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소 아이디얼: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8번째 줄: 8번째 줄:
* 임의의 오른쪽 아이디얼 <math>\mathfrak A,\mathfrak B\subseteq R</math>에 대하여, 만약 <math>\mathfrak A\mathfrak B\subseteq\mathfrak p</math>라면 <math>\mathfrak A\subseteq\mathfrak p</math>이거나 <math>\mathfrak B\subseteq\mathfrak p</math>이다.<ref name="Lam"/>{{rp|155, Proposition 10.2}}
* 임의의 오른쪽 아이디얼 <math>\mathfrak A,\mathfrak B\subseteq R</math>에 대하여, 만약 <math>\mathfrak A\mathfrak B\subseteq\mathfrak p</math>라면 <math>\mathfrak A\subseteq\mathfrak p</math>이거나 <math>\mathfrak B\subseteq\mathfrak p</math>이다.<ref name="Lam"/>{{rp|155, Proposition 10.2}}
* 임의의 왼쪽 아이디얼 <math>\mathfrak A,\mathfrak B\subseteq R</math>에 대하여, 만약 <math>\mathfrak A\mathfrak B\subseteq\mathfrak p</math>라면 <math>\mathfrak A\subseteq\mathfrak p</math>이거나 <math>\mathfrak B\subseteq\mathfrak p</math>이다.<ref name="Lam"/>{{rp|155, Proposition 10.2}}
* 임의의 왼쪽 아이디얼 <math>\mathfrak A,\mathfrak B\subseteq R</math>에 대하여, 만약 <math>\mathfrak A\mathfrak B\subseteq\mathfrak p</math>라면 <math>\mathfrak A\subseteq\mathfrak p</math>이거나 <math>\mathfrak B\subseteq\mathfrak p</math>이다.<ref name="Lam"/>{{rp|155, Proposition 10.2}}
* 임의의 <math>r,s\in R\setminus\mathfrak p</math> 대하여, <math>rts\in R\setminus\mathfrak p</math>인 <math>t\in R</math>가 존재한다.<ref name="Lam"/>{{rp|156, Corollary 10.4}}
* <math>R\setminus\mathfrak p</math> m계를 이룬다.<ref name="Lam"/>{{rp|156, Corollary 10.4}}
* [[몫환]] <math>R/\mathfrak a</math>가 [[소환 (환론)|소환]]이다.<ref name="Lam"/>{{rp|158}}
* [[몫환]] <math>R/\mathfrak a</math>가 [[소환 (환론)|소환]]이다.<ref name="Lam"/>{{rp|158}}


여기서 환 <math>R</math>의 부분 집합 <math>S\subseteq R</math>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면 '''m계'''(m系, {{llang|en|m-system}})라고 한다.
* 임의의 <math>s,t\in S</math>에 대하여, <math>srt\in S</math>인 <math>r\in R</math>가 존재한다.
물론, 모든 곱셈 모노이드는 m계를 이룬다.

=== 완전 소 아이디얼 ===
[[환 (수학)|환]] <math>R</math>의 양쪽 [[진 아이디얼]] <math>\mathfrak p\subsetneq R</math>에 대하여 다음 조건들이 서로 [[동치]]이며, 이 조건을 만족시키는 진 아이디얼을 '''완전 소 아이디얼'''(完全素ideal, {{llang|en|completely prime ideal}})이라고 한다.
[[환 (수학)|환]] <math>R</math>의 양쪽 [[진 아이디얼]] <math>\mathfrak p\subsetneq R</math>에 대하여 다음 조건들이 서로 [[동치]]이며, 이 조건을 만족시키는 진 아이디얼을 '''완전 소 아이디얼'''(完全素ideal, {{llang|en|completely prime ideal}})이라고 한다.
* 임의의 <math>r,s\in R</math>에 대하여, 만약 <math>rs\in\mathfrak p</math>라면 <math>r\in\mathfrak p</math>이거나 <math>s\in\mathfrak p</math>이다.
* 임의의 <math>r,s\in R</math>에 대하여, 만약 <math>rs\in\mathfrak p</math>라면 <math>r\in\mathfrak p</math>이거나 <math>s\in\mathfrak p</math>이다.
22번째 줄: 27번째 줄:


<math>R</math>의 [[왼쪽 가군]] <math>_RM</math>의 '''연관 소 아이디얼'''({{llang|en|associated prime ideal}})은 <math>_RM</math>의 부분 소가군의 [[소멸자]]로 나타낼 수 있는 <math>R</math>의 [[소 아이디얼]]이다.
<math>R</math>의 [[왼쪽 가군]] <math>_RM</math>의 '''연관 소 아이디얼'''({{llang|en|associated prime ideal}})은 <math>_RM</math>의 부분 소가군의 [[소멸자]]로 나타낼 수 있는 <math>R</math>의 [[소 아이디얼]]이다.

=== 소원 ===
[[소환 (환론)|소환]] <math>R</math>의 원소 <math>p\in R</math>가 다음 조건들을 모두 만족시킨다면 '''소원'''(素元, {{llang|en|prime element}})이라고 한다.<ref name="Smertnig">{{저널 인용|제목=Factorizations of elements in noncommutative rings: A survey|이름=Daniel|성=Smertnig|arxiv=1507.07487|bibcode=2015arXiv150707487S|날짜=2015|언어=en}}</ref>{{rp|§4.2}}
* <math>pR=Rp</math>
* <math>p\ne0</math>
* <math>pR</math>는 소 아이디얼이다. 즉, 임의의 <math>r,s\in R</math>에 대하여, 만약 모든 <math>t\in R</math>에 대하여 <math>p\mid rts</math>라면, <math>p\mid r</math>이거나 <math>p\mid s</math>이다. (여기서 <math>p\mid a</math>는 <math>a\in Rp=pR</math>를 뜻한다.)
마찬가지로, [[소환 (환론)|소환]] <math>R</math>의 원소 <math>p\in R</math>가 다음 조건들을 모두 만족시킨다면 '''완전 소원'''(完全素元, {{llang|en|completely prime element}})이라고 한다.<ref name="Smertnig"/>{{rp|§4.2}}
* <math>pR=Rp</math>
* <math>p\ne0</math>
* <math>pR</math>는 완전 소 아이디얼이다. 즉, 임의의 <math>r,s\in R</math>에 대하여, 만약 <math>p\mid rs</math>라면 <math>p\mid r</math>이거나 <math>p\mid s</math>이다.
물론 <math>pR=Rp</math>인 것은 [[가환환]]에서 자동적으로 성립한다.

(가환) [[정역]]에서, 모든 소원은 [[기약원]]이지만,<ref name="DF">{{서적 인용|이름=David S.|성=Dummit|공저자=Richard M. Foote|날짜=2004|제목=Abstract algebra|판=3|출판사=Wiley|isbn=978-0-471-43334-7|zbl=1037.00003|mr=2286236 |url=http://www.wiley.com/WileyCDA/WileyTitle/productCd-0471433349.html|언어=en}}</ref>{{rp|284, Proposition 8.11}} 그 역은 성립하지 않는다. 다만, [[유일 인수 분해 정역]]에서는 [[기약원]]의 개념과 소원의 개념이 일치한다. 예를 들어, [[유수 (수론)|유수]]가 1이 아닌 [[대수적 정수환]] <math>\mathbb Z[\sqrt{-5}]</math>에서, 3은 [[기약원]]이지만 다음과 같이 소원이 아니다.<ref name="DF"/>{{rp|284}}
:<math>3\mid 9=(2+\sqrt{-5})(2-\sqrt5)</math>
:<math>3\nmid2+\sqrt{-5}</math>
:<math>3\nmid2-\sqrt{-5}</math>


== 성질 ==
== 성질 ==
37번째 줄: 58번째 줄:


[[자명환]]이 아닌 환은 [[초른의 보조정리]]에 따라 항상 하나 이상의 소 아이디얼을 갖는다 (특히, 하나 이상의 [[극대 아이디얼]]을 갖는다). 주어진 환 <math>R</math>의 소 아이디얼들의 [[부분 순서 집합]]은 항상 하나 이상의 [[극소 원소]]들을 가지며, 또한 임의의 소 아이디얼 <math>\mathfrak p</math>에 대하여, <math>\mathfrak p</math>에 포함되는 극소 소 아이디얼이 존재한다.
[[자명환]]이 아닌 환은 [[초른의 보조정리]]에 따라 항상 하나 이상의 소 아이디얼을 갖는다 (특히, 하나 이상의 [[극대 아이디얼]]을 갖는다). 주어진 환 <math>R</math>의 소 아이디얼들의 [[부분 순서 집합]]은 항상 하나 이상의 [[극소 원소]]들을 가지며, 또한 임의의 소 아이디얼 <math>\mathfrak p</math>에 대하여, <math>\mathfrak p</math>에 포함되는 극소 소 아이디얼이 존재한다.

=== 함자성 ===
{{본문|환의 스펙트럼}}
두 [[환 (수학)|환]] <math>R</math>, <math>S</math> 사이의 [[환 준동형]] <math>f\colon R\to S</math> 및 <math>S</math>의 완전 소 아이디얼 <math>\mathfrak p\vartriangleright S</math>에 대하여, 그 [[원상 (수학)|원상]] <math>f^{-1}(\mathfrak p)</math>는 <math>R</math>의 완전 소 아이디얼이다. (그러나 이는 소 아이디얼에 대하여 성립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math>R</math>의 완전 소 아이디얼들의 집합을 <math>\operatorname{compSpec}(R)</math>라고 한다면, 이는 [[함자 (수학)|함자]]
:<math>\operatorname{compSpec}\colon\operatorname{Ring}^{\operatorname{op}}\to\operatorname{Set}</math>
를 정의한다.

[[가환환]]의 경우, 완전 소 아이디얼과 소 아이디얼의 개념이 일치한다. 이 경우, 사실 가환환 <math>R</math>의 소 아이디얼의 집합 <math>\operatorname{Spec}(R)</math>은 [[위상 공간 (수학)|위상 공간]] 및 [[스킴 (수학)|스킴]]의 구조를 부여할 수 있어 [[스킴 (수학)|스킴]]의 [[범주 (수학)|범주]] <math>\operatorname{Sch}</math>로 가는 [[함자 (수학)|함자]]
:<math>\operatorname{Spec}\colon\operatorname{Ring}^{\operatorname{op}}\to\operatorname{Sch}</math>
를 정의한다.

=== 소 아이디얼 원리 ===
[[환 (수학)|환]] <math>R</math>의 [[양쪽 아이디얼]]들의 집합 <math>\mathcal F\subseteq\operatorname{Sub}(R_R)</math>가 다음 두 조건들을 만족시킨다면, '''양쪽 오카 족'''(-[岡]族, {{llang|en|two-sided Oka family}})이라고 한다.<ref name="Reyes"/>{{rp|Definition 3.1}}<ref name="LR"/>{{rp|Definition 2.1}}
* <math>R\in\mathcal F</math>
* 임의의 <math>r\in R</math> 및 [[양쪽 아이디얼]] <math>_R\mathfrak a_R</math>에 대하여, 만약 <math>\mathfrak a+RrR\in\mathcal F</math>이며 <math>(r)^{-1}\mathfrak a=\{s\in R\colon rRs\subseteq\mathfrak a\}\in\mathcal F</math>이며 <math>\mathfrak a(r)^{-1}=\{s\in R\colon sRr\subseteq\mathfrak a\}</math>라면, <math>\mathfrak a\in\mathcal F</math>이다.

'''소 아이디얼 원리'''({{llang|en|prime ideal principle}})에 따르면,<ref name="Reyes">{{저널 인용|제목=A prime ideal principle for two-sided ideals|이름=Manuel L.|성=Reyes|arxiv=1501.06808|bibcode=2015arXiv150106808R|언어=en}}</ref>{{rp|Theorem 3.4}}<ref name="LR">{{저널 인용|제목=A prime ideal principle in commutative algebra|이름=T. Y.|성=Lam|저자고리=람짓윈|이름2=Manuel L.|성2=Reyes|doi=10.1016/j.jalgebra.2007.07.016|저널=Journal of Algebra|날짜=2008|쪽=3006–3027|권=319|url=https://math.berkeley.edu/~lam/html/JAlg-PIP.pdf|언어=en}}</ref>{{rp|2.4}} <math>\mathcal F</math>가 [[환 (수학)|환]] <math>R</math>의 양쪽 오카 족이라고 할 때, <math>\mathcal F</math>의 [[여집합]] <math>\operatorname{Sub}(_RR_R)\setminus\mathcal F</math>의 [[극대 원소]]는 소 아이디얼이다. (여기서 <math>\operatorname{Sub}(_RR_R)</math>는 <math>R</math>의 모든 [[양쪽 아이디얼]]들의 집합이다.)

특히, 다음과 같은 아이디얼 족은 오카 족이다.
* [[환 (수학)|환]] <math>R</math>의 m계 <math>S\subseteq R</math>에 대하여, <math>S</math>와 교차하는 [[양쪽 아이디얼]]들의 족 <math>\{\mathfrak a\vartriangleleft R\colon\mathfrak a\cap S\ne\varnothing\}</math>은 오카 족이다.<ref name="Reyes"/>{{rp|Proposition 3.1}}
** [[가환환]] <math>R</math>의 임의의 곱셈 [[모노이드]] <math>S\subseteq R</math>에 대하여, <math>S</math>와 교차하는 아이디얼들의 족 <math>\{\mathfrak a\vartriangleleft R\colon\mathfrak a\cap S\ne\varnothing\}</math>은 오카 족이다.<ref name="LR"/>{{rp|Proposition 3.1}}
* [[환 (수학)|환]] <math>R</math>의 [[오른쪽 가군]] <math>M_R</math>에 대하여, <math>\{\mathfrak a\vartriangleleft R\colon N\mathfrak a\ne0\;\forall N_R\subseteq M_R,\; N_R\ne0\}</math>는 오카 족이다.<ref name="Reyes"/>{{rp|Proposition 3.5}}
** [[가환환]] <math>R</math>의 가군 <math>M</math>에 대하여, <math>\operatorname{Ideal}(R)\setminus\{\operatorname{Ann}_R(m)\colon m\in M\setminus\{0\}\}</math>은 오카 족이다.<ref name="LR"/>{{rp|Proposition 3.5}} (여기서 <math>\operatorname{Ann}(-)</math>은 [[소멸자]]를 뜻한다.)
* [[환 (수학)|환]] <math>R</math>의 곱셈 모노이드 <math>S\subseteq R</math>에 대하여, 만약 모든 <math>s\in S</math>에 대하여 <math>sR=Rs</math>라면, <math>\{Rs=sR\colon s\in S\}</math>는 오카 족이다.<ref name="Reyes"/>{{rp|Proposition 4.1}}
** [[가환환]] <math>R</math>의 임의의 곱셈 [[모노이드]] <math>S\subseteq R</math>에 대하여, <math>S</math>의 원소로 생성되는 [[주 아이디얼]]들의 족 <math>\{(s)\colon s\in S\}</math>은 오카 족이다.<ref name="LR"/>{{rp|Proposition 3.17}} 특히, 모든 [[주 아이디얼]]들의 족 <math>\{(r)\colon r\in R\}</math>은 오카 족이다.
* [[가환환]] <math>R</math>의 [[유한 생성 가군|유한 생성]] [[아이디얼]]들의 족은 오카 족이다.<ref name="LR"/>{{rp|Proposition 3.16}} (그러나 이는 비가환환에 대하여 성립하지 않을 수 있다.<ref name="Reyes"/>{{rp|§2}})

=== 소 아이디얼 회피 ===
다음 데이터가 주어졌다고 하자.
* [[환 (수학)|환]] <math>R</math>
* <math>R</math>의 [[양쪽 아이디얼]]들의 [[유한 집합]] <math>\{\mathfrak a_1,\dots,\mathfrak a_n\}</math>. 또한, <math>n\ge3</math>에 대하여 <math>\mathfrak a_n</math>은 완전 소 아이디얼이다.
* <math>R</math>의 부분 [[유사환]] (즉, 곱셈에 대하여 닫힌, 1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는 덧셈 [[부분군]]) <math>S\subseteq R</math>. 또한, 모든 <math>1\le i\le n</math>에 대하여 <math>S\not\subseteq\mathfrak a_i</math>이다.
'''소 아이디얼 회피 정리'''(素ideal回避定理, {{llang|en|prime avoidance}})에 따르면, 다음이 성립한다.<ref>{{저널 인용|제목=The prime avoidance lemma revisited|이름=Omid Ali Shahny|성=Karamzadeh|저널=Kyungpook Mathematical Journal|doi=10.5666/KMJ.2012.52.2.149|권=52|쪽=149–153|issn=1225-6951|언어=en}}</ref>
* <math>S\not\subseteq\bigcup_{i=1}^n\mathfrak a_i</math>
즉, <math>S</math>가 각 아이디얼들을 회피한다면, 모든 아이디얼들을 동시에 회피한다.

<div class="toccolours mw-collapsible mw-collapsed">
'''증명''':
<div class="mw-collapsible-content">
<math>n</math>에 대한 [[수학적 귀납법]]을 사용하자. <math>n=1</math>인 경우는 자명하다. <math>n\ge2</math>일 때, 귀납 가정에 의하여 각 <math>1\le i\le n</math>에 대하여
:<math>s_i\in S\setminus\bigcup_{j\ne i}\mathfrak a_j</math>
를 고를 수 있다. 그렇다면
:<math>S\setminus\bigcup_{i=1}^n\mathfrak a_i\ni s=
\begin{cases}
s_i&\exists 1\le i\le n\colon s_i\not\in\mathfrak a_i\\
s_1\cdots s_{n-1}+s_n&\forall 1\le i\le n\colon s_i\in\mathfrak a_i
\end{cases}</math>
이다.</div></div>


=== 가환환의 소 아이디얼 ===
=== 가환환의 소 아이디얼 ===
53번째 줄: 122번째 줄:
* 소 아이디얼의 준동형에 대한 원상이 소 아이디얼이므로, 이는 가환환의 범주에서 집합의 범주(또는 다른 [[구체적 범주]])로 가는 반변 [[함자 (수학)|함자]]를 이룬다. 다시 말해, 환 준동형은 [[아핀 스킴]] 사이의 함수를 정의한다.
* 소 아이디얼의 준동형에 대한 원상이 소 아이디얼이므로, 이는 가환환의 범주에서 집합의 범주(또는 다른 [[구체적 범주]])로 가는 반변 [[함자 (수학)|함자]]를 이룬다. 다시 말해, 환 준동형은 [[아핀 스킴]] 사이의 함수를 정의한다.
* 소 아이디얼의 여집합은 [[모노이드]]를 이루므로, 소 아이디얼에서 [[국소화 (환론)|국소화]]를 취할 수 있으며, 이렇게 하여 얻은 환은 [[국소환]]이다. 즉, 환의 구조는 소 아이디얼에 대하여 국소적이다.
* 소 아이디얼의 여집합은 [[모노이드]]를 이루므로, 소 아이디얼에서 [[국소화 (환론)|국소화]]를 취할 수 있으며, 이렇게 하여 얻은 환은 [[국소환]]이다. 즉, 환의 구조는 소 아이디얼에 대하여 국소적이다.

==== 소 아이디얼 원리 ====
[[가환환]] <math>R</math>의 아이디얼들의 집합 <math>\mathcal F\subseteq\operatorname{Ideal}(R)</math>가 다음 두 조건들을 만족시킨다면, '''오카 족'''([岡]族, {{llang|en|Oka family}})이라고 한다.<ref name="LR"/>{{rp|Definition 2.1}}
* <math>R\in\mathcal F</math>
* 임의의 <math>r\in R</math> 및 아이디얼 <math>\mathfrak a\vartriangleleft R</math>에 대하여, 만약 <math>\mathfrak a+(r)\in\mathcal F</math>이며 <math>(r:\mathfrak a)=\{s\in R\colon (rs)\subseteq\mathfrak a\}\in\mathcal F</math>이라면, <math>\mathfrak a\in\mathcal F</math>

[[가환환]] <math>R</math>의 아이디얼들의 집합 <math>\mathcal F\subseteq\operatorname{Ideal}(R)</math>가 다음 두 조건들을 만족시킨다면, '''아코 족'''(Ako族, {{llang|en|Ako family}})이라고 한다.<ref name="LR"/>{{rp|Definition 2.2}}
* <math>R\in\mathcal F</math>
* 임의의 <math>r,s\in R</math> 및 아이디얼 <math>\mathfrak a\vartriangleleft R</math>에 대하여, 만약 <math>\mathfrak a+(r)\in\mathcal F</math>이며 <math>\mathfrak a+(s)\in\mathcal F</math>이라면, <math>\mathfrak a+(rs)\in\mathcal F</math>

'''소 아이디얼 원리'''({{llang|en|prime ideal principle}})에 따르면,<ref name="LR">{{저널 인용|제목=A prime ideal principle in commutative algebra|이름=T. Y.|성=Lam|저자고리=람짓윈|이름2=Manuel L.|성2=Reyes|doi=10.1016/j.jalgebra.2007.07.016|저널=Journal of Algebra|날짜=2008|쪽=3006–3027|권=319|url=https://math.berkeley.edu/~lam/html/JAlg-PIP.pdf|언어=en}}</ref>{{rp|2.4}} <math>\mathcal F</math>가 [[가환환]] <math>R</math>의 오카 족 또는 아코 족이라고 할 때, <math>\mathcal F</math>의 [[여집합]] <math>\operatorname{Ideal}(R)\setminus\mathcal F</math>의 [[극대 원소]]는 소 아이디얼이다. (여기서 <math>\operatorname{Ideal}(R)</math>는 <math>R</math>의 모든 [[아이디얼]]들의 집합이다.)

특히, 다음과 같은 아이디얼 족은 오카/아코 족이다.
* 임의의 곱셈 [[모노이드]] <math>S\subseteq R</math>에 대하여, <math>S</math>와 교차하는 아이디얼들의 족 <math>\{\mathfrak a\vartriangleleft R\colon\mathfrak a\cap S\ne\varnothing\}</math>은 오카 족이자 아코 족이다.<ref name="LR"/>{{rp|Proposition 3.1}}
* <math>\operatorname{Ideal}(R)\setminus\{\operatorname{Ann}(m)\colon m\in M\setminus\{0\}\}</math>은 오카 족이자 아코 족이다.<ref name="LR"/>{{rp|Proposition 3.5}}
* 임의의 곱셈 [[모노이드]] <math>S\subseteq R</math>에 대하여, <math>S</math>의 원소로 생성되는 [[주 아이디얼]]들의 족 <math>\{(s)\colon s\in S\}</math>은 오카 족이다.<ref name="LR"/>{{rp|Proposition 3.17}} 특히, 모든 [[주 아이디얼]]들의 족 <math>\{(r)\colon r\in R\}</math>은 오카 족이다. 그러나 이는 일반적으로 아코 족이 아니다.<ref name="LR"/>{{rp|Remark 3.18}}
* [[유한 생성 가군|유한 생성]] [[아이디얼]]들의 족은 오카 족이다.<ref name="LR"/>{{rp|Proposition 3.16}} 그러나 이는 일반적으로 아코 족이 아니다.<ref name="LR"/>{{rp|Remark 3.18}}

==== 소원 ====
[[가환환]] <math>R</math>의 원소 <math>p\in R</math>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이며, 이를 만족시키는 원소를 '''소원'''(素元, {{llang|en|prime element}})이라고 한다.<ref name="DF">{{서적 인용|이름=David S.|성=Dummit|공저자=Richard M. Foote|날짜=2004|제목=Abstract algebra|판=3|출판사=Wiley|isbn=978-0-471-43334-7|zbl=1037.00003|mr=2286236 |url=http://www.wiley.com/WileyCDA/WileyTitle/productCd-0471433349.html|언어=en}}</ref>{{rp|284}}
* <math>p\ne0</math>이며, <math>p</math>는 [[가역원]]이 아니며, 또한 임의의 <math>r,s\in D</math>에 대하여, 만약 <math>p\mid rs</math>라면 <math>p\mid r</math>이거나 <math>p\mid s</math>이다.
* [[주 아이디얼]] <math>(p)</math>는 소 아이디얼이다.
[[정역]]에서, 모든 소원은 [[기약원]]이지만,<ref name="DF"/>{{rp|284, Proposition 8.11}} 그 역은 성립하지 않는다. 다만, [[유일 인수 분해 정역]]에서는 [[기약원]]의 개념과 소원의 개념이 일치한다. 예를 들어, [[유수 (수론)|유수]]가 1이 아닌 [[대수적 정수환]] <math>\mathbb Z[\sqrt{-5}]</math>에서, 3은 [[기약원]]이지만 다음과 같이 소원이 아니다.<ref name="DF"/>{{rp|284}}
:<math>3\mid 9=(2+\sqrt{-5})(2-\sqrt5)</math>
:<math>3\nmid2+\sqrt{-5}</math>
:<math>3\nmid2-\sqrt{-5}</math>


==== 높이 ====
==== 높이 ====
90번째 줄: 133번째 줄:
* [[정역]]의 경우 유일한 극소 소 아이디얼은 [[영 아이디얼]]이다.
* [[정역]]의 경우 유일한 극소 소 아이디얼은 [[영 아이디얼]]이다.
* [[가환환|가환]] [[뇌터 환]]은 유한 개의 극소 소 아이디얼들을 갖는다. (이는 [[에미 뇌터]]가 증명하였다.)
* [[가환환|가환]] [[뇌터 환]]은 유한 개의 극소 소 아이디얼들을 갖는다. (이는 [[에미 뇌터]]가 증명하였다.)

==== 소 아이디얼 회피 ====
다음 데이터가 주어졌다고 하자.
* [[가환환]] <math>R</math>
* <math>R</math>의 [[아이디얼]]들의 [[유한 집합]] <math>\{\mathfrak a_1,\dots,\mathfrak a_n\}</math>. 또한, <math>n\ge3</math>에 대하여 <math>\mathfrak a_n</math>은 [[소 아이디얼]]이다.
* <math>R</math>의 부분 [[유사환]] (즉, 곱셈에 대하여 닫힌 덧셈 [[부분군]]) <math>S\subseteq R</math>. 또한, 모든 <math>1\le i\le n</math>에 대하여 <math>S\not\subseteq\mathfrak a_i</math>이다.
'''소 아이디얼 회피 정리'''(素ideal回避定理, {{llang|en|prime avoidance}})에 따르면, 다음이 성립한다.
:<math>S\not\subseteq\bigcup_{i=1}^n\mathfrak a_i</math>

<div class="toccolours mw-collapsible mw-collapsed">
'''증명''':
<div class="mw-collapsible-content">
<math>n</math>에 대한 [[수학적 귀납법]]을 사용하자. <math>n=1</math>인 경우는 자명하다. <math>n\ge2</math>일 때, 귀납 가정에 의하여 각 <math>1\le i\le n</math>에 대하여
:<math>s_i\in S\setminus\bigcup_{j\ne i}\mathfrak a_j</math>
를 고를 수 있다. 그렇다면
:<math>S\setminus\bigcup_{i=1}^n\mathfrak a_i\ni s=
\begin{cases}
s_i&\exists 1\le i\le n\colon s_i\not\in\mathfrak a_i\\
s_1\cdots s_{n-1}+s_n&\forall 1\le i\le n\colon s_i\in\mathfrak a_i
\end{cases}</math>
이다.</div></div>


== 예 ==
== 예 ==
128번째 줄: 150번째 줄:
== 바깥 고리 ==
== 바깥 고리 ==
* {{eom|title=Prime ideal|first=K.A.|last=Zhevlakov}}
* {{eom|title=Prime ideal|first=K.A.|last=Zhevlakov}}
* {{eom|title=Prime element}}
* {{매스월드|id=PrimeIdeal|title=Prime ideal}}
* {{매스월드|id=PrimeIdeal|title=Prime ideal}}
* {{매스월드|id=PrimeElement|title=Prime element}}
* {{매스월드|id=PrimeElement|title=Prime element}}
* {{nlab|id=prime ideal theorem|title=Prime ideal theorem}}
* {{nlab|id=prime element|title=Prime element}}
* {{웹 인용|url=http://commalg.subwiki.org/wiki/Prime_ideal|제목=Prime ideal|웹사이트=Commalg|언어=en}}
* {{웹 인용|url=http://commalg.subwiki.org/wiki/Prime_element|제목=Prime element|웹사이트=Commalg|언어=en}}
* {{웹 인용|url=http://commalg.subwiki.org/wiki/Prime_avoidance_lemma|제목=Prime avoidance lemma|웹사이트=Commalg|언어=en}}
* {{웹 인용|url=http://commalg.subwiki.org/wiki/Prime_ideal_need_not_contain_any_prime_element|제목=Prime ideal need not contain any prime element|웹사이트=Commalg|언어=en}}
* {{웹 인용|url=http://commalg.subwiki.org/wiki/Primeness_is_contraction-closed|제목=Primeness is contraction-closed|웹사이트=Commalg|언어=en}}
* {{웹 인용|url=http://commalg.subwiki.org/wiki/Principal_prime_ideal|제목=Principal prime ideal|웹사이트=Commalg|언어=en}}
* {{웹 인용|url=http://commalg.subwiki.org/wiki/Minimal_prime_ideal|제목=Minimal prime ideal|웹사이트=Commalg|언어=en}}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2016년 4월 28일 (목) 11:53 판

환론에서, 소 아이디얼(素ideal, 영어: prime ideal)은 아이디얼 가운데 소수와 같은 성질을 갖는 것들이다. 가환환의 소 아이디얼은 대수기하학에서 아핀 스킴의 부분다양체에 대응하며, 아핀 스킴의 위상 공간의 한 점을 이룬다.

정의

의 양쪽 진 아이디얼 에 대하여 다음 조건들이 서로 동치이며, 이 조건을 만족시키는 진 아이디얼을 소 아이디얼이라고 한다.

  • 임의의 두 양쪽 아이디얼 에 대하여, 만약 라면 이거나 이다.[1]:155, Definition 10.1
  • 임의의 에 대하여, 만약 라면 이거나 이다.[1]:155, Proposition 10.2
  • 임의의 에 대하여, 만약 라면 이거나 이다.[1]:155, Proposition 10.2
  • 임의의 오른쪽 아이디얼 에 대하여, 만약 라면 이거나 이다.[1]:155, Proposition 10.2
  • 임의의 왼쪽 아이디얼 에 대하여, 만약 라면 이거나 이다.[1]:155, Proposition 10.2
  • 는 m계를 이룬다.[1]:156, Corollary 10.4
  • 몫환 소환이다.[1]:158

여기서 환 의 부분 집합 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면 m계(m系, 영어: m-system)라고 한다.

  • 임의의 에 대하여, 가 존재한다.

물론, 모든 곱셈 모노이드는 m계를 이룬다.

완전 소 아이디얼

의 양쪽 진 아이디얼 에 대하여 다음 조건들이 서로 동치이며, 이 조건을 만족시키는 진 아이디얼을 완전 소 아이디얼(完全素ideal, 영어: completely prime ideal)이라고 한다.

  • 임의의 에 대하여, 만약 라면 이거나 이다.
  • 몫환 영역이다.[1]:194
  • 는 곱셈에 대하여 모노이드를 이룬다.

연관 소 아이디얼

왼쪽 가군 이 주어졌다고 하자. 만약 임의의 (영가군이 아닌) 부분 가군 소멸자소멸자와 같다면, 소가군(영어: prime module)이라고 한다.

소가군의 소멸자는 항상 소 아이디얼이다.[1]:85

왼쪽 가군 연관 소 아이디얼(영어: associated prime ideal)은 의 부분 소가군의 소멸자로 나타낼 수 있는 소 아이디얼이다.

소원

소환 의 원소 가 다음 조건들을 모두 만족시킨다면 소원(素元, 영어: prime element)이라고 한다.[2]:§4.2

  • 는 소 아이디얼이다. 즉, 임의의 에 대하여, 만약 모든 에 대하여 라면, 이거나 이다. (여기서 를 뜻한다.)

마찬가지로, 소환 의 원소 가 다음 조건들을 모두 만족시킨다면 완전 소원(完全素元, 영어: completely prime element)이라고 한다.[2]:§4.2

  • 는 완전 소 아이디얼이다. 즉, 임의의 에 대하여, 만약 라면 이거나 이다.

물론 인 것은 가환환에서 자동적으로 성립한다.

(가환) 정역에서, 모든 소원은 기약원이지만,[3]:284, Proposition 8.11 그 역은 성립하지 않는다. 다만, 유일 인수 분해 정역에서는 기약원의 개념과 소원의 개념이 일치한다. 예를 들어, 유수가 1이 아닌 대수적 정수환 에서, 3은 기약원이지만 다음과 같이 소원이 아니다.[3]:284

성질

일반적인 환의 아이디얼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포함 관계가 성립한다.

아이디얼 ⊇ 소 아이디얼 ⊇ 완전 소 아이디얼 ∪ 극대 아이디얼

그러나 완전 소 아이디얼과 극대 아이디얼 사이에는 포함 관계가 존재하지 않는다.

임의의 환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

  • 영 아이디얼이 소 아이디얼이다.
  • 소환이다.

임의의 환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

  • 영 아이디얼이 완전 소 아이디얼이다.
  • 영역이다.

(극대 아이디얼의 경우 마찬가지로 단순환에 대응한다.)

자명환이 아닌 환은 초른의 보조정리에 따라 항상 하나 이상의 소 아이디얼을 갖는다 (특히, 하나 이상의 극대 아이디얼을 갖는다). 주어진 환 의 소 아이디얼들의 부분 순서 집합은 항상 하나 이상의 극소 원소들을 가지며, 또한 임의의 소 아이디얼 에 대하여, 에 포함되는 극소 소 아이디얼이 존재한다.

함자성

, 사이의 환 준동형 의 완전 소 아이디얼 에 대하여, 그 원상 의 완전 소 아이디얼이다. (그러나 이는 소 아이디얼에 대하여 성립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의 완전 소 아이디얼들의 집합을 라고 한다면, 이는 함자

를 정의한다.

가환환의 경우, 완전 소 아이디얼과 소 아이디얼의 개념이 일치한다. 이 경우, 사실 가환환 의 소 아이디얼의 집합 위상 공간스킴의 구조를 부여할 수 있어 스킴범주 로 가는 함자

를 정의한다.

소 아이디얼 원리

양쪽 아이디얼들의 집합 가 다음 두 조건들을 만족시킨다면, 양쪽 오카 족(-[岡]族, 영어: two-sided Oka family)이라고 한다.[4]:Definition 3.1[5]:Definition 2.1

  • 임의의 양쪽 아이디얼 에 대하여, 만약 이며 이며 라면, 이다.

소 아이디얼 원리(영어: prime ideal principle)에 따르면,[4]:Theorem 3.4[5]:2.4 의 양쪽 오카 족이라고 할 때, 여집합 극대 원소는 소 아이디얼이다. (여기서 의 모든 양쪽 아이디얼들의 집합이다.)

특히, 다음과 같은 아이디얼 족은 오카 족이다.

  • 의 m계 에 대하여, 와 교차하는 양쪽 아이디얼들의 족 은 오카 족이다.[4]:Proposition 3.1
    • 가환환 의 임의의 곱셈 모노이드 에 대하여, 와 교차하는 아이디얼들의 족 은 오카 족이다.[5]:Proposition 3.1
  • 오른쪽 가군 에 대하여, 는 오카 족이다.[4]:Proposition 3.5
    • 가환환 의 가군 에 대하여, 은 오카 족이다.[5]:Proposition 3.5 (여기서 소멸자를 뜻한다.)
  • 의 곱셈 모노이드 에 대하여, 만약 모든 에 대하여 라면, 는 오카 족이다.[4]:Proposition 4.1
    • 가환환 의 임의의 곱셈 모노이드 에 대하여, 의 원소로 생성되는 주 아이디얼들의 족 은 오카 족이다.[5]:Proposition 3.17 특히, 모든 주 아이디얼들의 족 은 오카 족이다.
  • 가환환 유한 생성 아이디얼들의 족은 오카 족이다.[5]:Proposition 3.16 (그러나 이는 비가환환에 대하여 성립하지 않을 수 있다.[4]:§2)

소 아이디얼 회피

다음 데이터가 주어졌다고 하자.

  • 양쪽 아이디얼들의 유한 집합 . 또한, 에 대하여 은 완전 소 아이디얼이다.
  • 의 부분 유사환 (즉, 곱셈에 대하여 닫힌, 1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는 덧셈 부분군) . 또한, 모든 에 대하여 이다.

소 아이디얼 회피 정리(素ideal回避定理, 영어: prime avoidance)에 따르면, 다음이 성립한다.[6]

즉, 가 각 아이디얼들을 회피한다면, 모든 아이디얼들을 동시에 회피한다.

증명:

에 대한 수학적 귀납법을 사용하자. 인 경우는 자명하다. 일 때, 귀납 가정에 의하여 각 에 대하여

를 고를 수 있다. 그렇다면

이다.

가환환의 소 아이디얼

가환환의 아이디얼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포함 관계가 성립한다.

아이디얼근기 아이디얼으뜸 아이디얼근기 아이디얼으뜸 아이디얼 = 소 아이디얼 = 완전 소 아이디얼 ⊇ 극대 아이디얼

가환환 의 진 아이디얼 에 대하여, 다음 조건들이 서로 동치이다.

  • 는 소 아이디얼이다.
  • 는 완전 소 아이디얼이다.
  • 정역이다.

가환환 의 소 아이디얼 의 여집합 가 모노이드를 이루므로, 에 대하여 국소화를 취할 수 있다. 이 경우 국소환을 이룬다.

가환환의 준동형 의 소 아이디얼 에 대하여, 의 소 아이디얼이다. (이는 비가환환의 경우 일반적으로 성립하지 않는다.)

가환환의 소 아이디얼의 이러한 성질들은 대수기하학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환의 스펙트럼은 더 기하학적으로 자연스러운 극대 아이디얼 대신 소 아이디얼을 사용한다.

  • 소 아이디얼의 준동형에 대한 원상이 소 아이디얼이므로, 이는 가환환의 범주에서 집합의 범주(또는 다른 구체적 범주)로 가는 반변 함자를 이룬다. 다시 말해, 환 준동형은 아핀 스킴 사이의 함수를 정의한다.
  • 소 아이디얼의 여집합은 모노이드를 이루므로, 소 아이디얼에서 국소화를 취할 수 있으며, 이렇게 하여 얻은 환은 국소환이다. 즉, 환의 구조는 소 아이디얼에 대하여 국소적이다.

높이

가환환 소 아이디얼 높이 는 그 속에 포함되는 소 아이디얼들의 사슬의 길이의 상한이다.

특히, 높이가 0인 소 아이디얼은 포함 관계에 따라서 극소 원소소 아이디얼과 같으며, 이를 극소 소 아이디얼(極小素ideal, 영어: minimal prime ideal)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정수환 의 소 아이디얼들은 소수일대일 대응한다. 구체적으로, 소수 배수들로 구성된 아이디얼 와 대응한다. 이런 의미에서 소 아이디얼은 소수의 일반화라고 볼 수 있다. 수론에서 소수 가 두 정수의 곱 를 나누면 둘 중 하나를 나눈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이 경우, 이라는 첫 조건은 1을 소수로 치지 않는다는 사실과 같다.

유한 아벨 군 가 주어졌다고 하자. 정수환 위의 가군으로 간주하였을 때, 의 연관 소 아이디얼들은 크기소인수(로 생성되는 주 아이디얼)이다.

역사

역사적으로, 아이디얼의 개념은 수체대수적 정수환이 일반적으로 유일 인수 분해 정역이 아니라는 발견에서 비롯되었다. 수체대수적 정수환은 항상 데데킨트 정역이므로 아이디얼에 대해서는 유일 인수 분해가 성립하며, 이 경우 아이디얼의 소인수 분해에서 대응하는 "소수"는 소 아이디얼이다.

비가환환에서의 소 아이디얼의 정의는 볼프강 크룰이 1928년에 제시하였다.[7]

참고 문헌

  1. Lam, Tsit-Yuen (2001). 《A first course in noncommutative rings》. Graduate Texts in Mathematics (영어) 131 2판. Springer. doi:10.1007/978-1-4419-8616-0. ISBN 978-0-387-95183-6. ISSN 0072-5285. 
  2. Smertnig, Daniel (2015). “Factorizations of elements in noncommutative rings: A survey” (영어). arXiv:1507.07487. Bibcode:2015arXiv150707487S. 
  3. Dummit, David S.; Richard M. Foote (2004). 《Abstract algebra》 (영어) 3판. Wiley. ISBN 978-0-471-43334-7. MR 2286236. Zbl 1037.00003. 
  4. Reyes, Manuel L. “A prime ideal principle for two-sided ideals” (영어). arXiv:1501.06808. Bibcode:2015arXiv150106808R. 
  5. Lam, T. Y.; Reyes, Manuel L. (2008). “A prime ideal principle in commutative algebra” (PDF). 《Journal of Algebra》 (영어) 319: 3006–3027. doi:10.1016/j.jalgebra.2007.07.016. 
  6. Karamzadeh, Omid Ali Shahny. “The prime avoidance lemma revisited”. 《Kyungpook Mathematical Journal》 (영어) 52: 149–153. doi:10.5666/KMJ.2012.52.2.149. ISSN 1225-6951. 
  7. Krull, Wolfgang (1928). “Primidealketten in allgemeinen Ringbereichen”. 《Sitzungsberichte der Heidelberger Akademie der Wissenschaften》 (독일어) 7: 3-14. JFM 54.0156.01. 

바깥 고리

같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