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신앙요법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신앙요법 또는 신념치료(faith healing)는 기도와 몸짓(안수 등)을 실천하는 것으로, 일부 사람들은 영적, 육체적 치유, 특히 기독교 관행에서 신의 개입을 이끌어낸다고 믿는다.[1] 신자들은 하나님의 임재와 힘을 자극할 수 있는 기도나 기타 의식을 통해 종교적 신앙을 통해 질병과 장애가 치유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신의 개입에 대한 종교적 믿음은 신앙요법을 통해 달성된 증거 기반 결과경험적 증거에 의존하지 않는다. 사실상 모든 과학자와 철학자들은 신앙요법을 유사과학으로 일축한다.[2][3][4][5]

기도, 신의 개입, 개별 치료사의 봉사 등 "수많은 기술"이 질병을 치료할 수 있다는 주장은 역사 전반에 걸쳐 널리 퍼져 있었다. 믿음이 실명, 청각 장애, , HIV/AIDS, 발달 장애, 빈혈, 관절염, 티눈, 언어 결함, 다발성 경화증, 피부 발진, 전신 마비 및 다양한 부상을 치료할 수 있다는 주장이 있어 왔다. 회복은 일반적으로 신앙요법으로 분류되는 많은 기술에 기인한다. 여기에는 기도, 종교적인 성소 방문, 또는 단순히 최고 존재에 대한 강한 믿음이 포함될 수 있다.[6]

많은 사람들이 성경, 특히 신약성경을 믿음 치유에 대한 믿음과 실천을 가르치는 것으로 해석한다. 2004년 뉴스위크 여론조사에 따르면, 미국인 중 72%는 과학적으로 그 사람이 불치병에 걸렸다고 하더라도 하나님께 기도하면 누군가를 치료할 수 있다고 믿는다고 말했다. 신앙요법과 달리 영적 치유를 옹호하는 사람들은 신성한 개입을 구하려고 시도하지 않고 대신 신성한 에너지를 믿는다. 20세기 말 대체의학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사회학자들도 종교와 건강의 관계에 대한 관심을 갖게 되었다.[7]

신앙요법은 영적, 초자연적, 초자연적 주제로 분류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신앙요법에 대한 믿음은 마술적 사고로 분류될 수 있다. 미국 암학회(American Cancer Society)는 "현재 이용 가능한 과학적 증거는 신앙요법이 실제로 신체적 질병을 치료할 수 있다는 주장을 뒷받침하지 않는다"라고 말한다. "심각한 부상이나 질병에 대한 의료 대신 신앙요법을 선택했을 때 사망, 장애 및 기타 원치 않는 결과가 발생했다." 부모가 의료가 아닌 신앙요법을 실천했을 때, 그렇지 않았다면 살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었던 많은 어린이들이 사망했다. 성인에서도 비슷한 결과가 나타난다.[8]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1. “Faith healing”. 《thearda.com》. University Park, PA: Association of Religion Data Archives. 2016년 1월 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10월 24일에 확인함.  Citing Smith, Jonathan; Green, William Scott, 편집. (1995). 《The HarperCollins Dictionary of Religion》. San Francisco, CA: HarperCollins. 355쪽. 
  2. Mahner, Martin (2013). Pigliucci, Massimo; Boudry, Maarten, 편집. 《Philosophy of pseudoscience reconsidering the demarcation problem》 Online-Ausg.판.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30쪽. ISBN 978-0226051826. 2018년 4월 18일에 확인함. 
  3. Hassani, Sadri (2010). 《From Atoms to Galaxies: A Conceptual Physics Approach to Scientific Awareness》 (영어). CRC Press. 641쪽. ISBN 978-1439882849. 2018년 4월 18일에 확인함. There are also activities that, although not classified (or claimed) as science, have implications that trespass into the scientific territories. Examples of this category of activities are the claim that we have been visited by aliens riding unidentified flying objects, all psychic phenomena, and faith healing. We study the nature of all these activities under the general heading of pseudoscience. … 
  4. Erzinclioglu, Zakaria (2000). 《Every Contact Leaves a Trace: Scientific Detection in the Twentieth Century》. Carlton Books. 60쪽. ISBN 978-1842221617. For example, most scientists dismiss the notion of faith-healing, a phenomenon for which there is a certain amount of evidence. 
  5. See also:

    Pitt, Joseph C.; Pera, Marcello (2012). 《Rational Changes in Science: Essays on Scientific Reasoning》 (영어).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ISBN 978-9400937796. 2018년 4월 18일에 확인함. Such examples of pseudoscience as the theory of biorhythms, astrology, dianetics, creationism, faith healing may seem too obvious examples of pseudoscience for academic readers. 

    Zerbe, Michael J. (2007). 《Composition and the Rhetoric of Science: Engaging the Dominant Discourse》 (영어). SIU Press. 86쪽. ISBN 978-0809327409. [T]he authors of the 2002 National Science Foundation Science and Engineering Indicators devoted and entire section of their report to the concern that the public is increasingly trusting in pseudoscience such as astrology, UFOs and alien abduction, extrasensory perception, channeling the dead, faith healing, and psychic hotlines. 

    Robert Cogan (1998). 《Critical Thinking: Step by Step》. University Press of America. 217쪽. ISBN 978-0761810674. Faith healing is probably the most dangerous pseudoscience. 

    Leonard, Bill J.; Crainshaw, Jill Y. (2013). 《Encyclopedia of Religious Controversies in the United States: A–L》 (영어). ABC-CLIO. ISBN 978-1598848670. 2018년 4월 18일에 확인함. Certain approaches to faith healing are also widely considered to be pseudoscientific, including those of Christian Science, voodoo, and Spiritualism. 

  6. “Faith Healing”. American Cancer Society. 2013년 1월 17일. 2013년 4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7. Village, Andrew (2005). “Dimensions of belief about miraculous healing”. 《Mental Health, Religion & Culture8 (2): 97–107. doi:10.1080/1367467042000240374. S2CID 15727398. 
  8. Simpson, William F. (1989). “Comparative longevity in a college cohort of Christian Scientists”. 《JAMA262 (12): 1657–1658. doi:10.1001/jama.1989.03430120111031. PMID 2769921. 

외부 링크[편집]

  • 위키미디어 공용에 신앙요법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