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향사과: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6번째 줄: 6번째 줄:
성문(聲聞)들이 수다원(須陀洹)·사다함(斯陀含)·아나함(阿那含)·아라한(阿羅漢)의 성자가 되기 위해 수행하는 단계인 수다원향·사다함향·아나함향·아라한향의 사향(四向)과, 거기에 도달한 경지인 수다원과·사다함과·아나함과·아라한과의 사과(四果)를 말함.
성문(聲聞)들이 수다원(須陀洹)·사다함(斯陀含)·아나함(阿那含)·아라한(阿羅漢)의 성자가 되기 위해 수행하는 단계인 수다원향·사다함향·아나함향·아라한향의 사향(四向)과, 거기에 도달한 경지인 수다원과·사다함과·아나함과·아라한과의 사과(四果)를 말함.
<br>동의어: 사향(四向)"}}{{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7932&DTITLE=%A5%7C%C2%F9%A4K%BD%FA 四雙八輩]". 2013년 4월 24일에 확인|quote=<br>"四雙八輩:
<br>동의어: 사향(四向)"}}{{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7932&DTITLE=%A5%7C%C2%F9%A4K%BD%FA 四雙八輩]". 2013년 4월 24일에 확인|quote=<br>"四雙八輩:
 即四向四果。聲聞依其修行之淺深而分四階之果位及其向道。即預流向、預流果、一來向、一來果、不還向、不還果、阿羅漢向、阿羅漢果等四對八種。向與果合則為四雙,分則為八輩。〔增一阿含經卷二、大集經卷十五虛空藏品、大智度論卷二十二、十住毘婆沙論卷一〕(參閱「四向四果」1683) p1849"}}
 即四向四果。聲聞依其修行之淺深而分四階之果位及其向道。即預流向、預流果、一來向、一來果、不還向、不還果、阿羅漢向、阿羅漢果等四對八種。向與果合則為四雙,分則為八輩。〔增一阿含經卷二、大集經卷十五虛空藏品、大智度論卷二十二、十住毘婆沙論卷一〕(參閱「四向四果」1683) p1849"}}{{sfn|佛門網|loc="[http://dictionary.buddhistdoor.com/word/130091/%E5%9B%9B%E6%9E%9C%E2%94%80%E2%94%80%E8%81%B2%E8%81%9E%E5%9B%9B%E6%9E%9C 四果──聲聞四果]". 2013년 6월 11일에 확인|quote=<br>"四果──聲聞四果:
<br style="margin-bottom: 10px">出處: 明,一如《三藏法數》字庫
<br>解釋:
<br>四果──聲聞四果===﹝出金剛經疏﹞
<br>〔一、須陀洹果〕,梵語須陀洹,華言入流,又名預流,即初果也。謂此人斷三界見惑盡,預入聖道法流,故名入流。(三界者,欲界、色界、無色界也。)
<br>〔二、斯陀含果〕,梵語斯陀含,華言一來,即第二果也。謂此人於欲界九品思惑中斷前六品盡,後三品猶在,須更來欲界一番受生,故名一來。(思惑者,謂眼等五根對色等五塵,心起貪愛,迷惑不了也。九品者,於上中下三品中,又各分三品也。)
<br>〔三、阿那含果〕,梵語阿那含,華言不來,即第三果也。謂此人斷欲界後三品思惑盡,更不來欲界受生,故名不來。
<br>〔四、阿羅漢果〕,梵語阿羅漢,華言無學,即第四果也。謂此人斷色界、無色界思惑盡,四智已圓,已出三界,已證涅槃,無法可學,故名無學。(四智者,我生已盡,梵行已立,所作已辦,不受後有也。梵語涅槃,華言滅度。)
<br>頁數: 出金剛經疏"}}


[[고타마 붓다]]의 제자들은 그의 가르침을 듣고 수행함으로써 [[아라한]]이라는 이상의 경지에 도달할 수 있다고 생각하였으며, [[아라한]]의 경지에 도달하는데는 4향4과라고 불리는 8종의 위계(位階)가 있다고 했다. 즉 아래서부터 말하면 [[예류]](豫流){{.cw}}[[일래]](一來){{.cw}}[[불환]](不還){{.cw}}[[아라한]](阿羅漢)의 4위가 있어서, 아래와 같이 과(果)를 향해 수행(修行)해 가는 단계(向)와 그에 의해 도달한 경지(果)로 나누어서 설명한 것이 4향4과이다.<ref name="글로벌-4향4과"/>
[[고타마 붓다]]의 제자들은 그의 가르침을 듣고 수행함으로써 [[아라한]]이라는 이상의 경지에 도달할 수 있다고 생각하였으며, [[아라한]]의 경지에 도달하는데는 4향4과라고 불리는 8종의 위계(位階)가 있다고 했다. 즉 아래서부터 말하면 [[예류]](豫流){{.cw}}[[일래]](一來){{.cw}}[[불환]](不還){{.cw}}[[아라한]](阿羅漢)의 4위가 있어서, 아래와 같이 과(果)를 향해 수행(修行)해 가는 단계(向)와 그에 의해 도달한 경지(果)로 나누어서 설명한 것이 4향4과이다.<ref name="글로벌-4향4과"/>

2013년 6월 11일 (화) 08:43 판

4향4과(四向四果, 영어: four stages of enlightenment· 사문4과(沙門四果) 또는 성문4과(聲聞四果)는 원시불교부파불교의 수행 계위이다. 줄여서 4과(四果)라고도 한다. 4쌍8배(四雙八輩)라고도 한다.[1][2][3][4][5]

고타마 붓다의 제자들은 그의 가르침을 듣고 수행함으로써 아라한이라는 이상의 경지에 도달할 수 있다고 생각하였으며, 아라한의 경지에 도달하는데는 4향4과라고 불리는 8종의 위계(位階)가 있다고 했다. 즉 아래서부터 말하면 예류(豫流) · 일래(一來) · 불환(不還) · 아라한(阿羅漢)의 4위가 있어서, 아래와 같이 과(果)를 향해 수행(修行)해 가는 단계(向)와 그에 의해 도달한 경지(果)로 나누어서 설명한 것이 4향4과이다.[1]

  1. 예류향(豫流向): 예류과를 향해 수행해 가는 단계
  2. 예류과(豫流果): 예류에 도달한 상태
  3. 일래향(一來向): 일래과를 향해 수행해 가는 단계
  4. 일래과(一來果): 일래에 도달한 상태
  5. 불환향(不還向): 불환과를 향해 수행해 가는 단계
  6. 불환과(不還果): 불환에 도달한 상태
  7. 아라한향(阿羅漢向): 아라한과를 향해 수행해 가는 단계
  8. 아라한과(阿羅漢果): 아라한에 도달한 상태

예류수다원(須陀洹)이라고 음역(音譯)되는데 깨달음의 길을 하천의 흐름에 비유하여 그 흐름에 참여한 것, 즉 불도 수행에 대한 확신이 생긴 상태를 말한다.

일래사다함(斯陀含)이라고 음역되는데 수행의 도상에 있어서 한 번 더 욕계로 태어나는 것을 의미한다.[1]

불환아나함(阿那含)이라고 음역되는데 더 이상 욕계로 태어나지 않아도 되는 상태이기 때문에, 즉 욕계윤회하여 더 배워야 할 필요가 없어진 상태이기 때문에 불환이라고 한다.[6][7][8]

아라한향(阿羅漢向)은 아라한과(阿羅漢果)에 이르기까지의 위계(位階)이다. 아라한과에 이르면 무학위(無學位)로서 더 이상 배울 것이 없고, 번뇌는 다하였으며, 해야 할 바를 다하였고, 윤회에서 해탈해서 열반에 들어간다고 생각되었다.[1] 무학위를 간단히 무학(無學)이라고도 한다. 아라한과 이전의 단계를 통칭하여 유학위(有學位: 배울 것이 있는 계위) 또는 유학(有學)이라고 한다.

같이 보기

참고 문헌

주석

  1. 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사상 > 부파불교의 사상 > 4향4과,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4향4과: 四向四果 불제자들은 불타의 가르침을 듣고 수행함으로써 아라한이라는 이상의 경지에 도달할 수 있다고 생각하였으며 그 아라한의 경지에 도달함에는 4향4과라고 불리는 8종의 위계(位階)가 있다고 했다. 즉 아래서부터 말하면 '예류(豫流)'·'일래(一來)'·'불환(不還)'·'아라한'의 4위가 있어서 그것이 과(果)를 향해 수행(修行)해 가는 단계(向)와 그에 의해 도달한 경지(果)로 나누어서 설명한 것이 4향4과이다. 예류는 수타원(須陀洹)이라고 음역(音譯)되는데 깨달음에의 도를 하천의 흐름에 비유하여 그 흐름에 참여한 것, 즉 불도수행에 대한 확신이 생긴 상태를 말하는 것이며, 일래는 사타함(斯陀含)이라고 음역되는데 수행의 도상에 있어서 한 번 뒤로 물러가는 것으로서 유회의 세계에로 물러가는 것을 의미한다. 불환은 아나함(阿那含)이라고 음역되는데 더 이상 윤회의 세계로 물러가는 일이 없다는 데에서 불환이라고 하며, 아라한향(阿羅漢向)은 아라한과(阿羅漢果)에 이르기까지의 위계(位階)로서 아라한과에 이르면 무학위(無學位)로서 더 이상 배울 것이 없고 번뇌는 다하였으며, 해야 할 바를 다하였고 윤회에서 해탈해서 열반에 들어간다고 생각되었다."
  2. 운허, "聲聞四果(성문사과)". 2013년 6월 11일에 확인.
  3. 곽철환 2003, "사향사과(四向四果)". 2013년 4월 24일에 확인.
  4. 星雲, "四雙八輩". 2013년 4월 24일에 확인.
  5. 佛門網, "四果──聲聞四果". 2013년 6월 11일에 확인.
  6. 권오민 2003, 260쪽.
  7. 佛門網, "不還". 2013년 5월 13일에 확인.
  8. 佛門網, "不還果". 2013년 5월 13일에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