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실수: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내용 정리. 표준부분함수초정수에서 합침
1번째 줄: 1번째 줄:
[[File:Standard_part_function_with_two_continua.svg|thumb|right|표준 부분 함수는 유한 초실수를 가장 가까운 실수로 대응시킨다.]]
{{수}}
{{수}}
[[비표준해석학]]에서 '''초실수'''({{llang|en|hyperreal}})는 [[무한대]]와 [[무한소]]를 취급하는 체계이다. 초실수 또는 '''비표준 실수''', '''*R'''은 [[실수]] '''R'''의 [[체 확장|확장]]이면서, 다음과 같은 형태의 어떠한 것보다도 더 큰 수들을 포함한다.
[[비표준해석학]]에서, '''초실수'''({{llang|en|hyperreal}})는 [[무한대]]와 [[무한소]]를 포함하지만 실수에 대한 모든 [[1차 명제]] 그대로 성립하는 체계이다.

:<math>1 + 1 + \cdots + 1.</math>

이러한 수들을 무한대, 그 [[역원|역]]을 무한소라고 한다.


== 정의 ==
== 정의 ==
23번째 줄: 20번째 줄:
실수 집합 <math>S\subset\mathbb R</math>가 주어졌다고 하자. 그렇다면, <math>S</math>의 '''초실수 확대'''({{llang|en|hyperreal extension}}) <math>^*S</math>는 다음과 같다.
실수 집합 <math>S\subset\mathbb R</math>가 주어졌다고 하자. 그렇다면, <math>S</math>의 '''초실수 확대'''({{llang|en|hyperreal extension}}) <math>^*S</math>는 다음과 같다.
:<math>\{[s]\in^*\mathbb R\colon\{i\in\mathbb N\colon s_i\in S\}\in\mathcal U</math>
:<math>\{[s]\in^*\mathbb R\colon\{i\in\mathbb N\colon s_i\in S\}\in\mathcal U</math>
[[자연수]] 집합 <math>\mathbb N\subset\mathbb R</math>의 초실수 확대를 '''초자연수'''({{llang|en|hypernatural}})라고 한다. [[정수]] 집합 <math>\mathbb Z\subset\mathbb R</math>의 초실수 확대를 '''[[초정수]]'''({{llang|en|hyperinteger}})라고 한다. 초정수의 집합은 초실수체의 [[부분환]]을 이룬다.
[[자연수]] 집합 <math>\mathbb N\subset\mathbb R</math>의 초실수 확대를 '''초자연수'''({{llang|en|hypernatural}})라고 한다. [[정수]] 집합 <math>\mathbb Z\subset\mathbb R</math>의 초실수 확대를 '''[[초정수]]'''({{llang|en|hyperinteger}})라고 한다. 초정수의 집합은 초실수체의 [[부분환]]을 이룬다. 유한 초정수는 정수이며, 모든 비표준 초정수는 무한 초실수이다.


== 성질 ==
== 성질 ==
43번째 줄: 40번째 줄:


== 분류 ==
== 분류 ==
초실수 가운데 실수가 아닌 것을 '''비표준 초실수'''({{llang|en|nonstandard hyperreal}})라고 한다.

'''무한대 초실수'''({{llang|en|infinite hyperreal}})는 다음을 만족시키는 초실수 <math>r^*</math>이다.
'''무한대 초실수'''({{llang|en|infinite hyperreal}})는 다음을 만족시키는 초실수 <math>r^*</math>이다.
:<math>\forall r\in\mathbb R\colon r<|r^*|</math>
:<math>\forall r\in\mathbb R\colon r<|r^*|</math>
54번째 줄: 53번째 줄:
:<math>r^*=1/\epsilon\qquad(\operatorname{st}(\epsilon)=0)</math>
:<math>r^*=1/\epsilon\qquad(\operatorname{st}(\epsilon)=0)</math>


==응용==
====
실수 <math>r</math>는 상수열의 동치류
<math>[(r,r,r,\dots)]</math>
로 대응된다.

초실수
:<math>\omega=[(0,1,2,3,4,\dots)]</math>
의 동치류는 무한대 초자연수이다. 그 역수
:<math>\omega^{-1}=[(1,1,1/2,1/3,1/4,\dots)]</math>
는 무한소 초실수이다.

==실해석학의 구현==
===함수의 연속===
===함수의 연속===
<math>f</math>가 표준 함수이고 <math>x</math>가 표준 실수 위의 한 점일 때 다음은 동치이다.
<math>f</math>가 표준 함수이고 <math>x</math>가 표준 실수 위의 한 점일 때 다음은 동치이다.
81번째 줄: 91번째 줄:


== 역사 ==
== 역사 ==
초실수(hyperreal)라는 용어는 1948년 에드윈 휴잇({{llang|en|Edwin Hewitt}})이 도입하였다.<ref>Hewitt (1948), p. 74, as reported in Keisler (1994)</ref> 표준 부분은 [[에이브러햄 로빈슨]]이 처음 정의하였고, 로빈슨은 초실수 <math>x</math>에 대하여 <math>{}^{\circ}x</math>라는 표기법을 사용하였다. [[비표준해석학]]에서는 이 개념이 미적분학에서 [[미분]]과 [[적분]]등의 개념을 정립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나중에 이 개념이 엄격히 형식화되어 [[무한소]] 이론으로 발전한다. 초실수의 표준 부분 개념을 통해, [[피에르 드 페르마]]의 직관적인 "근접" 개념을 형식화할 수 있다.<ref>Karin Usadi Katz and [[Mikhail Katz|Mikhail G. Katz]] (2011) A Burgessian Critique of Nominalistic Tendencies in Contemporary Mathematics and its Historiography. [[Foundations of Science]]. {{doi|10.1007/s10699-011-9223-1}} [http://www.springerlink.com/content/tj7j2810n8223p43/] [http://arxiv.org/abs/1104.0375 arxiv].</ref>
초실수(hyperreal)라는 용어는 1948년 에드윈 휴잇({{llang|en|Edwin Hewitt}})이 도입하였다.<ref>Hewitt (1948), p. 74, as reported in Keisler (1994)</ref>


== 참고 문헌 ==
== 참고 문헌 ==

2014년 11월 10일 (월) 11:57 판

표준 부분 함수는 유한 초실수를 가장 가까운 실수로 대응시킨다.

비표준해석학에서, 초실수(영어: hyperreal)는 무한대무한소를 포함하지만 실수에 대한 모든 1차 명제가 그대로 성립하는 수 체계이다.

정의

실수 의 수열 가환환을 생각하자. 이는 크룰 정리에 따라 극대 아이디얼 을 가진다. (크룰 정리는 선택 공리동치이다.) 그 몫환 를 이루는데, 이를 초실수체라고 하고, 그 원소를 초실수라고 한다. 각 실수를 상수열의 동치류로 대응시키면, 실수체는 다음과 같이 초실수체로 표준적으로 매장된다.

이러한 극대 아이디얼 는 자유 초필터 에 의하여 주어진다. 즉,

이다. 이 경우, 위에 다음과 같은 이항 관계를 정의할 수 있다.

이는 완전 순서를 이룬다는 것을 보일 수 있다. 따라서 초실수체는 실수체를 확대하는 순서체이다.

초실수체는 선택하는 극대 아이디얼(또는 초필터)에 따라 달라진다. 만약 연속체 가설을 가정한다면, 모든 초실수체는 순서체로서 서로 동형임을 보일 수 있다. 반면, 연속체 가설을 부정한다면 서로 동형이지 않는 초실수체가 존재한다.

실수 집합의 확대

실수 집합 가 주어졌다고 하자. 그렇다면, 초실수 확대(영어: hyperreal extension) 는 다음과 같다.

자연수 집합 의 초실수 확대를 초자연수(영어: hypernatural)라고 한다. 정수 집합 의 초실수 확대를 초정수(영어: hyperinteger)라고 한다. 초정수의 집합은 초실수체의 부분환을 이룬다. 유한 초정수는 정수이며, 모든 비표준 초정수는 무한 초실수이다.

성질

이므로, 초실수 집합의 크기는 실수 집합의 크기와 같다.

전달 원리에 따라, 1차 논리로 기술할 수 있는 실수의 성질은 초실수에 대해서도 성립한다.

초실수체는 실수체와 달리 아르키메데스 체가 아니다. 이는 아르키메데스 성질을 1차 논리로 기술할 수 없기 때문이다.

전달 원리

가 기호 , 를 사용하는 1차 논리 명제라고 하자. 그렇다면, 이 명제에서 모든 변수를 실수 대신 초실수로 바꾼 1차 논리 명제 를 정의할 수 있다. 그렇다면 다음이 성립한다.

  • 는 서로 동치이다. 즉, 가 참이라면 역시 참이며, 반면 가 거짓이라면 역시 거짓이다.

이를 전달 원리(영어: transfer principle)라고 한다.

전달 원리는 고차 논리에서는 성립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와 같은 명제는 에서 거짓이지만 에서는 참이다. 그러나 이 명제는 1차 논리 명제로 쓸 수 없다.

분류

초실수 가운데 실수가 아닌 것을 비표준 초실수(영어: nonstandard hyperreal)라고 한다.

무한대 초실수(영어: infinite hyperreal)는 다음을 만족시키는 초실수 이다.

무한소 초실수(영어: infinitesimal hyperreal)는 무한대 초실수의 역수이다. 즉, 다음을 만족시키는, 0이 아닌 실수 이다.

무한대가 아닌 초실수를 유한 초실수(영어: finite hyperreal)라고 한다. 모든 무한소 초실수는 유한 초실수이다.

모든 유한 초실수 에 대하여, 가 무한소인 실수 가 유일하게 존재한다. 이를 표준 부분이라고 하며, 라고 쓴다. 즉, 모든 유한 초실수 는 실수 성분 와 무한소 성분 의 합으로 유일하게 나타낼 수 있다.

마찬가지로, 모든 무한 초실수 는 무한소 초실수의 역이다.

실수 는 상수열의 동치류 로 대응된다.

초실수

의 동치류는 무한대 초자연수이다. 그 역수

는 무한소 초실수이다.

실해석학의 구현

함수의 연속

가 표준 함수이고 가 표준 실수 위의 한 점일 때 다음은 동치이다.

  • 에서 연속이다.
  • 의 정의역 내에 있는 모든 에 대하여, .

함수의 미분

가 표준 함수이고 가 표준 실수 위의 한 점일 때 다음은 동치이다.

  • 에서 미분 가능하고 이다.
  • 모든 무한소 에 대하여,

예를 들어, 가 표준 실수에서의 함수이고 라고 정의된다고 하자. 임의의 무한소를 라고 하면,

함수의 적분

초실수 체계에서 적분은 aa + dxa + 2dx, ... a + ndx 등으로 나누어지는 무한소의 격자들의 합으로 정의된다. 여기서 dx는 무한소이며, n은 무한의 초정수이며, 적분 구간의 하한 a 와 상한 b = a + n dx인 관계를 따른다.[1]

역사

초실수(hyperreal)라는 용어는 1948년 에드윈 휴잇(영어: Edwin Hewitt)이 도입하였다.[2] 표준 부분은 에이브러햄 로빈슨이 처음 정의하였고, 로빈슨은 초실수 에 대하여 라는 표기법을 사용하였다. 비표준해석학에서는 이 개념이 미적분학에서 미분적분등의 개념을 정립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나중에 이 개념이 엄격히 형식화되어 무한소 이론으로 발전한다. 초실수의 표준 부분 개념을 통해, 피에르 드 페르마의 직관적인 "근접" 개념을 형식화할 수 있다.[3]

참고 문헌

  1. Keisler
  2. Hewitt (1948), p. 74, as reported in Keisler (1994)
  3. Karin Usadi Katz and Mikhail G. Katz (2011) A Burgessian Critique of Nominalistic Tendencies in Contemporary Mathematics and its Historiography. Foundations of Science. doi 10.1007/s10699-011-9223-1 [1] arxiv.

같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