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외무성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외무성
外務省
외무성 청사
외무성 청사
남쪽 청사
남쪽 청사
설립일 1869년 8월 15일
역할 일본의 외교정책을 수행
소재지 일본의 기 일본 도쿄도 지요다구 가스미가세키 2쵸메 2번지 1호
직원 수 5,862명
예산 6,172억 5,100만 엔[1]
외무대신 하야시 요시마사(林 芳正)
부대신 타케이 슌스케(武井俊輔)
부대신 야마다 켄지(山田賢司)
웹사이트 https://www.mofa.go.jp/mofaj/index.html

외무성(일본어: 外務省 가이무쇼[*], Ministry of Foreign Affairs, 약칭 : MOFA)은 일본행정조직으로, 대한민국 외교부 격이다. 1885년(메이지 18년)에 내각 제도가 창설된 이후 한 번도 명칭이 단 한 바뀌지 않은 유일한 부서이기도 하다.

설치 근거 및 소관 업무[편집]

소관 업무[편집]

  • 외무성설치법 제2조

소관 업무[편집]

  • 평화롭고 안전한 국제사회의 유지에 기여
  • 주체적이고 적극적인 취조를 통해 양호한 국제환경의 정비를 꾀함
  • 조화로운 대외관계를 유지하고 발전시켜 나가며, 국제사회에 있어 일본국 및 일본국민의 이익의 증진을 꾀함

연혁[편집]

조직[편집]

간부[편집]

  • 대신 1인
  • 부대신 2인
  • 대신정무관 3인
  • 사무차관 1인
  • 심의관 2인
  • 비서관 1인

내부부국[편집]

직원[편집]

일반직 재직자 수는 2011년 1월 15일 기준으로 5,648명(여성 1,408명)이다.[3] 행정기관직원정원령에 정해진 외무성의 정원은 별정직 148명을 포함해 5757명이다.[4]

외무성의 일반직 직원의 급여에 관한 법제는 기본적으로 국가공무원법과 일반직급여법에 따르지만, 재외공관에 근무하는 직원(이하 재외직원)은 특별법으로 재외공관명칭 및 위치 및 재외공관에 근무하는 외무공무원의 급여에 관한 법률(외무공무원급여법)도 적용된다.

외무성의 일반직 직원은 비현업의 국가공무원이므로, 노동기본권 중 쟁의권과 단체 협약 체결권은 국가공무원법에 의해 인정되지 않는다. 단결권은 보장되며, 직원은 노동조합으로 국가공무원법이 규정하는 "직원 단체"를 결성, 혹은 결성하지 아니하거나 이에 가입, 또는 가입하지 않을 수 있다(국공법 제108조의 2 제3항). 2011년 3월 31일 기준으로 인사원에 등록된 직원단체는 존재하지 않는다.[5] 2001년도에는 약 30%의 조직률을 보였지만, 다음 해에 0%가 되어 현재까지 유지되고 있다.[6] 과거에 있었던 노조는 외무성 직원조합에서 조합·전노련 어느 것에도 속하지 않는 중립계의 조합이었다.

상근직원 채용시험은 국가공무원 채용 종합직시험 및 일반직시험 외에 자신의 직업 시험으로 외무성 전문 직원 채용 시험이 설치되어있다(인사원 규칙 8-18 제3조). 또한 임기가 있는 직원으로 전문조사원 재외공관파견원 (재단법인 국제교류 서비스 협회가 파견하는 것), 현지 채용 직원 등이 있다.

일단은 구 국가공무원 채용 Ⅰ종 시험에 해당하는 외무성 자신의 경력 채용 시험인 외무공무원 채용 Ⅰ종 시험(통칭 "외무고시")이 있었지만, 2001년도 시험을 마지막으로 폐지됐다. 이후 2011년도 채용 시험 체계의 재검토까지 국가공무원 채용 I종 시험 합격자에서 경력 직원을 채용했다.

성내의 파벌 관계로는 어학 연수 부문별로 '아메리칸 스쿨 ", "차이나 스쿨 ""러시안 스쿨 "등이 있으며, 출신학교별로는 도쿄대 출신들이 "도다이바쓰"을 비롯, 도쿄외국어대학 출신들이 직업을 중심으로 한 "가이다이바쓰"[출처 필요] 창가학회 직원이나 소카대 출신의 파벌 "대봉회 (大凰会)"[7] 등이 알려져 있다.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1. `12 기준.
  2. 재외공관은 대사관, 공사관, 총영사관, 영사관, 정부대표부 및 일본정부재외사무소의 5종류가 있다.
  3. 인사원 "참고 자료; 6 -일반직 국가공무원 부처 별 재직자 수 ""공무원 백서 - 2012년판 Archived 2012년 10월 15일 - 웨이백 머신 "일본경제(일경) 인쇄, 2011년 6월, p.244 2011년 1월 15일.
  4. "행정기관직원정원령(1969년 5월 16일 정령 제121호) Archived 2016년 3월 5일 - 웨이백 머신"(최종개정: 2012년 4월 6일 정령 제120호)
  5. 인사원 "제1편 제3부 제6장: 직원 단체 - 자료 6-2; 직원 단체의 등록상황" "공무원 백서 - 2012년판" 일경(일본경제 인쇄, 2011년 6월, p.185. 2012년 3월 31일 기준.
  6. 하라다 히사시 "공무원 노동조합의 기능" "최신: 공무원 제도 개혁" 학양서방 2012년 1월.
  7. 외무성 출신의 전 공명당 의원 엔도 오토히코가 신앙을 공통으로 하는 사람들의 이른바 사교의 장으로 만들었다는 것을 인정하고 있다. 제129회 국회 예산위원회 제2호 Archived 2007년 10월 1일 - 웨이백 머신 1994년 (1994년) 2월 21일.

외부 링크[편집]

일본의 국기 일본의 행정기관 총리·내각의 문장
내각
내각관방 내각법제국 국가안전보장회의 인사원
내각부 (궁내청 | 공정거래위원회 | 국가공안위원회·경찰청 | 개인정보보호위원회 | 카지노관리위원회 | 금융청 | 소비자청 | 디지털청) | 부흥청
총무성 법무성 외무성 재무성 문부과학성 후생노동성 농림수산성 경제산업성 국토교통성 환경성 방위성
공해등조정위원회 소방청 검찰청 출입국재류관리청 공안심사위원회 공안조사청 국세청 스포츠청 문화청 중앙노동위원회 임야청 수산청 자원에너지청 특허청 중소기업청 관광청 기상청 해상보안청 운수안전위원회 원자력규제위원회 방위장비청
회계검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