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제7대 국회의원 선거
제7대 국회의원 선거 | ||||||||||||||||||||||||||||||||||||||||||||||||||||||
| ||||||||||||||||||||||||||||||||||||||||||||||||||||||
| ||||||||||||||||||||||||||||||||||||||||||||||||||||||
|
대한민국 제7대 국회의원 선거는 4년 임기의 제7대 국회의원을 뽑는 선거로 1967년 6월 8일에 치러졌다. 소선거구제를 통한 직접선거로 131명을 선출하였다. 정당별 득표율에 따라 선출한 44명의 전국구를 포함하여 대한민국 제7대 국회의원은 모두 175명이다. 그리고, 선거기간 동안 많은 부정행위가 저질러져서 6.8 부정선거로도 불린다.
경과
[편집]배경
[편집]의원 정수는 제6대 총선과 동일한 지역구 131명과 전국구 44명으로 총 175명이었다.
입후보
[편집]선거전은 지역구에 702명이 입후보하여 평균경쟁률은 5.4 대 1을 나타냈다. 이 선거에는 민주공화당과 신민당 이외에 대중당·민중당·자민당 등 모두 11개 정당이 참여하였다.
선거
[편집]투표율은 76.1%로 제6대보다 4%가량 증가하였다. 선거결과 정당별 당선자는 민주공화당이 의원정수의 73.7%에 해당하는 129명(지역구 102명, 전국구 27명)으로 제6대보다 19명이 늘어나 절대다수의석을 자치하게 되었다. 신민당은 45명(지역구 28명, 전국구 17명)을 등원시켰고, 대중당이 1명에 나머지 8개 정당은 단 1명의 당선자도 내지 못하였다. 정당별 득표율에서는 민주공화당이 50.6%의 득표율로 전체의석의 77.9%에 해당하는 102명을 당선시켰다. 반면에 신민당이 32.7%를 획득하여 당선비율 21.4%에 해당하는 28명을 당선시켰다.
의미
[편집]공화당은 여전히 농촌지역에서 압승을 거둔 반면에, 신민당은 대도시에서 크게 승리하여 ‘여촌야도현상’의 심화를 드러냈다. 특히 선거과정에서 저질러진 많은 부정 선거 행위로 말미암아 야당으로부터 전면 부정선거라는 문제가 제기되어‘전면 무효화’, ‘전면 재선거’를 요구하였고 의원등록을 거부하였다. 이러한 정국 혼란의 여파는 학원가에까지 번져 대학은 휴교조치에 이어 조기방학에 들어가게 되었고, 공화당 스스로도 "타락되고 혼탁한 분위기의 선거이었음에는 틀림이 없었다"라며 화성 지역구 권오석 당선자를 김형일로 착오시정하였고, 보성 양달승, 평택 이윤용, 대전 원용석, 보령 이원장, 군산 차형근, 고창 신용남, 화순 기세풍, 영천 이원우 당선자 등을 제명하고, 7개 구의 지구당 위원장을 당에서 제명하여 공화당 스스로 부정 선거임을 자인했다.
이후 김옥선은 소송 끝에 개표에 오류가 밝혀져 당선자 결정이 시정되어 국회에 입성하고, 보성 양달승은 공개투표 등으로 인한 일부 투표구의 선거무효로 재선거가 결정되어 재선거 지역 투표수를 합친 결과 야당 후보가 당선되었다.
선거 정보
[편집]- 총유권자수 : 14,717,354명[2]
- 대통령 : 박정희 (민주공화당)
- 의석정수 : 175석 (지역구 131석 + 전국구 44석)
- 선거제도 : 소선거구제 + 비례대표제
- 투표일 : 1967년 6월 8일
투표율
[편집]- 전국 선거인수 14,717,354명 중 11,202,317명이 투표하여, 투표율은 76.1%를 기록하였다
서울 | 부산 | 경기 | 강원 | 충북 | 충남 | 전북 | 전남 | 경북 | 경남 | 제주 | |
---|---|---|---|---|---|---|---|---|---|---|---|
투표율 | 57.6 % | 69.4 % | 74.0 % | 81.3 % | 86.7 % | 81.3 % | 79.3 % | 78.9 % | 80.3 % | 84.0 % | 77.8 % |
선거 결과
[편집]정당별 당선자 수
[편집]정당 | 지역구 | 전국구 | 합계 |
---|---|---|---|
민주공화당 | 102 | 27 | 129 |
신민당 | 28 | 17 | 45 |
대중당 | 1 | 1 | |
합계 | 131 | 44 | 175 |
지역별 지역구 의원 수
[편집]지역 | 민주공화당 | 신민당 | 대중당 | 합계 |
---|---|---|---|---|
서울특별시 | 1 | 13 | - | 14 |
경기도 | 10 | 3 | - | 13 |
강원도 | 8 | 1 | - | 9 |
충청남도 | 12 | 1 | - | 13 |
충청북도 | 8 | - | - | 8 |
전라남도 | 16 | 2 | 1 | 19 |
전라북도 | 11 | - | - | 11 |
부산시 | 2 | 5 | - | 7 |
경상남도 | 14 | 1 | - | 15 |
경상북도 | 18 | 2 | - | 20 |
제주도 | 2 | - | - | 2 |
합계 | 102 | 28 | 1 | 131 |
정당 득표율
[편집]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당선인 |
---|---|---|---|
민주공화당 | 5,494,922 | 50.6% | 27 |
신민당 | 3,554,224 | 32.7% | 17 |
자유당 | 393,448 | 3.6% | |
민주당 | 323,203 | 3.0% | |
대중당 | 249,561 | 2.3% | |
한국독립당 | 240,936 | 2.2% | |
민중당 | 180,324 | 1.7% | |
정의당 | 142,670 | 1.3% | |
통일사회당 | 104,975 | 1.0% | |
자유민주당 | 88,474 | 0.8% | |
통한당 | 83,271 | 0.8% | |
총합 | 10,856,008 | 44 |
전국구 배분
[편집]국회의원 선거법에 따라, 지역구 의석이 3석, 득표율이 5%를 넘는 민주공화당과 신민당에만 득표율에 따라 각각 27석과 17석이 배분되었다.
당선자
[편집]지역구
[편집]전국구
[편집]전국구 의석 수: 전체 175석 중 44석
# | 민주공화당 | 신민당 |
---|---|---|
1 | 정구영 | 박순천 |
2 | 윤치영 | 김도연 |
3 | 백두진 | 정해영 |
4 | 최희송 | 고흥문 |
5 | 김정렬 | 이재형 |
6 | 윤천주 | 김세영 |
7 | 양찬우 | 정운갑 |
8 | 이동원 | 한통숙 |
9 | 김동환 | 김성용 |
10 | 최영희 | 빈칸[3] |
11 | 이영근 | 연주흠 |
12 | 김성희 | 편용호 |
13 | 이원엽 | 박재우 |
14 | 김유탁 | 이기택 |
15 | 박노선 | 이민우 |
16 | 김용호 | 김수한 |
17 | 김영복 | 김상현 |
18 | 이정석 | 조흥만 |
19 | 신동욱 | |
20 | 김규남 | |
21 | 이병주 | |
22 | 이매리 | |
23 | 이성수 | |
24 | 신동준 | |
25 | 김익준 | |
26 | 이원영 | |
27 | 이영호 |
참고 자료
[편집]- 국회의원선거법(일부개정 1966.12.14 법률 제1849호)
-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역대선거정보시스템 보관됨 2012-09-03 - archive.to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