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산 요진 와이시티
정보 | |
---|---|
위치 | ![]() |
지리 좌표계 | 북위 37° 38′ 34.66″ 동경 126° 47′ 33.10″ / 북위 37.6429611° 동경 126.7925278° |
상태 | 완공 |
건축 | 2013년 ~ 2016년 |
착공 | 2013년 |
완공 | 2016년 |
개장 | 2016년 6월 |
용도 | 주거 |
높이 | |
건축 구조물 | 103동: 230m 104동: 230m 105동: 230m 102동: 225m 106동: 221m 101동: 214m |
기술적 상세 내용 | |
층수 | 103동: 지상 59층 104동: 지상 59층 105동: 지상 59층 102동: 지상 58층 106동: 지상 57층 101동: 지상 55층 주차장: 지하 4층 |
연면적 | 561,961.14m2 |
엘리베이터 대수 | 한 동당 저층용: 3대 고층용: 3대 비상용: 1대 이사용: 1대 |
건축비용 | 약 140,000,000,000원 |
회사 | |
건축가/건축회사 | ![]() |
건설사 | ![]() |
개발사 | ![]() |
일산 와이시티(영어: Ilsan Y-City) 또는 일산 요진 와이시티(영어: Ilsan Yojin Y-City)는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백석동에 위치한 마천루이자 주상복합 아파트 단지이다.
한국토지공사에서 일산신도시 부지를 조성한 후 어느정도 신도시 조성이 완료되자 미개발 신도시 부지를 고양시에 매각하여 고양시에서 개발사를 유치하다가 고양종합터미널 다음 맨 마지막으로 개발사를 유치하여 건설이 완료된 건물이다.[1]
역사[편집]
1989년 일산신도시 개발 이후 1994년에 중산동, 탄현동 일원에 택지지구를 개발하면서 1995년 첫 아파트 단지 완공 등 택지지구가 개발되었다.
일산 와이시티 개발이 허가되었으며 2013년에 착공하였고 2016년에 완공하였다.
구성[편집]
아파트[편집]
55층짜리 1개 동, 58층짜리 1개 동, 59층짜리 3개 동, 57층짜리 1개 동 등 총 6개의 동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오피스텔동을 제외한 아파트동만 2404세대인 대규모의 주상복합 단지이다. 탄현 두산위브 더 제니스와 함께 고양시의 랜드마크 역할을 하고있다. 각 동마다 30층에는 피난안전구역이 위치한다.
단지 | 층수 | 높이 |
---|---|---|
101동 | 55층 | 214m |
102동 | 58층 | 225m |
103동 | 59층 | 230m |
104동 | 59층 | 230m |
105동 | 59층 | 230m |
106동 | 57층 | 221m |
주변 시설[편집]
오피스텔과 판매시설이 있다. 아파트 단지 내 판매시설의 명칭은 "벨라시타"이며 상가와 상가 내부 및 상가 거리가 모두 유럽형으로 꾸며졌다.여러 음식점(수제, 프렌차이즈)들이 들어서있으며 백석동과 마두동 동북쪽 일대의 상권을 단지 옆 고양 롯데아울렛(홈플러스, 메가박스, 고양종합시외버스터미널)과 함께 맡고있으며, 잔디광장에서는 자주 행사가 열린다.(벨라시타 상가에 메가박스가 있는데, 도보 3분거리 롯데아울렛에 메가박스가 또 있다.)
건물 | 층수 |
---|---|
오피스텔 | 19층 |
판매시설 | 지상 3층, 지하 1층 |
사건 및 사고[편집]
- 2016년 7월 21일에 아파트에 전기공급이 중단되었다. 그리고 1시간 만에 전기공급이 재개되었다.[2]
- 2017년 2월 6일 아파트 앞 중앙로에서 싱크홀이 발생했다.[3][4]
- 2017년 2월 14일 아파트 상가와 고양종합터미널 사이의 도로에서 싱크홀이 또 다시 발생했다.[5][6]
- 2017년 2월 22일 같은 곳에서 싱크홀이 또 발생했다.[7]
- 2017년 4월 12일 다시한번 싱크홀이 발생했다.[8] 싱크홀 사고의 원인은 오피스 건물의 터파기 공사중 지하수가 유출되어 1차 사고를, 복구 작업중 다시 사고가 난것으로 밝혀졌다.
- 2018년 9월 3일 새벽 아파트 전기공급이 중단되었다. 약 1시간 반만에 전기공급이 재개되었다.
교통[편집]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 ↑ 이한나 차장(팀장), 김기정, 문지웅, 김태성, 임영신, 신수현, 김인오, 이윤식 기자 (2016년 7월 21일). “[살기좋은 아파트] 국무총리상 / 요진건설산업 `일산 와이시티`”. 《매일경제》. 2017년 10월 5일에 확인함.
- ↑ “고양 주상복합 아파트 정전…1000여 입주민 불편”. 아시아투데이. 2016년 7월 22일. 2016년 12월 20일에 확인함.
- ↑ “고양시 일산에서 또 싱크홀 발생… 3개 차로 통제”. 드림위즈. 2017년 2월 6일. 2018년 12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12월 5일에 확인함.
- ↑ 노승혁 (2017년 2월 6일). “고양 백석동에 싱크홀…주변 교통통제·원인 조사 중”. 연합뉴스. 2017년 10월 5일에 확인함.[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권숙희 (2017년 2월 14일). “"불안해서 집에서 나왔어요"…일산서 8일 만에 또 땅꺼짐”. 연합뉴스. 2018년 12월 5일에 확인함.[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박경만 (2017년 2월 15일). “일산서 또 ‘땅꺼짐·균열’ 주민들 불안”. 한겨레. 2018년 12월 5일에 확인함.
- ↑ 노승혁 (2017년 2월 22일). “"이사라도 가야할 판"…일산서 17일만에 또 도로균열”. 연합뉴스. 2018년 12월 5일에 확인함.[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박경만 (2017년 4월 13일). “일산 백석동서 두달새 네번째 싱크홀 발생”. 서울신문. 2018년 12월 5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