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실 프랭크 파월
![]() | |
![]() 1950년의 세실 파월 | |
출생 | 1903년 12월 5일 잉글랜드 켄트 주 톤브릿지 |
---|---|
사망 | 1969년 8월 9일 (63세) 이탈리아 발사씨나 |
분야 | 물리학 |
소속 | 케임브리지 대학교, 브리스톨 대학교 |
출신 대학 | 케임브리지 대학교 |
주요 업적 | 파이온 발견 |
수상 | 노벨 물리학상(1950) |
세실 프랭크 파월(Cecil Frank Powell, FRS, 1903년 12월 5일~1969년 8월 9일)은 영국의 실험물리학자이다. 그는 핵반응 과정을 연구하는 사진 찍는 방법(nuclear emulsion)을 개발하였고, 무거운 아원자 입자, 파이온을 발견한 공로로 1950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하였다.
생애와 업적[편집]
파월은 영국 켄트의 톤브릿지(Tonbridge)에서 태어나서 그 곳에서 초기 교육을 받았다. 1925년 케임브리지 시드니 석세스 칼리지 (Sidney Sussex College, Cambridge)에서 자연 과학을 전공으로 졸업하였다.[1] 학사 졸업후에 그는 케임브리지은 케번디시 연구소에서 일을 하였고, 찰스 윌슨과 어니스트 러더퍼드의 지도로 1927년 응결 현상에 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1] 1928년 그는 브리스톨 대학교의 윌스 물리 연구소(H.H. Wills Physical Laboratory)의 틴들(A.M. Tyndall)의 연구원으로 일을 시작하여, 후에 강사로 임명되었고, 1948년 물리학 교수로 임명되었다.[2]
브리스톨 대학교에 있는 동안, 파월은 양이온들의 이동성 (mobility)을 측정하는 기술을 개발하는 연구를 하였고, 기체의 이온들의 성질에 관한 연구, 원자핵 산란을 연구하는 코크로프트(Cockcroft) 생성기의 개발과 사용에 관한 연구를 하였다.[1] 그는 기본 입자들의 이동 경로를 기록하는 장치를 고안하기 위해서, 특화된 감광 유제(photographic emulsions)를 이용하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1938년 그는 이 기술을 이용하여 우주 방사선을 측정하는데 이용하였다.[1] 주세페 오키알리니, H. Muirhead 와 젊은 브라질 물리학자 세자레 라테스(César Lattes)과 함께 연구 하였는데, 고지대, 산의 정상, 특별히 고안된 풍선을 이용하여, 감광 유제 판을 노출시켜 우주 방사선을 측정하였다. 이 연구로 1946년 그는 파이온을 발견하였고, [3] 그의 발견은 핵물리 이론에서 유가와 히데키에 의해 1935년 제안된 가설 입자의 존재를 증명한 것이다.[4]
각주[편집]
- ↑ 가 나 다 라 “Nobel Lectures, Physics 1942-1962”. 1964.
- ↑ “Nobel Prizes and Fellowships”. 《http://www.bristol.ac.uk》. 2009년 9월 14일에 확인함.
|work=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 “The Nobel Prize in Physics 1901-2000”. 《http://nobelprize.org》. 2000년 2월 9일. 2009년 9월 14일에 확인함.
|work=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 Lattes, C.M.G.; Muirhead,H.; Occhialini, G.P.S.; Powell, C.F. (1947). “Processes Involving Charged Mesons”. 《Nature》 159: 694–697. doi:10.1038/159694a0.
외부 링크[편집]
- (영어) 노벨 재단 전기
![]() | |
---|---|
1901-1925 |
|
1926-1950 | |
1951-1975 | |
1976-2000 | |
2001-현재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