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군
일본군 | |
Imperial Japanese Armed Forces | |
![]() 육군기 | |
![]() 해군기 | |
국적 | ![]() |
---|---|
창립일 | 1871년 ~ 1945년 |
후신 | 자위대 |
편제 | 일본 제국 육군(관동군·남방군·조선군) 일본 제국 해군 |
충원방식 | 징병제 |
징집 연령 | 20 ~ (3년제) |
지휘체계 | |
본부 | 육군청: 도쿄 부 우시고메 구(현 신주쿠구) 해군청: 도쿄 부 고지마치 구(현 지요다구) |
통수권자 | 메이지 천황(1871-) 다이쇼 천황 쇼와 천황(-1945) |
군사비 | |
방위산업 | |
함께 읽기 | |
관련정보 | 제2차 세계 대전 태평양 전쟁 러일전쟁 전쟁 범죄 위안부 |
일본군(일본어:
일본 천황에게 대권을 돌려준 대정봉환(1867년)에 사츠마, 조슈 번의 이러한 신식 군대 체계를 핵심으로 하는 군대가 생기게 되었으며, 옛 막부의 군대와 싸울 때 그 정당성을 내세우기 위해 황군(皇軍)으로 불렀다. 이후 일본의 근대화에 따라 해군과 육군은 발전을 하였으며 러일전쟁, 청일전쟁 그리고 제1차 세계대전 등을 통해 강대국 규모의 군사력을 갖게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이 벌어져 1940년 프랑스가 독일에 무릎을 꿇자 독일 점령하의 프랑스의 비시 정권이 임명한 장 드쿠(프랑스어: Jean Decoux) 장군의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정부는 일본과 협력하여 일본군의 베트남 주둔을 허용하는 조약에 서명하여[1] 일본군이 베트남에 주둔하게 되었다. 이어 진주만 기습으로 태평양 전쟁을 도발하여 미국과 싸웠으나 두 차례의 원자 폭탄을 맞은 후 무조건 항복하였다. 이에 따라 1945년에 해산되었다.
1945년의 패전 이후 현재까지 일본은 전쟁을 포기하며, 평화를 희구한다는 헌법 9조가 포함된 평화 헌법에 따라 군대의 보유가 금지되어 있다. 1954년 7월 1일 자위대법에 의해 통합, 개칭된 자위대는 교전 등 전투행위가 금지되어 있으나 사실상의 현대 일본의 군대이다. 긴급 사태나 임무 유엔이나 미국의 지시로 오늘날의 현재는 활동이 가능한 상태이다.
구성[편집]
육군은 독일 제국을. 해군은 대영제국을 본따 창설하였으며, 당시에는 공군이 독자적인 개념으로 따로 존재하지 않았기에 대신 각 군은 항공대(航空隊)를 따로 보유하고 있었다. 이들은 육군이 자신들의 함선을 독자 건조하였을 정도로 서로의 대립이 심해 통합작전을 수행하기 어려웠다.
같이 보기[편집]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 태평양 전쟁
- 삼광작전(三光作戰, en:Three Alls Policy)
- 통수권
- 쇼와 천황
- 쇼와 천황의 전쟁책임
- 대동아공영권
- 팔굉일우
- 신주불멸
- 자위대
- 대만인 일본병
- 남방작전(ja:南方作戦)
- 엘우드 포격(en:Bombardment of Ellwood)
- 잠수 항모(en:Submarine aircraft carrier)
- 다나까체 - 일본군의 군대어에서 유래. 일본군의 군대어는 모든 어미를 다 (だ)와 카 (か)로 끝내게 하고, 자신을 나타내는 표현도 오레, 와타쿠시 (私), 지분 (自分)만을 쓰게 하였다.
- 일본의 병역 제도
각주[편집]
- ↑ 메이슨 플로랜스, 버지니아 젤러스 (2003년 11월 17일). 《론리플래닛:베트남》. 책임감수 최하나 초판. 서울: 인그라픽스. 19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