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ST 양자화: 두 판 사이의 차이
Osteologia (토론 | 기여) 잔글 →역사 |
Osteologia (토론 | 기여) |
||
46번째 줄: | 46번째 줄: | ||
== 참고 문헌 == |
== 참고 문헌 == |
||
{{주석}} |
{{주석}} |
||
* {{저널 인용|제목=Becchi-Rouet-Stora-Tyutin symmetry|이름=Carlo Maria|성=Becchi|공저자=Camillo Imbimbo|연도=2008|저널=Scholarpedia|권=3|호=10|쪽=7135|doi=10.4249/scholarpedia.7135}} |
* {{저널 인용|제목=Becchi-Rouet-Stora-Tyutin symmetry|이름=Carlo Maria|성=Becchi|공저자=Camillo Imbimbo|연도=2008|저널=Scholarpedia|권=3|호=10|쪽=7135|doi=10.4249/scholarpedia.7135|언어고리=en}} |
||
* {{저널 인용|제목=Introduction to BRS symmetry|이름=Carlo|성=Becchi|연도=1996| |
* {{저널 인용|제목=Introduction to BRS symmetry|이름=Carlo|성=Becchi|연도=1996|arxiv=hep-th/9607181|언어고리=en}} |
||
* {{저널 인용|저널=American Journal of Physics|월=5|연도=2002|권=70|호=5|쪽=548–555|제목=Illustrations of the Becchi–Rouet–Stora–Tyutin invariance by means of simple toy models|저자=D. R. Bes, O. Civitarese|doi=10.1119/1.1450574}} |
* {{저널 인용|저널=American Journal of Physics|월=5|연도=2002|권=70|호=5|쪽=548–555|제목=Illustrations of the Becchi–Rouet–Stora–Tyutin invariance by means of simple toy models|저자=D. R. Bes, O. Civitarese|doi=10.1119/1.1450574|언어고리=en}} |
||
* {{저널 인용|doi=10.1007/BF01218591|저널={{lang|en|Communications in Mathematical Physics}}|연도=1989|월=12|권=123|호=4|쪽=677–685|제목={{lang|en|Remarks on mathematical structure of BRST theories}}|이름=S. S.|성=Horuzhy|공저자=A. V. Voronin}} |
* {{저널 인용|doi=10.1007/BF01218591|저널={{lang|en|Communications in Mathematical Physics}}|연도=1989|월=12|권=123|호=4|쪽=677–685|제목={{lang|en|Remarks on mathematical structure of BRST theories}}|이름=S. S.|성=Horuzhy|공저자=A. V. Voronin|언어고리=en}} |
||
* {{저널 인용|doi=10.1016/S0370-1573(00)00049-1| |
* {{저널 인용|doi=10.1016/S0370-1573(00)00049-1|arxiv=hep-th/0002245|이름=Glenn|성=Barnich|공저자=Friedemann Brandt, Marc Henneaux|제목=Local BRST cohomology in gauge theories|저널=Physics Reports|권=338|호=5|쪽=439–569|연도=2000|월=11|언어고리=en}} |
||
* {{책 인용|장=Aspects of BRST quantization|이름=J.W.|성=van Holten|doi=10.1007/978-3-540-31532-2_3|bibcode=2005LNP...659...99V|isbn=978-3-540-23125-7|쪽= 99–166|제목=Topology and Geometry in Physics|날짜=2005|출판사=Springer|위치=Berlin, Heidelberg|기타=Lecture Notes in Physics 659|issn=0075-8450|언어고리=en}} |
|||
[[분류:양자장론]] |
[[분류:양자장론]] |
2013년 6월 28일 (금) 03:10 판
BRST 양자화(영어: BRST quantization) 또는 베키-루에-스토라-튜틴 양자화(영어: Becchi–Rouet–Stora–Tyutin quantization)는 게이지 이론을 양자화하는 한 방법이다. 게이지 이론은 비물리적인 대칭 (게이지 대칭)을 지녀 그냥 양자화하기 어렵다. 게이지 대칭을 무시하고 그냥 양자화하면 그 힐베르트 공간이 양의 정부호의 내적을 얻지 못한다. 따라서 상태공간에 차수(grading)를 붙이고 코호몰로지를 만들어 물리적 힐베르트 공간을 얻는다.
역사
카를로 베키(이탈리아어: Carlo Maria Becchi), 알랭 루에(프랑스어: Alain Rouet), 레몽 스토라(프랑스어: Raymond Félix Stora)[1][2], 러시아의 물리학자 이고리 빅토로비치 튜틴(러시아어: И́горь Ви́кторович Тю́тин)[3]이 1970년대에 도입하였다.
전개
게이지 이론의 상태공간 는 ℤ₂×ℝ차수가 붙은 벡터 공간 (graded vector space)을 이룬다. 여기서 ℤ₂는 반전성이고, ℝ은 유령수(영어: ghost number)다. 상태공간 위에 정의된 연산자도 마찬가지로 ℤ₂×ℝ차수가 붙어 있는데, 예를 들어 BRST 연산자 는 반전성 (홀수), 유령수 1을 가진다.
이 유령수 을 가진 상태공간의 부분공간이라고 하자. 그러면 이다. 이므로, 이는 코호몰로지를 이룬다. 이를 BRST 코호몰로지라고 한다.
실재하는 상태는 의 코호몰로지, 즉 벡터공간 의 원소다.
일반적 게이지 이론의 양자화
일련의 장 와 게이지 대칭 를 생각하자. 이들이 리대수
를 만족한다고 하자. 경로적분을 위하여 게이지 고정 조건 을 가하자. 원래 이론의 (게이지 고정 전) 작용이 이라고 하면, 이론의 경로적분은 다음과 같다.
여기서 새 작용은 다음과 같다.
여기서 , 는 그라스만 장이다.
게이지 고정한 작용 는 다음과 같은 BRST 대칭을 만족한다.
여기서 은 그라스만 도움변수다. 이 연산자를 라고 부르자. 이는 을 만족한다. 따라서 실재하는 상태는 이다.
양-밀스 이론의 양자화
리대수 의 게이지군을 가진 양-밀스 이론을 생각하자. 즉 게이지장은 의 값을 지닌 장이다. 게이지 고정 조건 을 도입하자. 이렇게 하면 게이지장 밖에 파데예프-포포프 유령장 와 가 필요하다. 여기에 보조장 를 추가하자.
그러면 작용은 다음과 같다.
여기에 BRST 연산자 를 다음과 같이 정의하자.
참고 문헌
- ↑ Becchi, C.; A. Rouet, R. Stora (1974년 10월 14일). “The abelian Higgs Kibble model, unitarity of the S-operator”. 《Physics Letters B》 52 (3): 344–346. Bibcode:1974PhLB...52..344B. doi:10.1016/0370-2693(74)90058-6.
- ↑ C. Becchi, A. Rouet, R. Stora (1976년 6월). “Renormalization of gauge theories”. 《Annals of Physics》 98 (2): 287–321. Bibcode:1976AnPhy..98..287B. doi:10.1016/0003-4916(76)90156-1.
- ↑ Tyutin, Igor V. (1975). “Gauge invariance in field theory and statistical physics in operator formalism”. arXiv:0812.0580. Bibcode:2008arXiv0812.0580T.
- Becchi, Carlo Maria; Camillo Imbimbo (2008). “Becchi-Rouet-Stora-Tyutin symmetry”. 《Scholarpedia》 3 (10): 7135. doi:10.4249/scholarpedia.7135.
- Becchi, Carlo (1996). “Introduction to BRS symmetry”. arXiv:hep-th/9607181.
- D. R. Bes, O. Civitarese (2002년 5월). “Illustrations of the Becchi–Rouet–Stora–Tyutin invariance by means of simple toy models”. 《American Journal of Physics》 70 (5): 548–555. doi:10.1119/1.1450574.
- Horuzhy, S. S.; A. V. Voronin (1989년 12월). “Remarks on mathematical structure of BRST theories”. 《Communications in Mathematical Physics》 123 (4): 677–685. doi:10.1007/BF01218591.
- Barnich, Glenn; Friedemann Brandt, Marc Henneaux (2000년 11월). “Local BRST cohomology in gauge theories”. 《Physics Reports》 338 (5): 439–569. arXiv:hep-th/0002245. doi:10.1016/S0370-1573(00)00049-1.
- van Holten, J.W. (2005). 〈Aspects of BRST quantization〉. 《Topology and Geometry in Physics》. Lecture Notes in Physics 659. Berlin, Heidelberg: Springer. 99–166쪽. Bibcode:2005LNP...659...99V. doi:10.1007/978-3-540-31532-2_3. ISBN 978-3-540-23125-7. ISSN 0075-84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