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포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Α-리포산에서 넘어옴)

리포산
이름
IUPAC 이름
(R)-5-(1,2-dithiolan-3-yl)pentanoic acid
별칭
α-lipoic acid,
alpha lipoic acid,
thioctic acid,
6,8-dithiooctanoic acid
식별자
3D 모델 (JSmol)
ChEBI
ChEMBL
ChemSpider
DrugBank
ECHA InfoCard 100.012.793
KEGG
MeSH Lipoic+acid
UNII
  • InChI=1S/C8H14O2S2/c9-8(10)4-2-1-3-7-5-6-11-12-7/h7H,1-6H2,(H,9,10)/t7-/m1/s1 예
    Key: AGBQKNBQESQNJD-SSDOTTSWSA-N 예
  • InChI=1/C8H14O2S2/c9-8(10)4-2-1-3-7-5-6-11-12-7/h7H,1-6H2,(H,9,10)/t7-/m1/s1
    Key: AGBQKNBQESQNJD-SSDOTTSWBZ
  • O=C(O)CCCC[C@H]1SSCC1
성질
C8H14O2S2
몰 질량 206.32 g·mol−1
겉보기 노란색 바늘 모양의 결정
녹는점 60–62 °C (140–144 °F; 333–335 K)
아주 약간 용해됨(0.24 g/L)[1]
ethanol 50 mg/mL에서의 용해도 용해됨
약리학
A16AX01 (WHO)
약물동태학:
30% (oral)[2]
관련 화합물
관련 화합물
리포아마이드,
아스파라거스산
달리 명시된 경우를 제외하면, 표준상태(25 °C [77 °F], 100 kPa)에서 물질의 정보가 제공됨.
아니오아니오 확인 (관련 정보 예아니오아니오 ?)

리포산(영어: lipoic acid, LA)은 카프릴산(옥탄산)으로부터 파생된 유기 황 화합물이다.[3] α-리포산(영어: α-lipoic acid, ALA), 싸이옥트산(영어: thioctic acid)이라고도 한다. 리포산은 동물에서 정상적으로 만들어지며, 호기성 대사에 필수적이다. 또한 제조되어 항산화제로 판매되는 일부 국가에서는 식이 보충제로 사용되며, 다른 국가에서는 의약품으로도 사용된다.[3]

질병[편집]

복합 말론산 메틸말론산 산성뇨증(CMAMMA)[편집]

ACSF3 결핍으로 인한 대사성 질환복합 말론산 메틸말론산 산성뇨증(CMAMMA)에서는 리포산 생합성의 전구체 반응인 미토콘드리아 지방산 합성(mtFASII)이 손상됩니다.[4][5] 그 결과 피루브산 탈수소효소 복합체(PDC) 및 α-케토글루타레이트 탈수소효소 복합체(α-KGDH)와 같은 중요한 미토콘드리아 효소의 리포일화 정도가 감소합니다.[5] 리포산을 보충한다고 해서 미토콘드리아 기능이 회복되지는 않습니다.[6][5]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1. “Lipoic Acid”. 《Pubmed》. NCBI. 2018년 10월 18일에 확인함. 
  2. Teichert, J; Hermann, R; Ruus, P; Preiss, R (November 2003). “Plasma kinetics, metabolism, and urinary excretion of alpha-lipoic acid following oral administration in healthy volunteers”. 《The Journal of Clinical Pharmacology43 (11): 1257–67. doi:10.1177/0091270003258654. PMID 14551180. S2CID 30589232. 
  3. “Lipoic acid”. Micronutrient Information Center, Linus Pauling Institute, Oregon State University, Corvallis. 2019년 1월 1일. 2019년 11월 5일에 확인함. 
  4. Levtova, Alina; Waters, Paula J.; Buhas, Daniela; Lévesque, Sébastien; Auray‐Blais, Christiane; Clarke, Joe T.R.; Laframboise, Rachel; Maranda, Bruno; Mitchell, Grant A. (2019년 1월). “Combined malonic and methylmalonic aciduria due to ACSF3 mutations: Benign clinical course in an unselected cohort”. 《Journal of Inherited Metabolic Disease》 (영어) 42 (1): 107–116. doi:10.1002/jimd.12032. ISSN 0141-8955. 
  5. Wehbe, Zeinab; Behringer, Sidney; Alatibi, Khaled; Watkins, David; Rosenblatt, David; Spiekerkoetter, Ute; Tucci, Sara (2019년 11월). “The emerging role of the mitochondrial fatty-acid synthase (mtFASII) in the regulation of energy metabolism”. 《Biochimica et Biophysica Acta (BBA) - Molecular and Cell Biology of Lipids》 (영어) 1864 (11): 1629–1643. doi:10.1016/j.bbalip.2019.07.012. 
  6. Hiltunen, J. Kalervo; Autio, Kaija J.; Schonauer, Melissa S.; Kursu, V.A. Samuli; Dieckmann, Carol L.; Kastaniotis, Alexander J. (2010년 6월). “Mitochondrial fatty acid synthesis and respiration”. 《Biochimica et Biophysica Acta (BBA) - Bioenergetics》 (영어) 1797 (6-7): 1195–1202. doi:10.1016/j.bbabio.2010.03.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