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포산
![]() | |
![]() | |
![]() | |
이름 | |
---|---|
IUPAC 이름
(R)-5-(1,2-dithiolan-3-yl)pentanoic acid
| |
별칭
α-lipoic acid,
alpha lipoic acid, thioctic acid, 6,8-dithiooctanoic acid | |
식별자 | |
3D 모델 (JSmol)
|
|
ChEBI | |
ChEMBL | |
ChemSpider | |
DrugBank | |
ECHA InfoCard | 100.012.793 |
KEGG | |
MeSH | Lipoic+acid |
PubChem CID
|
|
UNII |
|
CompTox Dashboard (EPA)
|
|
| |
| |
성질 | |
C8H14O2S2 | |
몰 질량 | 206.32 g·mol−1 |
겉보기 | 노란색 바늘 모양의 결정 |
녹는점 | 60–62 °C (140–144 °F; 333–335 K) |
아주 약간 용해됨(0.24 g/L)[1] | |
ethanol 50 mg/mL에서의 용해도 | 용해됨 |
약리학 | |
A16AX01 (WHO) | |
약물동태학: | |
30% (oral)[2] | |
관련 화합물 | |
관련 화합물
|
리포아마이드, 아스파라거스산 |
달리 명시된 경우를 제외하면, 표준상태(25 °C [77 °F], 100 kPa)에서 물질의 정보가 제공됨. | |
![]() ![]() ![]() | |
정보상자 각주 | |
리포산(영어: lipoic acid, LA)은 카프릴산(옥탄산)으로부터 파생된 유기 황 화합물이다.[3] α-리포산(영어: α-lipoic acid, ALA), 싸이옥트산(영어: thioctic acid)이라고도 한다. 리포산은 동물에서 정상적으로 만들어지며, 호기성 대사에 필수적이다. 또한 제조되어 항산화제로 판매되는 일부 국가에서는 식이 보충제로 사용되며, 다른 국가에서는 의약품으로도 사용된다.[3]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 ↑ “Lipoic Acid”. 《Pubmed》. NCBI. 2018년 10월 18일에 확인함.
- ↑ Teichert, J; Hermann, R; Ruus, P; Preiss, R (November 2003). “Plasma kinetics, metabolism, and urinary excretion of alpha-lipoic acid following oral administration in healthy volunteers”. 《The Journal of Clinical Pharmacology》 43 (11): 1257–67. doi:10.1177/0091270003258654. PMID 14551180.
- ↑ 가 나 “Lipoic acid”. Micronutrient Information Center, Linus Pauling Institute, Oregon State University, Corvallis. 2019년 1월 1일. 2019년 11월 5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