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천루 목록

이 목록은 마천루 목록이다. 단, 마천루는 주거, 사무를 할 수 있는 '건물'을 지칭하기 때문에 도쿄 스카이트리나 에펠탑 같은 철골탑 등의 건축물은 포함하지 않는다.[2] 현재 세계 최고층 건물은 약 5년의 공사기간 끝에, 2010년 1월 4일 개장한 아랍에미리트의 두바이에 있는 부르즈 할리파로, 지상 163F에 828m의 높이를 가지고 있다. 마천루에 대한 세계 기준은 없으나 일반적으로 200m 이상 건물을 마천루라고 하며, 대한민국에서 초고층 건물은 건축법 시행령 제2조 18에 의하여 높이 200m 이상 또는 50F 이상인 건축물을 말한다.
순위 기준 및 대안[편집]

국제 비영리기구인 세계초고층도시건축학회(CTBUH)는 1969년에 설립되어 "세계에서 가장 높은 건물"이라는 칭호를 발표하고 건물이 측정되는 표준을 설정한다. 그것은 세계에서 가장 높은 100채의 건물 목록을 유지한다.[3] 조직은 현재 가장 높은 두바이에 있는 부르즈 할리파는 828 m (2,717 ft)로 가장 높다.[3] 그러나 CTBUH는 완공된 건물만 포함시키며 이 기사의 목록에 포함된 일부 건물은 CTBUH가 완공하지 않은 것으로 간주된다.
1996년의 여부에 분쟁에 대한 응답으로 페트로나스 트윈 타워 또는 시어스 타워는 높았다.[4] 위원회는 상장과 네 가지 범주에 건물을 평가:
- 구조적 또는 건축상의 높이;
- 가장 높은 점령 층의 바닥까지의 높이;
- 지붕 상단까지의 높이 (2009년 11월 범주에서 제외됨)[5]과
- 건물의 어느 부분보다도 높이.
첨탑은 건축물의 건축 디자인의 중요한 부분으로 간주되며 건물의 외관과 디자인이 변경되면 건물은 추가되거나 제거될 수 있다. 그들의 첨탑이 있는 페트로나스 트윈 타워는 페트로나스 트윈 타워의 낮은 지붕과 가장 낮은 지점에도 불구하고 안테나로 윌리스 타워(이전의 시어즈 타워)보다 높은 등급을 얻었다.
1996년까지 세계에서 가장 높은 건물은 첨탑을 포함하여 가장 높은 건축 요소의 꼭대기까지의 높이로 정의되었지만 안테나는 포함하지 않았다. 이것은 맨해튼 빌딩 은행과 크라이슬러 빌딩 간의 경쟁을 불러 일으켰다. 맨해튼 빌딩 은행은 짧은 첨탑을 사용했으며 높이가 282.5m (927ft)였고 최고층 점유 층 (1996년 기준으로 가장 높은 빌딩 기준)의 두 번째 범주를 차지했다. 대조적으로 크라이슬러 빌딩은 건물 높이가 381m (125ft)인 매우 큰 건물로 건물 안쪽에 비밀리에 조립되어 총 높이가 318.9m(1,046ft)인 세계에서 가장 높은 빌딩의 칭호를 받았다. 두 건물의 첨탑이 제외 된 경우 높이가 더 짧다.
맨해튼 빌딩 은행의 컨설팅 건축가인 슈리 브 앤 램(Shreve & Lamb)은 크라이슬러의 승리로 화제를 모으고 건물이 실제로 가장 높다고 주장하는 신문 기사를 썼다. 그들은 맨해튼 빌딩의 전망대가 크라이슬러 빌딩의 꼭대기 층보다 약 30m(100ft) 위에 있다는 것을 지적했다. 크라이슬러 빌딩의 첨탑은 엄격하게 장식되어 있고 접근할 수 없었다.[6]
현재 부르즈 할리파(Burj Khalifa)는 어느 기준을 적용하든 상관없이 약간의 마진을 두고 있다.[7][8]
350미터 이상의 마천루 목록[편집]
2020년 기준으로, 이 목록에는 가장 높은 마천루 특성에 따라 350m 이상 높이에 도달한 71개 건물 (완공되고 건축 학적으로 쌓여있는 건물)이 모두 포함되어 있다. 이들 건물은 모두 APEC 또는 OPEC 회원국에 위치해 있으며, 이 중 27% (48%)가 중국에 거주하고 있다. OECD 회원국 중에서는 대한민국과 미국이 순위권에 올라와 있다. 가장 높은 마천루로 기록된 지난 7개 건물 중 6개 건물은 2001년 9월 11일의 공격으로 파괴된 이후 원래의 세계 무역 센터의 북쪽 타워를 제외하고는 여전히 목록에 있어. 세계 무역 센터가 아직도 오늘까지 있었다면 목록에 번호 24와 25를 채울 것이다. (또는 재건된 1월드 트레이드 센터가 건설되지 않았다고 가정 할 수 있기 때문에 23 및 24).
굵은 글씨 | 한때 세계에서 가장 높은 마천루였음을 나타낸다. |
순위 | 마천루[9] | 도시 | 국가 | 높이 (m)[3] | 높이 (ft) | F | 완공 연도 |
---|---|---|---|---|---|---|---|
1 | 부르즈 할리파 | 두바이 | ![]() |
828 m | 2,717 ft | 163 | 2010 |
2 | 상하이 타워 | 상하이 | ![]() |
632 m[10] | 2,073 ft | 128 | 2015 |
3 | 아브라즈 알 바이트 클락 타워 | 메카 | ![]() |
601 m[11] | 1,971 ft | 120 | 2012 |
4 | 핑안국제금융센터 | 선전 | ![]() |
599 m | 1,965 ft | 115 | 2016 |
5 | 롯데월드타워 | 서울 | ![]() |
554.5 m | 1,819 ft | 123 | 2016 |
6 | 원 월드 트레이드 센터 | 뉴욕 | ![]() |
541.3 m | 1,776 ft | 104 | 2014 |
7 | 광저우 CTF 파이낸스 센터 | 광저우 | ![]() |
530 m[12] | 1,739 ft | 111 | 2016 |
8 | 톈진 CTF 파이낸스 센터 | 톈진 | 530 m | 1,739 ft | 97 | 2019 | |
9 | 차이나 준 | 베이징 | 527 m | 1,732 ft | 108 | 2018 | |
10 | 타이베이 101 | 타이베이 | ![]() |
509 m[13] | 1,667 ft | 101 | 2004 |
11 | 상하이 세계금융센터 | 상하이 | ![]() |
492 m | 1,614 ft | 101 | 2008 |
12 | 국제상업센터 | 홍콩 | 484 m | 1,588 ft | 118 | 2010 | |
13 | 센트럴 파크 타워 | 뉴욕 | ![]() |
472 m | 1,550 ft | 98 | 2021 |
14 | 라흐타 센터[14] | 상트페테르부르크 | ![]() |
462 m | 1,516 ft | 86 | 2018 |
15 | 랜드마크 81 | 호치민 | ![]() |
461.2 m | 1,513 ft | 81 | 2018 |
16 | 륙해국제센터 | 충칭 | ![]() |
458 m | 99 | 2022 | |
17 | 창사 IFS 타워 T1 | 창사 | ![]() |
452.1 m | 1,483 ft | 88 | 2017 |
18 | 페트로나스 타워 1 | 쿠알라룸푸르 | ![]() |
451.9 m | 1,483 ft | 88 | 1998 |
페트로나스 타워 2 | 451.9 m | 1,483 ft | 88 | 1998 | |||
20 | 지펑 타워 | 난징 | ![]() |
450 m | 1,476 ft | 89 | 2010 |
쑤저우 IFS | 쑤저우 | 450 m | 1,476 ft | 92 | 2017 | ||
21 | 더 익스체인지 106 | 쿠알라룸푸르 | ![]() |
445.5 m | 1,462 ft | 96 | 2018 |
22 | 윌리스 타워 (이전에는 시어스 타워) | 시카고 | ![]() |
442.1 m | 1,450 ft | 108 | 1974 |
23 | KK100 | 선전 | ![]() |
442 m | 1,449 ft | 100 | 2011 |
24 | 광저우 국제금융센터 | 광저우 | 440 m | 1,440 ft | 103 | 2010 | |
25 | 우한 센터 | 우한 | 438 m | 1,437 ft | 88 | 2019 | |
26 | 111 웨스트 57번가 | 뉴욕 | ![]() |
435.3 m | 1,428 ft | 84 | 2020 |
27 | 원 밴더빌트 | 427 m | 1,401 ft | 58 | 2020 | ||
28 | 432 파크 애비뉴 | 425.5 m | 1,396 ft | 88 | 2015 | ||
29 | 마리나 101 | 두바이 | ![]() |
425 m | 1,394 ft | 101 | 2015[A] |
30 | 트럼프 인터내셔널 호텔 앤 타워[15] | 시카고 | ![]() |
423.2 m | 1,388 ft | 98 | 2009 |
31 | 진마오 타워 | 상하이 | ![]() |
421 m | 1,380 ft | 88 | 1999 |
32 | 프린세스 타워 | 두바이 | ![]() |
414 m | 1,358 ft[16] | 101 | 2012 |
33 | 알 함라 타워 | 쿠웨이트 시티 | ![]() |
413 m | 1,354 ft | 80 | 2011 |
34 | 홍콩 제2국제금융센터 | 홍콩 | ![]() |
412 m | 1,352 ft | 88 | 2003 |
35 | 해운대 엘시티 더샵 랜드마크 타워 | 부산 | ![]() |
411.6 m | 1,352 ft | 101 | 2019 |
36 | 난닝 중국 자원 타워 | 난닝 | ![]() |
402.7 m | 1,321 ft | 85 | 2020 |
37 | 구이양 무역센터 타워 1 | 구이양 | 401 m | 1,316 ft | 79 | 2021 | |
38 | 중국자원본부 | 선전 | 392.5 m | 1,288 ft | 67 | 2017 | |
39 | 23 마리나 | 두바이 | ![]() |
392.4 m | 1,287 ft | 89 | 2012 |
40 | 시틱 플라자 | 광저우 | ![]() |
390.2 m | 1,280 ft | 80 | 1996 |
41 | 션입 어퍼힐즈 타워 1 | 선전 | 388.1 m | 1,273 ft | 80 | 2020 | |
42 | 30 허드슨 야드 | 뉴욕 | ![]() |
386.6 m | 1,268 ft | 73 | 2019 |
43 | 캐피탈 마켓 아우토리티 헤드쿼터스 | 리야드 | ![]() |
385 m | 1,263 ft | 77 | 2016 |
44 | 션힝 스퀘어 | 선전 | ![]() |
384 m | 1,260 ft | 69 | 1996 |
45 | 에톤 플레이스 다롄 타워 1 | 다롄 | 383 m | 1,257 ft | 81 | 2015 | |
46 | 로건 세기 센터 1 | 난닝 | 381.3 m | 1,251 ft | 82 | 2018 | |
47 | 부르즈 모하메드 빈 라시드 | 아부다비 | ![]() |
381 m | 1,251 ft | 88 | 2014 |
48 | 엠파이어 스테이트 빌딩 | 뉴욕 | ![]() |
381 m | 1,250 ft | 102 | 1931 |
49 | 엘리트 레지던스 | 두바이 | ![]() |
381 m | 1,248 ft | 87 | 2012 |
50 | 센트럴 플라자 | 홍콩 | ![]() |
373.9 m | 1,226 ft | 78 | 1992 |
51 | 페더레이션 타워 (이스트 타워)[17] | 모스크바 | ![]() |
373.7 m | 1,226 ft | 95 | 2016 |
52 | 다롄 국제무역센터 | 다롄 | ![]() |
370.2 m | 1,214 ft | 86 | 2019 |
53 | 더 어드레스 더 BLVD | 두바이 | ![]() |
368 m | 1,207 ft | 72 | 2017 |
54 | 골든 이글 톈디 타워 A | 난징 | ![]() |
368.1 m | 1,208 ft | 76 | 2019 |
55 | 중국은행 타워 | 홍콩 | 367 m | 1,205 ft | 70 | 1990 | |
56 | 뱅크 오브 아메리카 타워 | 뉴욕 | ![]() |
365.8 m | 1,200 ft | 54 | 2009 |
57 | 알마스 타워 | 두바이 | ![]() |
363 m | 1,191 ft | 68 | 2009 |
58 | 비스타 타워 | 시카고 | ![]() |
362.9 m | 1,191 ft | 101 | 2020 |
59 | 한징 센터 | 선전 | ![]() |
358.9 m | 1,148 ft | 65 | 2018 |
60 | 제보라 호텔 | 두바이 | ![]() |
356.3 m | 1,169 ft | 75 | 2017 |
61 | JW 매리엇 마키스 두바이 타워 1 | 두바이 | ![]() |
355 m | 1,166 ft | 82 | 2012 |
62 | JW 매리엇 마키스 두바이 타워 2 | 355 m | 1,166 ft | 82 | 2012 | ||
63 | 에미레이트 오피스 타워 | 355 m | 1,163 ft | 54 | 2000 | ||
64 | 래플스 시티 충칭 T3N[18] | 충칭 | ![]() |
354.5 m | 1,163 ft | 79 | 2019 |
65 | 래플스 시티 충칭 T4N[18] | 354.5 m | 1,163 ft | 79 | 2019 | ||
66 | OKO 타워 - 사우스 타워 | 모스크바 | ![]() |
354 m | 1,160 ft | 85 | 2015 |
67 | 더 마리나 토치 | 두바이 | ![]() |
352 m | 1,155 ft | 86 | 2011 |
68 | 포럼 66 타워 1 | 선양 | ![]() |
350.6 m | 1,150 ft | 68 | 2015 |
69 | 더 피나클 | 광저우 | 350.3 m | 1,149 ft | 60 | 2012 | |
70 | 시안 글로리 인터네셔널 파이낸스 센터[19] | 시안 | 350 m | 1,148 ft | 75 | 2020 |
갤러리[편집]
-
사우디아라비아 메카에 있는 아브라즈 알 바이트는 세 번째로 높은 마천루다.
-
미국 뉴욕에 있는 원 월드 트레이드 센터는 세계에서 여섯 번째로 높은 마천루며 서반구에서 가장 높은 마천루다.
-
중화인민공화국 광저우에 있는 광저우 CTF 금융 센터는 일곱 번째로 높은 마천루다.
-
중화인민공화국 톈진에 있는 톈진 CTF 금융 센터는 여덟 번째로 높은 마천루다.
-
중화인민공화국 상하이에 있는 상하이 세계금융센터는 열한 번째로 높은 마천루다.
-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 있는 페트로나스 트윈 타워는 1998년부터 2004년까지 가장 높은 마천루였으며 여전히 가장 높은 쌍둥이 마천루다.
-
대한민국 부산에 있는 해운대 엘시티 더샵 랜드마크 타워는 대한민국에서 두 번째로 높은 마천루다.
-
미국 뉴욕에 있는 엠파이어 스테이트 빌딩은 1931년부터 1972년까지 가장 높은 마천루였다.
대체 측정[편집]
피나클 높이 (최고점)[편집]

이 측정은 아키텍처 확장과 비아키텍처 확장의 차이점을 무시하고 단순히 가장 높은 지점까지 측정한다. 이 측정은 항공교통 장애 판정에 유용하며, 또한 전적으로 객관적인 측정이다. 그러나 이 측정에는 마천루에서 쉽게 추가, 제거 및 수정되고 전체 구조와 독립적인 확장이 포함된다.
페트로나스 타워의 높이가 시어스 타워(현재 윌리스 타워)의 높이를 넘어섰을 때인 1998년에야 이 측정이 활발하게 사용되기 시작했다. 전자의 첨탑은 건축물로 간주되었기 때문에 전자는 더 크고, 후자의 안테나는 그렇지 않은 것으로 여겨졌다. 이로써 시어스 타워는 높이와 지붕(최고로 높은 지붕층) 카테고리에서 선두를 차지했으며 페트로나스는 건축 높이 카테고리에서 선두를 차지했다.
bold | '†'은 건축물보다 높이가 높은 마천루를 나타낸다. |
순위 | 마천루 | 도시 | 국가 | 높이 | 층수 | 완공 | |
---|---|---|---|---|---|---|---|
1 | 부르즈 할리파† | 두바이 | ![]() |
829.8 m | 2,722 ft | 163 | 2010 |
2 | 상하이 타워 | 상하이 | ![]() |
632 m | 2,073 ft | 128 | 2015 |
3 | 아브라즈 알 바이트 클락 타워 | 메카 | ![]() |
601 m[11] | 1,971 ft | 120 | 2012 |
4 | 핑안 국제금융센터 | 선전 | ![]() |
599 m | 1,965 ft | 115 | 2016 |
5 | 롯데월드타워† | 서울 | ![]() |
555.7 m | 1,823 ft | 123 | 2016 |
6 | 원 월드 트레이드 센터† | 뉴욕 | ![]() |
546.2 m | 1,792 ft | 104 | 2014 |
7 | 광저우 CTF 파이낸스 센터 | 광저우 | ![]() |
530 m[12] | 1,739 ft | 111 | 2016 |
7 | 톈진 CTF 파이낸스 센터 | 톈진 | ![]() |
530 m | 1,739 ft | 98 | 2017 |
9 | 중국존 | 베이징 | ![]() |
528 m | 1,732 ft | 108 | 2018 |
10 | 윌리스 타워† | 시카고 | ![]() |
527 m | 1,729 ft | 108 | 1974 |
11 | 타이베이 101 | 타이베이 | ![]() |
508 m | 1,667 ft | 101 | 2004 |
12 | 상하이 세계금융센터† | 상하이 | ![]() |
494.3 m | 1,622 ft | 101 | 2008 |
13 | 국제상업센터 | 홍콩 | ![]() |
484 m | 1,588 ft | 118 | 2010 |
14 | 랜드마크 81† | 호치민 시 | ![]() |
469.5 m | 1,513 ft | 81 | 2018 |
15 | 라흐타 센터[20] | 상트페테르부르크 | ![]() |
462 m | 1,516 ft | 86 | 2018 |
16 | 존 핸콕 센터† | 시카고 | ![]() |
456.9 m | 1,499 ft | 100 | 1969 |
17 | 창사 IFS 타워 T1 | 창사 | ![]() |
452 m | 1,483 ft | 94 | 2017 |
18 | 페트로나스 타워 1 | 쿠알라룸푸르 | ![]() |
451.9 m | 1,483 ft | 88 | 1998 |
18 | 페트로나스 타워 2 | 쿠알라룸푸르 | ![]() |
451.9 m | 1,483 ft | 88 | 1998 |
20 | 지펑 타워 | 난징 | ![]() |
450 m | 1,476 ft | 89 | 2009 |
21 | 쑤저우 IFS | 쑤저우 | ![]() |
450 m | 1,476 ft | 98 | 2017 |
22 | 더 익스체인지 106 | 쿠알라룸푸르 | ![]() |
445.5 m | 1,461 ft | 96 | 2018 |
23 | 엠파이어 스테이트 빌딩† | 뉴욕 | ![]() |
443.2 m | 1,454 ft | 102 | 1931 |
24 | 킹키 100 | 선전 | ![]() |
442 m | 1,449 ft | 100 | 2011 |
25 | 광저우 국제금융센터 | 광저우 | ![]() |
438.6 m | 1,445 ft | 103 | 2009 |
26 | 우한 센터 | 우한 | ![]() |
438 m | 1,437 ft | 88 | 2017 |
27 | 432 파크 애비뉴 | 뉴욕 | ![]() |
425.5 m | 1,396 ft | 85 | 2015 |
28 | 마리나 101 | 두바이 | ![]() |
425 m | 1,394 ft | 101 | 2017 |
29 | 트럼프 인터내셔널 호텔 앤 타워 | 시카고 | ![]() |
423.2 m | 1,388 ft | 96 | 2009 |
30 | 진마오 타워 | 상하이 | ![]() |
421 m | 1,381 ft | 88 | 1998 |
31 | 프린세스 타워† | 두바이 | ![]() |
414 m | 1,358 ft[16] | 101 | 2012 |
32 | 알 함라 타워 | 쿠웨이트 시티 | ![]() |
412.6 m | 1,354 ft | 80 | 2010 |
33 | 홍콩 제2국제금융센터 | 홍콩 | ![]() |
412 m | 1,352 ft | 88 | 2003 |
34 | 해운대 엘시티 더샵 랜드마크 타워 | 부산 | ![]() |
411.6 m | 1,350 ft | 101 | 2019 |
35 | 난닝 중국 자원 타워 | 난닝 | ![]() |
402.7 m | 1,321 ft | 85 | 2018 |
36 | 구이양 무역센터 타워 1 | 구이양 | ![]() |
401 m | 1,316 ft | 79 | 2019 |
지붕층까지의 높이[편집]
이 높이는 가장 낮지만 매우 중요하며 야외에서 보행자 입구에서 빌딩 내의 가장 높은 지붕층까지의 높이에서 측정된다.
순위 | 마천루 | 도시 | 국가 | 높이 | 층수 | 완공 |
---|---|---|---|---|---|---|
1 | 부르즈 할리파 | 두바이 | ![]() |
584.5 m (1,918 ft) | 163 | 2010 |
2 | 상하이 타워 | 상하이 | ![]() |
583.4 m (1,914 ft) | 128 | 2015 |
3 | 핑안 국제금융센터 | 선전 | ![]() |
562.2 m (1,844 ft) | 115 | 2016 |
4 | 중국존 | 베이징 | ![]() |
515 m (1,690 ft) | 108 | 2018 |
5 | 롯데월드타워 | 서울 | ![]() |
497.6 m (1,633 ft) | 123 | 2016 |
6 | 광저우 CTF 파이낸스 센터 | 광저우 | ![]() |
495.5 m (1,626 ft) | 111 | 2016 |
7 | 아브라즈 알 바이트 클락 타워 | 메카 | ![]() |
494.4 m (1,622 ft) | 120 | 2012 |
8 | 상하이 세계금융센터 | 상하이 | ![]() |
474 m (1,555 ft) | 101 | 2008 |
9 | 국제상업센터 | 홍콩 | ![]() |
468.8 m (1,538 ft) | 118 | 2010 |
10 | 센트럴 파크 타워 | 뉴욕 | ![]() |
442 m (1,450 ft) | 98 | 2020 |
11 | 톈진 CTF 파이낸스 센터 | 톈진 | ![]() |
439.4 m (1,442 ft) | 98 | 2017 |
12 | 타이베이 101 | 타이베이 | ![]() |
438 m (1,437 ft) | 101 | 2004 |
13 | 창사 IFS 타워 T1 | 창사 | ![]() |
437.1 m (1,434 ft) | 94 | 2017 |
14 | KK100 | 선전 | ![]() |
427.1 m (1,401 ft) | 100 | 2011 |
15 | 광저우 국제금융센터 | 광저우 | ![]() |
415.1 m (1,362 ft) | 103 | 2010 |
16 | 윌리스 타워 | 시카고 | ![]() |
412.7 m (1,354 ft) | 108 | 1974 |
17 | 쑤저우 IFS | 쑤저우 | ![]() |
406.4 m (1,333 ft) | 98 | 2017 |
18 | 해운대 엘시티 더샵 랜드마크 타워 | 부산 | ![]() |
406 m (1,332 ft) | 101 | 2019 |
공사중인 마천루[편집]
현재 공사중인 350m 이상의 마천루 목록이다.[21] 마천루의 절반 이상이 중화인민공화국에 위치하고 있다.
마천루 | 계획된 건축 높이 | 층수 | 완공 계획 | 국가 | 도시 | 비고 |
---|---|---|---|---|---|---|
제다 타워 | 1,008 m (3,307 ft) | 168 | ? | ![]() |
제다 | [22] |
PNB 118 | 678.9 m (2,227 ft) | 118 | 2022 | ![]() |
쿠알라룸푸르 | 동남아시아에서 가장높은빌딩이 됨 |
에버그란데 IFC | 518 m (1,699 ft) | 112 | 2025 | ![]() |
허페이 | |
쑤저우 중난 센터 | 499.15 m (1,637.6 ft) | 103 | ? | ![]() |
쑤저우 | |
그린랜드 센터 | 498 m (1,634 ft) | 101 | 2024 | ![]() |
시안 | |
청두 그린랜드 타워 | 468 m (1,535 ft) | 101 | 2022 | ![]() |
청두 | |
톈진 R&F 광동 타워 | 468 m (1,535 ft) | 91 | 2024 | ![]() |
톈진 | |
코퍼레이트 애비뉴 | 458 m (1,503 ft) | 99 | 2022 | ![]() |
충칭 | |
충칭 톨 타워 | 431 m (1,414 ft) | 101 | 2023 | ![]() |
충칭 | [23] |
산둥 IFC | 428 m (1,404 ft) | 86 | 2022 | ![]() |
지난 | [24] |
닝보 센터 | 409 m (1,342 ft) | 80 | 2023 | ![]() |
닝보 | [25] |
동펑 플라자 랜드마크 타워 | 407 m (1,335 ft) | 100 | 2022 | ![]() |
쿤밍 | [26] |
에버그란데 센터 | 393.9 m (1,292 ft) | 71 | 2024 | ![]() |
선전 | [27] |
아이코닉 타워 | 385 m (1,263 ft) | 90 | 2022 | ![]() |
카이로 | [28] |
구이양 세계무역센터 랜드마크 타워 | 380 m (1,250 ft) | ? | 2021 | ![]() |
구이양 | [29] |
선전 센터 | 375.6 m (1,232 ft) | 80 | 2020 | ![]() |
선전 | |
리버뷰 플라자 | 376 m (1,234 ft) | 73 | 2021 | ![]() |
우한 | |
광동 비즈니스 센터 | 375.5 m (1,232 ft) | 60 | 2022 | ![]() |
광저우 | [30] |
시티마크 무역센터 | 375 m (1,230 ft) | 70 | ? | ![]() |
선전 | [31] |
코로네이션 스퀘어 타워 1 | 370 m (1,210 ft) | 78 | ? | ![]() |
조호르바루 | [32] |
쉬자후이 센터 타워 1 | 370 m (1,210 ft) | 78 | 2023 | ![]() |
상하이 | [33] |
업타운 타워 | 370 m (1,210 ft) | 78 | 2022 | ![]() |
두바이 | [34] |
하이티엔 센터 타워 2 | 369 m (1,211 ft) | 72 | 2021 | ![]() |
칭다오 | [35] |
갤력시 1 | 369 m (1,211 ft) | 84 | 2022 | ![]() |
선전 | [36] |
갤력시 2 | 369 m (1,211 ft) | 84 | 2022 | ![]() |
선전 | [37] |
씨엘 타워 | 365 m (1,198 ft) | 77 | ? | ![]() |
두바이 | [38] |
비엣틴뱅크 비즈니스 센터 오피스 타워 | 363.2 m (1,192 ft) | 70 | 2021 | ![]() |
하노이 | |
완다 비스타 | 362.9 m (1,191 ft) | 93 | 2020 | ![]() |
시카고 | |
쓰리 식스티 웨스트 타워 B | 361.2 m (1,185 ft)[39] | 90 | ? | ![]() |
뭄바이 | |
그린랜드 그룹 쑤저우 센터 | 358 m (1,175 ft) | 75 | 2021 | ![]() |
쑤저우 | [40] |
일 프리모 타워 1 | 356 m (1,168 ft) | 88 | 2021 | ![]() |
두바이 | [41] |
농업개발센터 타워 1 | 350 m (1,150 ft) | ? | ? | ![]() |
하얼빈 | [42] |
대륙별 목록[편집]
다음 목록은 각 대륙에 위치한 가장 높은 높이에서 가장 높은 높이까지 나열된 마천루 중 가장 높은 마천루를 보여준다.
대륙 | 마천루 | 높이 | 층수 | 완공 | 국가 | 도시 |
---|---|---|---|---|---|---|
아시아 | 부르즈 할리파 | 828 m (2,717 ft) | 163 | 2009 | ![]() |
두바이 |
북아메리카 | 원 월드 트레이드 센터 | 541 m (1,775 ft) | 104 | 2014 | ![]() |
뉴욕 |
유럽 | 라흐타 센터 | 462 m (1,516 ft) | 87 | 2018 | ![]() |
상트페테르부르크 |
오세아니아 | Q1 | 323 m (1,060 ft) | 80 | 2005 | ![]() |
골드코스트 |
남아메리카 | 그란 토레 산티아고[43] | 300 m (980 ft) | 64 | 2012 | ![]() |
산티아고 |
아프리카 | 칼튼 센터 | 225.5 m (740 ft) | 50 | 1973 | ![]() |
요하네스버그 |
남극 대륙 | 롱 듀레이션 벌룬 (LDB) 페이로드 프레퍼레이션 빌딩[44] | 15 m (49 ft) | 1 | 2005[45] | ![]() |
맥머도 기지 |
파괴된 마천루[편집]
마천루 | 국가 | 도시 | 높이 | 층수 | 완공 | 파괴 | 파괴 이유 |
---|---|---|---|---|---|---|---|
1WTC | ![]() |
뉴욕 | 417 m (1,368 ft) | 110 | 1971 | 2001 | 9·11 테러로 인한 항공기 공격 |
2WTC | ![]() |
뉴욕 | 415 m (1,362 ft) | 110 | 1972 | 2001 | 9·11 테러로 인한 항공기 공격 |
7WTC | ![]() |
뉴욕 | 189 m (620 ft) | 47 | 1987 | 2001 | 9·11 테러로 인한 세계무역센터의 붕괴, 그로 인한 건물 파손과 화재 |
3WTC | ![]() |
뉴욕 | 80 m (260 ft) | 22 | 1981 | 2001 | 9·11 테러로 인한 세계무역센터의 붕괴 |
료운카쿠 | ![]() |
도쿄 | 69 m (226 ft) | 12 | 1890 | 1923 | 1923년 간토대지진으로 붕괴 |
같이 보기[편집]
- 세계에서 가장 높은 건물의 역사
- 상층부 기준 마천루 목록
- 쌍둥이 빌딩과 구조물 목록
- 100층 이상의 마천루 목록
- 마천루를 설계한 건축가 목록
- 마천루가 가장 많은 도시 목록
- 고층 빌딩이 가장 많은 도시 목록
- 미래의 마천루 목록
- 아시아의 마천루 목록
- 동남아시아의 마천루 목록
- 남아시아의 마천루 목록
- 건축물 및 구조물 목록
- 가장 큰 건축물 목록
- 독립 구조물 목록
- 초고층 호텔 목록
- 초고층 주거용 건축물 목록
- 구조물 목록
- 국가별 구조물 목록
- 마천루의 저주
- 나라별 가장 높은 마천루 목록
- 취소된 마천루 목록
- 대한민국의 마천루 목록
- 파괴된 마천루 목록
각주[편집]
- ↑ “The Tallest 20 in 2020: Entering the Era of the Megatall”. CTBUH. 2011년 12월 8일. 2012년 6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10월 19일에 확인함.
- ↑ “CTBUH HEIGHT CRITERIA”. 세계초고층도시건축학회. 2020년 11월 11일에 확인함., 세계초고층도시건축학회의 정의에 따르면, 마천루와 탑을 나누는 기준은 주거, 사무 등이 가능한 점유 공간의 높이가 전체 높이의 50% 이상을 차지하는지의 여부이다.
- ↑ 가 나 다 “100 tallest completed buildings in the world”. CTBUH. 2012년 4월 27일에 확인함.
- ↑ Lynn S. Beedle. “Tallest: Petronas vs. Sears Tower Controversy”. Council on Tall Buildings and Urban Habitat. 2016년 3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8월 24일에 확인함.
- ↑ “CTBUH changes height criteria, Burj Khalifa height increases”. Council on Tall Buildings and Urban Habitat. 2009년 11월 17일. 2018년 1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11월 18일에 확인함.
- ↑ Binders, George (August 2006). 101 of the World's Tallest Buildings. p. 102.
- ↑ “Tall Buildings In Numbers Vanity Height”. Ctbuh.org. 2013년 11월 1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9월 21일에 확인함.
- ↑ “Most of the World's Tallest Buildings Game the System With 'Vanity Height' - Jenny Xie”. The Atlantic Cities. 2013년 9월 9일. 2014년 4월 2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9월 21일에 확인함.
- ↑ 세계초고층도시건축학회의 정의에 따라 주거, 사무 등이 가능한 점유 공간의 높이가 전체 높이의 50% 이상을 차지하는 건물만 포함했다. 파괴된 마천루는 포함되어 있지 않는다.
- ↑ “China tallest building, Shanghai Tower, gets final beam”. 2013년 8월 3일. 2013년 8월 4일에 확인함.
- ↑ 가 나 “Makkah Royal Clock Tower”. 《buildingdb.ctbuh.org》. 2012년 6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9월 23일에 확인함.
- ↑ 가 나 “Guangzhou CTF Finance Centre : The Skyscraper Center”. 《Skyscrapercenter.com》. 2014년 7월 2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9월 23일에 확인함.
- ↑ “Taipei 101”. 《buildingdb.ctbuh.org》. 2011년 7월 1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9월 23일에 확인함.
- ↑ “Lakhta Center : The Skyscraper Center”. 《Skyscrapercenter.com》. 2017년 9월 23일에 확인함.
- ↑ “Trump International Hotel and Tower”. 《buildingdb.ctbuh.org》. 2012년 1월 1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9월 23일에 확인함.
- ↑ 가 나 “Princess Tower | Buildings”. 두바이 /: Emporis. 2012년 8월 21일에 확인함.
- ↑ “Federation Tower”. 《federationtower.com/》. 2017년 3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2월 10일에 확인함.
- ↑ 가 나 “Raffles City Chongqing Complex”. 《CTBUH Skyscraper Center》.
- ↑ “Xi An Glory International Financial Center”. 《CTBUH Skyscraper Center》.
- ↑ “Lakhta Center : The Skyscraper Center”. 《Skyscrapercenter.com》. 2017년 9월 23일에 확인함.
- ↑ “All Global Buildings”. CTBUH. 2019년 1월 25일에 확인함.
- ↑ “Kingdom Tower in Saudi Arabia Will Soon Be the World's Tallest Building”. 《Mashable.com》. 2014년 12월 28일에 확인함.
- ↑ “Chongqing Tall Tower”. 《CTBUH Skyscraper Center》.
- ↑ “Shandong IFC”. 《CTBUH Skyscraper Center》.
- ↑ “Ningbo Center Tower 1”. 《CTBUH Skyscraper Center》.
- ↑ “Dongfeng Plaza Landmark Tower”. 《CTBUH Skyscraper Center》.
- ↑ “Evergrande Center”. 《CTBUH Skyscraper Center》.
- ↑ “Iconic Tower”. 《CTBUH Skyscraper Center》.
- ↑ “Guiyang World Trade Center Landmark Tower”. 《CTBUH Skyscraper Center》.
- ↑ “Guangdong Business Center”. 《CTBUH Skyscraper Center》.
- ↑ “Citimark Financial Center Phase 1”. 《CTBUH Skyscraper Center》.
- ↑ “Coronation Square Tower 1”. 《CTBUH Skyscraper Center》.
- ↑ “Xujiahui Center Tower 1”. 《CTBUH Skyscraper Center》.
- ↑ “Uptown Tower”. 《CTBUH Skyscraper Center》.
- ↑ “Hai Tian Center Tower 2”. 《CTBUH Skyscraper Center》.
- ↑ “Galaxy Tower 1”. 《CTBUH Skyscraper Center》.
- ↑ “Galaxy Tower 2”. 《CTBUH Skyscraper Center》.
- ↑ “Ciel Tower”. 《CTBUH Skyscraper Center》.
- ↑ “Oberoi Oasis Residential Tower;”. CTBUH. 2012년 8월 23일에 확인함.
- ↑ “Greenland Group Suzhou Center”. 《The Skyscraper Center》. Council on Tall Buildings and Urban Habitat. 2014년 10월 21일에 확인함.
- ↑ “Il Primo Tower 1”. 《CTBUH Skyscraper Center》.
- ↑ “Agricultural Development Center Tower 1”. 《CTBUH Skyscraper Center》.
- ↑ “Costanera Center es oficialmente el edificio más alto de Latinoámerica”. La Segunda. 2012년 2월 14일.
- ↑ Pacheco, Luis Eduardo. “McMurdo Station, Antarctica - Stratospheric balloon launches”. 《stratocat.com.ar》. 2017년 9월 23일에 확인함.
- ↑ Jones, W. Vernon. "Report on the Balloon Program" Archived 2016년 3월 7일 - 웨이백 머신, NASA Astrophysics Subcommittee Meeting. 16 April 2013.
외부 링크[편집]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 SkyscraperCity
- Council on Tall Buildings and Urban Habitat The CTBUH announces the title of "The World's Tallest Building"
- BuildingHeights.org, alternative ranking of the world's 1000 tallest buildings
- Emporis, international database and gallery of buildings
- Structurae, international database and gallery of structures
- The World's Tallest buildings list, including u/c and planned buildings, plus historical lists by deca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