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글루코사민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글루코사민
글루코사민의 입체 구조식 ((2S,6R)-6-meth,-2-ol)
글루코사민의 입체 구조식 ((2S,6R)-6-meth,-2-ol)
글루코사민의 공 막대 모형 ((2R,6R)-6-meth,-2-ol)
글루코사민의 공 막대 모형 ((2R,6R)-6-meth,-2-ol)
이름
IUPAC 이름
2-아미노-2-디옥시글루코스
체계명
(3R,4R,5S)-3-아미노-6-(하이드록시메틸)옥세인-2,4,5-트라이올
별칭
키토사민
식별자
3D 모델 (JSmol)
1723616
ChEBI
ChEMBL
ChemSpider
DrugBank
ECHA InfoCard 100.020.284
EC 번호
  • 222-311-2
720725
KEGG
MeSH 글루코사민
UNII
  • InChI=1S/C6H13NO5/c7-3-5(10)4(9)2(1-8)12-6(3)11/h2-6,8-11H,1,7H2/t2?,3-,4-,5-,6?/m1/s1 아니오아니오
    Key: MSWZFWKMSRAUBD-SPZCMYQFSA-N 아니오아니오
  • N[C@H]1C(O)OC(CO)[C@@H](O)[C@@H]1O
성질
C6H13NO5
몰 질량 179.172 g·mol−1
밀도 1.563 g/mL
녹는점 150 °C (302 °F; 423 K)
log P −2.175
산성도 (pKa) 7.5
염기도 (pKb) 4.5
약리학
M01AX05 (WHO)
법적 상태
  • EU: Authorized[1]
달리 명시된 경우를 제외하면, 표준상태(25 °C [77 °F], 100 kPa)에서 물질의 정보가 제공됨.
아니오아니오 확인 (관련 정보 예아니오아니오 ?)

글루코사민(Glucosamine, C6H13NO5)은 아미노당의 일종이며 글리코실화된 단백질과 지질의 생화학적 합성에서 중요한 전구체이다. 글루코사민은 두 가지 다당류키토산키틴의 구조 중 하나이다. 글루코사민은 가장 풍부한 단당류 중 하나이다.[2] 상업적으로는 갑각류 외골격가수분해를 통해 생산되거나, 옥수수나 밀과 같은 곡물의 발효를 통해 생산되기도 하며, 국가에 따라 여러 이름으로 불린다.[3]

흔히 사용되는 식이 보충제이지만, 관절염이나 통증 완화에 효과가 있다는 증거는 거의 없으며, 미국에서는 승인된 처방약이 아니다.[4][5][6]

식이 보충제

[편집]

경구 글루코사민은 식이 보충제이며 미국에서는 처방약이 아니다.[4][6] 글루코사민은 관절의 구조와 기능을 돕는 보충제로 판매되며, 뼈관절염 환자를 대상으로 마케팅된다.[4][6]

흔히 판매되는 글루코사민 형태는 글루코사민 황산염,[4] 글루코사민 콘드로이틴, 글루코사민 염산염,[5] 그리고 N-아세틸글루코사민이다.[4][3] 일반적으로 시판되는 세 가지 글루코사민 형태 중 글루코사민 황산염만이 뼈관절염 치료에 "효과적일 가능성이 높다"는 평가를 받는다.[4] 글루코사민은 종종 콘드로이틴 황화염메틸설포닐메테인과 같은 다른 보충제와 함께 판매된다.

글루코사민은 흔히 사용되는 콘드로이틴과 함께 무릎의 증상성 뼈관절염 환자를 치료하기 위해 일상적으로 처방되지 않는데, 이는 글루코사민 섭취 치료법이 유용하다는 충분한 증거가 없기 때문이다.[7][8]

널리 홍보되는 식이 보충제의 경우 흔히 그렇듯이, 글루코사민의 효능 주장은 주로 임상 및 실험실 연구에 기반을 둔다. 글루코사민 효능에 대한 임상 연구는 서로 상반되는데 일부는 관절염 통증 및 경직 완화를 보고하는 반면, 다른 일부는 위약보다 이점이 없다고 보고한다.[4][9][8][10]

2015년 기준 스포츠 선수가 글루코사민을 섭취한다고 해서 부상 후 관절 손상을 예방하거나 제한한다는 증거는 없다.[11]

부작용 및 약물 상호작용

[편집]

콘드로이틴 유무에 관계없이 글루코사민은 항응고제 와파린을 복용하는 사람의 국제 표준화 비율(INR)을 높인다.[4][12] 또한 치료를 위한 화학요법의 효과를 방해할 수도 있다.[4]

부작용은 경미하고 드물며, 위장 장애, 변비, 설사, 두통, 발진 등이 포함된다.[13]

글루코사민은 일반적으로 갑각류 껍질에서 추출되므로 갑각류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에게는 안전하지 않을 수 있다.[14] 갑각류에서 추출된 글루코사민 제조사 대부분은 해산물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은 제품을 복용하기 전에 의료 전문가와 상담해야 한다는 경고를 써 놓는다.[15] 대신 갑각류 유래가 아닌 글루코사민 형태도 이용 가능하다.[16]

또 다른 우려는 추가 글루코사민이 헥소스아민 생합성 경로의 정상적인 조절을 방해하여 당뇨병 발생에 기여할 수 있다는 것이었지만,[17] 여러 조사에서는 이런 현상이 발생한다는 증거를 찾지 못했다.[18][19] 마른 피험자나 비만 피험자를 대상으로 한 다른 연구에서는 표준 용량의 경구 글루코사민이 인슐린 저항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결론 내렸다.[20][21]

생화학

[편집]

글루코사민은 갑각류 껍질, 동물 뼈, 골수, 균류에서 자연적으로 발견된다.[22] D-글루코사민은 글루코사민-6-인산 형태로 자연적으로 생성되며, 모든 질소 함유 당의 생화학적 전구체이다.[23] 특히 사람의 경우, 글루코사민-6-인산은 헥소스아민 생합성 경로의 첫 단계로 과당 6-인산글루타민으로부터 글루타민-과당-6-인산 트랜스아미네이스에 의해 합성된다.[24] 이 경로의 최종 산물은 유리딘 이인산 N-아세틸글루코사민 (UDP-GlcNAc)이며, 이는 글리코사미노글리칸, 프로테오글리칸, 당지질을 만드는 데 사용된다.

글루코사민-6-인산의 형성이 이러한 생성물의 합성을 위한 첫 단계이므로, 글루코사민은 이들의 생산을 조절하는 데 중요할 수 있다. 그러나 헥소스아민 생합성 경로가 실제로 어떻게 조절되는지, 그리고 이것이 인간 질병에 기여하는 데 관여할 수 있는지 여부는 불분명하다.[17]

제조

[편집]

대부분의 글루코사민은 새우, 바닷가재, 게를 포함한 갑각류 껍질에서 키틴을 가공하여 제조된다.[25] 채식주의자 및 갑각류에 대한 거부감이 있는 사람들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제조사들은 아스페르길루스 니게르 곰팡이와 옥수수 발효를 사용하여 글루코사민 제품을 시장에 출시했다.[16]

역사

[편집]

글루코사민은 1876년 게오르크 레더호제가 농축 염산을 이용한 키틴가수분해를 통해 처음 제조했다.[26][27][28] 입체화학적 구조는 월터 하워스의 1939년 연구가 나오기 전까지는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다.[2][29]

법적 지위

[편집]

미국

[편집]

미국에서 글루코사민은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인간의 의학적 사용을 위한 승인을 받지 못했다.[30] 글루코사민은 미국에서 식이 보충제로 분류되므로, FDA는 의료 상태 치료제로 판매되지 않는 한 안전성에 대한 증거만 요구하며 효과에 대한 증거는 요구하지 않는다.[31]

2004년 FDA는 보충제 제조사가 글루코사민이 관절염, 관절 퇴행 또는 연골 퇴행 치료에 효과적이라고 주장할 만한 충분한 증거가 없다고 선언했으며, 이 입장은 2018년 현재까지 유효하다.[32][30]

유럽

[편집]

유럽 대부분의 지역에서 글루코사민은 의약품으로 승인되어 글루코사민 황산염 형태로 판매된다.[33] 이 경우, 글루코사민의 의학적 사용에는 안전성과 효능에 대한 증거가 필요하며, 여러 지침에서 뼈관절염에 대한 효과적이고 안전한 치료법으로 글루코사민 사용을 권장하고 있다.

유럽 류마티즘 학회 (EULAR) 태스크포스 위원회는 글루코사민 황산염에 0-100점 척도에서 5점의 독성 수준을 부여했다.[33] 그리고 최근 OARSI (국제 골관절염 연구 학회)의 고관절 및 무릎 골관절염에 대한 지침은 허용 가능한 안전성 프로필을 나타낸다.[34] 2014년까지 OARSI는 질병 변형을 위해 글루코사민을 더 이상 권장하지 않았으며, 무릎 골관절염 증상 완화에 대한 글루코사민의 효과는 "불확실"하다고 보았다.[35]

집단 소송

[편집]

2013년, 제조사 렉솔 선다운과 NBTY는 잘못을 인정하지 않으면서도 코스트코에서 커클랜드 라벨로 판매된 글루코사민 병 포장에 기재된 특정 문구와 관련하여 소비자 주장을 해결하기 위해 최대 US$200만을 지불하는 데 동의했다.[36]

2012년 8월, 뉴욕에서 21st Century Healthcare, Inc.가 자사의 "Glucosamine 750 Chondroitin 600 Triple Strength" 식이 보충제가 손상된 연골을 회복시킨다고 허위 광고했다는 내용의 집단 소송이 제기되었다.[37] 2013년 4월, 샌디에이고 남성은 미국 캘리포니아 중앙 지방법원에 Nutramax Laboratories, 월마트, 라이트 에이드가 글루코사민의 효능을 허위 광고했다고 주장하는 집단 소송을 제기했다.[38]

연구

[편집]

인간

[편집]

글루코사민은 글리코사미노글리칸의 전구체이며 글리코사미노글리칸은 연골의 주요 구성 요소이기 때문에, 연구는 보충 글루코사민이 연골 구조를 개선하고 관절염을 완화할 수 있는 잠재력에 초점을 맞추었지만, 임상시험에서 관절염 통증 완화에 효과적이라는 증거는 거의 없다.[7][9]

생체 이용률

[편집]

두 연구는 건강한 지원자와 뼈관절염 환자에게 경구 글루코사민 황산염 투여 후 활액혈장의 글루코사민 농도를 측정했다.[39][40]

첫 번째 연구에서는 건강한 지원자에게 750, 1,500, 또는 3,000mg의 글루코사민 황산염을 1일 1회 투여했다. 두 번째 연구에서는 12명의 뼈관절염 환자에게 매일 1,500mg의 경구 글루코사민 황산염 캡슐을 2주 동안 투여했다. 혈장 및 활액 내 글루코사민 농도는 기준선 수준에서 유의하게 증가했으며, 두 체액의 수준은 높은 상관 관계를 보였다. 저자들은 이 수준이 관절 연골에 생물학적으로 유리할 수 있다고 해석했지만, 이 수준은 연골세포가 새로운 조직을 생성하도록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위해 필요한 수준보다 여전히 10배에서 100배 낮다.[41] 활액 내 글루코사민 황산염 흡수는 20%에 달할 수도 있고, 미미하여 생물학적 유의성이 없을 수도 있다.[42]

수의학

[편집]

[편집]

일부 연구는 개에게 뼈관절염 통증에 대한 글루코사민 보충제의 효능을 입증했으며, 특히 콘드로이틴과 같은 다른 영양 보조제와 함께 사용했을 때 더욱 그렇다.[43][44] 반면 어떤 연구에서는 효능이 없었다.[45] 골관절염이 있는 개에게 경구 복합 캡슐 (글루코사민, 콘드로이틴, 아스코르브산 망가니즈)을 투여한 시험에서는 보행 분석이나 수의사 또는 소유자의 주관적 평가에서 아무런 이점도 발견되지 않았다.[45]

[편집]

글루코사민의 말 의학적 사용은 인정되지만, 메타분석에서는 기존 연구가 말을 효과적으로 치료하는 데 지침이 되기에는 너무 결함이 많다고 평가했다.[46]

여러 연구에서 말에게 경구 투여 후 글루코사민의 생체 이용률을 측정했다. 10마리의 말에게 단일 경구 용량 (9g)으로 콘드로이틴 황산염 (3g)과 함께 또는 없이 투여했을 때, 글루코사민 (염산염)은 투여 2시간 후 10.6±6.9 µg/mL의 최고 수준으로 혈액에서 검출되었다.[47] 다른 연구에서는 8마리의 성체 말에게 20mg/kg의 글루코사민 염산염을 비위 (경구) 또는 정맥 주사로 투여한 후 혈청과 관절 활액을 모두 조사했다.[48] 정맥 주사 후 글루코사민의 관절액 농도는 9–15μmol/L에 도달했지만, 비위 투여 시에는 0.3–0.7μmol/L에 불과했다. 저자들은 경구 투여로 달성된 이 글루코사민 활액 수준이 연골 세포의 대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위해 필요한 수준보다 500배 낮다고 계산했다. 동일한 연구 그룹의 후속 연구에서는 8마리 말에게 동일한 용량 (20mg/kg)의 글루코사민 황산염과 글루코사민 염산염을 비교했으며, 황산염 제제에서 더 높은 체액 농도 (경구 투여 1시간 후 89ng/mL 대비 158ng/mL)를 발견했다.[49] 그들은 황산염 유도체로 얻은 이러한 높은 활액 수준이 관절 연골에 유의미한 생물학적 영향을 미치기에는 여전히 너무 낮다고 결론 내렸다.

글루코사민 황산염, 콘드로이틴 황산염, 메틸설포닐메테인의 상업적 제제를 노령 말에게 3개월간 경구 투여한 시험에서는 보행 경직도에 아무런 효과가 없었으며, 대조군의 운동만이 효과적이었다.[50] 수술적으로 유도된 골관절염이 있는 말에게 N-아세틸글루코사민, 펜토산 폴리황산염, 히알루론산 나트륨의 조합을 정맥 주사한 결과 연골의 X선 변화는 개선되었지만 조직학적 또는 생화학적 결과는 개선되지 않았다.[51] 이는 이 조합 및 투여 경로에 대한 더 많은 증거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List of nationally authorised medicinal products” (PDF). European Medicines Agency. 2022년 12월 1일. 
  2. Pigman WW, Horton D, Wander JD (1980). 《The Carbohydrates》 IB. New York: Academic Press. 727–728쪽. ISBN 9780125563512. 
  3. “Glucosamine”. Drugs.com. 2019년 7월 31일. 2019년 9월 14일에 확인함. 
  4. “Glucosamine sulfate”. MedlinePlus, U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2019년 6월 17일. 2019년 9월 14일에 확인함. 
  5. “Glucosamine Hydrochloride”. 《MedlinePlus》. 2020년 1월 8일. 2020년 1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1월 27일에 확인함. 
  6. Robert H. Shmerling (2016년 10월 17일). “The latest on glucosamine/chondroitin supplements”. Harvard Health Publishing, Harvard University Medical School. 2019년 9월 14일에 확인함. 
  7. American Academy of Orthopaedic Surgeons (February 2013), “Five Things Physicians and Patients Should Question”, 《Choosing Wisely: an initiative of the ABIM Foundation》 (American Academy of Orthopaedic Surgeons), 2013년 5월 19일에 확인함 {{dead link|date=7월 2025}}
  8. Zhu X, Sang L, Wu D, Rong J, Jiang L (July 2018). 《Effectiveness and safety of glucosamine and chondroitin for the treatment of osteoarthritis: a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J Orthop Surg Res》 13. 170쪽. doi:10.1186/s13018-018-0871-5. PMC 6035477. PMID 29980200. 
  9. Towheed, T. E.; Maxwell, L; Anastassiades, T. P.; Shea, B; Houpt, J; Robinson, V; Hochberg, M. C.; Wells, G (2005). 《Glucosamine for osteoarthritis》. 《The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2005. CD002946쪽. doi:10.1002/14651858.CD002946.pub2. PMC 8459392. PMID 15846645. 
  10. DiNubile N (July 2018). 《Glucosamine and Chondroitin Sulfate: What Has Been Learned Since the Glucosamine/chondroitin Arthritis Intervention Trial》. 《Orthopedics》 41. 200–207쪽. doi:10.3928/01477447-20180511-06. PMID 29771395. S2CID 21707977. 
  11. Hespel, P; Maughan, R. J.; Greenhaff, P. L. (2006). 《Dietary supplements for football》. 《Journal of Sports Sciences》 24. 749–61쪽. doi:10.1080/02640410500482974. PMID 16766503. S2CID 25125456. 
  12. Knudsen, J. F.; Sokol, G. H. (April 2008). 《Potential glucosamine-warfarin interaction resulting in increased international normalized ratio: case report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MedWatch database》. 《Pharmacotherapy》 (Submitted manuscript) 28. 540–8쪽. doi:10.1592/phco.28.4.540. PMID 18363538. S2CID 207233252. 
  13.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s for the treatment of rheumatoid arthritis, osteoarthritis and fibromyalgia”. Arthritis Research UK. October 2012. 34–5쪽. 2017년 2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2월 17일에 확인함. 
  14. Gray HC; Hutcheson PS; Slavin RG (August 2004). 《Is glucosamine safe in patients with seafood allergy?》. 《The Journal of Allergy and Clinical Immunology114. 459–60쪽. doi:10.1016/j.jaci.2004.05.050. PMID 15341031. 
  15. “Kirkland Signature Extra Strength Glucosamine with MSM”. 《Dietary Supplements Labels Database》. U.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2010년 2월 3일. 2010년 3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4월 23일에 확인함. 
  16. “Another vegetarian glucosamine launched in US”. 《NutraIngredients-USA.com》. 2008년 1월 25일. 2009년 4월 1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17. Buse MG (2006). 《Hexosamines, insulin resistance, and the complications of diabetes: current status》. 《Am. J. Physiol. Endocrinol. Metab.290. E1–E8쪽. doi:10.1152/ajpendo.00329.2005. PMC 1343508. PMID 16339923. 
  18. Scroggie DA; Albright A; Harris MD (July 2003). 《The effect of glucosamine-chondroitin supplementation on glycosylated hemoglobin levels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a placebo-controlled, double-blinded, randomized clinical trial》. 《Archives of Internal Medicine163. 1587–90쪽. doi:10.1001/archinte.163.13.1587. PMID 12860582. 
  19. Tannis AJ; Barban J; Conquer JA (June 2004). 《Effect of glucosamine supplementation on fasting and non-fasting plasma glucose and serum insulin concentrations in healthy individuals》. 《Osteoarthritis and Cartilage12. 506–11쪽. doi:10.1016/j.joca.2004.03.001. PMID 15135147. 
  20. Muniyappa R; Karne RJ; Hall G; 외. (November 2006). 《Oral glucosamine for 6 weeks at standard doses does not cause or worsen insulin resistance or endothelial dysfunction in lean or obese subjects》. 《다이아비티스55. 3142–50쪽. doi:10.2337/db06-0714. PMID 17065354. 
  21. Biggee BA; Blinn CM; Nuite M; Silbert JE; McAlindon TE (February 2007). 《Effects of oral glucosamine sulphate on serum glucose and insulin during an oral glucose tolerance test of subjects with osteoarthritis》. 《Annals of the Rheumatic Diseases66. 260–2쪽. doi:10.1136/ard.2006.058222. PMC 1798503. PMID 16818461. 
  22. 《Scientific Opinion of the Panel on Dietetic Products Nutrition and Allergies on a request from the European Commission on the safety of glucosamine hydrochloride from Aspergillus niger as food ingredient》. 《The EFSA Journal》 1099. 2009. 1–19쪽. 
  23. Roseman S (2001). 《Reflections on glycobiology》. 《J Biol Chem276. 41527–42쪽. doi:10.1074/jbc.R100053200. PMID 11553646. 
  24. “UDP-N-acetylglucosamine Biosynthesis”. 《Recommendations of the Nomenclature Committee of the International Union of Biochemistry and Molecular Biology on the Nomenclature and Classification of Enzymes by the Reactions they Catalyse》. International Union of Biochemistry and Molecular Biology. 2002. 2012년 9월 10일에 확인함. 
  25. Murray, Michael T. (2012). 〈Chapter 94: Glucosamine〉. Pizzorno, Joseph E. Jr.; Murray, Michael T. 《Textbook of natural medicine》 4판. Edinburgh: Churchill Livingstone. 790쪽. ISBN 9781437723335. 
  26. Georg Ledderhose (1876). 《Über salzsaures Glycosamin》 [염산 글루코사민에 대하여]. 《Berichte der Deutschen Chemischen Gesellschaft》 9. 1200–1201쪽. doi:10.1002/cber.18760090251. 
  27. Ledderhose G (1879). 《Über Chitin und seine Spaltungs-produkte》 [키틴과 그 분해 산물에 대하여]. 《Zeitschrift für Physiologische Chemie》 ii. 213–227쪽. 
  28. Ledderhose G (1880). 《Über Glykosamin》. 《Zeitschrift für Physiologische Chemie》 iv. 139–159쪽. 
  29. W. N. Haworth; W. H. G. Lake; S. Peat (1939). 《The configuration of glucosamine (chitosamine)》. 《Journal of the Chemical Society》. 271–274쪽. doi:10.1039/jr9390000271. 
  30. Hubbard, W. K. (2004년 10월 7일). “글루코사민 및 콘드로이틴 황산염 섭취와 다음 질병의 위험 감소 사이의 관계에 대한 서한: 골관절염; 골관절염 관련 관절 통증, 관절 압통 및 관절 부기; 관절 퇴행; 연골 퇴행 (문서 번호 2004P-0059)”. 미국 미국 식품의약국(FDA). 2017년 11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5월 14일에 확인함. FDA는 글루코사민 또는 콘드로이틴 황산염이 골관절염 (OA), 관절 퇴행 (JD), 또는 연골 퇴행 (CD)의 위험 감소에 대한 자격 있는 건강 주장을 뒷받침할 신뢰할 만한 증거가 없다고 결론 내린다. 
  31. “식이 보충제”. 미국 미국 식품의약국(FDA). 2009년 5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12월 10일에 확인함. 
  32. “인증된 건강 주장: 거부 서한, 골관절염”. 미국 미국 식품의약국(FDA). 2018년 12월 13일. 2019년 9월 2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9월 14일에 확인함. 
  33. Jordan KM, Arden NK, Doherty M, 외. (December 2003). 《EULAR 권고 2003: 무릎 골관절염 관리에 대한 근거 기반 접근 방식: 국제 임상 연구 및 치료 시험 상임 위원회(ESCISIT) 태스크포스 보고서》. 《Ann. Rheum. Dis.》 62. 1145–55쪽. doi:10.1136/ard.2003.011742. PMC 1754382. PMID 14644851. 
  34. Zhang W, Moskowitz RW, Nuki G, 외. (September 2007). 《OARSI 권고 사항: 고관절 및 무릎 골관절염 관리, 1부: 기존 치료 지침에 대한 비판적 평가 및 현재 연구 증거에 대한 체계적 검토》. 《Osteoarthr. Cartil.》 15. 981–1000쪽. doi:10.1016/j.joca.2007.06.014. PMID 17719803. 
  35. McAlindon TE, Bannuru RR, Sullivan MC, 외. (March 2014). 《OARSI 가이드라인: 무릎 골관절염의 비수술적 관리》. 《Osteoarthritis and Cartilage》 22. 363–88쪽. doi:10.1016/j.joca.2014.01.003. PMID 24462672. 
  36. “글루코사민 합의”. www.glucosaminesettlement.com. 2013년 7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6월 17일에 확인함. 
  37. “21st Century 글루코사민/콘드로이틴 트리플 스트렝스 집단 소송”. www.topclassactions.com. 2012년 9월 14일. 2013년 6월 17일에 확인함. 
  38. “월마트, 라이트 에이드, 글루코사민 약속에 대한 소송에 직면”. www.law360.com. 2013년 6월 17일에 확인함. 
  39. Persiani S; Rotini R; Trisolino G; 외. (July 2007). 《치료 용량으로 경구 결정성 글루코사민 황산염 투여 후 골관절염 환자의 활액 및 혈장 글루코사민 농도》. 《Osteoarthritis and Cartilage15. 764–72쪽. doi:10.1016/j.joca.2007.01.019. PMID 17353133. 
  40. Persiani S; Roda E; Rovati LC; Locatelli M; Giacovelli G; Roda A (December 2005). 《인간에게 증가된 결정성 글루코사민 황산염 용량 투여 후 글루코사민 경구 생체 이용률 및 혈장 약동학》. 《Osteoarthritis and Cartilage13. 1041–9쪽. doi:10.1016/j.joca.2005.07.009. PMID 16168682. 
  41. Mroz PJ, Silbert JE (2004). 《3H-글루코사민 및 35S-황산염을 이용한 배양된 인간 연골세포의 글루코사민 농도가 콘드로이틴 황산염 형성에 미치는 영향 결정》. 《Arthritis Rheum.》 50. 3574–9쪽. doi:10.1002/art.20609. PMID 15529373. 
  42. Cohen MJ, Braun L (2007). 《허브 및 천연 보충제: 증거 기반 가이드》. 마릭빌, 뉴사우스웨일스: Elsevier Australia. ISBN 978-0-7295-3796-4. 
  43. Gupta, R. C.; Canerdy, T. D.; Lindley, J; Konemann, M; Minniear, J; Carroll, B. A.; Hendrick, C; Goad, J. T.; Rohde, K; Doss, R; Bagchi, M; Bagchi, D (2012). 《관절염이 있는 개에서 유형 II 콜라겐(UC-II), 글루코사민 및 콘드로이틴의 비교 치료 효능 및 안전성: 지면 힘 판에 의한 통증 평가》. 《Journal of Animal Physiology and Animal Nutrition》 96. 770–7쪽. doi:10.1111/j.1439-0396.2011.01166.x. PMID 21623931. 
  44. d'Altilio, M; Peal, A; Alvey, M; Simms, C; Curtsinger, A; Gupta, R. C.; Canerdy, T. D.; Goad, J. T.; Bagchi, M; Bagchi, D (2007). 《관절염이 있는 개에서 변형되지 않은 유형 II 콜라겐 단독 또는 글루코사민 및 콘드로이틴과의 병용 치료 효능 및 안전성》. 《Toxicology Mechanisms and Methods》 17. 189–96쪽. doi:10.1080/15376510600910469. PMID 20020968. S2CID 36796044. 
  45. Moreau, M; Dupuis, J; Bonneau, N. H.; Desnoyers, M (2003). 《골관절염 개 치료를 위한 영양 보조제, 카프로펜 및 멜록시캄의 임상 평가》. 《The Veterinary Record》 152. 323–9쪽. doi:10.1136/vr.152.11.323. PMID 12665145. S2CID 40196882. 
  46. Pearson; Lindinger (2009). 《말 관절 질환에 대한 글루코사민 기반 영양 보조제의 낮은 증거 수준: 생체 내 연구 검토》. 《Equine Veterinary Journal》 41. 706–12쪽. doi:10.2746/042516409X424153. PMID 19927591. 
  47. Du, J; White, N; Eddington, N. D. (2004). 《말에게 경구 및 정맥 단일 용량 투여 후 글루코사민 염산염 및 콘드로이틴 황산염의 생체 이용률 및 약동학》. 《Biopharmaceutics & Drug Disposition》 25. 109–16쪽. doi:10.1002/bdd.392. PMID 15083499. S2CID 39668131. 
  48. Laverty, S; Sandy, J. D.; Celeste, C; Vachon, P; Marier, J. F.; Plaas, A. H. (2005). 《임상적으로 관련 있는 용량으로 경구 글루코사민 투여 후 대동물 모델의 활액 수준 및 혈청 약동학》. 《Arthritis and Rheumatism》 52. 181–91쪽. doi:10.1002/art.20762. PMID 15641100. 
  49. Meulyzer, M; Vachon, P; Beaudry, F; Vinardell, T; Richard, H; Beauchamp, G; Laverty, S (2008). 《글루코사민 황산염 또는 글루코사민 염산염 투여 후 글루코사민 약동학 및 활액 수준 비교》. 《Osteoarthritis and Cartilage》 16. 973–9쪽. doi:10.1016/j.joca.2008.01.006. PMID 18295513. 
  50. Higler, M. H.; Brommer, H; l'Ami, J. J.; De Grauw, J. C.; Nielen, M; Van Weeren, P. R.; Laverty, S; Barneveld, A; Back, W (2013). 《노령 말의 운동 패턴에 대한 영양 보조제 및 운동의 3개월 경구 보충의 효과》. 《Equine Veterinary Journal》 46. 611–7쪽. doi:10.1111/evj.12182. PMID 24011144. 
  51. Koenig, T. J.; Dart, A. J.; McIlwraith, C. W.; Horadagoda, N; Bell, R. J.; Perkins, N; Dart, C; Krockenberger, M; Jeffcott, L. B.; Little, C. B. (2014). 《펜토산 폴리황산염 나트륨, N-아세틸 글루코사민, 히알루론산 나트륨의 정맥 조합을 사용한 말의 실험적으로 유도된 골관절염 치료》. 《Veterinary Surgery》 43. 612–22쪽. doi:10.1111/j.1532-950X.2014.12203.x. PMID 24819506.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