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동 하이페리온
![]() 하이페리온 타워 101동은 2002년부터 2004년까지 대한민국 최고층 건물이었다. | |
정보 | |
---|---|
위치 | ![]() ![]() |
지리 좌표계 | 북위 37° 31′ 37.74″ 동경 126° 52′ 30.13″ / 북위 37.5271500° 동경 126.8750361° |
상태 | 완공 |
기공식 | 1998년 |
건축 | 1998년 ~ 2006년 |
착공 | 1998년 |
완공 | 2003년 7월 30일 (1차) 2006년 11월 30일 (2차) |
개장 | 2003년 (1차) 2006년 (2차) |
용도 | 주거, 오피스텔 |
높이 | |
안테나/첨탑 | 101동: 256m 102동: 239m 103동: 201m 201동: 130m 202동: 140m 203동: 118m 204동: 140m 205동: 113m 206동: 140m |
지붕 | 101동: 246m 102동: 229m 103동: 191m |
최상층 | 101동: 243m 102동: 226m 103동: 188m |
건축 구조물 | 101동: 256m |
기술적 상세 내용 | |
층수 | 101동: 69층 102동: 59층 103동: 54층 201동: 36층 202동: 40층 203동: 32층 204동: 40층 205동: 31층 206동: 40층 지하 6층 |
엘리베이터 대수 | 21대 (1차) 24대 (2차) |
회사 | |
건축가/건축회사 | ![]() |
건설사 | ![]() |
구조 엔지니어 | ![]() |
웹사이트 | 목동 하이페리온 2차 커뮤니티 페이지 |
목동 현대 하이페리온(영어: Mok-dong Hyundai Hyperion) 혹은 하이페리온 타워(영어: Hyperion Tower)는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양천구 목1동에 있는 초고층 마천루이자 고급 주상복합 아파트이다. 1998년에 착공하여 1차는 2003년, 2차는 2006년에 완공되었으며 1차는 3개 동, 지하 6층 ~ 지상 69층, 2차는 6개 동, 지하 4층 ~ 지상 40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역사[편집]
1998년에 착공하고 터파기 공사가 진행되고 2000년에 건설을 시작한다는 건축허가를 받았다.[1] 1차는 2003년 7월 30일에 완공되었으며 도곡동에 위치한 삼성 타워팰리스 3차가 건설되기 전까지는 대한민국에서 가장 높은 건물이였고 2004년에 삼성 타워팰리스 3차가 완공되었다. 2004년에 초고속통신망 특등급 첫 인증하였다.[2] 그리고 마지막인 목동 하이페리온 2차는 2006년에 완공되었다.
구성[편집]
하이페리온의 건물은 Ⅰ과 Ⅱ로 구성되어 있다.
하이페리온Ⅰ[편집]
하이페리온Ⅰ은 2003년 7월 30일 입주한 아파트이다. 오피스텔 1개 동을 포함하여 총 3개 동 726세대로 구성되어 있다.[3] 이 중 101동은 높이가 256미터, 69층으로 여의도의 63빌딩보다 높다. 이는 대한민국에서 상위권인 마천루이다.[4] 지하 3층부터 지상 7층까지는 현대백화점 목동점이 입점해 있다. 주차 공간의 규모는 총 1185대이다.
동 명칭 | 층수 | 높이 |
---|---|---|
101동 | 69층 | 256m |
102동 | 59층 | 239m |
103동 | 54층 | 201m |
하이페리온Ⅱ[편집]
하이페리온Ⅱ는 2006년 11월 30일 입주한 아파트이다. 201동 ~ 204동 아파트 4개 동 576세대와 205동 ~ 206동 오피스텔 2개 동 403세대 등 총 979세대로 구성되어 있다.[3] 주차 공간의 규모는 총 1154대이다. 또한 아파트인 201동에서 204동 40층에는 60~70여 평의 복층 펜트하우스가 위치하고 있다.[5]
동 명칭 | 층수 | 높이 |
---|---|---|
201동 | 36층 | 130m |
202동 | 40층 | 140m |
203동 | 32층 | 118m |
204동 | 40층 | 140m |
205동 | 31층 | 113m |
206동 | 40층 | 140m |
높이[편집]
2003년에 1차가 완공 당시 대한민국에서 가장 높았으며 서울특별시에서 가장 높았다. 2004년에 타워팰리스가 완공되기 전까지는 대한민국에서 가장 높고 최고층 건물이다. 2005년 당시 대한민국에서 A동이 2번째로, B동이 4번째로 가장 높았다.
특징[편집]
건물[편집]
아파트와 오피스텔이 있으며 0.1% 부자들이 사는 아파트다. 수십년간 거주할 가능성이 있으며 이 아파트의 가격은 매우 비싸다. 그리고 가장 비싼 오피스텔이며 2016년 기준으로 가격은 1967억이다.[6] 오목교역 직접 연결된 69층인 현대 하이페리온이다.[7]
엘리베이터[편집]
현대엘리베이터의 제품이 설치되어 있으며 1차 시설은 각 동마다 저층부 2기, 고층부 2기가 운행하고 있다. 101동은 1~3, 5, 6호기로 구성되고 102동은 49층까지는 1~3, 5~10호기로 구성되고 50층 ~ 59층은 1~3, 5, 6호기로 구성된다. 103동은 1~3, 5호기로 구성되어 있다. 2차 시설은 201~206동까지 있다. 각 동마다 층수가 다르고 1~4호기로 구성된다. 그리고 각 동마다 비상용 엘리베이터가 한 대씩 설치되어 있다.
시설[편집]
1차 시설[편집]
아파트 및 오피스텔 시설이 있으며 1층 로비에는 보안경비가 있으며 30평에서 87평까지로 구성되어 있다. 2층부터 8층까지가 입주민 전용 주차장이다. 8층에는 수영장, 스쿼시, 골프, 헬스장이 있으며 구름다리로 현대백화점과 바로 연결이 가능하다. 지하 3층에서 지상 7층까지는 목동 현대백화점이 있다.
아파트 시설은 저층, 중층, 고층에 있고 오피스텔 시설은 102동 9층 ~ 59층에 있다.
층수 | 용도 |
---|---|
60층 ~ 69층 | 아파트(101동, 102동) |
51층 ~ 59층 | 아파트(101동, 103동), 오피스텔(102동) |
50층 | 설비층, 피난안전구역 |
33층 ~ 49층 | 아파트(101동, 103동), 오피스텔(102동) |
32층 | 설비층, 피난안전구역 |
10층 ~ 31층 | 아파트(101동, 103동), 오피스텔(102동) |
9층 | 연회장, 클럽하우스, 비즈니스센터, 실버하우스, 게스트룸, 옥상정원 등 다목적공간 |
8층 | 아파트 주차장, 헬스 에어로빅, 골프연습장, 사우나, 수영장 등 스포츠센터, 구름다리 |
2층 ~ 7층 | 아파트 주차장 |
1층 | 로비, 여행사, 은행, 증권사 등 |
지하 6층 ~ 지하 1층 | 지하주차장 |
2차 시설[편집]
아파트 시설은 저층, 중층, 고층에 있고 오피스텔 시설은 205동 1층, 10층, 20층, 206동 1층 등등에 있다.
층수 | 용도 |
---|---|
37층 ~ 40층 | 아파트 및 오피스텔(202동, 204동, 206동) |
33층 ~ 36층 | 아파트 및 오피스텔(201동) |
2층 ~ 31층, 32층(203동) | 아파트 및 오피스텔 |
1층 | 로비 |
지하 4층 ~ 지하 1층 | 지하주차장 |
사건 및 사고[편집]
2003년 11월 18일, 하이페리온 1차에서 고장난 엘리베이터가 멈추지 않아 천장과 충돌 후 천장을 뚫어버리는 사고가 일어났다.[8] 당시 엘리베이터에는 38층에 사는 입주민인 41세 남성 이씨가 타고 있었으며, 충돌하는 순간 엘리베이터 벽면에 머리를 부딪혀서 부당을 당했으나 다행히도 생명에 문제는 없는것으로 알려졌다. 이씨는 9층 야외정원에서 집으로 올라가려고 엘리베이터에 탄 순간 갑자기 엘리베이터가 48층까지 급상승했고 자신은 15분여 동안 엘리베이터 안에 갇혀 있었다고 말했다.
대중문화[편집]
- 2022년 영화 - 사이버 지옥: N번방을 무너뜨려라
교통[편집]
- ● 수도권 전철 5호선 - 오목교역
갤러리[편집]
같이 보기[편집]
건물 목록[편집]
참조 항목[편집]
각주[편집]
- ↑ 황재성 (2000년 6월 19일). “서울 목동에 국내 최고층 54∼69층 아파트 짓는다”. 동아일보. 2017년 5월 21일에 확인함.
- ↑ 김승중 (2004년 2월 3일). “도곡 현대하이페리온 아파트, 초고속통신망 특등급 첫 인증”. 파이낸셜뉴스. 2017년 5월 21일에 확인함.
- ↑ 가 나 오늘의 집 - 주상복합 아파트의 등장
- ↑ skyscraperpage.com에서 제공하는 하이페리온 정보
- ↑ 아파트 소개
- ↑ 오현길 (2016년 12월 30일). “가장 비싼 오피스텔…하이페리온 1967억”. 아시아경제. 2017년 3월 5일에 확인함.
- ↑ “[실시간 거래]오목교역 직접 연결된 69층 초고층 주상복합 목동 `현대하이페리온`”. 매일경제. 2016년 6월 7일. 2017년 5월 21일에 확인함.
- ↑ 최철 (2003년 11월 21일). “목동 하이페리온 엘리베이터 고장나 부상”. 노컷뉴스. 2018년 1월 15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