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벨 물리학상 수상자 목록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다음은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한 사람 목록이다.

연대별 수상자[편집]

1900년대[편집]

연도 사진 수상자 국적 업적
1901년 WilhelmRöntgen.JPG 빌헬름 콘라트 뢴트겐 독일 제국의 기 독일 제국 엑스선의 발견
1902년 Hendrik Antoon Lorentz.jpg 헨드릭 로런츠 네덜란드의 기 네덜란드 복사 현상에 대한 자기의 영향에 대한 연구
(제이만 효과 참조)
Pieter Zeeman.jpg 피터르 제이만 네덜란드의 기 네덜란드
1903년 Paul Nadar - Henri Becquerel.jpg 앙투안 앙리 베크렐 프랑스의 기 프랑스 방사능의 발견
PierreCurie.jpg 피에르 퀴리 프랑스의 기 프랑스 앙리 베크렐이 발견한 방사능에 대한 공동 연구,라듐의 발견
Mariecurie.jpg 마리 퀴리 프랑스의 기 프랑스
(폴란드의 기 폴란드)
1904년 John William Strutt.jpg 존 윌리엄 스트럿 레일리 영국의 기 영국 아르곤의 발견
1905년 Phillipp Lenard in 1900.jpg 필리프 레나르트 독일 제국의 기 독일 제국
(헝가리 왕국의 기 헝가리 왕국 출신)
음극선의 발견
1906년 J.J Thomson.jpg 조지프 존 톰슨 영국의 기 영국 기체의 전기 전도에 대한 연구, 전자의 발견
1907년 Albert Abraham Michelson2.jpg 앨버트 에이브러햄 마이컬슨 미국의 기 미국 정밀한 광학장치 개발과 분광학적 측정(마이컬슨-몰리 실험 참조)
1908년 Gabriel Lippmann2.jpg 가브리엘 리프만 프랑스의 기 프랑스 간섭 현상에 기반한 컬러 사진 감광판 발명
1909년 Guglielmo Marconi.jpg 굴리엘모 마르코니 이탈리아 왕국의 기 이탈리아 왕국 무선 전신의 발명
Ferdinand Braun.jpg 카를 페르디난트 브라운 독일 제국의 기 독일 제국

1910년대[편집]

연도 사진 수상자 국적 업적
1910년 Johannes Diderik van der Waals.jpg 요하너스 디데릭 판데르발스 네덜란드의 기 네덜란드 기체와 액체의 방정식 연구(반데르발스 힘 참조)
1911년 Wilhelm Wien 1911.jpg 빌헬름 빈 독일 제국의 기 독일 제국 열의 복사에 관한 법칙 발견(빈의 변위법칙)
1912년 Nils Gustaf Dalén.jpg 닐스 구스타프 달렌 스웨덴의 기 스웨덴 등대의 가스 축압기에 사용되는 자동 밸브의 발명
1913년 Kamerlingh portret.jpg 헤이커 카메를링 오너스 네덜란드의 기 네덜란드 극저온에서의 물질의 성질에 대한 연구 및 액체 헬륨의 생산
1914년 Max von Laue.jpg 막스 폰 라우에 독일 제국의 기 독일 제국 결정에 의한 엑스선의 회절 현상 발견
1915년 Wh-bragg.jpg 윌리엄 헨리 브래그 영국의 기 영국 엑스선을 통한 결정 구조의 분석
Wl-bragg.jpg 윌리엄 로런스 브래그 오스트레일리아의 기 오스트레일리아
영국의 기 영국
1916년 수상자 없음
1917년 Charles Glover Barkla.jpg 찰스 글러버 바클라 영국의 기 영국 원소의 특성 엑스선의 발견
1918년 Max Planck (Nobel 1918).jpg 막스 플랑크 독일 제국의 기 독일 제국 양자화된 에너지의 발견(플랑크 상수 참조)
1919년 Johannes Stark.jpg 요하네스 슈타르크 바이마르 공화국의 기 바이마르 공화국 커낼선의 도플러 효과 발견과 전기장 안의 스펙트럼 선의 분리

1920년대[편집]

연도 사진 수상자 국적 업적
1920년 Guillaume 1920.jpg 샤를 에두아르 기욤 스위스의 기 스위스 니켈-강철 합금의 변칙적 성질 발견에 관한 정밀 측정
1921년 Einstein1921 by F Schmutzer 4.jpg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바이마르 공화국의 기 바이마르 공화국
스위스의 기 스위스
광전효과 광양자설을 통한 광전효과의 설명
1922년 Niels Bohr.jpg 닐스 보어 덴마크의 기 덴마크 원자의 구조와 복사에 대한 연구
1923년 Robert Andrews Millikan 1920s.jpg 로버트 앤드루스 밀리컨 미국의 기 미국 기본 전하광전 효과에 대한 연구
1924년 1924 Karl Manne Siegbahn.jpg 만네 시그반 스웨덴의 기 스웨덴 X선 분광학 분야의 발견과 연구
1925년 James Franck 1925.jpg 제임스 프랑크 바이마르 공화국의 기 바이마르 공화국 원자에 대한 전자의 충돌에 관한 법칙 발견
(프랑크-헤르츠 실험)
Gustav Hertz.jpg 구스타프 헤르츠 바이마르 공화국의 기 바이마르 공화국
1926년 Jean Perrin 1926.jpg 장 바티스트 페랭 프랑스의 기 프랑스 물질의 불연속적 구조에 대한 연구와 침강 평형의 발견
1927년 Arthur Compton.jpg 아서 콤프턴 미국의 기 미국 콤프턴 효과의 발견
Charles Thomson Rees Wilson at 1927 Solvay conference.jpg 찰스 톰슨 리스 윌슨 영국의 기 영국 대전된 입자의 경로를 증기의 응축을 통해 볼 수 있는 방법의 개발
(안개상자 참조)
1928년 Owen Richardson.jpg 오언 윌런스 리처드슨 영국의 기 영국 열전자방출에 관한 연구와 리처드슨 법칙의 발견
1929년 Broglie Big.jpg 루이 드 브로이 프랑스의 기 프랑스 전자의 파동성 발견 (드브로이 가설 참조)

1930년대[편집]

연도 사진 수상자 국적 업적
1930년 Sir CV Raman.JPG 찬드라세카 벵카타 라만 인도의 기 인도 빛의 산란라만 효과의 발견
1931년 수상자 없음
1932년 Werner Heisenberg at 1927 Solvay Conference.JPG 베르너 하이젠베르크 바이마르 공화국의 기 바이마르 공화국 양자 역학의 개발과 수소의 동위체 스핀(아이소스핀)의 발견
1933년 Erwin Schrödinger (1933).jpg 에르빈 슈뢰딩거 오스트리아의 기 오스트리아 새로운 원자론의 발견
Paul Dirac, 1933.jpg 폴 디랙 영국의 기 영국
1934년 수상자 없음
1935년 James Chadwick.jpg 제임스 채드윅 영국의 기 영국 중성자의 발견
1936년 Hess.jpg 빅토르 프란츠 헤스 오스트리아의 기 오스트리아 우주선의 발견
Carl David Anderson.jpg 칼 데이비드 앤더슨 미국의 기 미국 양전자의 발견. 뮤온 발견.
1937년 Clinton Davisson.jpg 클린턴 조지프 데이비슨 미국의 기 미국 결정에 의한 전자의 회절 현상 발견(물질파 참조)
George Paget Thomson.jpg 조지 패짓 톰슨 영국의 기 영국
1938년 Enrico Fermi 1943-49.jpg 엔리코 페르미 이탈리아 왕국의 기 이탈리아 왕국 중성자 조사에 의한 새로운 방사성원소의 발견과 느린 중성자에 의한 핵반응의 발견
1939년 Ernest Lawrence.jpg 어니스트 로런스 미국의 기 미국 사이클로트론의 발명과 인공 방사성원소의 발견

1940년대[편집]

연도 사진 수상자 국적 업적
1940년 수상자 없음
1941년
1942년
1943년 Otto Stern.jpg 오토 슈테른 미국의 기 미국 분자선 방법의 개발과 양성자자기모멘트의 발견
1944년 Isidor Isaac Rabi.jpg 이지도어 아이작 라비 미국의 기 미국 원자핵의 자기적 성질을 측정하는 공명법의 개발(핵자기 공명)
1945년 Wolfgang Pauli ETH-Bib Portr 01042.jpg 볼프강 파울리 오스트리아의 기 오스트리아 파울리 배타 원리의 발견
1946년 Bridgman.jpg 퍼시 윌리엄스 브리지먼 미국의 기 미국 극고압 생성 장치의 발명과 고압물리학 분야의 개척
1947년 Appleton.jpg 에드워드 빅터 애플턴 영국의 기 영국 대기권 상층부의 연구와 애플턴 층의 발견
1948년 Blackett-large.jpg 패트릭 메이너드 스튜어트 블래킷 영국의 기 영국 윌슨안개상자 방법의 개발과 핵물리학 및 우주선 분야의 연구
1949년 Yukawa.jpg 유카와 히데키 일본의 기 일본 핵력에 관한 이론적 연구를 기반으로 한 중간자 존재의 예측(유카와 퍼텐셜 참조)

1950년대[편집]

연도 사진 수상자 국적 업적
1950년 Cecil Powell.jpg 세실 프랭크 파월 영국의 기 영국 핵반응 연구 방법 개발과 이 방법에 의한 중간자(파이온) 발견
1951년 Cockcroft.jpg 존 콕크로프트 영국의 기 영국 인공적으로 가속된 원자에 의한 원자핵의 변환 연구
Ernest Walton.jpg 어니스트 토머스 신턴 월턴 아일랜드의 기 아일랜드
1952년 Felix Bloch, Stanford University.jpg 펠릭스 블로흐 스위스의 기 스위스 핵의 자기적 성질에 대한 정밀 측정 방법 개발과 그 연관성 발견
Edward Mills Purcell.jpg 에드워드 밀스 퍼셀 미국의 기 미국
1953년 Zernike.jpg 프리츠 제르니커 네덜란드의 기 네덜란드 위상대비법의 개발과 위상차 현미경의 발명
1954년 Max Born.jpg 막스 보른 영국의 기 영국 양자 역학에 대한 핵심적 연구와 파동함수의 통계적 해석
Bothe.jpg 발터 보테 서독의 기 서독 동시법과 그에 관련된 연구
1955년 Willis Lamb 1955.jpg 윌리스 유진 램 미국의 기 미국 수소 스펙트럼의 미세구조의 발견(램 이동 참조)
Polykarp Kusch.jpg 폴리카프 쿠시 미국의 기 미국 전자의 자기모멘트의 정밀한 측정
1956년 William Shockley, Stanford University.jpg 윌리엄 브래드퍼드 쇼클리 미국의 기 미국 반도체의 연구와 트랜지스터 효과의 발견
Bardeen.jpg 존 바딘 미국의 기 미국
Brattain.jpg 월터 하우저 브래튼 미국의 기 미국
1957년 CNYang.jpg 양전닝 미국의 기 미국
(중화민국의 기 중화민국)
기본입자의 발견을 이끈 홀짝성 비보존의 연구
TD Lee.jpg 리정다오 미국의 기 미국
(중화민국의 기 중화민국)
1958년 Cerenkov.jpg 파벨 알렉세예비치 체렌코프 소련의 기 소련 체렌코프-바빌로프 효과(체렌코프 효과)의 발견과 해석
Ilya Frank.jpg 일리야 프란크 소련의 기 소련
Igor Tamm.jpg 이고리 탐 소련의 기 소련
1959년 Segre.jpg 에밀리오 지노 세그레 미국의 기 미국 반양성자의 발견
Owen Chamberlain.jpg 오언 체임벌린 미국의 기 미국

1960년대[편집]

연도 사진 수상자 국적 업적
1960년 Donald Glaser.jpg 도널드 아서 글레이저 미국의 기 미국 거품 상자의 발명
1961년 Robert Hofstadter.jpg 로버트 호프스태터 미국의 기 미국 원자핵 안에서의 전자산란에 관한 연구와 핵자의 구조 발견
Mossbauer.jpg 루돌프 뫼스바워 서독의 기 서독 감마선의 공명흡수에 관한 연구와 뫼스바우어 효과의 발견
1962년 Landau.jpg 레프 다비도비치 란다우 소련의 기 소련 응집 물질액체 헬륨에 관한 연구
1963년 Wigner.jpg 유진 폴 위그너 헝가리의 기 헝가리
미국의 기 미국
원자핵과 기본입자에 관한 이론과 기본 대칭입자의 발견
Maria Goeppert-Mayer.jpg 마리아 괴퍼트-메이어 미국의 기 미국
서독의 기 서독
핵껍질구조의 발견
Johannes Hans Daniel Jensen (1907–1973).jpg J. 한스 D. 옌젠 서독의 기 서독
1964년 Basov.jpg 니콜라이 바소프 소련의 기 소련 양자전기역학의 분야 개척과 메이저-레이저 원리에 기반한 발전기증폭기의 발명
Aleksandr Prokhorov.jpg 알렉산드르 프로호로프 소련의 기 소련
Charles Hard Townes-Nibib-2007-retouched.jpg 찰스 하드 타운스 미국의 기 미국
1965년 Tomonaga.jpg 도모나가 신이치로 일본의 기 일본 양자전기역학 분야의 개척과 기본입자들의 성질에 관한 연구
Schwinger.jpg 줄리언 슈윙거 미국의 기 미국
Richard Feynman.png 리처드 필립스 파인만 미국의 기 미국
1966년 Kastler.jpg 알프레드 카스틀레 프랑스의 기 프랑스 원자의 헤르츠공명 연구에 대한 광학적 방법의 발견과 개발
1967년 Hans Bethe.jpg 한스 알브레히트 베테 미국의 기 미국 핵반응 이론에 대한 연구와 항성의 에너지 생성 원리 발견
1968년 Luis Alvarez ID badge.png 루이스 월터 앨버레즈 미국의 기 미국 수소 거품 상자 기술의 개발을 통한 기본입자물리학 연구와 공명 상태의 발견
1969년 Murray Gell-Mann.jpg 머리 겔만 미국의 기 미국 기본입자의 분류와 상호작용에 대한 연구 (팔정도 참조)

1970년대[편집]

연도 사진 수상자 국적 업적
1970년 YoungAlfven.jpg 한네스 올로프 예스타 알벤 스웨덴의 기 스웨덴 자기유체역학의 발견과 플라스마 물리학의 연구
Louis Neel 1970.jpg 루이 외젠 펠릭스 네엘 프랑스의 기 프랑스 반강자성강자성에 관한 연구와 고체물리학에 대한 기여
1971년 Replace this image male-ko.svg 데니스 가보르 영국의 기 영국
(헝가리 왕국의 기 헝가리 왕국)
홀로그래피 기법의 발명
1972년 Bardeen.jpg 존 바딘 미국의 기 미국 초전도 현상에 대한 공동 연구와 BCS 이론의 개발
Nobel Laureate Leon Cooper in 2007.jpg 리언 닐 쿠퍼 미국의 기 미국
John Robert Schrieffer.jpg 존 로버트 슈리퍼 미국의 기 미국
1973년 Leo Esaki 1959.jpg 에사키 레오나 일본의 기 일본 반도체초전도체터널링 효과에 대한 연구
Ivar Giaever.jpg 이바르 예베르 미국의 기 미국
(노르웨이의 기 노르웨이)
Brian Josephson, March 2004.jpg 브라이언 데이비드 조지프슨 영국의 기 영국 터널 장벽을 지나는 초전도 전류의 특성에 대한 이론적 예측과 조지프슨 효과의 발견
1974년 Replace this image male-ko.svg 마틴 라일 영국의 기 영국 전파 천문학 분야의 개척. 마틴 라일은 구경 합성의 관측과 연구, 안토니 휴이시는 펄사의 발견
Replace this image male-ko.svg 앤터니 휴이시 영국의 기 영국
1975년 Aage Bohr.jpg 오게 닐스 보어 덴마크의 기 덴마크 원자핵 내의 집단운동과 입자운동의 연관성 발견과 이 연관성에 기반한 핵자 구조 이론의 연구
Mottelson,Ben 1963 Kopenhagen.jpg 벤 로위 모텔손 덴마크의 기 덴마크
Replace this image male-ko.svg 제임스 레인워터 미국의 기 미국
1976년 Burton Richter - charm quark.jpg 버튼 릭터 미국의 기 미국 핵자와 같이 쿼크로 이루어진 새로운 중간자 J/Ψ 입자의 발견
Samuel ting 10-19-10.jpg 새뮤얼 차오 충 팅 미국의 기 미국
1977년 Andersonphoto.jpg 필립 워런 앤더슨 미국의 기 미국 자기계 및 혼돈계의 전기적 구조에 대한 이론적 연구
Mott,Nevill Francis Heisenberg 1952 London.jpg 네빌 프랜시스 모트 영국의 기 영국
JH van Vleck 1974.jpg 존 해즈브룩 밴블렉 미국의 기 미국
1978년 Pyotr L Kapitsa Russian physicist 1964.jpg 표트르 레오니도비치 카피차 소련의 기 소련 저온물리학 분야의 발명과 발견
Arno Penzias.jpg 아노 앨런 펜지어스 미국의 기 미국 우주 마이크로파 배경의 발견
Wilson penzias200.jpg 로버트 우드로 윌슨 미국의 기 미국
1979년 Sheldon Glashow at Harvard cropped.jpg 셀던 리 글래쇼 미국의 기 미국 기본입자 사이의 전자기력약한 상호작용의 통합에 관한 이론 연구와 약한 중성류의 예측
Abdus Salam 1987.jpg 압두스 살람 파키스탄의 기 파키스탄
Steven-weinberg.jpg 스티븐 와인버그 미국의 기 미국

1980년대[편집]

연도 사진 수상자 국적 업적
1980년 James-cronin.jpg 제임스 왓슨 크로닌 미국의 기 미국 중성 케이온의 붕괴 과정에서의 기본 대칭원리 위반 현상의 발견(강한 상호작용의 CP 문제 참조)
Val Fitch.jpg 밸 로그즈던 피치 미국의 기 미국
1981년 Nicolaas Bloembergen 1981.jpg 니콜라스 블룸베르헌 미국의 기 미국 레이저 분광학의 연구
Artur Schawlow, Stanford University.jpg 아서 레너드 숄로 미국의 기 미국
Kai Manne Börje Siegbahn 2.jpg 카이 만네 뵈예르 시그반 스웨덴의 기 스웨덴 고분해능 전자분광학의 연구
1982년 Replace this image male-ko.svg 케네스 G. 윌슨 미국의 기 미국 상전이의 임계현상에 대한 이론 연구
1983년 Replace this image male-ko.svg 수브라마니안 찬드라세카르 미국의 기 미국
(인도의 기 인도)
별의 구조와 진화에 대한 물리학적 과정 연구
(찬드라세카르 한계 참조)
Replace this image male-ko.svg 윌리엄 앨프리드 파울러 미국의 기 미국 우주의 원소가 생성되는 핵반응 과정에 대한 연구
1984년 Carlo Rubbia W and Z bosons.jpg 카를로 루비아 이탈리아의 기 이탈리아 약한 상호작용의 전달자 역할을 하는 장입자 W와 Z의 발견
Replace this image male-ko.svg 시몬 판 데르 메이르 네덜란드의 기 네덜란드
1985년 Klaus von Klitzing 2015.jpg 클라우스 폰 클리칭 서독의 기 서독 양자 홀 효과의 발견
1986년 Replace this image male-ko.svg 에른스트 루스카 서독의 기 서독 전자광학의 연구와 전자현미경의 개발
Gerd Binnig sw.jpg 게르트 비니히 서독의 기 서독 주사 터널링 현미경의 개발
Rohrer.jpg 하인리히 로러 스위스의 기 스위스
1987년 Georg Bednorz speaking at the groundbreaking of the new IBM and ETH Zurich Nanotech Exploratory Technology Lab.jpg 요하네스 게오르크 베드노르츠 서독의 기 서독 세라믹 물질의 초전도 현상 발견
Karl Alexander Mueller.jpg 카를 알렉산더 뮐러 스위스의 기 스위스
1988년 Leon M. Lederman.jpg 리언 레더먼 미국의 기 미국 뮤온 중성미자의 발견을 통한 중성미자 빔 기법과 렙톤의 이중상태 구조 연구
Replace this image male-ko.svg 멜빈 슈워츠 미국의 기 미국
Jack-Steinberger-2008.JPG 잭 스타인버거 미국의 기 미국
1989년 Norman Foster Ramsey 1970 (cropped).jpg 노먼 포스터 램지 미국의 기 미국 분리 진동장의 발명과 수소 메이저 및 원자 시계의 연구
Replace this image male-ko.svg 한스 게오르크 데멜트 미국의 기 미국 이온 트랩 기법의 개발
Replace this image male-ko.svg 볼프강 파울 서독의 기 서독

1990년대[편집]

연도 사진 수상자 국적 업적
1990년 Replace this image male-ko.svg 제롬 I. 프리드먼 미국의 기 미국 쿼크 모형과 관련된 양성자와 속박중성자에 대한 전자의 심층 비탄성산란 연구
Henry Kendall by Tom Frost crop.jpg 헨리 웨이 켄들 미국의 기 미국
Replace this image male-ko.svg 리처드 E. 테일러 캐나다의 기 캐나다
1991년 Pierre-Gilles crop.jpg 피에르질 드 젠 프랑스의 기 프랑스 간단한 계의 질서 현상을 액정중합체와 같은 복잡한 형태로 일반화시키는 연구 방법의 발견
1992년 CHARPAK Georges-24x50-2005 cropped.JPG 조르주 샤르파크 프랑스의 기 프랑스 입자 검출기인 다중선 비례상자의 발명
1993년 Russell Alan Hulse.jpg 러셀 앨런 헐스 미국의 기 미국 새로운 형태의 펄사중력 연구의 새로운 가능성 발견
2008JosephTaylor.jpg 조지프 후턴 테일러 주니어 미국의 기 미국
1994년 Bertram Brockhouse.jpg 버트럼 브록하우스 캐나다의 기 캐나다 중성자 분광학의 연구와 응집물질 연구에서의 중성자 산란 기법의 개발
Replace this image male-ko.svg 클리퍼드 슐 미국의 기 미국 중성자 회절의 연구와 응집물질 연구에서의 중성자 산란 기법의 개발
1995년 Martin Perl - tau.jpg 마틴 루이스 펄 미국의 기 미국 타우 렙톤의 발견과 렙톤의 연구에 대한 기여
Frederick Reines.jpg 프레더릭 라이네스 미국의 기 미국 중성미자의 관측과 렙톤의 연구에 대한 기여
1996년 Nobel Laureate David Morris Lee in 2007.jpg 데이비드 모리스 리 미국의 기 미국 헬륨-3초유동성 발견
Douglas Osheroff NSF.jpg 더글러스 오셔로프 미국의 기 미국
Robert Coleman Richardson.jpg 로버트 콜먼 리처드슨 미국의 기 미국
1997년 Steven Chu official portrait headshot.jpg 스티븐 추 미국의 기 미국 레이저로 원자를 냉각하고 가두는 기법의 개발(레이저 냉각 참조)
Claude Cohen-Tannoudji.JPG 클로드 코엔타누지 프랑스의 기 프랑스
William D. Phillips.jpg 윌리엄 대니얼 필립스 미국의 기 미국
1998년 Robert Laughlin, Stanford University.jpg 로버트 B. 로플린 미국의 기 미국 부분적으로 전기띤 들뜸 상태에 있는 양자 유체의 새로운 형태의 발견(양자 홀 효과 참조)
Horst Störmer cropped.jpg 호르스트 루트비히 슈퇴르머 독일의 기 독일
Replace this image male-ko.svg 대니얼 치 추이 미국의 기 미국
(중화민국의 기 중화민국)
1999년 Gerard 't Hooft.jpg 헤라르뒤스 엇호프트 네덜란드의 기 네덜란드 약한 상호작용의 양자역학적 구조 발견
Martinus Veltman.jpg 마르티뉘스 펠트만 네덜란드의 기 네덜란드

2000년대[편집]

연도 사진 수상자 국적 업적
2000년 Zhores Alferov.jpg 조레스 알표로프 러시아의 기 러시아 정보 통신 기술에 있어서의 기초 연구(고속 광전자 및 광전자 공학에 이용되는 반도체 이질 구조의 개발)
Herbert Kroemer.jpg 허버트 크뢰머 독일의 기 독일
Replace this image male-ko.svg 잭 킬비 미국의 기 미국 정보 통신 기술에 있어서의 기초 연구(집적 회로의 발명)
2001년 Physics Nobel Laureate Eric Allin Cornell, in June of 2015.jpg 에릭 얼린 코넬 미국의 기 미국 알칼리 원자의 희석 가스에서의 보스-아인슈타인 응축에 관한 공헌과 그 응축체의 속성에 관한 초기의 근본 연구
Carl Wieman.jpg 칼 위먼 미국의 기 미국
Ketterle.jpg 볼프강 케털리 독일의 기 독일
2002년 Raymond Davis, Jr 2001.jpg 레이몬드 데이비스 주니어 미국의 기 미국 천체물리학의 개척에 관한 공헌, 특히 우주 중성미자의 탐지에 관한 공헌
Masatoshi Koshiba 2002.jpg 고시바 마사토시 일본의 기 일본
RiccardoGiacconi.jpg 리카르도 지아코니 미국의 기 미국 우주 엑스선원의 발견을 이끈 천체물리학을 개척한 공로
2003년 AA Abrikosov ANL1.jpg 알렉세이 알렉세예비치 아브리코소프 러시아의 기 러시아
미국의 기 미국
초전도체초유체 이론의 개척에 관한 공헌
Ginzburg in MSU opaque.jpg 비탈리 긴즈부르크 러시아의 기 러시아
Nobel Laureate Sir Anthony James Leggett in 2007.jpg 앤서니 레깃 미국의 기 미국
영국의 기 영국
2004년 David Gross LANL.jpg 데이비드 그로스 미국의 기 미국 강한 상호작용 이론에서의 점근 자유성에 관한 공헌
Replace this image male-ko.svg 데이비드 폴리처 미국의 기 미국
FrankStockholm2004.jpg 프랑크 윌첵 미국의 기 미국
2005년 Roy Glauber Dec 10 2005.jpg 로이 J. 글라우버 미국의 기 미국 광학 결맞음에 관한 양자론적 공헌
John L. Hall.jpg 존 홀 미국의 기 미국 광학 주파수 빗 기술을 포함하여 레이저-기반의 정밀 분광학의 개발에 관한 공헌
Theodor W Haensch.jpg 테오도어 헨슈 독일의 기 독일
2006년 John-C-Mather5.jpg 존 매더 미국의 기 미국 우주 마이크로파 배경비등방성흑체 형태의 발견
George Smoot cropped.jpg 조지 스무트 미국의 기 미국
2007년 Albert fert 15 janvier 2009 Spintronique Paris Descartes.JPG 알베르 페르 프랑스의 기 프랑스 거대 자기저항(GMR)의 발견
Peter Gruenberg 01.jpg 페터 그륀베르크 독일의 기 독일
2008년 Makoto Kobayashi-press conference Dec 07th, 2008-2b.jpg 고바야시 마코토 일본의 기 일본 자연적 쿼크가 적어도 3개 이상 존재 예상하는 대칭 깨짐의 원리를 발견
Toshihide Masukawa-press conference Dec 07th, 2008-4.jpg 마스카와 도시히데 일본의 기 일본
YoichiroNambu.jpg 난부 요이치로 미국의 기 미국
(일본의 기 일본 출신)
입자물리학핵물리학에 있어서 자발 대칭 깨짐의 메커니즘에 관한 발견
2009년 Charles K. Kao cropped 2.jpg 찰스 가오 미국의 기 미국
영국의 기 영국
(중화민국의 기 중화민국 출신)
광섬유 내부의 의 전달과정 연구
Nobel Prize 2009-Press Conference KVA-23.jpg 윌러드 보일 캐나다의 기 캐나다
미국의 기 미국
전하결합소자 센서 개발
Nobel Prize 2009-Press Conference KVA-27.jpg 조지 E. 스미스 미국의 기 미국

2010년대[편집]

연도 사진 수상자 국적 업적
2010년 Andre Geim 2010-1.jpg 안드레 가임 영국의 기 영국
네덜란드의 기 네덜란드
차세대 나노 신소재 2차원 그래핀에 관한 연구
Konstantin Novoselov at MIPT.jpg 콘스탄틴 노보셀로프 러시아의 기 러시아
영국의 기 영국
2011년 Nobel Prize 2011-Press Conference KVA-DSC 7744.jpg 솔 펄머터 미국의 기 미국 초신성 관찰을 통해 우주 팽창 속도가 가속됨을 발견
Brian Schmidt.jpg 브라이언 슈밋 미국의 기 미국
오스트레일리아의 기 오스트레일리아
Adam Riess Agr cover.jpg 애덤 리스 미국의 기 미국
2012년 Serge Haroche - Théâtre de la Commune d'Aubervilliers - 4 mai 2009.jpg 세르주 아로슈 모로코의 기 모로코
프랑스의 기 프랑스
개별 양자계의 측정과 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원천 실험 방법을 개발한 공로를 인정
David Wineland 2008crop.jpg 데이비드 와인랜드 미국의 기 미국
2013년 Francois Englert.jpg 프랑수아 앙글레르 벨기에의 기 벨기에 질량을 주는 힉스 메커니즘의 이론적 연구, 최근 힉스 입자의 발견으로 확인되다.[1][2]
Higgs, Peter (1929)3.jpg 피터 힉스 영국의 기 영국
2014년 Isamu Akasaki 20141211.jpg 아카사키 이사무 일본의 기 일본 에너지 효율성이 높은 청색 발광 다이오드의 개발
Hiroshi Amano 20141211.jpg 아마노 히로시 일본의 기 일본
Professor Shuji Nakamura (Cropped).jpg 나카무라 슈지 미국의 기 미국
(일본의 기 일본 출신)
2015년 Takaaki Kajita 5171-2015.jpg 가지타 다카아키 일본의 기 일본 소립자 ‘중성미자’가 질량이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중성미자 진동의 발견
Arthur B. McDonald 5193-2015.jpg 아서 B. 맥도널드 캐나다의 기 캐나다
2016년 DavidThouless 1995 UW.jpg 데이비드 사울레스 영국의 기 영국
미국의 기 미국
‘별난 물질(exotic matter)’의 특성 또는 ‘물질의 위상 상전이'의 비밀을 밝힘
Duncan Haldane.jpg 덩컨 홀데인 영국의 기 영국
미국의 기 미국
Nobel Laureates 7329 (31117198510).jpg 마이클 코스털리츠 영국의 기 영국
미국의 기 미국
2017년 Rainer Weiss EM1B8841 (24027015857).jpg 라이너 바이스 독일의 기 독일
미국의 기 미국
LIGO를 통한 중력파가 존재한다는 것을 실험적으로 입증
Kip S. Thorne EM1B8790 (24027017497).jpg 킵 손 미국의 기 미국
Barry C. Barish D81 4527 (38891874451).jpg 배리 배리시 미국의 기 미국
2018년 Arthur Ashkin EM1B5678 (44417135450).jpg 아서 애슈킨 미국의 기 미국 레이저물리학 분야를 개척
Gérard Mourou EM1B5788 (46234162621).jpg 제라드 무루 프랑스의 기 프랑스
Donna Strickland EM1B5760 (46183560632) (cropped).jpg 도나 스트리클런드 캐나다의 기 캐나다
2019년 Jim Peebles (cropped 2).jpg 제임스 피블스 캐나다의 기 캐나다
미국의 기 미국
물리우주론에서의 이론적 발견
Michel Mayor, 2012 (cropped).jpg 미셸 마요르 스위스의 기 스위스 태양과 비슷한 별을 공전하는 외계 행성 발견
Didier Queloz at the ESO 50th Anniversary Gala Event - 01.jpg 디디에 쿠엘로 스위스의 기 스위스

2020년대[편집]

연도 사진 수상자 국적 업적
2020년 Roger Penrose at Festival della Scienza Oct 29 2011.jpg 로저 펜로즈 영국의 기 영국 블랙홀 형성이 일반 상대성이론의 강력한 예측이라는 발견
Reinhard Genzel.jpg 라인하르트 겐첼 독일의 기 독일 우리은하의 중심에서 초대질량 블랙홀을 발견
Replace this image male-ko.svg 안드레아 M. 게즈 미국의 기 미국
2021년 Crafoord Prize EM1B0732 (42329290061).jpg 마나베 슈쿠로 일본의 기 일본
미국의 기 미국
지구의 기후와 인류가 기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이해할 수 있는 물리학적인 모델링을 마련
Replace this image male-ko.svg 클라우스 하셀만 독일의 기 독일
Parisi giorgio.jpg 조르조 파리시 이탈리아의 기 이탈리아 무질서한 물질과 무작위한 프로세스에 대한 이론에 혁명적 기여
2022년 Alain Aspect (26341660894) (cropped).jpg 알랭 아스페 프랑스의 기 프랑스 벨부등식 위배의 실험적 증명
JohnClauser.jpg 존 클라우저 미국의 기 미국
A. Zeilinger (cropped).jpg 안톤 차일링거 오스트리아의 기 오스트리아

각주[편집]

  1. “The Nobel Prize in Physics 2013 Press Release” (PDF). Nobel Foundation. 2013년 10월 8일에 확인함. 
  2. “The Nobel Prize in Physics 2013”. CERN. 2013년 10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11월 13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