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라나
![]() | |
---|---|
![]() | |
생물 분류ℹ️ | |
계: | 식물계 |
(미분류): | 속씨식물 |
(미분류): | 진정쌍떡잎식물 |
(미분류): | 장미군 |
목: | 무환자나무목 |
과: | 무환자나무과 |
아과: | 무환자나무아과 |
속: | 무환자나무속 |
종: | 과라나 |
학명 | |
'Paullinia cupana' | |
Kunth |
과라나 (Guarana, 학명: Paullinia cupana) 또는 구아라나(포르투갈어: guaraná)는 브라질 아마존 분지 원산의 무환자나무과 폴리니아속의 덩굴식물이다. 과라나는 커피 콩과 비슷한 크기의 열매가 잘 알려져 있다. 과라나 씨는 고농도의 카페인이 있어 식이 보충제로서 과라나는 효과적인 자극제이다.[1] 과라나의 씨앗은 커피 콩보다 2배 많은 농도의 카페인을 함유하고 있다. (커피 콩 카페인 1 ~ 2% 함유, 과라나 씨앗 카페인 2 ~ 4.5% 함유)[2]
카페인을 함유하고 있는 다른 식물들과 마찬가지로, 과라나의 높은 카페인 농도는 방어적 독소 작용을 하여, 다른 병원균으로부터 과라나 열매나 씨앗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3]
과라나 열매의 색깔은 갈색이나 붉은색이고, 검은 씨앗은 부분적으로 하얀 가종피에 덮여 있다. 과라나 열매의 껍질을 벗기면 과육이 눈알과 비슷하게 생겼는데, 이런 이유로 여러 가지 미신들이 형성됐다.[4]
어원[편집]
guarana라는 단어는 과라니어 단어인 guara-ná에서 왔는데, 그 어원은 투피과라니어로 warana이다. 그 뜻은 투피과라니어로 "인간의 눈과 닮은 과일"이란 뜻이다.[5]
용도[편집]
과라나는 카페인 함유량이 높아 각성 효과가 뛰어나서 청량 음료, 에너지 음료, 숙취 해소 음료, 강장제 등의 원료로 사용된다. 또한 과라나의 마른 열매로 해열제, 흥분제 등을 만들기도 한다.
효과[편집]
과라나는 카페인 함량이 높기 때문에, 잠재적으로 인지 능력에 영향을 끼친다. 쥐를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 과라나는 위약 효과와 비교했을 때 기억 보유율과 신체적 지구력을 증가시켰다.[6]
인간을 대상으로 한 예비 실험에서 과라나 추출 가루를 각각 37.5 mg, 75 mg, 150 mg, 300 mg씩 섭취했을 때 행동 영향을 평가한 결과 37.5 mg, 75 mg을 섭취한 그룹이 150 mg, 300 mg을 섭취한 그룹보다 기억력과 민첩성이 더 향상되었다.[7]
안정성[편집]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과라나를 일반적으로 안정하다고 인정되는 물질(GRAS)로 지정하여 분류하고 있다.[8]
과라나 추출물을 토끼에게 투여한 결과 토끼의 혈소판 수치가 37% 줄어들었고, 아라키돈산으로부터 혈소판 트롬복산 형성이 78% 감소하였다.[9] 하지만, 과라나 추출물이 심근 경색이나 뇌졸중 발생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는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다.[10]
각주[편집]
- ↑ Johannes, Laura (2010년 3월 2일). “Can a Caffeine-Packed Plant Give a Boost?”. 《The Wall Street Journal》. D3면.
- ↑ Bempong DK, Houghton PJ, Steadman K (1993). “The xanthine content of guarana and its preparations”. 《Int. J. Pharmacog.》 31 (3): 175–81. doi:10.3109/13880209309082937. ISSN 0925-1618.
- ↑ Ashihara H, Sano H, Crozier A (2008년 2월). “Caffeine and related purine alkaloids: biosynthesis, catabolism, function and genetic engineering”. 《Phytochemistry》 69 (4): 841–56. doi:10.1016/j.phytochem.2007.10.029. PMID 18068204.
- ↑ Prance G, Nesbitt M, 편집. (2004). 《Cultural History of Plants》. New York: Routledge. 179쪽.
- ↑ “guarana”. Merriam Webster. 2007년 9월 18일에 확인함.
- ↑ Espinola EB, Dias RF, Mattei R, Carlini EA (1997년 2월). “Pharmacological activity of Guarana (Paullinia cupana Mart.) in laboratory animals”. 《J Ethnopharmacol》 55 (3): 223–9. doi:10.1016/S0378-8741(96)01506-1. PMID 9080343.
- ↑ Haskell CF, Kennedy DO, Wesnes KA, Milne AL, Scholey AB (2007년 1월). “A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multi-dose evaluation of the acute behavioral effects of guaraná in humans”. 《J. Psychopharmacol. (Oxford)》 21 (1): 65–70. doi:10.1177/0269881106063815. PMID 16533867.
- ↑ “Energy Drinks” (PDF). University of California, Davis. April 2007. 2011년 8월 25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9월 18일에 확인함.
- ↑ Bydlowski SP, D'Amico EA, Chamone DA (1991). “An aqueous extract of guaraná (Paullinia cupana) decreases platelet thromboxane synthesis”. 《Braz. J. Med. Biol. Res.》 24 (4): 421–4. ISSN 0100-879X. PMID 1823256.
- ↑ Nicolaou KC; 외. (1979). “Synthesis and biological properties of pinane-thromboxane A2, a selective inhibitor of coronary artery constriction, platelet aggregation, and thromboxane formation”. 《Proc. Natl. Acad. Sci. USA》 76 (6): 2566–70. doi:10.1073/pnas.76.6.2566. PMC 383648. PMID 288046.
외부 링크[편집]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 |
위키생물종에 관련된 분류 및 자료가 있습니다. |
- (영어) 과라나 - USDA 데이터베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