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토끼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토끼
눈토끼의 모습.
눈토끼의 모습.
생물 분류ℹ️
계: 동물계
문: 척삭동물문
강: 포유류강
목: 토끼목
과: 토끼과(Leporidae)
Fischer de Waldheim, 1817

토끼(兎-, 영어: Leporid)는 토끼과(兎끼科, Leporidae)에 속하는 포유동물의 총칭이다.[1] 우는토끼와 함께 토끼목을 이룬다.

경상남도, 전라도, 충청도, 평안북도 등지에서는 토끼를 토깽이라고도 부른다.

영어에서는 산토끼 계열을 헤어(Hare)로, 집토끼 계열을 래빗(rabbit)이라고 부른다. 총칭으로는 레포리드(Leporid)라고 부른다.

특징

[편집]

토끼는 길쭉하고 움직일 수 있는 긴 귀를 가지고 있어 청각이 뛰어나다. 눈이 커서 야간 시력이 좋은데, 이는 토끼가 밤에도 활동하는 야행성을 띄기 때문이다. 또한, 뒷다리가 길어 빠른 움직임에 적응했으며, 뒷다리의 각 발에는 네 개의 발가락이 있다. 앞다리는 짧고, 앞다리의 각 발에 다섯 개의 발가락이 있다. 발바닥에는 털이 많이 나 있어서 달릴 때 접지력이 뛰어나고, 모든 발가락에 강한 발톱이 달려 있다.[2]

토끼의 몸길이는 21 ~ 76 센티미터 (8.3 ~ 29.9 in) 정도이다. 암컷 토끼가 거의 항상 수컷보다 큰데, 이는 육상 포유류 중에서는 드문 경우다.[3] 또한, 모든 토끼과의 동물들은 서로 상완골이 매우 유사하다.[4]

토끼는 대부분 초식성이다. 주로 풀잎과 허브를 먹지만, 과일도 먹을 수 있다. 그러나 과일의 경우 생후 6개월 이전에 먹는 것은 피하는 게 좋다. 일부 토끼과 동물들은 썩은 고기를 먹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쉽게 소화되는 음식은 위장에서 처리되어 대변으로 배출다. 그러나 소화하기 어려운 음식들은 영양소를 얻기 위해 맹장에서 섬유질을 발효시킨 다음 내용물을 밖으로 배출하고 이를 다시 섭취합니다. 다시 섭취한 내용물은 소장에서 흡수되어 영양소로 활용된다.[5]

토끼는 원 모양 똥을 두 번에 걸쳐 나누어 싸는데, 처음 싼 똥은 영양분이 많아서 대부분 다시 먹는다.[6] 흔히 "빨갛게 충혈된 눈"을 일컬어 "토끼눈"이라 하는데, 이러한 빨간색 토끼눈은 백색증을 가진 토끼의 눈이다.[7]

토끼를 해부해 보면 의 분문(들문)과 유문(날문)이 가까이 있어 해부학적으로 토하지 못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임신기간은 평균 30일이며, 한 번에 4 ~ 12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암컷 토끼는 자궁이 2개 달려있기 때문에, 임신중에도 중복 임신이 가능해 엄청나게 많은 새끼를 낳는다. 또한, 토끼는 요로결석에 매우 취약한 동물로 알려져 있다.

토끼의 천적으로는 불곰, 멧돼지, 점박이하이에나, 족제비과 동물들, 개과 동물들, 고양이과 동물들, 맹금류, 대형 조류, , 악어 등이 있다.

서식지

[편집]

토끼는 남극오세아니아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등), 몰디브, 마다가스카르, 모리셔스, 코모로, 세이셸,한국 등 인도양의 도서 지역을 제외한 전 세계에 분포한다. 오스트레일리아에서는 토끼를 방사하여 도입되었으나, 지나친 번식력과 천적의 부재로 인해 생태계에 피해를 주고 있다. 이 때문에 들개, 여우, 고양이 등을 풀어서 해결하려 했으나 이들은 되려 토끼보다 사냥하기 쉬운 을 습격하는 등 문제가 많았다. 결국 오스트레일리아 방위군까지 동원해서 대대적인 토끼 사냥에 나서서 현재는 꽤 많이 도축한 상태이다.

관련 문화

[편집]

대한민국

[편집]
  • 한국에서는 토끼를 꾀가 많고 영민한 동물로 인식한다.
  • 토끼는 십이지신 중 네 번째 동물이다.
  • 분화구 모양이 계수나무 밑에서 절구를 찧는 토끼에 비유되기도 한다. (옥토끼)
  • 한국의 설화토끼전에서 토끼 이 용왕의 병을 고치는 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묘사된다.
  • 황해도에는 토산군 (兎山郡), 토산면 (兎山面)이 있는데, 이들은 모두 토끼와 관련된 지명이다.

중국

[편집]
  • 중국에서는 토끼를 동양의 미와 관련이 있는 동물로 보이게 되며 한국과 유사하게 역사적인 인식이 깊다.
  • 전통 문화의 상징성이 큰 것으로 보인다.

일본

[편집]
  • 일본의 최대의 토끼 섬인 오쿠노시마섬에는 수백여 마리의 토끼가 떼지어 방사하여 활동하고 있다.
  • 토끼를 중국과 동등하게 동양의 미를 인식하고 있는 것을 굳게 믿어지는 경우를 가지고 있다.

세계

[편집]

세부 종류

[편집]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Hoffman, R.S.; Smith, A.T. (2005). “Order Lagomorpha” [토끼목]. Wilson, D.E.; Reeder, D.M. Mammal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영어) 3판. 존스 홉킨스 대학교 출판사. 194–211쪽. ISBN 978-0-8018-8221-0. OCLC 62265494. 
  2. Chapman, J.; Schneider, E. (1984). MacDonald, D., 편집. 《The Encyclopedia of Mammals》. New York: Facts on File. 714–719쪽. ISBN 978-0-87196-871-5. 
  3. Ralls, Katherine (June 1976). “Mammals in Which Females are Larger Than Males”. 《The Quarterly Review of Biology》 51 (2): 245–276. doi:10.1086/409310. PMID 785524. S2CID 25927323. 
  4. Sen, S.; Pickford, M. (2022). “Red Rock Hares (Leporidae, Lagomorpha) past and present in southern Africa, and a new species of Pronolagus from the early Pleistocene of Angola” (PDF). 《Communications of the Geological Survey of Namibia》 24: 67–96. 
  5. “Snowshoe Hare”. 《eNature: FieldGuides》. eNature.com. 2007. 2009년 1월 1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3월 23일에 확인함. 
  6. “동글동글 토끼 똥 - YouTube”. 2020년 11월 4일에 확인함. 
  7. 네이버캐스트 오늘의 과학 - 생물 산책, 토끼

외부 링크

[편집]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