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도기관 공동사옥
철도기관 공동사옥 | |
---|---|
![]() | |
기본 정보 | |
위치 | ![]() ![]() |
좌표 | 북위 36° 19′ 52.39″ 동경 127° 26′ 10.65″ / 북위 36.3312194° 동경 127.4362917° |
상태 | 완공 |
건축 | 2006년 12월 1일 ~ 2009년 8월 |
착공 | 2006년 12월 1일 |
완공 | 2009년 8월 |
개장 | 2009년 9월 |
용도 | 업무시설 |
구조물 높이 | 150m |
건축회사 | ![]() ![]() |
건축 내역 | |
층수 | 지상 28층, 지하 4층 |
건축비용 | 2,070억원 |
![]() |
철도기관 공동사옥(鐵道機關共同社屋)은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동구 중앙동 대전역 동편에 위치한 쌍둥이 빌딩이다.[1][2] 완공 당시 대전에서 가장 높은 건물이었다. 금강 엑슬루 타워가 완공되기 전까지 대전에서 가장 높았다. 이 건물은 한국철도공사와 국가철도공단으로 구성된다.
역사[편집]
2004년부터 2005년까지 계획이 끝난 후 2006년 12월 1일에 착공하였다.[3] 이후 터파기 공사가 진행 중이고 지하 공사에만 4,000톤의 철근이 들어갔고 두꺼운 철골이 있어서 공사를 시도했다. 철도사옥이 올라가면서 2008년 12월에 골조공사가 끝났고 2009년 5월에 내부마감 등 주요공정이 완료되었고 8월에 통신과 전력공사, 그리고 각종 검사와 시운전이 완료되며 완공되었다. 9월에 쌍둥이 빌딩 형식으로 완공되어 서관에 한국철도공사가, 동관에 한국철도시설공단(現 국가철도공단)이 입주하였다.
시설[편집]
한국철도공사 건물[편집]
층수 | 시설 |
---|---|
27, 28 | 식당 |
10~26 | 오피스 |
9 | 한국철도공사 본사 |
6~8 | 오피스 |
5 | 동호회실, 옥상정원 |
4 | 관제실, 교육장 등 |
3 | 방송센터, 대회의실 |
2 | 대강당, 입찰실 등 |
1 | 로비, 안내데스크, 홍보관 |
B1 | 문구점, 약국, 매점 등 기초시설 |
B2~B4 | 주차장 |
국가철도공단 건물[편집]
층수 | 시설 |
---|---|
27, 28 | 식당 |
12~26 | 오피스 |
9~11 | 국가철도공단 충청본부 |
8 | 국가철도공단 본부 |
6, 7 | 오피스 |
5 | 동호회실, 옥상정원 |
4 | 관제실, 교육장 등 |
3 | 한국철도공사 방송센터와 대회의실 |
2 | 대강당과 입찰실 등 |
1 | 로비, 안내 데스크 및 홍보관 |
B1 | 문구점, 약국, 매점 등 기초시설 |
B2~B4 | 주차장 |
갤러리[편집]
-
2009년 2월 15일
-
2010년 11월 4일
-
2012년 1월 25일
-
2013년 2월 23일
-
2013년 3월 15일
-
2013년 3월 15일
-
2014년 11월 11일
-
2014년 11월 11일
-
2014년 11월 20일
-
2017년 8월 16일
더 보기[편집]
각주[편집]
- ↑ 정재학 (2009년 9월 16일). “대전 새 명물 ‘철도 트윈타워’ 철도 개통 110주년 맞아 코레일 신사옥 준공”. 국민일보. 2018년 6월 12일에 확인함.
- ↑ 송인걸 (2009년 9월 16일). “‘110살 철도’ 대전역사 시대 열렸다”. 한겨레. 2018년 6월 12일에 확인함.
- ↑ 박승기 (2006년 12월 1일). “대전 철도 쌍둥이빌딩 오늘 첫삽”. 서울신문. 2017년 8월 26일에 확인함.
![]() |
이 글은 대전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
![]() |
이 글은 건축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