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송해
Songhae.png
송해(2019년)
출생1927년 4월 27일(1927-04-27)
일제강점기 조선 황해도 재령군
사망2022년 6월 8일(2022-06-08)(95세)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도곡동
국적대한민국
활동 기간1955년 ~ 2022년
학력해주예술전문학교 성악과(중퇴)[1]
배우자석옥이(1934년~2018년)
가족사위 김학수, 양희천
외손주 양정우, 김혜림, 양정하
웹사이트송해 - 한국영화 데이터베이스 위키데이터에서 편집하기

송해(宋海, 1927년 4월 27일~2022년 6월 8일)는 대한민국가수, 희극 배우이자 방송인이자, 황해도 재령군 출신의 실향민이기도 했다.[2] 음악 경연 TV 프로그램 《전국노래자랑》의 진행을 34년간 맡아서 사회자(TV presenter)로 활동했다.

대한민국의 최고령 가수, 희극 배우1955년 창공 악극단으로 데뷔한 이래 2022년 95세로 고인이 될 때까지 현역으로 활동하였다.[3][4] 2022년 6월 8일 오전 8시 30분경 서울 도곡동 같은 아파트 위층에 사는 딸에 의해 자택 화장실에서 쓰러진 채 발견되었고, 긴급 출동한 소방대원에 의해 현장에서 사망이 확인된 이후 병원으로 이송되었다. 오전 8시 45분, 병원에서 사망이 공식 확인되었다. 송해는 올해 들어 1월과 지난달 건강 이상으로 병원에 입원했으며, 지난 3월에는 코로나-19에 확진되기도 했다. 6월 10일 서울대학교병원에서 영결식을 마치고 종로구 낙원동 송해길, KBS를 거쳐 경북 김천시 소재의 화장장에서 화장된 후, 고인의 유해는 대구광역시 달성군 옥포읍 기세리 546(송해공원 인근)에 안장되었다.

최근에는 건강상 이유로 '전국노래자랑' 하차를 고민하기도 했고, 제작진과 스튜디오 녹화로 방송에 계속 참여하는 방안 등을 논의해왔으나 이후 야외 녹화로 프로그램 제작 일정이 정해지면서 임시 하차 후에 다시 진행하는 방향으로 변경되었다. 하지만 야외 녹화를 시작한지 얼마되지 않아 단독 MC였던 송해의 갑작스러운 별세로, 진행자가 정해질 때까지는 당분간 작곡가 이호섭과 KBS 아나운서 임수민의 더블 새로운 MC 체제로 프로그램이 편성되었다.

학력[편집]

  • 해주예술전문학교 성악과
  • 평양 국립음악학교 성악과

생애[편집]

1927년 4월 27일 황해도 재령군 재령면에서 출생했으며, 본관은 은진 송씨이다. 1949년 해주예술전문학교 성악과에 입학해 공연을 시작으로 노래를 시작했다. 1950년 6월 한국 전쟁이 발발했고, 이듬 해 1.4 후퇴 당시 미군의 탈출선을 타고 월남했다. 송해는 당시 인민군의 징집을 피해 몇 차례씩 동네 산자락으로 올라가 피신으로 돌아가는 생활을 반복했는데, 3번째로 피신했을 때 상황이 악화되어 집으로 돌아가지 못하고 그대로 남쪽으로 향하는 탈출선에 오르게 되었다. 송해의 모친은 집을 떠나는 송해에게 "얘야, 이번에는 조심하렴" 이라는 말을 남겼는데 이는 모친과 나눈 마지막 대화가 되고 말았으며, 송해는 2015년 발표한 노래 <유랑청춘>에서 이 때의 이야기를 바탕으로 한 가사를 실었다. 탈출선을 타고 내려오며 지금의 '송해'(宋海)라는 예명을 지었는데 월남 과정에서 타고 있던 선박 안에서 바다를 바라보며 넓은 바다와 같은 세상을 품겠다는 마음을 갖고 지은 이름이라고 한다.[5]

부산에 도착한 송해는 대한민국 국군에 입대하여 휴전 때까지 통신병으로 복무했으며 1953년 7월 27일 체결된 한국 군사 정전에 관한 협정통신문을 모스 부호로 전송하는 역할을 담당했다.[6] 대구 달성공원에서 복무할 당시 군대 선임의 소개에 의하여 부인 석옥이 여사를 처음 만났고, 이듬에 결혼하였다.

제대한 직후인 1955년 창공악극단에서 가수로 정식 데뷔했으며, 1963년 영화 《YMS 504의 수병》에 단역으로 출연하며 영화 배우로 데뷔했다. 이 후 1960년대 후반부터 코미디 프로그램에 출연하며 방송 MC로 전환해 활발한 활동을 펼치며 인기를 얻었다. 구봉서, 배삼룡, 이주일, 남성남 등과 함께 1970~1980년대 각종 코미디 프로그램과 방송 MC로 활동하였으며 1970년대까지는 TBC에서 활동하다가 1980년 언론통폐합 조치로 TBC가 강제 폐국된 이후에는 KBS 2TV로 넘어와 활동하였다.

송해는 TBC와 KBS 라디오에서 교통 라디오 방송 <가로수를 누비며> 를 1972년부터 1989년까지 17년동안 진행했다. 그러던 1986년, 자신의 외아들 송창진이 한남대교(당시 제3한강교)에서 오토바이를 운전하다 교통사고로 사망하며 큰 충격을 받아 잠시 방송 활동을 중단하였으며 <가로수를 누비며> 진행 역시 3년 뒤인 1989년 완전히 하차하게 된다.[7] 송해는 이 때의 충격으로 평생 한남대교 근처로는 지나다니지 않았으며 <가로수를 누비며> 진행자 자리에서 내려온 이유 역시 아들의 죽음 이후 기사들의 안전 운전을 독려하는 교통방송을 진행하는데 정신적으로 스트레스를 느꼈기 때문이라고 밝힌 바 있다.

전국노래자랑 진행[편집]

송해는 1988년부터 KBS 1TV 전국노래자랑을 진행해왔다. 1988년부터 별세하기 22일전인 2022년 5월까지 총 34년을 진행하였으며, 1994년 봄 개편으로 잠시 진행을 중단한 6개월을 제외하면 연속 진행으로는 총 27년동안 MC로 출연하였다. 1994년 KBS 봄 개편 당시 잠시 송해가 하차하고 KBS 아나운서 김선동으로 MC로 교체된 적이 있었는데, 시청자들의 항의와 이로 인한 시청률 하락으로 6개월 뒤인 1994년 10월 다시 송해가 복귀해 진행하였다. 전국노래자랑은 로스앤젤레스, 도쿄, 베이징, 뉴욕, 런던 등 해외에서도 여러차례 공개방송을 가졌으며 특히 대한민국에서 항공편으로 27시간이 걸리는 파라과이에서 공개방송을 진행해 화제가 되기도 했다.

2003년, 송해는 평양에서 전국노래자랑 특집 <평양노래자랑>에 출연했다. 1952년 월남한 이후 51년만에 방북길에 오른 것이었는데, 당시 북측에서는 송해의 월남 이력을 문제 삼아 체류 비자를 내주지 않아 기획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었다. 당시 조선중앙TV 아나운서 전성희하고 함께 진행하였으며 송해는 마지막 곡으로 <다시 만납시다> 가 합창으로 흘러나오자 눈물을 보이기도 했다.

송해는 방송을 마친 이후 뒷풀이 자리에서 자신의 고향 재령에 대한 이야기를 꺼냈는데, 만찬에 동석한 보위원이 "시간이 오래 흘러 거기 안 계신다" 라는 말을 했다. 이 때 송해는 자신이 월남한 지 52년의 세월이 흘렀음을 실감했으며, 더 이상 모친을 만날 수 없다는 사실을 깨달았다고 한다. 그는 고향인 황해도 재령군에서 전국노래자랑 녹화를 하고 싶다는 의향을 여러 차례 밝혀왔으나, 결국 그가 고인이 될 때까지 그 뜻을 이루지 못했다.

90세가 넘은 고령으로 2010년대까지 전국노래자랑을 진행하며 야외 녹화까지 무리 없이 소화하였으나, 2020년부터 코로나19로 인해 야외 녹화가 중단되어 스튜디오에서 스페셜 방송으로 녹화를 이어나갔다. 2022년 5월 23일, 그는 최고령 TV 음악 경연 프로그램 진행자(Oldest TV music talent show host)로 기네스북에 올랐다.[8] 그후, 송해의 건강도 악화되면서 결국 2022년 5월, 제작진에게 더 이상 진행이 힘들다며 하차 의사를 밝히기도 하였다.[9]

타계[편집]

2022년 6월 8일 서울특별시 강남구 도곡동 자택에서 타계했다. 자택의 욕실에서 갑작스러운 낙상으로 쓰러져 타계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6월 10일, 서울 종로구 서울대학교병원 장례식장에서 거행된 영결식에서 엄영수 방송코미디언협회장은 "선생님은 '전국 노래자랑'에서 출연자와 그냥 대화만 하신 게 아닙니다. 선생님이 거친 그곳들은 재래시장이 되고, 무·배추밭이 되고, 화개장터가 됐습니다. 모두가 춤추고, 노래하고, 흥겹게 노는 자리를 깔아주신 우리 선생님은 할아버지·할머니를 청춘으로, 출연자를 스타로 만드는 마술사였습니다."라며 고인의 업적을 기렸다.

윤석열 대통령은 송해의 별세 소식을 듣고 매우 안타까움을 표시하며 박보균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을 보내 조문을 하였다. 이어 문화예술인 최고 훈장인 금관문화훈장을 추서했다.

이용식은 "이곳에서 전국노래자랑을 많은 사람과 힘차게 외쳤지만, 이제는 수많은 별 앞에서 '천국 노래자랑'을 외쳐달라"며 "선생님이 다니시던 국밥집, 언제나 앉으시던 의자가 이제 우리 모두의 의자가 됐다. 안녕히 가시라"고 작별인사를 전했다. 고인의 영구는 후배 희극 배우 최양락, 양상국, 조문식, 유재석, 강호동 등이 운구를 맡았다.

종로구 낙원동 송해길을 거쳐 KBS 본관 앞에서 노제가 거행되었고, 김의철 사장은 "송해 선생님, 들리십니까. 대한민국 전국 공원에서, 널따란 운동장에서 '전국노래자랑'의 딩동댕 소리가 울렸습니다"라며 "선생님의 작은 거인 같은 모습이 아직도 생생하고, 국민들과 웃던 그 장면이 주마등처럼 스쳐 지나갑니다. 부디 세상의 모든 걱정을 내려놓고 편히 영면하소서"라며 고인을 추모했다.[10]

고인의 유해는 경북 김천에서 화장되어 대구 달성군 송해공원에서 부인 석옥이 여사 곁에 안장되었다.

출연작[편집]

TV[편집]

특별출연[편집]

예능[편집]

영화[편집]

  • 1963년 《YMS 504의 수병》
  • 1966년 《요절복통 007》
  • 1968년 《남자 미용사》
  • 1968년 《단벌 신사》
  • 1968년 《어머니는 강하다》
  • 1969년 《남편》
  • 1969년 《내 팔자가 상팔자》
  • 1969년 《신세 좀 지자구요》
  • 1969년 《특등비서》
  • 1970년 《할아버지는 멋쟁이》
  • 1970년 《구혼 작전》
  • 1970년 《운수대통 일보직전》
  • 1986년 《방황하는 별들》
  • 2002년 《울랄라 씨스터즈》
  • 2003년 《동해물과 백두산이》
  • 2013년 《전국노래자랑

드라마[편집]

CF[편집]

  • 1970년 삼립식품(하이면)
  • 1970년 한국존슨(에프킬라)
  • 1985년 한스제약(까스파파)
  • 1985년 ~ 1993년 동국제약(인사돌)
  • 1986년 농심(새우깡)
  • 1987년 모나리자
  • 1992년 한화L&C(둥둥부자)
  • 2000년 ~ 2011년 명인제약(이가탄)
  • 2012년 IBK기업은행
  • 2013년 SK텔레콤(LTE-A)
  • 2013년 DTV코리아
  • 2013년 대농바이오영농조합법인 만품산삼가득 생 막걸리
  • 2015년 천년고수 상주곶감
  • 2015년 2015 괴산세계유기농산업엑스포
  • 2015년 나르지오
  • 2016년 동양화학 이끌림샤시
  • 2018년 우리관광
  • 2018년 편강한방연구소(구전녹용)
  • 2019년 달성군청
  • 2022년 야놀자

송해를 연기한 배우[편집]

예능[편집]

TV 드라마[편집]

뮤지컬[편집]

수상[편집]

  • 1987년 KBS 코미디 연기대상 특별상
  • 1999년 제6회 대한민국연예예술상 특별공로상
  • 2001년 한국연예협회 제8회 대한민국 연예예술상 대상 문화훈장
  • 2002년 MBC 명예의 전당
  • 2002년 KBS 연예대상 공로상
  • 2003년 제15회 한국방송프로듀서상 '진행자부문'
  • 2003년 제30회 한국방송대상 심사위원 특별공로상
  • 2004년 KBS 바른 언어상
  • 2008년 제44회 백상예술대상 공로상
  • 2009년 제2회 한민족문화예술대상 대중문화부문상
  • 2009년 제1회 대한민국 희극인의 날 자랑스러운 스승님상
  • 2010년 제16회 대한민국 연예예술상 남자 TV 진행상
  • 2010년 방송통신위원회 방송대상 특별상
  • 2014년 대한민국 대중문화예술상 은관문화훈장
  • 2015년 KBS 연예대상 베스트 커플상(with 조우종) 《나를 돌아봐
  • 2016년 제28회 한국PD대상 출연자상 TV 진행자 부문
  • 2022년 기네스북 등재 성공(최고령 음악 프로그램 진행자 부분, 만 95살)
  • 2022년 제49회 한국방송대상 심사위원 특별상
  • 2022년 KBS 연예대상 공로상

수훈[편집]

각주[편집]

  1. https://www.bbc.com/korean/news-61715050
  2. “송해 "혼란 있는데 난 1927년생.". 조이뉴스24. 2015년 1월 22일. 
  3. https://www.yna.co.kr/view/AKR20220608106900001?input=1195m
  4. https://www.khan.co.kr/culture/culture-general/article/202206080958001
  5. 인용 오류: <ref> 태그가 잘못되었습니다; 중앙일보라는 이름을 가진 주석에 텍스트가 없습니다
  6. 놀러와 300회 특집, 2010년 8월 2일 방영분
  7. 1965년부터 2001년까지 <가로수를 누비며> 교통전문 라디오 프로그램이었다.
  8.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1/0004057193
  9. https://www.mk.co.kr/star/broadcasting-service/view/2022/05/433134/
  10. https://www.yna.co.kr/view/AKR20220610011151005?input=1195m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