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대전청사
좌표: 북위 36° 21′ 47″ 동경 127° 23′ 06″ / 북위 36.362999° 동경 127.384897°
정부대전청사 | |
---|---|
![]() | |
기본 정보 | |
위치 | 대전광역시 서구 청사로 189 |
상태 | 완공 |
기공 | 1993년 9월 15일 |
완공 | 1997년 12월 20일 |
용도 | 중앙정부 행정업무 |
구조물 높이 | 지상 91.9m |
건축 내역 | |
층수 | 지상 20층 지하 2층 |
대지면적 | 518,338m2 |
총면적 | 226,502m2 |
건축비용 | 2천62억8백만원 |
정부대전청사(政府大田廳舍, Government Complex Daejeon)는 대전광역시 서구 청사로 189에 위치해 있는 대한민국 정부청사이다. 본 청사는 4개 동으로 이뤄져있으며, 대한민국의 중앙행정 업무를 맡고있다.
목차
역사[편집]
정부대전청사는 1989년 1월 수도권대책실무기획단이 발족되어 1990년 9월 국토의 균형발전과 중앙행정기관의 지방이전으로 균등한 지역발전을 목표로 대전광역시 일대에 정부기관 이전을 결정한 것으로 시작된다. 이와 더불어 청단위 행정기능의 집중화로 대민 서비스 향상도모하고 최첨단 인텔리전트 빌딩 신축으로 정보화시대 대비 및 행정효율성의 증대, 구조물의 체계적 배치로 기관의 기능성 극대화 또한 도모하였다. 1991년 6월 설계 공모를 거쳐 1991년 11월 설계 공모작품을 선정하였다. 그 뒤 1993년 9월 대지면적 518,338m2(156,797평), 연면적 226,502m2(68,517평)기공되어 1997년 12월 준공되었다.[1]
입주 기관[편집]
대한민국의 정부청사 |
---|
![]() |
중앙행정기관 청사 |
정부서울청사 |
정부과천청사 |
정부대전청사 |
정부세종청사 |
특별지방행정기관 청사 |
정부광주지방합동청사 |
정부제주지방합동청사 |
정부대구지방합동청사 |
정부춘천지방합동청사 |
정부경남지방합동청사 |
정부고양지방합동청사 |
정부인천지방합동청사 (유치확정) |
정부대전청사의 입주기관은 총 1부 7청 1소속기관이다. 원래 8청 1소속기관 1공기업이었으나, 2009년 9월 18일 철도의 날을 맞아 2동에 자리하고 있었던 한국철도공사의 본사가 대전역 동광장의 철도공동사옥으로 한국철도시설공단과 함께 이주하였다. 그리고 2017년 7월 26일 중소기업청이 중소벤처기업부로 승격되었다
1동[편집]
2동[편집]
- 3층 정부청사관리소 소속 대전청사관리소
- 4~6층 국가기록원 - 행정안전부 소속
- 7층~11층 병무청
- 12층 충남지방노동위원회
- 13층 관세청
- 14층 문화재청
- 15~17층 특허심판원
- 18층 감사원 대전사무소
3동[편집]
4동[편집]
부속 건물[편집]
- 후생동
- 경비대
- 어린이집
특징[편집]
정부대전청사는 청사 외곽에 8만여 평의 녹지공간이 확보되어 있으며 빌딩자동화 시스템(BA), 사무자동화시스템(OA), 정보통신시스템(TC)이 한대의 IBS 컴퓨터 호스트가 관리하는 주요정부청사 중 최첨단 인텔리전트 빌딩이다. 가까운 거리에 대전광역시청, 신협중앙회 본부, 정부청사역, 엑스포과학공원이 위치해 있다.
찾아가기[편집]
지하철[편집]
시내버스[편집]
- 동문
- 606, 911
- 서문
- 104, 301, 604, 705, 916
- 남문
- 108, 918
- 광장
- 급행 3, 211
고속버스[편집]
- 정부청사 정거장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 ↑ 중앙행정기관 이전에 마침표를 찍자《중도일보》2009년 11월 26일 과학3청사 박종명 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