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임스 피블스
![]() 2010년 | |
출생 | 1935년 4월 25일 캐나다 매니토바주 위니펙 | (87세)
---|---|
국적 | 캐나다, 미국 |
분야 | 이론물리학 물리 우주론 |
소속 | 프린스턴 대학교 |
출신 대학 | 매니토바 대학교 프린스턴 대학교 |
주요 업적 | 우주 마이크로파 배경 |
수상 |
|
종교 | Agnosticism |
필립 제임스 에드윈 피블스(영어: Phillip James Edwin Peebles, 1935년 4월 25일 ~ )는 캐나다계 미국인 이론물리학자이며 프린스턴 대학교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명예교수를 맡고 있는 우주론 연구자이다. 2019년에 물리우주론에서의 이론적 발견을 한 공로로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1]
수상 경력[편집]
참고 문헌[편집]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 Davis, M.; Peebles, P. J. E. (1983). “A survey of galaxy redshifts. V – The two-point position and velocity correlations”. 《Astrophys. J.》 267: 465. Bibcode:1983ApJ...267..465D. doi:10.1086/160884.
- Dicke, R. H.; Peebles, P. J. E.; Roll, P. G.; Wilkinson, D. T. (1965). “Cosmic Black-Body Radiation”. 《Astrophys. J.》 142: 414. Bibcode:1965ApJ...142..414D. doi:10.1086/148306.
- Fukugita, M.; Hogan, C. J.; Peebles, P. J. E. (1998). “The cosmic baryon budget”. 《Astrophys. J.》 503 (2): 518. arXiv:astro-ph/9712020. Bibcode:1998ApJ...503..518F. doi:10.1086/306025.
- Groth, E. J.; Peebles, P. J. E. (1977). “Statistical Analysis Of Catalogs Of Extragalactic Objects. 7. Two And Three Point Correlation Functions For The High-Resolution Shane-Wirtanen Catalog Of Galaxies”. 《Astrophys. J.》 217: 385. Bibcode:1977ApJ...217..385G. doi:10.1086/155588.
- Ostriker, J. P.; Peebles, P. J. E. (1973). “A Numerical Study of the Stability of Flattened Galaxies: or, can Cold Galaxies Survive?”. 《Astrophys. J.》 186: 467. Bibcode:1973ApJ...186..467O. doi:10.1086/152513.
- Peebles, P. J. E. (1966). “Primordial Helium Abundance and the Primordial Fireball. I”. 《Phys. Rev. Lett.》 16 (10): 410. Bibcode:1966PhRvL..16..410P. doi:10.1103/PhysRevLett.16.410.
- Peebles, P. J. E. (1966). “Primordial Helium Abundance and the Primordial Fireball. II”. 《Astrophys. J.》 146: 542. Bibcode:1966ApJ...146..542P. doi:10.1086/148918.
- Peebles, P. J. E.; Dicke, R. H. (1968). “Origin of the Globular Star Clusters”. 《Astrophys. J.》 154: 891. Bibcode:1968ApJ...154..891P. doi:10.1086/149811.
- Peebles, P. J. E. (1969). “Origin of the Angular Momentum of Galaxies”. 《Astrophys. J.》 155: 393. Bibcode:1969ApJ...155..393P. doi:10.1086/149876.
- Peebles, P. J. E.; Yu, J. T. (1970). “Primeval adiabatic perturbation in an expanding universe”. 《Astrophys. J.》 162: 815. Bibcode:1970ApJ...162..815P. doi:10.1086/150713.
- Peebles, P. J. E. (1971). 《Physical Cosmology》.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 Peebles, P. J. E. (1980). 《The large-scale structure of the universe》.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 Peebles, P. J. E. (1982). “Large-scale background temperature and mass fluctuations due to scale-invariant primeval perturbations”. 《Astrophys. J.》 263: L1. Bibcode:1982ApJ...263L...1P. doi:10.1086/183911.
- Peebles, P. J. E. (1993). 《Principles of Physical Cosmology》.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 Ratra, B.; Peebles, P. J. E. (1988). “Cosmology with a time-variable cosmological 'constant'”. 《Astrophys. J.》 325: L17. Bibcode:1988ApJ...325L..17P. doi:10.1086/185100.
- Ratra, B.; Peebles, P. J. E. (1988). “Cosmological consequences of a rolling homogeneous scalar field”. 《Phys. Rev. D》 37 (12): 3406. Bibcode:1988PhRvD..37.3406R. doi:10.1103/physrevd.37.3406.
- Ratra, B.; Peebles, P. J. E. (2003). “The cosmological constant and dark energy”. 《Rev. Mod. Phys.》 75 (2): 559–606. arXiv:astro-ph/0207347. Bibcode:2003RvMP...75..559P. doi:10.1103/RevModPhys.75.559.
각주[편집]
- ↑ “The Nobel Prize in Physics 2019”. 2019년 10월 8일에 확인함.
- ↑ Weintraub, David A. (2011). 《How Old Is the Universe?》 (영어). Princeton University Press. 317쪽. ISBN 9780691147314. 2019년 10월 8일에 확인함.
- ↑ “Dannie Heineman Prize for Astrophysics | American Astronomical Society”. 《aas.org》. 2019년 10월 8일에 확인함.
- ↑ “Phillip Peebles biography”. 왕립학회. 2017년 1월 24일에 확인함.
- ↑ “The Bruce Medalists”. 《www.phys-astro.sonoma.edu》. 2019년 10월 8일에 확인함.
- ↑ Williams, D. A. (1999년 6월 1일). “Prof. P J E Peebles: 1998 Gold Medal”. 《Astronomy & Geophysics》 (영어). 3.6–3.6쪽. doi:10.1093/astrog/40.3.3.6-a. 2019년 10월 8일에 확인함.
- ↑ “2000 Gruber Cosmology Prize | Gruber Foundation”. 《gruber.yale.edu》. 2019년 10월 8일에 확인함.
- ↑ “Princeton Announcements, June 2001 - Archived”. 《www.princeton.edu》. 2019년 10월 8일에 확인함.
- ↑ “The Shaw Prize - Top prizes for astronomy, life science and mathematics”. 《www.shawprize.org》. 2018년 4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10월 8일에 확인함.
- ↑ “The Crafoord Prize 2005”. 《www.crafoordprize.se》. 2019년 10월 8일에 확인함.
- ↑ “Charles M. and Martha Hitchcock Lectures | Series | Berkeley Graduate Lectures”. 《gradlectures.berkeley.edu》. 2019년 10월 8일에 확인함.
- ↑ “FACULTY AWARD: Peebles awarded 2013 Dirac Medal for work in theoretical physics”. 《Princeton University》 (영어). 2019년 10월 8일에 확인함.
- ↑ “12 Manitobans to receive province's highest honour this summer”. 《CBC.ca》. 2017년 5월 12일. 2019년 10월 8일에 확인함.
- ↑ “The Nobel Prize in Physics 2019”. Nobel Media AB. 2019년 10월 8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 (영어) Bruce Medalists
- (영어) Personal Web page at Princeton University (Photos)
- (영어) Oral History interview transcript with Jim Peebles April 4 and 5, 2002, American Institute of Physics, Niels Bohr Library and Archives Archived 2011년 9월 12일 - 웨이백 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