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드워드 밀스 퍼셀
- العربية
- مصرى
- تۆرکجه
- Беларуская
- 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
- Български
- বাংলা
- Català
- کوردی
- Čeština
- Dansk
- Deutsch
- Ελληνικά
- English
- Esperanto
- Español
- Eesti
- Euskara
- فارسی
- Suomi
- Français
- Gaeilge
- Galego
- 客家語/Hak-kâ-ngî
- עברית
- Hrvatski
- Kreyòl ayisyen
- Magyar
- Հայերեն
- Bahasa Indonesia
- Ido
- Italiano
- 日本語
- ქართული
- Kurdî
- Latina
- Македонски
- मराठी
- Bahasa Melayu
- नेपाल भाषा
- Nederlands
- Norsk nynorsk
- Norsk bokmål
- Occitan
- Polski
- پنجابی
- Português
- Română
- Русский
- संस्कृतम्
- Scots
- Slovenčina
- Slovenščina
- Српски / srpski
- Svenska
- Kiswahili
- Türkçe
- Татарча / tatarça
- Українська
- اردو
- Oʻzbekcha / ўзбекча
- Tiếng Việt
- 吴语
- Yorùbá
- 中文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 에드워드 밀스 퍼셀 | |
출생 | 1912년 8월 30일(1912-08-30) 미국 일리노이주 테일러빌(Taylorville) |
---|---|
사망 | 1997년 3월 7일(1997-03-07)(84세) 미국 매사추세츠주, 케임브리지 |
국적 | 미국 |
분야 | 물리학 |
소속 | 하버드 대학교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 |
출신 대학 | 퍼듀 대학교 하버드 대학교 |
지도 교수 | 케네스 톰킨스 베인브리지(영어: Kenneth Tompkins Bainbridge) |
지도 학생 | 니콜라스 블룸베르헌 |
주요 업적 | 핵자기공명 스미스-퍼셀 효과(Smith-Purcell) |
수상 | 노벨 물리학상 (1952) |
에드워드 밀스 퍼셀(영어: Edward Mills Purcell, 1912년 ~ 1997년)은 미국의 물리학자이다. 일리노이주에서 출생하여 퍼듀 대학을 졸업하고, 독일 칼스루헤 공과 대학에 1년 동안 유학하였다. 미국으로 돌아와 하버드 대학에서 공부하여 학위를 받았다. 제2차 세계대전 중에는 방열 연구소에서 도파관 회로·마이크로 파 전자 기술 등을 연구하였고, 전쟁이 끝나자 하버드 대학교 교수가 되었다. 액체나 고체 시료로 고주파의 핵자기 공명 흡수법에 의하여 원자핵의 자기 능률을 측정하는 방법을 고안하였다. 1952년 노벨 물리학상을 받았다.
참고 자료[편집]
외부 링크[편집]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 “에드워드 밀스 퍼셀”. 《수학 계보 프로젝트》 (영어). 미국 수학회.
전임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
제34대 타임 올해의 인물 1960년 |
후임 존 F. 케네디 |
1901-1925 |
|
---|---|
1926-1950 | |
1951-1975 |
|
1976-2000 |
|
2001-현재 |
|
분류:
숨은 분류:
- 위키데이터 속성 P18을 사용하는 문서
- 위키데이터 속성 P373을 사용하는 문서
- 위키데이터 속성 P213을 사용하는 문서
- 위키데이터 속성 P227을 사용하는 문서
- 위키데이터 속성 P244를 사용하는 문서
- 위키데이터 속성 P268을 사용하는 문서
- 위키데이터 속성 P269를 사용하는 문서
- 위키데이터 속성 P271을 사용하는 문서
- 위키데이터 속성 P349를 사용하는 문서
- 위키데이터 속성 P549를 사용하는 문서
- 위키데이터 속성 P691을 사용하는 문서
- 위키데이터 속성 P950을 사용하는 문서
- 위키데이터 속성 P1006을 사용하는 문서
- 위키데이터 속성 P1015를 사용하는 문서
- 위키데이터 속성 P1225를 사용하는 문서
- 위키데이터 속성 P1273을 사용하는 문서
- 위키데이터 속성 P1315를 사용하는 문서
- 위키데이터 속성 P1368을 사용하는 문서
- 위키데이터 속성 P1556을 사용하는 문서
- 위키데이터 속성 P1695를 사용하는 문서
- 위키데이터 속성 P2163을 사용하는 문서
- 위키데이터 속성 P3348을 사용하는 문서
- 위키데이터 속성 P3430을 사용하는 문서
- 위키데이터 속성 P5034를 사용하는 문서
- 위키데이터 속성 P7293을 사용하는 문서
- 위키데이터 속성 P7859를 사용하는 문서
- 위키데이터 속성 P7902를 사용하는 문서
- 위키데이터 속성 P8189를 사용하는 문서
- 위키데이터 속성 P9984를 사용하는 문서
- 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
- CS1 - 영어 인용 (en)
- FAST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 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 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 월드캣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 BIBSYS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 BNE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 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 BNFdata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 CANTI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 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 J9U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 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 LNB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 NDL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 NKC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 NLG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 NLK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 NTA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 PLWAB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 CINI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 MGP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 ZBMATH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 DTBIO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 Trove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 NARA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 SNAC-I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 SUDOC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