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천루


![]() |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 (2020년 4월) |

마천루(摩天樓, 영어: skyscraper)는 하늘을 찌를 듯이 솟은 아주 높은 고층 건물을 뜻한다.[1] 한자를 풀어 보면 "하늘(天, sky)"을 "긁는(摩, scrape)" 높은 건물(樓)이라는 뜻이다. 초고층 건물(超高層建物, 영어: tall building)이라고도 한다. 2010년 세워진 두바이의 부르즈 할리파(829.84m)가 대표적이다.
어느 정도 높이 이상의 건물을 마천루로 분류할지에 대한 공식적이거나 세계 공통인 기준은 없고 보통 200m 이상의 고층 건물들을 마천루로 분류한다. 대한민국에서 초고층 건물은 건축법 시행령 제2조 18에 의하면 높이 200m 이상 또는 50층 이상인 건축물을 말한다.
현재 사람이 거주하는 건물 중에서는 아랍에미리트의 두바이에 있는 부르즈 할리파가 829.84m로 가장 높다.
역대 최고층 마천루[편집]
1930년에 당시 완공된 크라이슬러 빌딩이 제일 높았던 세계 은행 건물의 높이를 앞지르고 최고층 마천루가 되었다. 그리고, 그 이듬해인 1931년 엠파이어 스테이트 빌딩이 완공될 때까지 최고층 마천루의 자리를 차지하였다.
그 다음으로, 약 40년 후인 1972년에 완공된 세계 무역 센터가 제일 높은 마천루가 되었다. 이듬해 1973년에 완공된 윌리스 타워가 442미터로 세계에서 제일 높아졌다.
약 25년이 지난 1998년에 말레이시아에 452미터로 지어진 페트로나스 트윈 타워가 제일 높아졌고, 2004년에 중화민국 타이베이시에 509미터로 타이베이 101이 지어지면서 500m를 넘겼다.
그러나 6년 만인 2010년에 이를 훨씬 뛰어넘는 부르즈 할리파가 건설되어, 지금까지도 세계에서 가장 높은 마천루가 되었다.
2010년 1월 4일 부르즈 할리파가 828미터로 개장하며 세계 최대의 마천루이자 건축물이 되었다.
2016년 3월 17일 상하이 타워가 632미터로 개장하며 세계 두 번째로 높은 마천루이자 건축물이 되었다.
2012년 사우디아라비아 메카에 위치한 아브라즈 알 바이트타워가 601미터로 세계에서 세 번째로 높은 마천루이다.
2016년에 중국 선전에 위치한 핑안 파이낸스 센터가 599.1미터로 세계에서 네 번째로 높은 마천루가 되었다.
2017년 4월 3일 대한민국 서울에 위치한 롯데월드타워가 555미터로 세계에서 다섯 번째로 높은 초고층 건물이다.
국가별 마천루[편집]
미국의 마천루[편집]
미국[편집]
미국의 마천루는 대부분 대도시에 위치하고 있다. 미국 마천루는 20세기 초에 유행하기 시작했고 1931년 미국에서 가장 높은 마천루인 엠파이어 스테이트 빌딩(102층, 381m)이 완공되었다. 2014년에는 2001년 당시 9·11 테러로 무너진 세계 무역 센터(110층, 417m)의 부지에 원 월드 트레이드 센터(104층, 541m)가 재건되고 다시 미국에서 가장 높은 건물이 되었다.
아시아[편집]
대한민국[편집]
대한민국의 마천루는 대부분 서울, 부산, 인천에 위치하고 있다. 대한민국에서 가장 높은 건물은 롯데월드타워(123층, 555m) 높이로 2016년 12월 22일에 완공되었다. 대한민국의 「초고층 및 지하연계 복합건축물 재난관리에 관한 특별법」에 따르면 '초고층 건축물' 이란 층수가 50층 이상 또는 높이가 200m 이상인 건축물을 말한다.
중화민국(대만)[편집]

중화인민공화국과는 별개로 중화민국(대만)은 1990년대부터 마천루가 소수 건설되고 있다. 이 중 2003년부터 2010년까지는 세계 최고층 건물도 보유하였다. 2003년 완공된 건물 중에서는 타이베이 101이 509.2m (101층) 로 가장 높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편집]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330m (105층 높이)의 류경호텔이 가장 높다.
아랍에미리트[편집]
아랍에미리트에서는 2009년 10월 1일 완공된 부르즈 할리파가 828m로 가장 높다.
사우디아라비아[편집]
2012년 완공된 아브라즈 알 바이트 (601m)이다.
중화인민공화국[편집]
중화인민공화국에서는 2014년 상하이 타워 (632m)가 가장높다.
홍콩[편집]
홍콩은 과거 영국 자치령이었던 적이 있고 현 중국 주요 마천루의 절반이 홍콩에 있으므로, 문서 내 별도 항목으로 분류하였다. 홍콩에서 가장 높은 건물은 국제상업센터(118층, 484m)이다.
일본[편집]
오사카의 새로운 랜드마크인 아베노하루카스(60층, 301m)가 현재 일본에서 가장 높은 건물이다. 1958년에는 일본에서 가장 높은 구조물인 도쿄 타워가 완공되고 2012년에는 도쿄 스카이트리가 완공되었다.
베트남[편집]
베트남에서는 랜드마크 81이 461.2m로 가장 높다.
말레이시아[편집]
말레이시아에서는 페트로나스 트윈 타워가 451.9m로 가장 높은 건축물이다.[2]
싱가포르[편집]
싱가포르는 대체로 280m를 전후해서 마천루들이 건설되어 있다.
유럽[편집]
유럽은 상대적으로 마천루 건축 붐이 적었으며, 대체로 높이가 낮은 편이나, 최근 영국과 러시아 등지에서 건설되고 있다.
프랑스[편집]
프랑스의 마천루는 대부분 파리에 위치하고 있다. 파리 라데팡스에는 마천루들이 많으며 공사중인 마천루도 있다.
독일[편집]
현재 프랑크푸르트에 위치한 코메르츠방크 타워가 가장 높다.
영국[편집]
2012년에는 더 샤드가 완공되며 원 캐나다 스퀘어를 제치고 가장 높은 건물이 되었다.
러시아[편집]
러시아의 마천루는 러시아의 수도 모스크바에 많다. 모스크바의 각종 마천루는 모스크바 국제 비즈니스 센터에 위치하고 있지만 상트페테르부르크에 위치한 라흐타 센터가 러시아에서 가장 높다.
스페인[편집]
스페인에서 가장 높은 마천루는 토레 데 크리스탈이다.
스웨덴[편집]
스웨덴에서 가장 높은 마천루는 터닝 토르소다.
오세아니아[편집]
오스트레일리아[편집]
오스트레일리아에서 가장 높은 마천루는 Q1이다.
목록[편집]
세계에서 가장 높은 마천루의 변천[편집]
세계에서 가장 높은 마천루의 변천이다.
- 1931년에는 세계 최초 100층 이상의 마천루인 엠파이어 스테이트 빌딩이 완공되었다.
- 2004년에는 타이베이 101가 완공되어 아시아에서 가장 높았다.
- 2010년에는 부르즈 할리파가 완공되어 아시아에서 가장 높은 마천루다.
세워짐 | 마천루 | 도시 | 국가 | 지붕 | 층수 | 피나클 | 현재 상태 | ||
---|---|---|---|---|---|---|---|---|---|
1870년 | 에퀴테이블 라이프 빌딩 | 뉴욕 | ![]() |
043 m | 142 ft | 8 | 1912년 화재로 파괴됨 | ||
1889년 | 오디토리움 빌딩 | 시카고 | 082 m | 269 ft | 17 | 106 m | 349 ft | 서있음 | |
1890년 | 뉴욕 월드 빌딩 | 뉴욕 | 094 m | 309 ft | 20 | 106 m | 349 ft | 1955년 철거됨 | |
1894년 | 필라델피아 시청사 | 필라델피아 | 155.8 m | 511 ft | 9 | 167 m | 548 ft | 서있음 | |
1908년 | 싱어 빌딩 | 뉴욕 | 187 m | 612 ft | 47 | 1968년 철거됨 | |||
1909년 | 메트라이프 빌딩 | 213 m | 700 ft | 50 | 서있음 | ||||
1913년 | 울워스 빌딩 | 241 m | 792 ft | 57 | 서있음 | ||||
1930년 | 40 월 스트리트 | 70 | 283 m | 927 ft | 서있음 | ||||
1930년 | 크라이슬러 빌딩 | 282.9 m | 927 ft | 77 | 319 m | 1,046 ft | 서있음 | ||
1931년 | 엠파이어 스테이트 빌딩 | 381 m | 1,250 ft | 102 | 443 m | 1,454 ft | 서있음 | ||
1972년 | 세계 무역 센터 (노스 타워) | 417 m | 1,368 ft | 110 | 527.3 m | 1,730 ft | 9월 11일 공격으로 2001년에 파괴되었다. | ||
1974년 | 윌리스 타워 (이전 시어스 타워) | 시카고 | 442 m | 1,450 ft | 110 | 527 m | 1,729 ft | 서있음 | |
1996년 | 페트로나스 타워 | 쿠알라룸푸르 | ![]() |
379 m | 1,242 ft | 88 | 452 m | 1,483 ft | 서있음 |
2004년 | 타이베이 101 | 타이베이 | ![]() |
449.2 m | 1,474 ft | 101 | 509.2 m | 1,671 ft | 서있음 |
2012년 | 부르즈 할리파 | 두바이 | ![]() |
828 m | 2,717 ft | 163 | 829.8 m | 2,722 ft | 서있음 |
마천루 목록[편집]
굵은 글씨 | 한때 세계에서 가장 높은 건물이었음을 나타낸다. |
순위 | 건물[A] | 도시 | 국가 | 높이 (m) | 높이 (ft) | 층수 | 완공 |
---|---|---|---|---|---|---|---|
1 | 부르즈 할리파 | 두바이 | ![]() |
828 m | 2,717 ft | 163 | 2010 |
2 | 상하이 타워 | 상하이 | ![]() |
632 m[3] | 2,073 ft | 128 | 2015 |
3 | 아브라즈 알 바이트 클락 타워 | 메카 | ![]() |
601 m[4] | 1,971 ft | 120 | 2012 |
4 | 핑안 국제금융센터 | 선전 | ![]() |
599 m | 1,965 ft | 115 | 2017 |
5 | 롯데월드타워 | 서울 | ![]() |
554.5 m | 1,819 ft | 123 | 2016 |
6 | 원 월드 트레이드 센터 | 뉴욕 | ![]() |
541.3 m | 1,776 ft | 104 | 2014 |
7 | 광저우 CTF 파이낸스 센터 | 광저우 | ![]() |
530 m[5] | 1,739 ft | 111 | 2016 |
톈진 CTF 파이낸스 센터 | 톈진 | ![]() |
530 m | 1,739 ft | 98 | 2017 | |
9 | 중국 존 | 베이징 | ![]() |
528 m | 1,732 ft | 108 | 2018 |
10 | 타이베이 101 | 타이베이 | ![]() |
508 m[6] | 1,667 ft | 101 | 2004 |
같이 보기[편집]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각주[편집]
- ↑ “마천루”. 《표준국어대사전》. 국립국어원. 2020년 9월 21일에 확인함.
- ↑ 참고로 소수의 사람들이 더 익스체인지 106이 말레이시아의 최고층 마천루라는 주장을 펼치고 있으나, 해당 마천루의 높이는 492m가 아니라 첨탑을 포함해도 페트로나스 트윈 타워보다 조금 낮은 445.5m로 말레이시아의 최고층 건축물이 아니다. 혼동에 주의할 것.
- ↑ “China tallest building, Shanghai Tower, gets final beam”. 2013년 8월 3일. 2013년 8월 4일에 확인함.
- ↑ “Makkah Royal Clock Tower”. 《buildingdb.ctbuh.org》. 2017년 9월 23일에 확인함.
- ↑ “Guangzhou CTF Finance Centre : The Skyscraper Center”. 《Skyscrapercenter.com》. 2014년 7월 2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9월 23일에 확인함.
- ↑ “Taipei 101”. 《buildingdb.ctbuh.org》. 2017년 9월 23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 (영어) 마천루 - Curli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