덕혜옹주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Lawinc82 (토론 | 기여)님의 2014년 5월 4일 (일) 00:37 판
덕혜옹주
이름
이덕혜
별호 복녕당 아기씨
신상정보
출생일 1912년 5월 25일(1912-05-25)
출생지 일제강점기의 기 일제강점기 경성부
사망일 1989년 4월 21일(1989-04-21)(76세)
사망지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국적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부친 고종
모친 귀인 양씨
배우자 소 다케유키
자녀 소 마사에
묘소 홍유릉

덕혜옹주(德惠翁主, 1912년 5월 25일 ~ 1989년 4월 21일)는 조선의 제26대 왕이자 대한제국의 초대 황제 고종귀인 양씨의 황녀이다. 덕혜라는 호를 하사받기 전까지 ‘복녕당 아기씨’로 불렸고, 1962년에 ‘이덕혜’로 대한민국의 국적을 취득하였다.[1]

일제강점기 조선 경성부 덕수궁에서 태어나 경성일출심상소학교에 재학 중에 일본의 요구에 따라 유학을 명분으로 도쿄로 보내져 여자학습원에서 수학하였다. 1931년에 옛 쓰시마 번주 가문의 당주이자 백작 소 다케유키와 정략 결혼을 하여 1932년에 딸 소 마사에를 낳았다. 1930년에 정신분열증 증세를 처음 보였으며 결혼 이후 병세가 악화되었다. 1946년부터 마쓰자와 도립 정신병원에 입원하였고, 1955년에 이혼하였다. 1962년에 대한민국으로 귀국하여 창덕궁 낙선재 내의 수강재에서 거주하다가 1989년에 사망하였다.[2] 유해는 경기도 남양주시 금곡동홍유릉 부속림에 안장되었다.

생애

출생

덕혜옹주는 1912년 5월 25일일제 강점기 조선 덕수궁에서 고종귀인 양씨 사이의 왕녀로 태어났다. 출산과 동시에 궁녀였던 양씨는 ‘복녕’(福寧)이라는 당호를 하사받아 귀인으로 봉해졌으며, 덕혜옹주도 ‘복녕당 아기씨’(阿只氏)라고 불리게 되었다.[3] 같은 해 7월 13일에 고종은 덕혜옹주를 복녕당에서 자신의 거처인 함녕전으로 데려 왔다.[4] 고종은 총 9남 4녀의 자녀가 있었지만 3남 1녀만이 성년이 될 때까지 생존하여 덕혜옹주가 유일한 딸이다.[5]

1916년 4월 1일에 고종은 덕혜옹주를 위하여 덕수궁 안에 유치원을 설치하도록 명하였고, 쿄구치 사다코(京口貞子)와 장옥식(張玉植)을 보모로 촉탁하였다.[6] 유치원은 준명당에 설치되었으며, 덕혜옹주는 귀족의 딸들과 함께 교육을 받았다.[7] 1917년 6월에 왕공족의 신분을 정식으로 인정받았다.[8]

고종은 덕혜옹주가 영친왕 이은처럼 볼모로 일본에 보내지거나 일본인과 정략 결혼을 하게 될 것을 염려하여 시종 김황진(金璜鎭)의 조카 김장한(金章漢)과 비밀리에 약혼을 계획하였지만 일본의 방해로 실패하였다.[9]

일본 유학

1919년에 고종이 승하한 후에도 덕수궁에 머물다가 고종의 혼전이 창덕궁으로 옮겨지자 1920년 3월 15일에 창덕궁으로 거처를 옮겼다.[10] 1920년 4월 1일부터 궁 내에서 심상소학교 1학년 과정을 3인의 학우들과 같이 교육 받다가[11] 1921년 4월 1일에 경성일출심상소학교 2학년으로 입학하였다.[12] 1921년 5월 4일에 ‘덕혜’라는 호를 정식으로 하사받았으며,[13] 일본 궁내성에 상신을 거쳐 옹주의 존칭을 이때부터 사용하게 되었다.[14] 1925년 정월에 이왕직 차관 고쿠분 쇼타로(國分象太郞)는 순종에게 덕혜옹주의 일본 유학이 결정되었음을 통고하였다.[15] 같은 해 3월 28일에 경성을 출발하여[16] 3월 30일에 도쿄에 도착하였고,[17] 4월 14일에 여자학습원(女子学習院) 중등과 2학년에 입학하였다.[18]

1926년 3월 3일에 덕혜옹주는 영친왕 내외와 같이 귀국하여 순종을 알현하였다가[19] 3월 11일에 도쿄로 돌아갔다.[20] 하지만 순종의 병세가 심각하다는 소식을 전달 받고 영친왕 내외와 4월 8일에 다시 경성으로 돌아왔다.[21] 순종은 4월 25일에 승하하였고, 덕혜옹주는 순종의 인산에 참석하지 못한 채 5월 10일에 도쿄로 돌아갔다.[22]

1929년 5월 30일에 모친 귀인 양씨가 사망하자[23] 6월 2일에 귀국하지만 귀인 양씨가 《왕공가궤범》에 따라 귀족에 포함되지 않으므로 왕공족인 덕혜옹주가 복상을 할 수 없다는 이유로 복상하지 못하고,[24] 6월 9일에 일본으로 돌아갔다.[25] 1930년 봄 무렵 신경쇠약 증세를 보이기 시작하여 영친왕 저택과 별장에서 요양을 하였으나 결국 조발성치매증(정신분열증) 진단을 받게 되었다.[26] 1931년에 증세는 호전되었고,[27] 같은 해 3월 27일에 여자학습원 본과를 졸업하였다.[28]

결혼 생활

소 다케유키과 덕혜옹주
(1931년)

덕혜옹주의 결혼 전에 배우자가 일본 황족과 조선귀족 중에서 선택될 것이라는 혼약설이 있었지만[29][30] 1930년 10월에 소 다케유키(宗武志)와의 결혼이 결정되었다. 소 다케유키는 옛 쓰시마 번주 소 요시아키라(宗義達)의 양자로 들어가 백작의 지위를 계승한 화족으로 혼인이 결정될 무렵 도쿄 제국대학 영문과 3학년에 재학 중이었다.[31] 왕공족의 혼사는 칙허를 받아야 한다는 《왕공가궤범》 제119조에 따라 1931년 4월 14일에 덕혜옹주의 결혼을 인정하는 쇼와 천황의 칙허가 내려졌고,[32] 같은 해 5월 8일에 도쿄에서 결혼식이 순일본식으로 거행되었다.[33] 1932년 8월 14일에 딸 소 마사에(宗正惠)를 낳았다.[34]

출산 이후 지병이 악화되어 1946년부터 마쓰자와 도립 정신병원에 입원하였다.[35] 입원이 장기간 지속되자 소 다케유키는 1955년에 영친왕 부부와 협의 후에 덕혜옹주와 이혼하였고, 덕혜옹주는 호적에 어머니의 성씨인 양(梁)과 봉호(封號)인 덕혜를 조합한 ‘양덕혜’(梁德惠)로 일가를 창립하였다.[36][37] 이혼 후에 소 다케유키는 혼례품 및 덕혜옹주와 딸 마사에의 한복과 생활용품을 돌려보냈고, 영친왕 부부는 1956년에 이 물품을 일본 문화학원의 전신인 문화여자단기대학의 학장 도쿠가와 요시치카(德川義親)에게 기증하였다.[38][39] 1947년 10월에 신적강하로 평민이 되면서 자금 지원은 중단되어 생계와 치료에 곤란을 겪게 되었으며 덕혜옹주의 입원비는 영친왕이 부담하였다.[35][40] 1956년 8월 26일에 딸 마사에가 산에서 자살하겠다는 유서를 남기고 실종되었다.[41]

귀국

서울신문 도쿄 특파원 등으로 활동한 김을한은 덕혜옹주의 귀국을 추진하였고, 1961년 11월 12일에 미국을 방문하던 도중 일본 도쿄에 들린 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 박정희는 영친왕비 이방자와 만나 영친왕과 덕혜옹주의 귀국에 대한 협조를 약속하였다.[35][42] 1962년 1월 26일에 대한민국으로 영구 귀국하였다. 귀국 당일 김포공항에 유치원과 소학교 동창 민용아(閔龍兒)와 당시 72세의 유모 변복동(卞福童)이 마중을 나왔고, 창덕궁 낙선재에 들러 순정효황후 윤씨를 만난 후에 서울대학교병원에 입원하였다.[43][44] 같은 해 2월 8일에 ‘이덕혜’로 대한민국 국적을 회복하였고,[1] 같은 해 3월 28일에 최고회의 상임위원회는 덕혜옹주에게 생계비를 지급하기 위하여 〈구황실재산법〉 개정법률안을 통과시켰다.[45] 1967년 5월 4일에 병세가 안정되어 병원에서 퇴원하였고, 이후 창덕궁 낙선재 내의 수강재에서 기거하였다.[46] 소 다케유키가 덕혜옹주를 만나기 위해 낙선재로 찾아왔지만 관계자들에 의해 면담이 거부되었다.[47]

1970년 10월 29일에 자궁에 생긴 용종 제거 수술을 받기 위해서 서울대학교병원에 입원하였고,[48] 1983년 5월 24일에 노환으로 한강성심병원에 입원하였다.[49] 1989년 4월 21일 오전 11시 40분경에 창덕궁 수강재에서 사망하였다.[50] 4월 25일에 수강재에서 전주이씨대동종약원 주관으로 영결식이 엄수되었고, 유해는 경기도 남양주시 금곡동홍유릉 부속림에 안장되었다.[51]

사후

덕혜옹주의 불행한 삶이 알려지면서 1996년 MBC 광복절 특집 드라마 《마지막 황녀 덕혜》 등에서 남편 소 다케유키는 꼽추나 포악한 인물로 묘사되거나[52] 지참금을 노리고 결혼했다는 낭설이 유포되기도 하였다.[53]

가족 관계

조선 왕실과 운현궁 가계도

계보 :   조선 왕실   흥선대원군의 4대조   운현궁


이종
제16대 인조
이왕
소현세자
이호
제17대 효종
이요
인평대군
이연
제18대 현종
이욱
복녕군
이순
제19대 숙종
이혁
의원군
이윤
제20대 경종
이금
제21대 영조
이훤
연령군
이숙
안흥군
이행
진종
이선
장조
이온
낙천군
이진익
이산
제22대 정조
이인
은언군
이진
은신군
이병원
이공
제23대 순조
이광
전계대원군
이구
남연군
이영
문조
이변
제25대 철종
이창응
흥녕군
이재원
완림군
이기용
자작
이광
의친왕의 7남
이환
제24대 헌종
이정응
흥완군
이재완
완순군·후작
이달용
후작
이해선이철주
이최응
흥인군
이재긍
완영군
이지용
백작
이해충이영주
백작
이하응
흥선대원군
이재면
흥친왕
이준용
영선군
이우
의친왕의 2남
이청
장남
여흥 민씨
여흥부대부인
풍산 홍씨
정실
남양 홍씨
정실
박찬주
박영효의 손녀
이종
차남
여주 이씨
계실
광산 김씨
계실
전순혁
소실
이진완
서녀
윤원선
윤치소의 3남
이문용
차남
전주 이씨
장녀
김인규
전주 이씨
차녀
김두한
주씨
소실
전주 이씨
삼녀
김규정
이희
제26대 고종
이척
제27대 순종
여흥 민씨
명성황후
여흥 민씨
순명효황후
해평 윤씨
순정효황후
영월 엄씨
순헌황귀비
이은
의민태자
이진
장남
마사코
의민태자비
이구
차남
이원
의친왕 9남의 장남
줄리아 멀록
1982년 이혼
경주 이씨
귀인
이선
완친왕
덕수 장씨
귀인
이강
의친왕
연안 김씨
의친왕비
수관당 정씨
측실
이건
장남
이충
장남
요시코
1951년 이혼
이옥자
장녀
이기
차남
함개봉
측실
이갑
9남
청주 양씨
귀인
이덕혜
덕혜옹주
소 마사에
소 다케유키
백작
전주 이씨
장녀
조경호
전주 이씨
삼녀
조정구
계성월
소실
이재선
완은군
이주용
전주 이씨
차녀
이윤용
남작


관련 작품

  • 연극 《덕혜옹주》, 예술의 전당, 1995년 5월 3일 ~ 6월 4일.
  • 광복절 특집극 《마지막 황녀 덕혜》, 문화방송(MBC), 1996년 8월 15일.
  • 평전 《덕혜옹주》, 혼마 야스코 저, 이훈 역, 역사공간, 2008년.
  • 소설 《덕혜옹주》, 권비영 저, 다산책방, 2009년.

같이 보기

주석

  1. “덕혜옹주 국적 회복”. 동아일보. 2012년 11월 30일에 확인함. 
  2. 최민영. “〈어제의 오늘〉 1989년 덕혜옹주 사망”. 경향신문. 2012년 11월 29일에 확인함. 
  3. 순종실록부록. “덕수궁 궁인 양씨가 딸을 낳으니 양씨에게 복녕이라는 당호를 내리다”. 국사편찬위원회. 
  4. 순종실록부록. “태왕 전하가 복녕당에 가서 태어난 아지를 데리고 함녕전으로 돌아오다”. 국사편찬위원회. 
  5. 순종실록부록. “고종 황제의 행장”. 국사편찬위원회. 
  6. 순종실록부록. “덕수궁 안에 유치원을 설치하여 복녕당 아기씨를 교육할 것을 명하다”. 국사편찬위원회. 
  7. 이방자. “세월이여 왕조여(14) 임신”. 경향신문. 2012년 11월 30일에 확인함. 
  8. 이영희. “고종 막내딸, 日서 정신병 앓다 정략결혼한 뒤”. 중앙일보. 2012년 12월 11일에 확인함. 
  9. 이방자. “세월이여 왕조여(26) 고종의 고심”. 경향신문. 2012년 11월 30일에 확인함. 
  10. “고 이태왕 전하 아기씨, 아기씨도 청덕궁에 가시었다” (PDF). 매일신보. 
  11. “고 부군 전하를 생각하시면서 공부하시는 아기씨” (PDF). 매일신보. 
  12. “집희전 아기씨 일출 2학년 입학 결정” (PDF). 매일신보. 
  13. 순종실록부록. “복녕당 아기에게 덕혜라는 호를 내려주다”. 국사편찬위원회. 
  14. “아기씨는 옹주로 결정되셨다” (PDF). 매일신보. 
  15. 이방자. “세월이여 왕조여(27) 가엾은 덕혜옹주”. 경향신문. 2012년 11월 30일에 확인함. 
  16. “조선을 떠나시는 덕혜옹주” (PDF). 매일신보. 
  17. “덕혜옹주 동경에 안착 30일 밤에” (PDF). 매일신보. 
  18. “덕혜희 수업 14일부터” (PDF). 매일신보. 
  19. 순종실록부록. “왕세자 부부가 구주를 유람할 것을 청하다”. 국사편찬위원회. 
  20. 순종실록부록. “왕세자 부부와 덕혜 옹주가 동경으로 돌아가다”. 국사편찬위원회. 
  21. 순종실록부록. “왕세자 부부와 덕혜 옹주가 창덕궁의 환후가 심하다는 것을 전달받고 돌아오다”. 국사편찬위원회. 
  22. “경성을 나시는 덕혜옹주” (PDF). 매일신보. 
  23. “덕혜옹주 생모 복녕당 별세”. 동아일보. 2012년 11월 30일에 확인함. 
  24. “복녕당의 서거와 옹주 복상 문제”. 동아일보. 2012년 11월 30일에 확인함. 
  25. “덕혜옹주 성묘후 도동”. 동아일보. 2012년 11월 30일에 확인함. 
  26. 이방자. “세월이여 왕조여(39) 덕혜옹주의 발병”. 경향신문. 2012년 11월 30일에 확인함. 
  27. 이방자. “세월이여 왕조여(40) 구의 출생”. 경향신문. 2012년 11월 30일에 확인함. 
  28. “덕혜옹주 학습원 어졸업”. 동아일보. 2012년 11월 30일에 확인함. 
  29. “덕혜옹주 혼약?”. 동아일보. 2012년 11월 30일에 확인함. 
  30. “18세 방년되신 덕혜옹주 혼사”. 동아일보. 2012년 11월 30일에 확인함. 
  31. “명춘 어졸업 기다려 덕혜옹주 어혼”. 동아일보. 2012년 11월 30일에 확인함. 
  32. “덕혜옹주 어혼 5월 8일 예정”. 동아일보. 2012년 11월 30일에 확인함. 
  33. “덕혜옹주 어혼례 금팔일 거행”. 동아일보. 2012년 11월 30일에 확인함. 
  34. “이건공비전하 공자를 어출산”. 동아일보. 2012년 11월 30일에 확인함. 
  35. 이방자. “세월이여 왕조여(61) 박정희 장군과의 만남”. 경향신문. 2012년 11월 30일에 확인함. 
  36. 이방자. “세월이여 왕조여(55) 고통과 가난의 시절”. 경향신문. 2012년 11월 30일에 확인함. 
  37. 정범준 (2006). 《제국의 후예들》. 황소자리. 354쪽. ISBN 89-91508-18-9. 
  38. 정범균, 위의 책, 355쪽.
  39. 조상인. “비운의 덕혜옹주를 기억하소서”. 서울경제. 2012년 12월 10일에 확인함. 
  40. 이방자. “세월이여 왕조여(52) 가난한 평민으로”. 경향신문. 2012년 11월 30일에 확인함. 
  41. 정범균, 위의 책, 357쪽.
  42. 정범준, 위의 책, 137쪽.
  43. “덕혜옹주의 환국 초야”. 경향신문. 2012년 11월 30일에 확인함. 
  44. “덕혜옹주 환국”. 동아일보. 2012년 11월 30일에 확인함. 
  45. “덕혜옹주에 생계비 개정법률안을 통과”. 동아일보. 2012년 11월 30일에 확인함. 
  46. “덕혜옹주 퇴원”. 경향신문. 2012년 11월 30일에 확인함. 
  47. 정범준, 위의 책, 360쪽.
  48. “덕혜옹주 입원”. 동아일보. 2012년 11월 30일에 확인함. 
  49. “덕혜옹주 입원”. 경향신문. 2012년 11월 30일에 확인함. 
  50. “조선조 마지막 왕녀 덕혜옹주 별세”. 동아일보. 2012년 11월 30일에 확인함. 
  51. “덕혜옹주 영결식 홍유릉 부속림에 안장”. 경향신문. 2012년 11월 30일에 확인함. 
  52. 이윤주. “감성적 애국주의를 넘어”. 주간한국. 2012년 12월 1일에 확인함. 
  53. 혼마 야스코. “독자칼럼, 〈덕혜옹주〉 일본인 원작자의 편지/혼마 야스코”. 한겨레. 2012년 12월 1일에 확인함. 

바깥 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