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라우치 마사타케: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Choboty (토론 | 기여)
잔글 일본어판 분류 정보를 이용.+분류:막부 말기 조슈 번 사람; 예쁘게 바꿈
234번째 줄: 234번째 줄:
[[분류:병사한 사람]]
[[분류:병사한 사람]]
[[분류:막부 말기 조슈 번 사람]]
[[분류:막부 말기 조슈 번 사람]]
[[분류:한일 합방]]

2014년 1월 19일 (일) 09:44 판

데라우치 마사타케
寺内正毅, てらうち まさたけ
일본 제국제3대 조선통감
임기 1910년 5월 30일~1910년 8월 29일
전임: 소네 아라스케(2대)

일본 제국의 기 일본 제국의의 제1대 조선총독
임기 1910년 10월 1일~1916년 10월 14일
후임: 하세가와 요시미치(제2대)

일본의 기 일본의의 제18대 총리
임기 1916년 10월 9일~1918년 9월 29일
전임: 오쿠마 시게노부(제17대)
후임: 하라 다카시(제19대)

신상정보
출생일 1851년 2월 5일
출생지 도쿠가와 쇼군 가의 가문일본 야마구치 현 하기
사망일 1919년 11월 3일(1919-11-03)(68세)
사망지 일본제국의 국기 일본 도쿄
서명

데라우치 마사타케(틀:Ja-y, 사내정의, 1852년 2월 24일 ~ 1919년 11월 3일)는 일본 제국육군 군인, 정치가, 외교관이다. 제18대 내각총리대신을 지냈다. 1910년 5월부터는 제3대 한국통감부 통감이었고, 한일 합방 이후부터 1916년 10월 14일까지 초대 조선총독부 총독이었다. 호는 앵보(桜圃) 또는 로안(魯庵)이다.

조슈 번 하급 무사의 아들로 태어나 외가의 양자가 되었으며, 메이지 유신 시대에 군인으로 임관한 뒤 보신 전쟁세이난 전쟁에 출정하였다. 1882년 프랑스 주재무관이 되고, 일본 육군사관학교 교장을 거쳐 1898년 일본 육군교육 총감을 지냈다. 1900년대 초에는 남만주 철도 설립위원장을 맡았다. 1902년 3월 국방부 육군담당 대신이 되었으며, 러일 전쟁에 참전한 공로로 자작이 되고 육군 대장까지 승진했다. 1910년 5월 제3대 한국통감부 통감으로 부임하여 한일 합방을 성사시키고 초대 조선총독이 되었다. 1916년 총리대신이 되어 시베리아 파병 등 조선과 중국에서 일본의 권익확대를 꾀하는 제국주의 정책을 펼쳤다.

생애

초기 경력

데라우치는 1852년 야마구치 현(山口)의 조슈 번(현재의 야마구치 현 야마구치 시)에서 하기가 가신인 사무라이 우타다 조스케(宇多田正輔)의 셋째 아들로서 태어났다. 아버지의 성은 우타다(宇多田)였으나 외가집 아저씨뻘 되는 일가의 사양자(養嗣子)가 되면서 어머니의 성인 데라우치를 따랐다.

그는 보신 전쟁(戊辰戦争)에 종군하여 막부 세력과 싸웠고, 이후 메이지 유신(明治維新)에 의해 새롭게 창건된 일본제국 육군의 소위로 임관하였다. 1868년 방패부대의 장교로 보신 전쟁 에 참전하고 돌아왔다. 이후 실력을 인정받아 야마다 아키요시의 추천으로 고속승진하였다.

군 경력

세이난 전쟁과 청일 전쟁

1877년, 중앙정계에서 밀려난 사이고 다카모리(西鄕隆盛)가 고향인 사쓰마에서 반란을 일으켜 벌어진 세이난 전쟁(西南戦争)에서 참전하였으나, 다바루자카(田原坂) 전투에서 오른팔이 칼에 베여 부상당했다. 결국 이 부상으로 데라우치는 평생 오른팔이 불구가 되었다. 그리하여 이후에는 야전보다는 주로 후방의 보직에서 일하게 되었다.

1882년 프랑스에 유학하는 간인노미야 히타시 황자의 수행원으로 프랑스에 주재무관으로 파견되었고, 이후 귀국하여 군의 주요 보직을 거치게 되었다. 여러 보직을 거쳐 1887년 일본 육군사관학교 교장을 역임하였고, 청일 전쟁이 발발하자 일본군의 병참의 총 책임을 맡은 운수통신사령관을 역임하였다. 그뒤 일본군 제1사단 참모장을 거쳐 일본군 사령부 제1국 국장을 지냈다.

러일전쟁과 육군대신

1898년 육군 교육총감으로 임명되었는데, 이는 육군대신, 참모총장과 함께 육군의 3대 보직의 하나였다. 이어 일본제국 육군 참모부 차장, 일본 육군대학 총장을 지냈다. 1900년 4월 25일 일본군 육군참모차장이 되었다. 1901년 제1차 가쓰라 다로(桂太郎) 내각의 육군대신에 임명되었고, 러일 전쟁의 병참지원을 무난히 마쳐 이때 일본은 러일 전쟁에서 승리하였다.

1904년 3월 17일 다시 육군 교육총감에 임명되어 육군대신과 교육총감을 겸임하였다. 보신 전쟁, 세이난 전쟁, 청일 전쟁, 러일 전쟁 등에서의 공적으로 1907년 자작(子爵)의 작위를 받았고 군에서는 대장으로 승진하였으며, 이후 일본의 만주지배를 위해 구상된 철도회사인 남만주 철도의 설립위원장을 맡았다. 1902년에는 가쓰라 다로(桂太郞) 내각의 일본 국방부 육군담당 대신이 되었다. 1908년 7월 14일 다시 육군담당 대신 겸 외무대신에 임명되었다. 육군대신에 임명되면서, 당시 타케토미 토키토시 사임 후 외무대신 후임자가 없어 외무대신을 1개월간 겸직했다. 8월 27일에 후임자가 결정되면서 외무대신직을 사퇴하였다. 여러 전쟁에 출정하였고 정치적 의사표현이 거의 없던 점 때문에 그는 야심이 없는 인물로 인정, 여러 대신들의 천거로 메이지 천황에 의해 한국통감으로 내정된다.

한국 통감과 조선 총독 재직

한국 통감한일 합방

105인 사건 관련자들 체포 장면

데라우치는 제3대 한국통감에 임명되었고, 순종 대신 대한제국실권을 자신의 손으로 쥐었으며 이 때 한일 병합을 주도하여 병합 후에는 초대 조선 총독에 임명되었다. 이후 1911년까지 육군대신과 조선 총독을 겸하여 조선과 일본을 오갔다.

조선인은 일본통치에 복종하든지 죽든지 하나를 택해야 한다.
 
— 총독 취임사

데라우치는 조선 백성과 지식인층의 반발을 무마시키기 위해, 순종고종조선의 옛 군주들과 이씨 왕가를 형식적으로 우대하는 정책을 폈다. 총독 취임 초 그는 조선인의 반항을 억누르기 위해 매우 강경한 정책(무단통치)를 펼쳤는데, 그중 하나로 헌병이 경찰 임무를 맡게 하고 사소한 구실로 이른바 105인 사건을 일으켜 윤치호, 이승훈 등 조선의 많은 지식인을 체포하였다. 이러한 공적으로 1911년 4월 백작으로 승진하였다.

조선 총독

조선총독부

데라우치는 일본화 교육을 통해 조선민족을 이른바 "황국신민"으로 동화시키기 위해 많은 학교를 설립하였다. 이것은 조선의 문맹 퇴치와 교육 수준 향상에 일정하게 기여한 것도 사실이지만, 근본적인 목적은 조선인을 위함이 아니라 일본인의 식민통치를 효율적으로 하기 위한 것이었다. 데라우치는 헌병이 경찰역할 겸임하는 헌병 경찰 제도 를 창시해 조선의 치안을 유지하였다. 이는 후에 무단 정치로 평가됐다.

데라우치는 토지조사사업을 통해 조선의 토지 소유 제도를 근대화시키려고 하였으나, 이는 마찬가지로 식민 통치를 효율적으로 하기 위한 목적이었다. 특히 기한 내에 신고되지 않거나 대대로 소유했으나 증명문서가 없던 많은 토지를 총독부가 몰수하여 동양척식주식회사(東洋拓殖株式會社)에 넘겨 친일파나 일본인 지주들에게 헐값으로 불하하여, 기존의 지주와 소작인들에게 커다란 고통을 주고, 일본의 식민지배를 더욱 용이하게 하였다.

10월 16일 조선 총독을 사임하고 10월 19일에는 내각 총리 대신에 취임하였다.

내각총리대신

총리대신 초기

1916년 데라우치는 18대 수상에 취임하였고, 그해 6월 24일, 군에서는 육군 원수로 승진하였다. 그는 내각에서 대장성외무성의 대신을 겸임하였다. 그는 팽창주의적인 대외 정책을 폈는데, 제1차 세계대전이 발발하자 영일 동맹에 의거하여 독일에 선전포고를 하고, 독일이 조차하고 있던 산둥 반도와 독일의 식민지였던 태평양의 섬들을 점령하였다.

1916년 10월 9일부터는 11월 이치로 단지가 후임 외무대신이 임명되기 전까지 1개월 동안 외무상을 겸임하였으며, 후임 재무상도 낙점되지 못해 재무대신 직까지도 겸임하였다. 12월 16일 쇼다 가쯔에(勝田主計)가 재무대신에 임명됨으로써 재무대신직에서 면직되었다.

시베리아 원정 정책

데라우치 마사타케

조선에서 무단 통치를 자행했던 데라우치는 총리가 되어서도 헌정을 무시하는 행위를 일삼아 ‘빌리켄’이라는 별명을 얻었다. 데라우치의 대머리가 빌리켄 인형과 비슷했고, ‘비입헌’(非笠憲)의 일본어 발음 ‘히릿켄’과도 비슷했기 때문이다.[1]

1917년 러시아에서 공산 혁명이 발발하자 이에 개입하여 반혁명군을 지원하기 위해 시베리아에 원정군을 파견했다. 또한 니시하라 가메조를 통해 중국의 군벌 돤 치루이에게 정부 자금 1억 2천7백만 엔을 차관 제공했다. 그리고 식민지 경영을 위해 내각에 척식국을 설치하고 외무성을 통한 정식 루트가 아니라 총리 독자 권한으로 외교 노선을 결정하는 체제를 만들었다. 시베리아 원정을 비판하는 목소리가 높아지자 데라우치는 신문 기사를 검열하고, 신문사를 탄압해 50개 이상의 신문이 판금 처분되었다.[2]

해임과 최후

총리대신으로 재직 중 시베리아 출병을 감행하는 등 특히 한국과 중국에서 일본의 권익확대를 꾀하는 제국주의 정책을 수행했다. 그러나 미국의 공동 출병 요구로 인해 쌀값이 폭등하고, 철·석탄·종이 등 생필품도 매점매석으로 폭등했다. 그러던 중 1918년 8월 3일, 도야마 현에서 인플레이션을 이기지 못한 민중들이 들고 일어났고, 이 쌀 폭동은 전국 1도 3부 38현으로 확산되었다. 데라우치는 군대를 출동시켜 진압했고, 전국적인 비난을 받았다. 결국 1918년 9월 29일 총리대신 직을 사퇴하게 된다.

그의 정치적 후견자이며 방패막이를 해주던 원로 야마가타 아리토모마저 데라우치를 버리자 결국 데라우치는 사임하였고, 사임한 지 1년만인 1919년 11월에 사망하였다.[3] 그의 장남은 태평양 전쟁에서 일본군의 남방총군 사령관을 역임한 데라우치 히사이치이다.

사후

야마구치 현청사 동북쪽 야산에 안장되었으며, 그의 묘소 주변에는 다른 묘소들이 들어섰고, 야산 앞에는 야마구치현립대학이 소재해 있다. 야산 입구에서 그의 묘소까지 석등이 여러 개 놓여 있다.

그가 죽자 그의 아들 데라우치 히사이치백작위를 계승했다. 히사이치는 태평양 전쟁에서 일본군의 남방총군 사령관을 역임했으며 역시 육군 원수에까지 이르렀다. 데라우치 부자는 일본군 내에서 부자가 육군원수를 역임한 몇 안되는 케이스의 하나이다.

기타

그는 자신의 군인, 조선총독 활동 중의 기록을 일부 담은 비망록을 남겼다.

같이 보기

관련 자료

  • 윤대원, 《데라우치 마사다케 통감의 강제 병합 공작과 한국병합의 불법성》 (소명출판, 2011)
  • 이선관, 《지구촌에 주인은 없다》 (살림터, 1997)
  • 권태억, 《한국 근대사회와 문화 2》 (서울대학교출판부,2005)

주석

  1. 고니시 도쿠오. 《일본 총리 열전》. 다락원. 94쪽. 
  2. 고니시, 앞의 책 97쪽
  3. 고니시, 앞의 책 98쪽

바깥 고리

전임
고다마 겐타로
일본 육군대신
1902년 3월 - 1911년 8월
후임
이시모토 신로쿠
전임
소네 아라스케
제3대 한국통감부 통감
1910년 5월 30일 ~ 1910년 8월 29일
후임
데라우치 마사타케
(조선 총독)
전임
데라우치 마사타케
(한국 통감)
제1대 조선총독
1910년 10월 1일 ~ 1916년 10월 14일
후임
하세가와 요시미치
전임
순종
한반도의 통치자
1910년 10월 1일 ~ 1916년 10월 14일
후임
하세가와 요시미치
전임
다토미 도키토시
제22대 일본 외무 대신
1908년
후임
고무라 쥬타로
전임
이시이 기쿠지로
제31대 일본 외무 대신
1916년
후임
모토노 이치로
전임
야마모토 곤노효에
제18대 일본 총리대신
1916년 - 1918년
후임
하라 다카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