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한유엔기념공원

116.121.181.13 (토론)님의 2015년 8월 21일 (금) 17:09 판 (→‎희생)
부산 재한유엔기념공원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등록문화재
종목등록문화재 제359호
(2007년 10월 24일 지정)
면적일곽(144,902㎡)
시대기타
소유재한유엔기념공원 국제관리위원회
위치
주소부산광역시 남구 유엔평화로 93(대연동)
좌표북위 35° 7′ 38.62″ 동경 129° 5′ 45.83″ / 북위 35.1273944° 동경 129.0960639°  / 35.1273944; 129.0960639
정보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정보

유엔 기념 공원(영어: United Nations Memorial Cemetery in Korea, UNMCK)은 대한민국 부산광역시 남구에 있는 1951년에 만들어진 세계에서 유일한 유엔군 묘지로, 한국전쟁에서 전사한 유엔군 장병 유해가 안장되어 있다.

역사

  • 1951년 1월 18일: 유엔군 사령부에서 묘지 조성
  • 1952년 4월: 묘지가 완공되어 개성, 인천, 대전, 대구, 밀양, 마산 등에 가매장되어 있던 한국전쟁 유엔군 전몰장병 유해 안장 시작
  • 1955년 11월 7일: 대한민국 국회에서 토지유엔에 영구히 기증하고 묘지를 성지로 지정할 것을 결의
  • 1955년 12월 15일: 묘지를 유엔이 영구적으로 관리하기로 유엔총회에서 결의문 제 977(X) 호로 채택, 토지에 대한 불가침권 부여
  • 1959년 11월 6일: 유엔과 대한민국간에 “유엔 기념 묘지 설치 및 관리 유지를 위한 대한민국과 유엔간의 협정”을 체결하여 유엔 기념 묘지로 출발, ‘유엔한국통일부흥위원단’(UNCURK)에서 관리
  • 1974년 2월 16일: UNCURK 해체로 11 개국으로 구성된 ‘유엔 기념 공원 국제관리위원회’(Commission for the UNMCK)에 관리권한 위임
  • 1975년 3월 30일: 공식명칭을 ‘재한 유엔 기념 묘지’(United Nations Memorial Cemetery in Korea, UNMCK)에서 ‘재한 유엔 기념 공원’으로 변경
  • 1975년 12월 26일: 문화재청에서 종전 '재한유엔(UN)기념공원'에서 '부산 재한 유엔 기념 공원'으로 등록문화재 명칭을 변경 고시 [1]
  • 2007년 10월 24일: 문화재청에서 근대문화재로 등록(등록문화재 제359호)

현황

파병

1950년 6월 25일 한국전쟁이 발발하자, 유엔1950년 6월 28일 제2차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서, 유엔이라는 이름으로 유엔군을 파병할 것을 결의하였다. 지원현황은 전투병력과 장비 등을 지원한 전투지원 16개국과 병원선, 의료진, 의약품 등을 지원한 의료지원 5개국 물자지원과 물자지원 의사를 표명한 44개국 등을 포함하여 총 63개국이 대한민국을 방어하기 위해 참전하였다.

희생

1950년 6월 25일 ~ 1953년 7월 27일 기간동안, 참전 21개국 중 17개국 (의료지원국 중 노르웨이 포함)에서 40,896 명의 유엔군 희생자가 발생하였다.

안장

1951년 ~ 1954년 사이에 21 개국 유엔군 전사자 약 11,000 여명의 유해가 안장되어 있었으나, 벨기에, 콜롬비아, 에티오피아, 그리스, 룩셈부르크, 필리핀, 태국 등 7 개국 용사의 유해 전부와 그 외 국가의 일부 유해가 그들의 조국으로 이장되어 , 2012년 현재 유엔군부대에 파견 중에 전사한 한국군 중 36 명을 포함하여 11 개국의 2,300 구의 유해가 안장되어 있다.[3]

영국군 885명을 비롯한 영연방 국가 전사자들의 유해가 안치되어 있는 것은, 숨진 곳에 묻는 영국 풍습에 따른 것이다.[4]

단, 안장자 모두가 전사자는 아니다. 미군의 경우 한국전 참전자 본인이 원한 경우 사후 이곳에 안장하였다. 또한 다른 나라도 전쟁이 끝난 직후 병력을 철수한 게 아니라 몇 년 더 한국에 머물렀는데 이 머무르는 도중에 사고를 당해 죽은 경우도 이곳에 안장한 경우도 있다.

1951년 대구 유엔군 묘지에서 전사자 등록 중인 미군. 왼쪽부터 십자가, 무명용사용 삼각형 표식, 전사자와 함께 묻는 양식표지인 작은 병
국명 파병자수 전사자수 봉안 유해수
오스트레일리아의 기 오스트레일리아 8,407 346 281
캐나다의 기 캐나다 27,000 516 378
프랑스의 기 프랑스 3,760 270 44
네덜란드의 기 네덜란드 5,320 124 117
뉴질랜드의 기 뉴질랜드 5,350 41 34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기 남아프리카 공화국 900 37 11
튀르키예의 기 튀르키예 14,936 1,005 462
영국의 기 영국 56,000 1,177 885
미국의 기 미국 1,600,000 36,492 36
노르웨이의 기 노르웨이 623 3 1
벨기에의 기 벨기에 3,590 106 -
콜롬비아의 기 콜롬비아 5,100 213 -
에티오피아의 기 에티오피아 3,518 122 -
그리스의 기 그리스 4,440 186 -
룩셈부르크의 기 룩셈부르크 89 2 -
필리핀의 기 필리핀 7,500 120 -
태국의 기 태국 6,326 136 -
이탈리아의 기 이탈리아 185 - -
덴마크의 기 덴마크 630 - -
인도의 기 인도 346 - -
스웨덴의 기 스웨덴 380 - -
유엔의 기 유엔 총계 1,754,400 40,896 -
비전투요원 - - 11
무명용사 - - 4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 - 36
총계 - - 2,300
꽃 하나 피지 않고 한포기 푹도 없는/ 거칠은 황토 언덕에/ 이미 고토에 돌아갈 수 없는 몸들이 누워/ 수정 십자가 떼 바람에 통곡하는 수영앞바다
 

위치

부산광역시 남구 유엔평화로 93(대연동)에 있으며, 평화공원, 부산문화회관, 부산박물관 등과 이웃하고 있다.

유엔 기념 공원 추모명비 앞에 기대선 미군

시설

총 면적은 176,486 제곱미터, 기념묘지 면적은 14.39 ha이며, 대한민국 정부가 1978년에 건립한 12 미터 높이의 유엔군 위령탑이 있다.

상징구역

참전국 및 유엔기가 게양되어 있고, 안장국의 기념비가 있다.

주묘역

대부분의 유해가 안장되어 있고, 영연방, 호주, 캐나다, 프랑스, 영국 등의 위령탑 및 기념비가 있다.

녹지지역

유엔군 위령탑, 제 2 기념관, 무명용사의 길, 유엔군 전몰장병 추모명비 등이 있다.

추모명비

추모명비는 추모공원의 중반부에 해당하며, 전반부에서 묘역을 지나 공원으로 진입하는 주동선에 있고, 기본계획 임채운, 실시설계는 조민석이 했다. 방문객은 정돈된 잔디를 가로지르는 좁고 긴 진입축을 통하여 숙연한 마음자세를 가다듬으며 접근하도록 되어 있다. 반사 연못까지 올라온 방문객은 원형 마루판으로 돌아서 높은 곳으로 올라서면 주변을 살펴볼 수 있다. 모든 전사자들의 이름이 새겨진 검은 벽은 반사 연못 안에 핀 연꽃과 전사자의 철모를 형상화한 조각이 현재의 푸른 하늘과 전쟁의 참혹함, 그들의 희생정신이 평화를 가져왔음을 상징한다. 반사 연못 안에 있는 기둥 위에 꺼지지 않는 불꽃은 그들의 명예와 희생, 사라지지않고 영원히 기억될 것임을 상징한다. 제단 뒤에 5 미터 높이의 침묵의 벽이 전체 시설물의 배경 역할을 하여 내부 공간이 망자들의 공간임을 강조한다.

대지 2,874.0 제곱미터에 추모명비 조형물 820.60 제곱미터, 보행로 부분 209.56 제곱미터, 조경 부분 1,843.86 제곱미터로 되어 있다.[5]

기념건축물

추모관, 기념관, 정문이 있다. 추모관과 정문은 김중업이 설계했다.

정문

정문은 1966년 11월 30일 만들어졌다. 지붕을 받치는 8개의 기둥의 끝을 순간과 영원을 상징하는 사발형태(주두)로 디자인하여 전몰장병들을 위한 부드럽고 엄숙한 기립을 표현했다. 지붕의 네 모서리 끝 추녀는 머나먼 고향을 향한 그리움을, 지붕아래 네 개의 물받이는 전몰장병의 눈믈을, 유리로 마무리된 지붕 천창은 유엔군의 영혼의 빛을 나타낸다.[4]

이국 땅에서 평하를 위하여 싸우다 간 여러 나라들의 천사들에게 두 손 모아 경건히 바친 작품이다./ <중략> / 이 소품은 한것 부푼 선에 부드러움을 불어 넣어, 어린 시절의 아스라한 향수를 기억하면서 잃어버린 고향을 되찾으려는 벅찬 작업의 소산이다. 유엔 관계 건축 가운데서는 가장 아름다운 건축이라는 우탄트 총장의 찬사를 들은 작가로서는 큰 기쁨인 동시에 작가 개인에게도 소중한 작품으로 기억하고 있다.
 
— 김중업, 《건축가의 빛과 그림자》, 열화당, 1984년

추모관

한국전쟁 유엔군 전몰장병들의 영령을 추모하기 위하여 1964년 8월 21일 유엔이 추모관을 건립했다. 이건물을 지탱하는 여섯 개의 노출된 들보와 추상성, 영원성을 강조하는 기하학적인 삼각 형태그 주요 특징으로 추모관 양쪽 스테인드글라스에는 각각 평화의 사도, 승화, 전쟁의 참상, 사랑과 평화 등의 의미를 가지며, 내부에는 전투지원 참전 16개국을 뜻하는 16의 선이 중앙 정면 바닥에서 부터 유엔 상징을 통과하여 하늘로 승화한 뜻으로 천장을 가로지르는 형태에서, 전쟁의 비극이 다시는 일어나지 않기를 바라는 소망과 의지를 담은 추모공간으로 엄숙함을 부각시키고 있다.[4]

기념관

기념관은 1968년 건축되었다.한국전쟁 당시 유엔군 사진 자료 및 기념물이 전시되고 있다.

국제관리위원회

1974년부터 대한민국을 포함한 호주, 캐나다, 프랑스, 네덜란드, 뉴질랜드, 노르웨이, 남아공, 터키, 영국, 미국 등 전사자가 안장된 11 개국으로 구성된 국제관리위원회(재한 유엔 기념 공원 관리처)가 유엔 기념 공원 관리를 맡고 있다.

매년 봄, 가을에 실무대표들로 구성된 실무회의(Sub-Committee Meeting of the Commission for the UNMCK)가 열리며, 10월 24일 유엔의 날을 전후하여 각국의 주한 대사들로 이루어진 정기총회(Regular Meeting of the Commission for the UNMCK)가 열린다. 재한 유엔 기념 공원 국제관리위원회(Commission for the UNMCK) 의장국과 의장은 위원국별 알파벳 순서로 매년 임명되며, 기간은 당해년도 11월 1일부터 익년 10월 31일까지이다.

주석

  1. 문화재청고시 제2013-123호,《등록문화재 명칭변경 고시》, 문화재청장, 대한민국 관보 제18169호 144쪽, 2013-12-26
  2. 사이버 유엔 기념 공원 (2012). “유엔군 지원현황 및 전사자 현황”. 2012년 7월 13일에 확인함. 
  3. 사이버 유엔 기념 공원 (2012). “유엔 기념 공원 안장자 현황”. 2012년 7월 13일에 확인함. 
  4. 이학수 (2010). “잊혀진 전쟁, 버려진 병사”. 《서울행정학회》 (서울행정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5. 林采震 (2007년 2월). “프로젝트 리포트 : 재한 유엔 기념 공원 추모명비, UNMCK”. 《대한건축학회》 (대한건축학회 학술저널) 51 (2). 

함께 보기

참고 자료

바깥 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