2진으로 귀국하였다. 1945년 9월 8일 여운형 등을 중심으로 한 조선인민공화국의 군사부장으로 선임되었다. 그러나 조선인민공화국은 임시정부와 함께 미군정에 의해 부정되어 해산되었다.[12] 1946년 2월 조선공산당이 좌익 단결을 위해 민주주의민족전선을 결성했는데, 김원봉은 2월 14일 민주주의민족전선 중앙위원 및 5명의 공동의장에 선출되어 추대되어 활동하였다.

1946년 7월 19일 김원봉은 좌우합작을 지지하며 여운형을 도왔다. 1946년 7월 22일 박헌영이 민전 협의회 석상에서 좌우합작에 반대하며 5개항을 제시했다. 민전 회의에서 좌우합작에 참여 여부는 표결로 결정되었다. 박헌영은 다수결에서 패배하자 5개항을 지지할 경우 합작을 지지하겠다고 제의했다.[13] 그러나 김원봉은 여운형과 함께, 박헌영의 5개항에 반대하고 나섰다. 이들은 5개항 가운데 토지몰수 조항이나 행정권을 인민위원회에 이양하는 조항, 입법기구 수립 반대 조항은 곧 합작 반대로 비춰질 수 있으며 우익 측에서도 도저히 받아들일 수 없는 것이라며 수정을 요구했다.[13][14] 그러나 박헌영은 이를 듣지 않고 단독으로 5개항을 발표했다.

1947년 7월 좌우합작운동을 주도했던 여운형이 암살되자, 7월 25일 '광명일보', '노력인민' 등 좌익 계열의 신문들에 '여운형의 유지를 받들어 미소공위를 성공시키자'고 호소했다.[15]

1948년 4월 남북협상김구, 김규식, 박헌영, 리극로 등과 함께 남한 측 정치단체 대표의 한 사람으로 협상에 참여하였고, 그대로 북한에 남았다. 다만 월북 이전에 김원봉은 자신이 중경에서 활동할 때에 비서를 지냈던 사마로(司馬路)에게 '북조선은 그리 가고 싶지 않은 곳이지만 남한 지역의 정세가 너무 나쁘고 심지어 나를 위협하여 살 수가 없다'는 편지를 보내며 자신의 월북이 어쩔 수 없었음을 피력하기도 했다.

1948년 6월 29일부터 7월 5일까지 제2차 전조선 제정당사회단체 대표자 연석회의를 다시 개최하자 참여, 8월 25일 북쪽에서도 총선거를 실시할 것을 결의하였다. 그해 8월 북조선 최고인민회의 제1기 대의원이 되었고, 9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부 수립에 참여하여 내각 국가검열상이 되었다.[16]

김일성이 한국 전쟁을 일으키려 하자, 김원봉은 전쟁을 반대하였다. 남침하여 두 달의 빠른 시간 안에 점령할 병력이 충분치 않아 미군이 참전할 것이고 남북이 서로 이득없이 수많은 사람이 희생당할 것이라는 조언을 했으나 김일성은 듣지 않았고, 결국 전쟁이 발발하여 김원봉의 형제 4명과 사촌동생 5명이 월북자의 가족이라는 이유로 대한민국 국군에 의해 총살당했다. 그의 아버지 김주익은 외딴 곳에 유폐되었다가 굶어 죽었다.[17] 그 과정에서 동생 김봉철, 김학봉만이 살아남았다.

한국 전쟁 당시 군사위원회 평안북도 전권대표로서 후방에서 북한군의 군량미를 생산하는 일에 기여하여 1952년 3월 19일 '조국해방전쟁(한국 전쟁)에서 공훈을 세운 정권기관 지도일꾼'이라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부로부터 노력훈장을 수여받았다. 5월에는 국가검열상에서 해임되고 내각 노동상으로 임명되었다. 1957년 8월 최고인민회의 제2기 대의원에 선출되어 상임위원회 부위원장에 선출되었다.

1954년 1월 25일 남파 간첩단 4명이 체포되었는데, 조사 결과 이들은 김원봉의 직접 지휘 아래 대한민국의 경제 혼란 및 선거 방해를 목적으로 남파된 것으로 밝혀졌다. 이들은 한국 전쟁 당시 활동했다고 한다. 조국통일민주주의전선의 중앙위원 및 중앙위원회 상무위원직을 맡았으나 1956년 실각했다. 1958년 자신의 환갑을 기념하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부로부터 또 한 번 노력훈장을 수여받았다.[18] 1958년 10월 최고인민회의 상무위원 부위원장직에서 해임되었다.

이후의 생애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 없다. 1964년 대한민국으로 탈북한 조선로동당 자강도당선전부장을 지낸 김남식은 김일성 김영주 형제의 반 김일성 숙청에서 김원봉도 이 시기에 학살당했다고 말했다.[19]

사건

김원봉 등 수천 명이 학살되었다는 동아일보 1964년 1월 29일자 보도. 조소앙(趙素昻), 엄항섭(嚴恒燮), 청우당(靑友黨) 당수 김달현(金達鉉) 등도 학살되었다고 하였다.

월북

파일:Northkoreank1.jpg
1948년 9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초대 내각, 김원봉(뒷줄 오른쪽에서 두 번째 선글라스를 낀 사람).

김원봉은 1948년 4월 월북하였는데, 그의 월북에 대해서 김삼웅 전 독립기념관장을 비롯해 진보성향의 인물들은 친일파들의 탄압에 못이겨 월북하였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한편, 상해에서 김원봉과 대면한 황용주 전 MBC 사장은 김원봉의 월북에 대해 "민전이 흐지부지되고 좌우합작이 실패한 데 대한 실망에다 자기를 따르던 단원들이 거의 북쪽으로 돌아서 버린 점에 따른 동요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했던 것으로 보이며 또 약산은 북행하기 전 박헌영을 자주 만나는 눈치였다며 아마 그의 북행에는 박헌영의 끈질긴 권유도 크게 작용했을 것"이라고 추측했다.[20]

숙청

김일성8월 종파 사건을 계기로 김일성 독재 체제를 확립하기 위하여 김일성파를 제외한 당시 북조선 체제 내의 마르크스주의, 민족주의 계열 인사 등을 숙청하기 시작했다. 김일성은 1958년 2월 8일 조선인민군 제234군부대 현지지도 중 <조선인민군은 항일무장투쟁의 계승자이다>라는 연설에서 '항일'의 최종 목표에 대하여 규정하며 김원봉 및 기타 민족주의 계열 인사들을 반체제적 인사로 규정하였다.


«의병대»라든지, «조선독립군»이라든지, «의열단»이라든지 하는 것들이 있었지만 이것은 순전히 민족주의적인 군대였으며 지주, 자산계급의 리익을 옹호하는 군대였습니다.

[21]

북한의 김일성 정권은 1955년부터 자신의 체제를 정당화하기 위한 핵심적인 정치 담론으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건국 초기 강조되었던 민주주의[22]를 폐기하고 스탈린 독재 방식으로 왜곡된 사회주의 담론을 유포시켰다. 북조선이 사회주의 노선으로 전진해나간다고 규정함으로 인하여 김원봉과 같은 민족주의계열 항일 인사들은 실각되어 영향력을 잃게 되었다.

김원봉은 1956년 8월 종파 사건을 계기로 조국통일민주주의전선 중앙위원 및 중앙위원회 상무위원직에서 해임되었고, 1958년 10월 최고인민회의 상무위원 부위원장직에서 해임되어 모든 정치적 지위를 상실했다. 그 이후 탈북을 시도했지만 결국 체포되고 만다.

인물평

운암 김성숙은 그를 가리켜 '약산은 좋은 사람이요, 능력은 별로 없는 사람이지만 사람은 굉장히 좋아요. 혁명 지조가 있는 사람이고, 그러나 학식은 없다. 또 그를 가리켜 '굉장한 정열의 소유자였습니다. 동지들에 대해서도 굉장히 뜨거운 사람이었지요. 그는 자기가 만난 사람을 설복시키고 설득시켜 자기의 동지로 만들겠다고 결심하면 며칠을 두고 싸워서라도 모든 정열을 쏟아서 뜻을 이뤘지요. 그렇기 때문에 동지들이 죽는 곳에 뛰어들기를 겁내지 않았던 것이 아닙니까? 그만큼 남으로 하여금 의욕을 내게 하는 사람이었습니다. 그것이 김원봉의 가장 큰 능력이었습니다.'[23]라고 평하였다.

김원봉은 베이징텐진, 상하이를 오가며 의열단 등의 활동을 지도, 지휘하였다. 그는 냉정한 성격이었고, 개인주의적이었다. 아리랑김산에 의하면 '그는 냉정하고 두려움을 모르는 고전적인 유형의 테러리스트였으며 개인주의적인 사람이었다'고 한다. 다른 사람들은 잘 어울려 다녔지만 청년기 이후의 김원봉은 김약수, 이여성, 김두봉 등 소수를 제외하고는 별로 친하게 어울리지 않았다.

의열단의 동지였던 김성숙조선의용대김학철, 최재 등의 증언에 의하면 그는 굉장한 정열의 소유자였고 동지들에 대해서는 신뢰를 저버리지 않는 사람이라 한다. 그는 말을 할 때 목청을 높이지 않고 차분하게 말하였으며, 낯을 붉히거나 음성을 높이지는 않았지만 듣는 사람에게 와닿는 말을 하였고, 담담한 가운데 듣는 사람으로 하여금 열정을 느끼게 했다 한다.

논란과 의혹

부인의 성병 사망 논란

그는 언제나 조용히 지냈고 운동에도 잘 참여하지 않았으며 주로 혼자 사색하였다. 김산이나 김성숙 등에 의하면 그는 대부분 거의 말이 없었고 웃는 법이 없었으며, 도서관에서 주로 독서를 하거나 홀로 사색을 하며 시간을 보냈다고 한다. 또한 그는 미남형인데다가 깔끔한 외모를 가졌기 때문에 여러 아가씨들이 그를 좋아하였지만 그는 아가씨들을 멀리하였다.

그가 화류계에 자주 출입했다는 증언도 있다. 정화암은 그가 화류계에 출입했고 이때 얻은 병 때문에 아내가 죽었다고 증언하였다.

정화암에 의하면 '영웅호색이라고, 김원봉이가 원래 호색을 했거든요. 그래서 화류병에 만신창이였지요. 그래서 그 부인(첫 번째 아내)이 완전히 성병으로 세상을 떠나게 됩니다.김두봉의 조카딸(박차정)도 마찬가지입니다." 라고 증언하였다.(다만 정화암은 약산에게 있어서 극히 반하는 자로써 그의 주장이 옳은지에 대해서는 확실히 알 수 없다.)

공산주의자 논란

평소 김원봉에게 적개심을 갖고 있던 민필호는 '교활한 공산주의자'라고 비난하였다.인용 오류: <ref> 태그를 닫는 </ref> 태그가 없습니다'고 했다. 광복군 편입을 거절하고 버티던 일본군 출신 부대의 책임자 격으로 있던 황모에게 김원봉이 직접 이소민을 파견, 광복군 제1지대로 끌어들일 공작을 했다[24] 는 것이다.

또한 장준하는 '김원봉이 열심히 임정광복군에 대한 불신작용을 일본군 출신 부대에 가했다.[24]'고 진술했다.

암살과 강등 의혹

그의 최후에 관해서 여러 가지 설은 있다. 일본인 학자 가지무라 히데키(梶村秀樹)는 '명예로운 은퇴를 했다'고 했고, 다른 설에 의하면 1958년 11월에 총살당했다고 한다. 대한민국에 간첩으로 남파되어 활동하다 전향한 소정자 등은 '강등되어 지방에 배치되었다'고 하였다. 또한 1958년 11월 임정 파벌과 중국계열, 소련파 숙청의 틈바구니에서 '국제간첩' 혐의로 투옥후 처형 되었다는 설이 있다.

조선의용대원 출신 김학철은 자살설을 제기했다. 그에 의하면 김원봉에게 국제간첩 혐의를 뒤집어씌운 것은 사실이며, 혹자는 약산이 대동강에 투신하였다고도 하지만, 자신이 알고 있기로는 체포된 뒤 감옥에서 자살하였다고 한다.

황포탄 오발 사고

1922년 말 새로운 구상을 하고 있던 김원봉은 우연히 일본 제국 육군대장 다나카 기이치상하이에 올 것이라는 정보를 입수했다. 그냥 넘어갈 사항이 아니라고 판단한 김원봉은 즉시 상하이에 머물고 있는 동지들을 소집하여 다나카를 암살할 방안을 구하였다. 동시에 의열단의 활동에 있어 자금 부족과 단원들의 생계 문제와 무기 구매 문제를 논의했다. 다나까 암살 작전에 김익상, 오성륜(吳成崙), 이종암은 서로 자신이 가겠다고 자원했고 그는 오성륜을 보내려고 했으나 다른 두 명이 양보하지 않아 모두 보냈다. 내심적으로는 오성륜을 보내고 싶었으나 이종암과 김익상 두 동지가 절대로 양보를 하지 않겠다고 하니 약산은 마침내 세 동지 모두를 이번 거사에 내 보내기로 작정하였다.

"김익상 동지와 이종암 동지는 이미 국내에서 활약이 컸소. 그러니 이번일은 오성륜 동지가 선두에 서면 어떠하겠는가 생각하는데. ...(이하 중략) ... 첫 번째로 오성륜 동지는 상해에서, 두 번째로 김익상 동지는 남경에서, 세 번째로 이종암 동지가 천진에서 결행을 한다면 그놈이 무슨 재주로 우리들의 총구를 빠져나가겠소"라고 약산이 말했다. 그의 제안이 그럴 듯 하였으나 김익상과 이종암이 서로 먼저 상해를 맡겠다고 우기는 통에 한동안 왈가왈부 하다가 결국엔 약산의 안을 따르기로 하고 사용할 무기와 복장 등을 점검하며 거사 일자만 기다리고 있다가 갑자기 일정이 변경되었다는 신문기사를 접했다. 다나카가 상하이에 오기는 오는데 당초 예정된 대로 3월 28일 오후 3시 30분에 왔다가 남경과 천진, 북경은 들르지 않고 바로 일본으로 돌아간다는 것이었다.

다시 동지들을 모아 논란 끝에 순서는 그대로 하되 거사 장소만 바꾸었다. 오성륜은 배에서 내려 부두로 걸어 나올 때, 김익상은 부두에서 나와 자동차에 오르려 할 때, 그리고 이종암은 격려의 의미로 따라 갔다가 적당한 기회에 거사하기로 했다. 그러나 3월 28일 오전 뉴스에서 다나카의 방문계획이 약간 변경되었다는 보도가 나왔는데, 부두로 오지 않고 배가 상해 황포탄 세관앞 공공마두로 온다는 것이다.

1922년 3월 28일 오성륜, 김익상, 이종암 세 사람은 저마다 정해둔 자리에 은신, 배가 도착하여 부두 사이에 잔교(棧橋)가 걸쳐지고 승객들이 차례로 상륙했다. 이들은 잔교를 내려오고 있는 사람들을 일일이 지켜보던 이들 중 오성륜은 군중들 틈에 끼여 서서 군복을 입은 다나카를 찾아 권총 세 발을 쏘았으나 뒤에서 빨리 뛰어나오던 브라질계 미국인 부인이 맞고 절명했다.[25] 오발 사고 직후 김익상은 맞지 않았다고 소리쳤으나 오성륜은 흥분하여 조선독립만세를 외쳤다. 김익상은 뛰어가는 다나카를 저격했으나 모자에 구멍이 났고, 수류탄을 던졌으나 안전핀을 뽑지 않고 던져서 맞추지 못했다. 폭탄은 배 카리슬 호의 승무원이 몽둥이로 쳐서 바다로 밀어넣었다. 이들은 한구로 방향으로 도망치던 중 교차로를 건널 때 누군가를 향해 한 발을 발사했다. 이들은 규강로를 질주하다가 다시 한구로로 도망쳤는데 사천로에서 군중들이 추적하자 다시 남쪽으로 달아나던 중 영국 경찰 시크인의 추적을 받았다.

대한민국 서훈 및 유공자 지정 논란

김원봉은 독립운동 활동을 한 인물이기는 하였지만, 광복 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괴뢰 공산당 정권 수립에 기여하고 최고위직에 올랐던 인물이라는 이유로 현재까지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서훈 및 유공자 지정을 받지 못하고 있다. 대한민국 서훈 여부는 일본 제국에 항거하여 애국심을 고취하였거나 3·1 운동 등에 참여한 이력 등이 있는 사람을 대상으로 서훈 여부 및 승인을 가리게 되는데 이 중에서 친일반민족 행위자는 물론 친북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권에 기여하였던 인물의 경우 국가보안법 및 국민정서 등을 고려하여 서훈 대상에서 제외되고 있다. 다만 김원봉의 경우 일제의 침략에 맞서 싸웠다는 이력이 있는 점이 있지만 광복 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권 수립에 기여하고 상훈 수여 이력까지 있어서 국가보안법과 국민정서에 있어서 위배되는 내용이 있다는 점 때문에 현재까지 서훈 여부가 논란이 되고있다. 2019년 3월 피우진 대한민국 국가보훈처장은 비록 김원봉이 광복 후 친북에 기여한 점은 있으나 이전에 독립운동 이력을 토대로 서훈도 가능하다고 입장을 밝혔다.[26][27]

그러나 피우진 처장의 이 같은 입장에 대해서 자유한국당은 친북 인사를 대한민국 유공자로 지정하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며 피우진 처장의 사과와 관직 사퇴를 요구하고 있다.[28] 자유한국당은 김원봉은 해방 후 김일성의 앞잡이로 암약했고 동시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권 수립에 기여하였던 친북 인사이기 때문에 이런 인물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서훈을 해도 된다고 논평하였다.[29] 나경원 자유한국당 원내대표도 김원봉은 골수 공산주의자이기 때문에 김원봉의 대한민국 서훈 및 유공자 지정을 반대하였으며 같은 당의 심재철 국회의원도 이에 반대하는 입장을 밝혔다.[30]

대한민국 재향군인회도 성명을 내고 김원봉은 김일성이 수립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권수립에 앞장섰던 자이기 때문에 대한민국 유공자 지정은 안 된다는 반대입장을 밝혔다.[31]

한편 박광온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은 트위터를 통해서 약산 김원봉 선생의 평가는 온전히 이뤄져야한다는 입장을 밝혔다.[32]

김원봉의 외조카인 김태영씨는 언론 인터뷰에서 자유한국당과 나경원 원내대표의 발언은 사자(死者) 명예훼손죄와 동시에 극우세력 결집을 위한 망언이라고 주장하였고 삼촌은 생전에 오직 민족을 위해 독립운동을 하였던 사람이었다고 평가하였다.[33]

2019년 6월 6일 문재인 대통령의 현충일 추념사를 두고 일각에서 김원봉을 재평가하고 서훈대상자로 삼아야 한다는 주장을 내놓으면서 정치권에 논란이 확산되었다.[34] 한편 6월 10일 청와대는 약산 김원봉의 서훈 여부에 대해서 현재로서는 국가보훈처의 독립유공자 포상심사 조항상 불가능하다는 입장을 밝혔으며 서훈 추진 여부도 하지 않는다고 밝혔다.[35][36]

피우진 처장의 후임으로 취임한 박삼득 국가보훈처장은 현재로서는 약산 김원봉에 대한 서훈 추서 계획이 없으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권 수립에 기여하였던 인물이기 때문에 법적 기준을 변경해도 서훈 추서 계획은 없을 것이라고 입장을 밝혔다.[37][38]

상훈

가계

남에서 가족들 중 남동생들은 모두 보도연맹 사건으로 살해당한 것으로 알려져 있었으나 김봉철(1918 - 1986)은 당시 생존하였다. 이복동생 김봉철은 4.19혁명 당시 동생들의 죽음에 대한 진상규명을 요구하는 밀양피학살자조사대책위원회에 참여하였다. 이후 이를 근거로 박정희 정권 하에서 옥살이를 하다 1986년 사망하였고 대법원에서 재심결정 및 무죄를 판결받았다.[39] 김원봉의 여동생 김학봉은 대한민국에서 생존해 있었으나 2019년 2월 24일 별세했다. (수 90세)

  • 부친: 김주익
  • 생모: 이경념
    • 부인: 최석진의 딸
    • 부인: 박차정
    • 부인: 최동선
      • 아들: 김중근
      • 아들: 김철근
    • 동생: 김경봉
  • 계모: 천연이
    • 이복 여동생: 김복잠
    • 이복 동생: 김봉철
    • 이복 동생: 김봉기
    • 이복 동생: 김덕봉
    • 이복 동생: 김구봉
    • 이복 여동생: 김학봉
  • 계모: 박순남
    • 이복 동생: 김춘봉
    • 이복 동생: 김용봉
    • 이복 동생: 김익봉

기타

무장독립투사! 붉은 전사! 약산 김원봉 https://www.youtube.com/watch?v=kycjalsMwAs

대중문화의 작품

뮤지컬

  • 《약산 아리랑》

드라마

영화

각주

  1. “[김원봉 서훈 논란②] 약산 김원봉은 北노동당 핵심 권력자?…오해와 사실들”. 2019년 4월 21일에 확인함. 
  2. 어마어마한간첩단체포 김원봉이직접지휘 1954년 1월 26일 경향신문
  3. “탈북민이 증언한 숙청 연안파의 최후”. 2017년 1월 1일. 2019년 4월 21일에 확인함. 
  4. 박일훈 (2014년 4월 21일). '빨갱이 두목' 김원봉, 왜 청산가리를 먹었나”. 《오마이뉴스. 2018년 4월 8일에 확인함. 
  5. 김학준, 《혁명가들의 항일 회상》 (도서출판 민음사, 2005) 244
  6. 시대의창 편집부, 《중국항일전쟁과 한국독립운동》 (김승일 역, 시대의창, 2005) 149페이지
  7. 이정식, 《대한민국의 기원》(일조각, 2006) 71페이지
  8. 사상휘보 제14호(1938.3)(조선총독부고등법원사상부, 1938) 219~222페이지
  9. 이정식, 《대한민국의 기원》(일조각, 2006) 70페이지
  10. 이종석 《조선로동당연구(역비한국학연구총서 7)》 (역사비평사, 2006) 234페이지
  11. 장준하, 《돌베개》 (도서출판 세계사, 2005) 291페이지
  12. 강준만, 한국현대사산책 1940년대편 1권 60쪽
  13. 강준만, 《한국현대사산책》〈1940년대편 2권〉(인물과사상사, 2004) 285쪽.
  14. 브루스커밍스, 한국전쟁의 기원 (김자동 역, 일월서각) 331페이지
  15. 강준만, 《한국현대사산책》〈1940년대편 2권〉(인물과사상사, 2004) 51~52쪽
  16. “김일성내각 組閣을 완료”. 경향신문. 1948년 9월 11일. 1면. 
  17. 김삼웅, 약산 김원봉 평전 584쪽, 시대의창 2008년
  18. 이우탁《김구, 장보고, 앙드레김》(이우탁, 출판사 동아시아, 2006) 144페이지
  19. 김원봉)등수천명)을학살 1964.01.29 동아일보 7면
  20. 의열단 창설한 항일무장투쟁의 "상징" 1990년 6월 22일 한겨레
  21. 《김일성선집》제5권 (평양:조선로동당출판사, 1960) p.310
  22. 전미영 교수의 분석 결과, '민주주의'가 언급된 담화 횟수가 1947년 31회, 1948년 22회, 1949년 13회였던 데 반해 '마르크스-레닌주의'가 언급된 담화 횟수는 각각 5회, 7회, 7회에 지나지 않았다. 이 3년간의 연설에서 '공산주의'를 언급한 담화 횟수는 전혀 없다.
  23. 김학준, 《혁명가들의 항일 회상》 (도서출판 민음사, 2005) 101
  24. 인용 오류: <ref> 태그가 잘못되었습니다; dolbaegae328라는 이름을 가진 주석에 텍스트가 없습니다
  25. "田中大將에게 爆彈; 이십팔일 오후 상해부두에서 조션인이 폭탄으로 암살코자, 犯人二名 現場逮捕", 동아일보 1922년 03월 30일자, 3면 7단
  26.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25&aid=0002894573
  27.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448&aid=0000270298
  28.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18&aid=0004339360
  29. http://www.mediapen.com/news/view/424005[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30.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47&aid=0002221743
  31.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52&aid=0001250593
  32. https://twitter.com/parkkwangon/status/1110798896509284352
  33. “보관된 사본”. 2019년 4월 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4월 9일에 확인함. 
  34. https://n.news.naver.com/article/079/0003236460[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35.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32&aid=0002944949
  36.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422&aid=0000378622
  37. “보관된 사본”. 2019년 8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8월 22일에 확인함. 
  38.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1&aid=0011033388
  39. 반세기만에 ‘친북 누명’ 벗은 독립투사 동생 2010-07-14 한겨레

참고 자료

전임
(창설)
제1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국가검열상
1948년 9월 ~ 1952년
후임
리승엽
전임
허성택
제2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노동상
1952년 5월 ~ 1958년 11월
후임
-
전임
리승엽
제3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국가검열상
1953년 8월 ~ 1955년
후임
리효순
전임
홍명희
리극로
제3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부위원장
1957년 9월 ~ 1958년 10월
후임
홍명희
리극로
박금철
전임
홍명희
리극로
제3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국가부수반
1957년 9월 ~ 1958년 10월
후임
홍명희
리극로
박금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