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차원 등각 장론: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EmausBot (토론 | 기여)
잔글 r2.7.2+) (로봇이 바꿈: zh:维拉宿代数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끈 이론}}
{{끈 이론}}
'''비라소로 대수'''({{llang|en|Virasoro algebra}})는 2차원 [[등각군]]을 생성하는 복소 [[리 대수]]다.
[[수학]]에서, '''비라소로 대수'''({{llang|en|Virasoro algebra}})는 2차원 [[등각군]]을 생성하는 복소 [[리 대수]]다. 이론 물리의 [[등각장론]]과 [[끈 이론]]에서 쓰인다.
이론 물리의 [[등각장론]]과 [[끈이론]]에서 널리 쓰이는 개념이다.


==역사==
==역사==
[[엘리 카르탕]]이 1909년에 비트 대수 (중심확장이 없는 비라소로 대수)를 발견하였고, 에른스트 비트({{llang|de|Ernst Witt}})가 이를 [[유한체]]의 경우에 대하여 1930년대에 연구하였다. 비트 대수의 중심확장은 리처드 블록({{llang|en|Richard Earl Block}}) (1966)과 [[이즈라일 겔판트]]({{llang|ru|Изра́иль Моисе́евич Ге́льфанд}}), 드미트리 푹스({{llang|en|Dmitry B. Fuchs}}) (1968)가 발견하였다.
[[엘리 카르탕]]이 1909년에 비트 대수 (중심확장이 없는 비라소로 대수)를 발견하였고, 에른스트 비트({{llang|de|Ernst Witt}})가 이를 [[유한체]]의 경우에 대하여 1930년대에 연구하였다. 비트 대수의 중심확장은 리처드 블록({{llang|en|Richard Earl Block}})<ref>{{저널 인용|제목=On the Mills-Seligman axioms for Lie algebras of classical type|이름=Richard E.|성=Block|저널=Transactions of the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권=121|호=2|연도=1966|쪽=378–392|doi=10.1090/S0002-9947-1966-0188356-3}}</ref>과 [[이즈라일 겔판트]]({{llang|ru|Изра́иль Моисе́евич Ге́льфанд}}), 드미트리 푹스({{llang|ru|Дми́трий Бори́сович Фукс}}) (1968)가 발견하였다.


아르헨티나의 물리학자 미겔 안헬 비라소로({{llang|es|Miguel Angel Virasoro}})가 1970년에 끈 이론에서 비트 대수 (중심확장을 제외한 비라소로 대수)를 도입하였다. 이후 그 중십확장은 와이스 ({{llang|en|J. H. Weis}}가 도입하였다.
아르헨티나의 물리학자 미겔 안헬 비라소로({{llang|es|Miguel Angel Virasoro}})가 1970년에 끈 이론에서 비트 대수 (중심확장을 제외한 비라소로 대수)를 도입하였다.<ref>{{저널 인용|성=Virasoro|이름=Miguel Angel|저널=Physical Review D|권=1|호=10|쪽=2933–2936|연도=1970|제목=Subsidiary Conditions and Ghosts in Dual-Resonance Models|doi=10.1103/PhysRevD.1.2933}}</ref> 이후 그 중심 확장은 와이스 ({{llang|en|J. H. Weis}})가 도입하였다.


==정의==
==정의==
23번째 줄: 22번째 줄:
:[''L''<sub>''m''</sub>,''G''<sub>''r''</sub>] = (''m''/2 &minus; ''r'')''G''<sub>''m''+''r''</sub>,
:[''L''<sub>''m''</sub>,''G''<sub>''r''</sub>] = (''m''/2 &minus; ''r'')''G''<sub>''m''+''r''</sub>,
:{''G''<sub>''r''</sub>,''G''<sub>''s''</sub>} = 2''L''<sub>''r''+''s''</sub> + (''r''<sup>2</sup> &minus; 1/4)&delta;<sub>''r''+''s''</sub> ''C''/3.
:{''G''<sub>''r''</sub>,''G''<sub>''s''</sub>} = 2''L''<sub>''r''+''s''</sub> + (''r''<sup>2</sup> &minus; 1/4)&delta;<sub>''r''+''s''</sub> ''C''/3.

== 참고 문헌 ==
{{주석}}
* {{책 인용|제목=Representation Theory of the Virasoro Algebra|저자=Kenji Iohara, Yoshiyuki Koga|연도=2011|위치=London|출판사=Springer|doi=10.1007/978-0-85729-160-8|isbn=978-0-85729-159-2}}
* {{저널 인용|제목=Kac-Moody and Virasoro algebras|이름=Antony|성=Wassermann|연도=2010}} {{arxiv|1004.1287}}


[[분류:등각장론]]
[[분류:등각장론]]
[[분류:끈 이론]]


[[de:Virasoro-Algebra]]
[[de:Virasoro-Algebra]]

2012년 10월 13일 (토) 12:25 판

수학에서, 비라소로 대수(영어: Virasoro algebra)는 2차원 등각군을 생성하는 복소 리 대수다. 이론 물리의 등각장론끈 이론에서 쓰인다.

역사

엘리 카르탕이 1909년에 비트 대수 (중심확장이 없는 비라소로 대수)를 발견하였고, 에른스트 비트(독일어: Ernst Witt)가 이를 유한체의 경우에 대하여 1930년대에 연구하였다. 비트 대수의 중심확장은 리처드 블록(영어: Richard Earl Block)[1]이즈라일 겔판트(러시아어: Изра́иль Моисе́евич Ге́льфанд), 드미트리 푹스(러시아어: Дми́трий Бори́сович Фукс) (1968)가 발견하였다.

아르헨티나의 물리학자 미겔 안헬 비라소로(스페인어: Miguel Angel Virasoro)가 1970년에 끈 이론에서 비트 대수 (중심확장을 제외한 비라소로 대수)를 도입하였다.[2] 이후 그 중심 확장은 와이스 (영어: J. H. Weis)가 도입하였다.

정의

비라소로 대수는 ()과 로 인하여 생성되는 대수로, 다음과 같은 리 괄호를 가진다.

여기서 중심 원소 가 없는 대수를 비트 대수(Witt algebra)라고 한다.

끈 이론에서의 사용

끈 이론에서, 비라소로 대수는 끈의 에너지-운동량 텐서의 (빛원뿔 좌표계에서의) ++, −−원소의 진동모드 전개로 등장한다. (닫힌 끈의 경우엔 이들이 각각 다른 비라소로 대수를 이루나, 열린 끈의 경우에는 하나의 비라소로 대수밖에 없다.) 미분동형사상(좌표 변환) 불변성에 의하여 물리적 상태에서는 에너지-운동량 텐서가 (고전적으로) 0이 되어야 하므로, 고전적으로 이다. 이를 양자화하면, 오직

()

만을 만족시키면 된다. 여기서 는 임의의 실재하는 상태고, 는 이론에 따라 다른 상수다. (보존 끈 이론에서는 이고, 초끈 이론에서는 NS의 경우에는 , R의 경우에는 이다.)

초비라소로 대수

초끈 이론에서는 초등각대칭을 지니므로 등각대칭에 해당하는 비라소로 대수를 초비라소로 대수(영어: super-Virasoro algebra)로 확장할 수 있다. 초비라소로 대수는 비라소로 대수의 생성원 말고도 새 생성원 이 있는데, 여기서 경계조건이 R이면 , NS이면 이다. 이는 초전류(supercurrent)의 진동모드로 생각할 수 있다. 대수는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Lm,Gr] = (m/2 − r)Gm+r,
{Gr,Gs} = 2Lr+s + (r2 − 1/4)δr+s C/3.

참고 문헌

  1. Block, Richard E. (1966). “On the Mills-Seligman axioms for Lie algebras of classical type”. 《Transactions of the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121 (2): 378–392. doi:10.1090/S0002-9947-1966-0188356-3. 
  2. Virasoro, Miguel Angel (1970). “Subsidiary Conditions and Ghosts in Dual-Resonance Models”. 《Physical Review D》 1 (10): 2933–2936. doi:10.1103/PhysRevD.1.29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