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차 논리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고차 논리(高次論理, 영어: higher-order logic)는 관계 또는 관계의 관계 등을 지칭하는 변수에 전칭·존재 기호를 가할 수 있는 일련의 논리 체계들이다. 모든 고차 논리는 ω차 논리(ω次論理, 영어: ω-order logic)의 부분 논리 체계로 생각할 수 있다.[1]:Chapter 5, §50

정의[편집]

문법[편집]

가 2 이상의 자연수 또는 가장 작은 무한 극한 순서수 라고 하자.

d차 논리(d次論理, 영어: dth-order logic)의 종류(種類, 영어: sort)와 이들의 차수(次數, 영어: order)는 다음과 같다. (편의상 연산의 종류를 다루는 것을 생략하자.)

  • 는 0차 종류이다.
  • 차수가 각각 인 종류 에 대하여, 만약 라면, 차 종류이다.

d차 논리의 언어는 각 종류의 변수와 상수들로 구성된다. 종류가 인 변수를 개체 변수(個體變數, 영어: individual variable)라고 하며, 종류가 인 변수를 명제 변수(命題變數, 영어: propositional variable)라고 한다.

d차 논리의 논리식(論理式, 영어: (well-formed) formula)은 다음과 같다.

  • 종류 의 변수 또는 상수 및 종류가 각각 인 변수 또는 상수 에 대하여, 은 논리식이다.
  • 차 미만의 같은 종류 의 두 변수 또는 상수 에 대하여, 는 논리식이다.
  • 논리식 및 변수 에 대하여,
    • 는 논리식이다.
    • 만약 의 속박 변수가 에 등장하지 않으며, 의 속박 변수가 에 등장하지 않는다면, 는 논리식이다.
    • 만약 의 자유 변수라면, 는 논리식이다.

여기서 논리식 와 그 속에 등장하는 변수 에 대하여, 만약 를 포함하지 않는다면, 자유 변수(自由變數, 영어: free variable)라고 하며, 그렇지 않다면 속박 변수(束縛變數, 영어: bound variable)라고 한다.

증명 이론[편집]

다음과 같은 기호들을 사용하자.

  • , , 는 임의의 논리식이다.
  • 각 종류 에 대하여, , , , , 는 종류 의 변수이다.
  • 각 종류 에 대하여, 는 종류 의 변수 또는 상수이다.

d차 논리의 추론 규칙들은 다음과 같다.

  • (전건 긍정)
  • (일반화)
    • 여기서 의 자유 변수이어야 한다.

d차 논리의 공리 기본꼴들은 다음과 같다.

    • 여기서 의 자유 변수이며, 에 등장하는 자유 변수 를 모두 로 대체하여 얻는 논리식이다. 만약 가 변수일 경우, 꼴의 부분 논리식 속에 등장하지 않아야 한다.
    • 여기서 에 등장하지 않는 변수이며, 의 자유 변수이어야 한다.
  • (분류 공리 기본꼴)
    • 여기서 의 자유 변수일 수 없다.
  • (확장 공리)

물론 모든 공리는 d차 논리의 유효한 논리식이어야 한다. 예를 들어, 확장 공리는 3차 논리에서부터 사용된다. (다른 공리들은 2차 논리에도 존재한다.)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1. Andrews, Peter B. (2002). 《An Introduction to Mathematical Logic and Type Theory》. Applied Logic Series (영어). Dordrecht: Springer. doi:10.1007/978-94-015-9934-4. ISBN 978-90-481-607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