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문자열 변경 (설계 되 → 설계되)
편집 요약 없음
태그: 동음이의 링크
1번째 줄: 1번째 줄: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번역 확장 필요|en|James Webb Space Telescope}}
{{우주망원경 정보
{{우주망원경 정보
|이름 =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br />James Webb Space Telescope
|이름 =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 </br> James Webb Space Telescope
|그림 = James Webb Space Telescope 2009 top.jpg|240px
|그림 = JWST spacecraft model 3.png
|설명 =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의 [[삽화|일러스트레이션]]
|설명 =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의 전개 모습.
|임무유형 = [[우주망원경]]
|임무유형 = [[천문학]], [[우주 망원경]]
|관리 기관 = [[우주망원경과학연구소|STScI]] ([[NASA]])<ref name="1번 각주"/> / [[유럽우주국|ESA]] / [[캐나다우주국|CSA]]
|관리 기관 = [[미국 항공우주국]]<br />[[유럽 우주국]]<br />[[캐나다 우주국]]<br />우주 망원경 과학 연구소<ref name="jwstPartners">{{웹 인용 |url=https://www.jwst.nasa.gov/faq.html#partners |title=NASA JWST FAQ "Who are the partners in the Webb project?" |publisher=[[NASA]] |accessdate=18 November 2011 |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11129213226/http://www.jwst.nasa.gov/faq.html#partners |보존날짜=2011-11-29 |url-status=dead }}</ref>
|COSPAR ID = [https://nssdc.gsfc.nasa.gov/nmc/spacecraft/display.action?id=2021-130A 2021-130A]
|COSPAR ID =
|SATCAT no. =
|SATCAT no. = 50463<ref name="2번 각주"/>
|임무기간 = {{frac|5|1|2}}년 (초기 임무)<ref name="3번 각주"/> </br> 10년 (계획) </br> 20년 (기대 수명)<ref name="4번 각주"/>
|홈페이지 = http://www.jwst.nasa.gov
|제작사 = [[노스롭 그루먼]] </br> [[볼 에어로스페이스]] </br> [[L3해리스]]
|임무기간 = 5년 ~ 10년
|발사중량 = {{cvt|6161.4|kg}}<ref name="5번 각주"/>
|제작사 = [[볼 에어로스페이스 & 테크놀로지스]]<br />[[노스럽 그러먼]]
|크기 = {{cvt|20.197|x|14.162|m}}, 차양막 기준
|발사중량 = 6,500 kg<ref name="howBig">{{웹 인용 |url=https://jwst.nasa.gov/faq.html#howbig |title=JWST - Frequently Asked Questions |publisher=[[NASA]] |accessdate=29 June 2015 |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50626163752/http://www.jwst.nasa.gov/faq.html#howbig |보존날짜=2015-06-26 |url-status=dead }}</ref>
|크기 = {{단위 변환|20.197|x|14.162|m|ft|abbr=on}}
|출력 = 2 [[kW]]
|출력 = 2,000 [[와트]]
|발사일 = 2021년 12월 25일 [[UTC]] 12:20
|발사일 = [[2021년]] [[12월 25일]] [[세계 협정시|UTC]] 오후 12시 20분
|발사체 = [[아리안 5|아리안 5 ECA]]
|발사위치 = [[기아나 우주 센터|기아나우주센터]], [[ELA-3|ELA-3 발사대]]
|발사체 = [[아리안 5]] ECA
|궤도 진입일 =
|발사위치 = [[기아나 우주 센터]]
|첫관측 = 2022년 2월 2일 ([[퍼스트 라이트]]) </br> 2022년 7월 12일 (공식 과학 임무)
|궤도 진입일 =
|첫관측 =
|임무 종료 =
|임무 종료 =
|추락일 =
|추락일 =
|추락 장소 =
|추락 장소 =
|기준계 = 1.5×10^6 km<br />(L<sub>2</sub> [[라그랑주 점]])
|기준계 = [[라그랑주점|태양-지구 L<sub>2</sub> 궤도]]
|궤도유형 = [[헤일로 궤도]]
|궤도유형 = [[헤일로 궤도]]
|궤도장반경 =
|궤도장반경 =
|궤도이심률 =
|궤도이심률 =
|근점 고도 = {{cvt|250000|km}}<ref name="6번 각주"/>
|근점 고도 = {{convert|374000|km|mi|abbr=on}}<ref name="eoPortal">{{웹 인용 |url=https://directory.eoportal.org/web/eoportal/satellite-missions/j/jwst |title=JWST (James Webb Space Telescope) |publisher=[[ESA]] eoPortal |accessdate=29 June 2015 |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50405065929/https://directory.eoportal.org/web/eoportal/satellite-missions/j/jwst |보존날짜=2015-04-05 |url-status=dead }}</ref>
|원점 고도 = {{convert|1500000|km|mi|abbr=on}}<ref name="eoPortal" />
|원점 고도 = {{cvt|832000|km}}<ref name="6번 각주"/>
|주기 = 6개월
|주기 = 6개월
|승교점적경 =
|승교점적경 =
36번째 줄: 34번째 줄:
|궤도속도 =
|궤도속도 =
|역기점 =
|역기점 =
|유형 = [[3-미러 아나스티그맷]]
|유형 = [[코르슈 망원경]]
|구경 = {{convert|6.5|m|abbr=on}}
|구경 = {{cvt|6.5|m}}
|초점거리 = {{convert|131.4|m|abbr=on}}
|초점거리 = {{cvt|131.4|m}}
|초점비 =
|초점비 = {{f/|20.2}}
|집광부 = {{cvt|25.4|m2}}<ref name="7번 각주"/>
|집광부 = {{convert|25.4|m2|abbr=on}}<ref>{{웹 인용 |url=https://jwst-docs.stsci.edu/display/JTI/JWST+Telescope |제목=보관된 사본 |확인날짜=2019-08-01 |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90509172434/https://jwst-docs.stsci.edu/display/JTI/JWST+Telescope |보존날짜=2019-05-09 |url-status=dead }}</ref>
|분해능 =
|분해능 =
|파장 = 0.6 ~ 28 [[마이크로미터|µm]]
|파장 = 0.6–28.3 [[마이크로미터|μm]] ([[주황색]]~[[적외선|중적외선]])
|장비1 이름 = NIRCam
|장비1 이름 = [[FGS/NIRISS]]
|장비1 특징 = 근적외선 카메라
|장비1 특징 = 정밀지향센서 근적외선 영상 장치 겸 무슬릿 분광기
|장비2 이름 = NIRSpec
|장비2 이름 = [[MIRI (중적외선 관측 장비)|MIRI]]
|장비2 특징 = 근적외선 분광기
|장비2 특징 = 중적외선 관측 장비
|장비3 이름 = MIRI
|장비3 이름 = [[NIRCam]]
|장비3 특징 = 중적외선 관측 장치
|장비3 특징 = 근적외선 카메라
|장비4 이름 = NIRISS
|장비4 이름 = [[NIRSpec]]
|장비4 특징 = 근적외선 Imager and Slitless 분광기
|장비4 특징 = 근적외선 분광기
|장비5 이름 = FGS
|장비5 이름 =
|장비5 특징 = 고정밀도 유도 센서
|장비5 특징 =
|장비6 이름 =
|장비6 이름 =
|장비6 특징 =
|장비6 특징 =
|장비7 이름 =
|장비7 이름 =
|장비7 특징 =
|장비7 특징 =
|홈페이지 = [https://jwst.nasa.gov/ jwst.nasa.gov]</br> [https://webbtelescope.org webbtelescope.org]</br> [https://esawebb.org esawebb.org]
}}
}}
[[파일:James Webb Space Telescope Mirror37.jpg|섬네일|300px|온도 디핑 테스트를 받는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의 거울]]
[[파일:Jwmirrors2.jpg|섬네일|거울 배치도]]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llang|en|James Webb Space Telescope}}, '''[https://jwst.nasa.gov/content/webbLaunch/whereIsWebb.html?units=metric JWST]''';)은 노후화 된 [[허블 우주망원경]]의 뒤를 이을, [[가시광선]] 및 [[적외선]] 관측 [[우주 망원경]]이다. 이 망원경의 주목적은 지상에 설치된 망원경이나 [[허블 우주 망원경]]이 관측하지 못했던, 우주의 아주 먼 곳 [[심우주]]의 [[우주진|우주 먼지]]에 가려진 [[외계행성]]과 별 등의 천체를 관측하는 것이다.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llang|en|James Webb Space Telescope}}, '''JWST''')은 [[적외선 천문학|적외선 천문 관측]]을 주목적으로 하는 [[우주 망원경]]이다. 현존하는 광학 우주 망원경 중에서 규모가 가장 크며, 뛰어난 적외선 [[분해능]]과 감도 덕분에 [[허블 우주 망원경]]조차 관측하기 어려울 정도로 멀고 어두운 [[천체]]들을 관측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금속함량#항성종족 III 3|최초의 별]]과 [[은하의 형성과 진화|최초의 은하가 형성]]되는 모습을 포착하는 등 [[천문학]]과 [[우주론]] 마당에서 광범위한 연구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ref name="8번 각주"/><ref name="9번 각주"/>
JWST라는 명칭은 [[미국 항공우주국|NASA]]와 [[유럽 우주국|ESA]], 그리고 [[캐나다 우주국|SCA]]의 협력 하에 지었다. 이 망원경은 원래 "차세대 우주 망원경"(NGST; Next Generation Space Telescope)이라 불렸으나, [[2002년]]에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제2대 국장인 [[제임스 E. 웹|제임스 E. 웨브]](James E. Webb)의 이름을 따서 현재의 이름으로 명명되었다.<ref>'James Webb'의 한글 표기로 국립국어원에서는 '제임스 웨브'를 제시하고 있으나 https://korean.go.kr/front/search/searchAllList.do, https://www.korean.go.kr/front/onlineQna/onlineQnaView.do?mn_id=216&qna_seq=117705 참조, 한국내 거의 대부분의 매체에서는 '제임스 웹'으로 표기하고 있다.</ref> 수차례 발사가 연기된 후, '''[[2021년]] [[12월 25일]] 오후 9시 20분''' (한국 시간)에 [[프랑스령 기아나]]에 있는 [[기아나 우주 센터]]에서 [[아리안 5]] 로켓에 실려 발사되었다.


제임스 웹의 설계와 개발은 [[미국항공우주국]](NASA)이 [[유럽우주국]](ESA)과 [[캐나다우주국]](CSA)과 협력하여 이끌었다. 망원경의 개발은 [[메릴랜드]]에 소재하는 NASA의 [[고더드 우주 비행 센터|고더드우주비행센터]](GSFC)가 맡았으며, 망원경의 운용은 [[볼티모어]] [[존스홉킨스대학교|존스홉킨스대학교 홈우드캠퍼스]]에 소재하는 {{임시링크|우주망원경과학연구소|en|Space Telescope Science Institute}}가 하고 있다. 사업에 참여한 주요 기업으로는 [[노스롭 그루먼]]이 있다. 망원경의 명칭은 1961년부터 1968년까지 NASA 국장을 역임하며 [[머큐리 계획|머큐리]], [[제미니 계획|제미니]], [[아폴로 계획|아폴로]] 계획을 추진한 [[제임스 에드윈 웨브]]의 이름에서 따온 것이다.
발사후 27분 후에 아리안 로켓의 상단부에서 성공적으로 분리되어, 약 1개월에 걸쳐 목적지의 궤도에 성공적으로 진입하였다.<ref name="NYT-20220124">{{뉴스 인용|last=Roulette |first=Joey |title=After Million-Mile Journey, James Webb Telescope Reaches Destination - The telescope’s safe arrival is a relief to scientists who plan to spend the next 10 or more years using it to study ancient galaxies.|url=https://www.nytimes.com/2022/01/24/science/james-webb-telescope-arrival.html |date=24 January 2022 |work=[[The New York Times]] |accessdate=24 January 2022 }}</ref><ref name="NASA-20220124">https://blogs.nasa.gov/webb/2022/01/24/orbital-insertion-burn-a-success-webb-arrives-at-l2</ref>
몇주간에 걸쳐 우주 망원경을 작동온도에 도달하도록 냉각시킨 후, 약 5개월에 걸쳐 최종 시험 및 수치보정(캘리브레이션) 절차를 수행하는데 최초의 영상도 획득할 예정이다.<ref>[https://webbtelescope.org/quick-facts/mission-launch-quick-facts Mission and Launch Quick Facts] - ''"After reaching its orbit, Webb undergoes science and calibration testing. Then, regular science operations and images will begin to arrive, approximately six months after launch. However, it is normal to also take a series of "[[fjrst light (astronomy)|first light]]" images that may arrive slightly earlier."''</ref><ref>[https://blogs.nasa.gov/webb/2022/01/10/following-the-next-steps-in-webbs-journey NASA JWST Blog]: observations expected to be available by summer 2022 (''"Rest assured that this summer will sizzle with the hot (nay cold?) observations we will soon be sharing!"'')</ref>
그 후 본격적으로 연구 프로그램을 시작하게 된다.<ref name="NYT-20220108db">{{뉴스 인용|last1=Overbye |first1=Dennis |last2=Roulette |first2=Joey |title=A Giant Telescope Grows in Space - Everything is going great for the James Webb Space Telescope. So far. |url=https://www.nytimes.com/2022/01/08/science/james-webb-telescope-nasa-deployment.html |date=8 January 2022 |work=[[The New York Times]] |access-date=9 January 2022 }}</ref><ref name="ATL-20220108">{{뉴스 인용|last=Koren |first=Marina |title=Even NASA Seems Surprised by Its New Space Telescope - The $10 billion mission is working better than anyone could have predicted.|url=https://www.theatlantic.com/science/archive/2022/01/nasa-james-webb-space-telescope-deployment/621211/ |date=8 January 2022 |work=[[The Atlantic]] |access-date=10 January 2022 }}</ref>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은 2021년 12월 25일 [[프랑스령 기아나]] [[쿠루 (프랑스령 기아나)|쿠루]]에서 [[아리안 5]] 로켓에 실려 발사된 후, 2022년 1월에 태양-지구 [[라그랑주점|L<sub>2</sub> 라그랑주점]]에 안착하였다. 2022년 7월 11일에는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참석한 기자 회견에서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 최초의 딥 필드|제임스 웹의 최초 공식 이미지]]가 공개되었다.<ref name="10번 각주"/>
== 임무 ==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의 주된 임무는 [[적외선]]([[우주 마이크로파 배경]])을 조사해, 현재 관측 가능한 우주의 초기 상태에 대해 연구하는 것이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이 [[망원경]]에는 고감도 [[적외선]] 센서와 [[분광기]] 등이 탑재될 것이다. [[망원경]] 설비 자체에서 나오는 적외선 방출 때문에 관측이 방해받는 일이 없게 하기 위해 장비들은 40[[켈빈]](−233.15&nbsp;°C)이라는 [[극저온]] 상태에 놓일 것이고, 또한 [[햇빛|태양빛]]이나 [[지구]]와 [[달]]로부터 [[반사]]되는 빛도 피하기 위해 작게 접혀진 차광판이 부속하게 될 것이다. JWST는 허블 우주 망원경처럼 지구 주위를 도는 것이 아니라 지구에서 150만 [[킬로미터|km]] 떨어진 [[태양]]-[[지구]]의 L<sub>2</sub> [[라그랑주 점]]에 위치하게 되는데, 그렇게 되면 [[망원경]]의 관측 시야에서 태양과 지구가 동일한 상대적 위치에 놓이게 되어 [[우주 차광판|차광판]]이 제대로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허블 우주 망원경이 지표로부터 610km라는 비교적 낮은 [[궤도]]상에 위치하고 있어 광학 기기에 이상이 있을 때 수리나 부품 교체가 가능했던 데 반해, JWST는 먼 거리 때문에 그럴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제임스 웹 망원경에 문제가 생겨버리면 문제가 생긴 상태로 [[관측]]을 해야 한다.


제임스 웹 망원경의 [[반사 망원경|주거울]]은 열여덟 장의 작은 {{임시링크|분할 거울|en|Segmented mirror|label=거울 세그먼트}}로 구성되어 있으며, 거울 세그먼트는 [[금]]으로 코팅된 [[베릴륨]] 재질이다. 세그먼트가 하나로 모인 주거울은 직경이 6.5미터에 달하여 2.4미터의 허블 주거울보다도 크다. 이러한 주거울의 [[조리개|집광 면적]]은 25제곱미터로, 허블의 집광 면적의 여섯 배에 달한다. 그러나 [[근자외선]]과 [[가시광선]](0.1~0.8 μm), [[근적외선]](0.8~2.5 μm)<ref name="11번 각주"/> 스펙트럼을 관측하는 허블과는 달리, 제임스 웹은 파장이 긴 가시광선(적색)에서 중적외선(0.6~28.3 μm)까지를 관측한다. 제임스 웹은 망원경 자체가 발산하는 적외선이 외부의 빛을 받아들이는 데 방해가 되지 않도록 {{cvt|50|K}}보다 낮은 극저온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지구 근처에서 제임스 웹을 가열할 수 있는 열원으로는 태양과 지구와 달이 있는데, 제임스 웹은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 차양막|차양막]]이 이 셋을 동시에 가릴 수 있도록 지구에서 150만 킬로미터가량 떨어진 태양-지구 L<sub>2</sub> 라그랑주점 근처에서 태양을 도는 궤도에 위치한다.
최근(2021년) 일론머스크의 SPACE X 사에서 스타쉽(STAR SHIP)이라는 완전 재사용 우주선을 한창 개발 중 인데, 페이로드 100톤에 직경 8미터에 달하는 화물창을 운용 가능하고, 지구 궤도상에서 연료 재보급까지 가능하여, 화성이나 달까지도 비행이 가능한 목표를 세우고 있고, 승객과 화물을 태우고 지구나 화성 ,달에 수직착륙이 가능하다. 이 우주선이 실용화되면 L2 라그랑주 포인트에 위치한 JWST 에 도달하여 망원경을 수리하거나 지구로 회수 및 재발사가 가능해질 전망이다.


1996년, 최초 구상 단계에서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은 '''차세대 우주 망원경'''({{llang|en|Next Generation Space Telescope}}, '''NGST''')이라는 명칭이 주어졌었다. 1999년에는 10억 [[달러]]의 예산과 2007년 발사를 목표로 두 가지 컨셉의 연구가 진행되었다. 하지만 초창기 사업은 막대한 비용 증가와 개발 지연으로 난항을 겪었고, 2005년에 이르러서 지금 형식의 대대적인 재설계를 거친 후 2016년에야 100억 달러에 이르는 총비용으로 망원경을 완성하였다. 이 때문에 언론과 과학자와 공학자들은 망원경의 복잡성과 발사의 큰 위험 부담에 관해서 주목하고 우려한 바 있었다.
또한 직경8 미터의 화물창을 사용하여, 복잡한 폴딩구조를 가지지 않는 분할 되지 않는 원피스 8미터 직경의 망원경이나, 폴딩형의 경우에는 JWST보다 몇 배 더 큰 망원경도 발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여 우주망원경 천문학의 새로운 시대가 열릴것으로 기대된다.


== 특징 ==
이미 NASA 에서도 SPACE X사에 STAR SHIP으로 JWST의 발사가 가능할지 가능성을 문의한 상태인데, 가능하다는 답변을 얻었다고 한다.(실제로 발사되지는 않음)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의 중량은 허블 우주 망원경 중량의 절반밖에 되지 않는다. 금으로 코팅된 베릴륨 재질의 주거울은 직경이 {{cvt|6.5|m}}이며, 작은 육각형 거울 열여덟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거울의 총면적은 {{cvt|26.3|m2}}이지만, {{cvt|0.9|m2}}가 부거울과 부거울 지지대에 가려져 있기 때문에 집광부의 총면적은 {{cvt|25.4|m2}}이다.<ref name="12번 각주"/> 이는 직경 2.4미터인 허블 주경의 집광 면적 {{cvt|4.0|m2}}보다 여섯 배 이상 크다. 제임스 웹의 거울이 금으로 코팅된 것은 적외선 반사율을 높이기 위함이며, 금 코팅은 내구성 때문에 얇은 유리막으로 덮여있다.<ref name="13번 각주"/>
== 구조 ==
제임스 웹우주 망원경의 질량은 허블 우주 망원경의 절반 수준인 6.5t으로 계획되고 있다.그리고 [[베릴륨]]을 주소재로 한 주 반사경의 지름은 6.5 m로서 2.4 m인 허블 우주 망원경의 2.5배에 달해, 뛰어난 관측 성능이 기대되고 있다. 주 반사경은 한 장이 아니라 18개의 [[육각형]] 조각으로 분할되어 있다. 이 반사경 조각들은 발사 전에는 접혀져 있다가 망원경이 발사된 후에 우주에서 펼쳐지도록 설계되어 있다.


제임스 웹 망원경은 [[적외선 천문학|근적외선 관측]]을 주목적으로 설계되었으나, 사용하는 관측 장비에 따라 주황색에서 빨간색의 가시광선도 관측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중적외선 영역도 가능하다.<ref name="8번 각주"/><ref name="9번 각주"/> 허블이 관측할 수 있는 것보다 100분의 1 정도로 어두운 천체까지 관측할 수 있으며, [[적색편이]] z≈20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우주 역사에서 이른 시대([[대폭발|빅뱅]] 이후 1억 8천만 년 무렵의 [[우주시]])의 천체들도 관측할 수 있다.<ref name="14번 각주"/> 비교컨대, [[금속함량#항성종족 III 3|최초의 별]]이 z≈30에서 z≈20(1억 년에서 1억 8천만 년 사이의 우주시) 무렵에 탄생하였고,<ref name="15번 각주"/> 최초의 은하가 z≈15(2억 7천만 년 무렵의 우주시) 무렵에 탄생했으리라 여겨지지만, 허블은 z≈11.1 무렵(4억 년의 우주시에 존재하는 은하 [[GN-z11]])의 극초기 [[재이온화]]<ref name="16번 각주"/><ref name="17번 각주"/> 시대 너머의 과거를 볼 수 없다.<ref name="18번 각주"/><ref name="19번 각주"/><ref name="14번 각주"/>
== 특징 ==
=== 광학 ===
JWST의 주경은 [[금]]으로 [[코팅]]된 [[베릴륨]] [[반사경]]으로 지름 6.5m, 25m²의 집광 면적을 가지고 있다. 현재의 발사체로 운반하기에는 너무 커서 18개의 육각형 거울로 분할되어 있으며 발사 후 펼쳐지게 된다. [[위상 변화]]를 통해 영상평면의 파면은 매우 정밀한 마이크로 모터를 사용하여 적절한 위치에 거울 부분을 위치시킨다. 초기 설정 후, 거울들은 가장 최적인 초점을 유지하기 위해 며칠마다 자주 업데이트 해야 한다. 이것은 지속적으로 중력이나 [[태양풍]], 하중의 영향을 극복하기 위해 능동적인 광학계를 이용하여 그 거울 부분을 조정하며 [[켁 망원경]]과 같은 [[지상 망원경]]과 다르며, 우주에서 망원경에 대한 환경적 방해가 없기 때문에 가능하도록 만들어진다.


제임스 웹 망원경은 다음과 같은 이유에 의해서 근적외선과 중적외선에서 기능하는 것으로 설계되었다.
JWST의 광학 설계를 통해 넓은 시야에서 광학 수차를 포함하지 않는 영상을 제공하기 위해 곡선 제 2 및 제 3 거울을 이용한 3개의 비점수차 보정 렌즈이다. 또한 여러번의 이미지 안정화를 제공하는 두 번째 위치를 조정할 수 있고, 고속 스티어링 거울이 있다.
(주)Ball 항공 우주 및 기술은 그린벨트, 메릴랜드에 있는 NASA 고다드 우주 비행 센터에서의 계약에 따라 주로 계약 Northrop Grumman 항공 우주 시스템이 이끄는 JWST 프로그램의 주요 광학 하청이다. 18개의 주경 부분의 이차, 삼차와 세세한 스티어링 거울, 플러스 비행 여분 Axsys, 브러시 웰 및 틴 슬리 연구소를 포함한 여러 회사에서 제조된 베릴륨 세그먼트 공백을 기반으로 제조 하고 Ball 항공 우주에 의해 연마 되어 있다. 2011년 6월 시점에서는 강성의 지지 프레임과 극저온의 액체추진에이터를 포함한 6개의 완전히 완료된 거울 부분의 첫 번째 세트는 미국 항공우주국 ([[NASA]]) 마셜 우주 비행 센터에서 마지막 시험을 치르고 나머지 거울 을 모두 테스트 하고 있었지만, 예정보다 2개월 전인 2011년 12월에 완료했다.


* [[적색편이]]가 큰 (즉, 거리가 멀고 시간적으로 극초기 우주의) 천체는 가시광선 방출이 적외선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오늘날에 그러한 빛을 관측하려면 근적외선 천문학이 필수다.<ref name="11번 각주"/>
=== 과학 장치 ===
* 적외선은 가시광선보다 [[우주진|먼지 구름]]을 쉽게 통과한다.<ref name="11번 각주"/>
[[통합 과학 도구 모듈]](ISIM)은 4개의 과학 장비와 가이드 카메라를 포함한다.
* [[먼지 원반]]이나 [[행성]] 같은 저온 천체는 적외선을 가장 많이 방출한다.
[[근적외선]] 카메라 (Near InfraRed Camera, NIRCam)는 가시광 영역의 끝 부분(0.6 micrometers)부터 근 적외선(5micrometers)사이 범위를 적용하는 적외선 화상처리기이다. NIRCam은 파면 감지와 통제 활동을 위해 요구되는 [[천문대]]의 파면 센서처럼 사용될 것이다. [[애리조나 대학]]팀이 주도하여 NIRCam을 만들고 있다.
* 이러한 적외선 대역은 지상 망원경이나 허블과 같이 현존하는 우주 망원경으로는 연구하기 어렵다.


[[파일:Atmospheric_electromagnetic_opacity_ko.svg|thumb|top|upright=1|[[가시광선]]을 포함해서 [[전자기 복사]]의 파장별로 [[지구 대기]]가 흡수하는 정도(불투명도)를 보여주는 그림.]]
;Near InfareRed Spectrograph (NIRSpec)


지상 망원경은 그 위치 때문에 지표면을 덮는 대기를 꿰뚫어 볼 수밖에 없는데, [[지구 대기]]는 다양한 적외선 대역에서 불투명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심지어 대기가 투명한 장소일지라도 적외선 천문학의 주요 표적에서 관측하기 쉬운 화학 성분이 물이나 이산화탄소, 메탄처럼 지구 대기에도 풍부하게 존재하는 화합물이기 때문에 분석이 매우 까다롭다. 허블과 같이 현존하는 우주 망원경은 거울이 적외선 관측이 요구하는 온도보다 뜨겁기 때문에 이러한 대역에서 관측이 불가능하다. 예컨대 허블의 주거울은 약 {{cvt|15|C}}로 유지되는데, 이 온도에서 망원경은 적외선을 강하게 방출한다.<ref name="20번 각주"/>
근 적외선 스펙트로 그래프(Near InfareRed Spectrograph, NIRSpec)은 동일한 파장 범위를 넘어 분광관측을 수행할 것이다. NIRSpec은 유럽 우주 기구(ESA)에 의해 만들어지고 있다. NIRSpec 설계는 3가지 관측 모드를 제공한다: [[프리즘]]을 이용한 저해상도 모드를 R에서 1000 다중 객체 모드 및 R ~ 2700 적분 필드 단위 또는 long-slit 분광기 모드전환에 의해 만들어진 필터 휠 어셈블리라는 파장의 사전 선택 메커니즘을 작동하고 격자 휠 어셈블리 기구를 이용해 통신하는 분산 소자 ( 프리즘 또는 회절 격자 )를 선택 한다. 두 기구는 적외선 우주 천문대에서 성공한 ISOPHOT 휠 메커니즘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다중 객체 모드는 어떤 위치에 보기 NIRSpec 영역에서 개별 개체 의 수백개의 동시 관측 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복잡한 마이크로 셔터 기구에 의존하고 있다. 메커니즘과 그 광학 소자 설계되었고, 통합되어 있으며, 아스트리움의 계약에 따라, 독일의 칼 자이스사에 의해 테스트되고 있다.


제임스 웹 망원경은 [[태양]]에 대해 85˚ 이상의 회피각에서 초당 0.03[[각초]]보다 느린 [[각속도]]로 움직이는 [[태양계]] 천체를 관측할 수 있기도 하다.{{efn|name=1번 내용주|제임스 웹 망원경은 최대 30[[초 (각도)|mas]]/[[초 (시간)|s]]로 움직이는 화성처럼 빠른 각속도의 천체도 추적할 수 있게끔 설계되었지만, 이는 기술사양서에 적힌 명목상의 값일 뿐이다.<ref name="21번 각주"/></br> 커미셔닝 기간에 장비의 실제 한계를 측정하기 위해 다양한 소행성을 관측한 결과, 제임스 웹은 명목상의 값의 두 배 이상 빠른 67mas/s의 천체도 관측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30~67mas/s 속도를 추적할 때의 정밀도는 그보다 느린 표적을 추적할 때와 비슷하다. 즉, 제임스 웹은 [[근지구천체|근지구 소행성]](NEA)과 근일점에 가까운 혜성과 [[성간 천체]] 역시 관측할 수 있다.<ref name="22번 각주"/>}} 이러한 천체로는 [[화성]],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 [[명왕성]], 앞에서 열거한 천체들의 [[위성]], [[화성 궤도]] 너머의 [[혜성]], [[소행성]]이 있다. 제임스 웹은 알려진 [[카이퍼대]] 천체를 모두 관측할 수 있을 정도의 적외선 감도를 가지고 있으며,<ref name="15번 각주"/><ref name="23번 각주"/> [[초신성]]이나 [[감마선 폭발]]처럼 한시적이고 관측 계획에 없던 표적도 일정 변경을 통해 48시간 이내에 관측할 수 있는 유연한 관측 체계도 갖추고 있다.<ref name="15번 각주"/>
;Near InfraRed Spectrograph (NIRSpec)


<gallery align="center" mode="packed" heights="200">
NIRSpec 설계는 3 관찰 모드가 준비되어 있다. 프리즘을 이용한 저해상도 모드를 R에서 1000 다중 객체 모드 및 R ~ 2700 적분 필드 단위 또는 long-slit 분광기 모드전환에 의해 만들어진 필터 휠 어셈블리라는 파장의 사전 선택 메커니즘을 작동하고 격자 휠 어셈블리 기구를 이용해 통신하는 분산 소자 ( 프리즘 또는 회절 격자 )를 선택 한다. 두 기구는 적외선 우주 천문대에서 성공한 ISOPHOT 휠 메커니즘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다중 객체 모드는 어떤 위치에 보기 NIRSpec 영역에서 개별 개체 의 수백개의 동시 관측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복잡한 마이크로 셔터 기구에 의존 하고 있다. 메커니즘과 그 광학 소자 설계되었고, 통합되어 있으며, 아스트리움의 계약에 따라, [[독일]]의 칼 자이스사에 의해 테스트되고 있다.
File:James Webb Space Telescope 2009 top.jpg|망원경을 꼭대기 정측면에서 바라본 모습.
File:James Webb Space Telescope 2009 bottom.jpg|바닥에서 본 모습 (태양을 향하는 면)
</gallery>


=== 위치와 궤도 ===
;Mid-Infrared Instrument (MIRI)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은 태양에 대한 지구 궤도 너머 약 1,500,000 km 떨어진 태양-지구 [[라그랑주점|L<sub>2</sub> 라그랑주점]]을 중심으로 도는 [[헤일로 궤도]]에서 운용된다. 망원경이 공전하면서 실제 위치는 L<sub>2</sub> 점에 대해 약 250,000 km에서 832,000 km 거리까지 변화하지만, 지구와 달의 그림자에 들어가는 일은 없다. 태양과 지구의 L<sub>2</sub> 점 근처에 있는 물체는 지구와 같은 속도로 태양을 공전할 수 있기 때문에 망원경이 [[태양]]과 [[지구]]와 [[달]]에 대해 거리를 거의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ref name="24번 각주"/> 차양막과 우주선 본체를 일정한 각도로 유지할 수 있다. 제임스 웹 망원경은 지구와 달의 그림자를 피하기 위해서 폭넓은 궤도를 가지기 때문에 태양을 향하는 면에서 꾸준히 태양광을 받으며 전력을 공급하고 지구와 교신하면서도 차양막을 통해 태양과 지구와 달에서 관측 장비로 오는 열과 빛을 차단하고, 지구와 달의 그림자에 들어갔을 때 우주선에 생길 수 있는 미세한 온도 변화를 피할 수 있다. 이러한 배열과 자세를 통해 우주선의 온도를 희미한 적외선 관측에 필요한 50K 아래로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ref name="25번 각주"/><ref name="26번 각주"/>
중적외선 장비(MIRI)는 5 ~ 27 [[마이크로미터]], 중적외선 파장 범위를 측정 할 수 있다. 이것은 중적외선 [[카메라]]와 영상 분광기가 모두 포함되어 있다. MIRI는 미국 항공 우주국 (NASA)과 유럽 국가의 컨소시엄과의 제휴로 조지 리 케 (애리조나 대학)와 질리안 라이트 (영국 천문학 기술이 주도하고있는 센터, 에든버러, 과학 기술 시설위원회 (STFC)의 일부)에 의해 개발되었다. MIRI도 개발하고 천문학을 위한 막스 플랑크 연구소, 하이델베르크에서의 계약에 따라 칼 자이스사에 의해 구축되어 NIRSpec뿐만 아니라 자동차 같은 장비를 갖추고 있다. MIRI의 완성 광학 벤치 어셈블리는 ISIM에 최종 통합을 위해 2012년 중순에 고다드에 전달되었다.


=== 차양막 보호 ===
;Fine Guidance Sensor (FGS)
{{본문|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 차양막}}
[[파일:James Webb telescope sunshield.jpg|thumb|upright=1.0|right|2014년, 캘리포니아 [[노스롭 그루먼]] 시설에서 겹치고 펼치는 실험을 한 차양막 테스트 유닛.]]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은 적외선 스펙트럼을 관측할 수 있도록 {{cvt|50|K}} 이하로 유지되어야 한다. 그렇지 않을 경우, 망원경이 방출하는 적외선 복사가 관측 장비가 감지할 적외선을 압도할 수 있다. 제임스 웹은 [[태양]]과 [[지구]]와 [[달]]에서 오는 빛과 열을 차단하기 위해서 커다란 차양막({{llang|en|sunshield}})을 갖추고 있다. 태양-지구 L<sub>2</sub> 근처에 있는 제임스 웹의 위치는 우주선이 항상 같은 면만 세 물체를 바라보도록 한다.<ref name="27번 각주"/> L<sub>2</sub> 점을 도는 제임스 웹의 헤일로 궤도는 태양과 달의 그림자를 피하면서 차양막과 [[태양 전지판]]이 미세한 변화 없이 일정한 환경에 있도록 유지한다.<ref name="24번 각주"/> 그리하여 빛을 받지 않는 면에 있는 장치들의 온도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데, 이는 주거울 세그먼트의 정밀한 정렬 상태를 유지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ref name="25번 각주"/>
프로젝트의 과학자 존 해치 스(헤르츠 베르크 천체물리학 연구소, 캐나다 국립 연구위원회)에서 [[캐나다]] 우주국 이 주도하는 Fine Guidance 센서(FGS)는 과학자가 관측하는 동안 관측 방향을 안정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FGS에의한 측정은 우주선 전체의 방향을 제어하기 위해 영상 안정화를 위해 작은 스티어링 거울을 구동 하기 위해 사용된다. 캐나다 우주국은 또한 몬트리올 대학의 수석 연구원인 르네 도영이 이끄는 0.8에서 5 마이크로 미터 파장 범위의 천문 영상 및 분광을 위한 근적외선 영상과 슬릿이 없는 분광기( NIRISS )의 모듈을 제공 하고있다. 그래서 NIRISS는 물리적으로 FGS과 함께 장착 되고 그들은 종종 개별적인 장비라 하지만, 그들은 하나의 과학 장비이며, 다른 하나는 관측소의 지원 인프라의 일부이며 전혀 다른 목적을 완수한다.


다섯 겹으로 이루어진 차양막은 {{임시링크|캡톤|en|Kapton|label=캡톤 E}} 필름 양면에 [[알루미늄]]을 코팅하여 만들어졌으며, 한 겹이 머리카락 한 올만큼 얇다.<ref name="28번 각주"/> 태양열을 받아서 가장 뜨거운 두 겹은 태양열을 반사하기 위해서 태양을 향하는 면에 [[도핑 (반도체)|도핑 규소]]로 된 층이 있다.<ref name="25번 각주"/> 재질이 연약해서 2018년에 전개 테스트를 하는 과정에서 필름 구조가 찢어지는 바람에 망원경의 발사 일정이 늦추어지기도 하였다.<ref name="29번 각주"/>
NIRCam과 MIRI는 외계 행성이나 밝은 별 바로 옆에 항성 주변 디스크 등의 희미한 대상의 [[관측|관찰]]을 위해 별빛을 차단하는 코로나 그래프를 제공한다.
NIRCam, NIRSpec, FGS 및 NIRISS모듈의 [[적외선]] 감지기는 텔레다인 영상 센서(구 로크웰 과학 회사)에 의해 제공되고 있다.


차양막은 직경이 {{cvt|4.57|m}}이고 길이가 {{cvt|16.19|m}}인 [[아리안 5]] 로켓의 페이로드 페어링에 탑재될 수 있도록 콘체르티나 접기 방식으로 열두 번 접히도록 설계되었다. 차양막을 완전히 전개하였을 때 치수는 {{cvt|14.162|x|21.197|m}}이다.<ref name="30번 각주"/>
== 과학적 결과 ==
[[파일:Webb's First Deep Field.jpg|섬네일|right|150px|[[JWST]]의 첫 공식 이미지 - 은하단 SMACS J0723.3-7327<br />(11 July
2022)<ref name="NASA-20220711" /><ref name="NYT-20220711" />]]
2022년 7월 11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첫 공식 이미지와 분광데이터를 공개했다.<ref name="NASA-20220711">{{뉴스 인용|last=Garner |first=Rob |title=NASA’s Webb Delivers Deepest Infrared Image of Universe Yet |url=https://www.nasa.gov/image-feature/goddard/2022/nasa-s-webb-delivers-deepest-infrared-image-of-universe-yet |date=11 July 2022 |work=[[NASA]] |accessdate=12 July 2022 }}</ref><ref name="NYT-20220711">{{뉴스 인용|last1=Overbye |first1=Dennis |last2=Chang |first2=Kenneth |last3=Tankersley |first3=Jim |title=Biden and NASA Share First Webb Space Telescope Image - From the White House on Monday, humanity got its first glimpse of what the observatory in space has been seeing: a cluster of early galaxies. |url=https://www.nytimes.com/2022/07/11/science/nasa-webb-telescope-images-livestream.html |date=11 July 2022 |work=[[The New York Times]] |accessdate=12 July 2022 }}</ref><ref>https://twitter.com/NASA/status/1546290906046816256?s=20&t=XQLf6s1HiGOLerxFwCZJWQ {{Bare URL inline|date=July 2022}}</ref> NASA는 4개 목록을 더 공개했다.<ref>{{웹 인용|last=Timmer |first=John |date=2022-07-08 |title=NASA names first five targets for Webb images |url=https://arstechnica.com/science/2022/07/nasa-names-first-five-targets-for-webb-images/ |access-date=2022-07-08 |website=Ars Technica |language=en-us}}</ref><ref>{{웹 인용|last=Garner |first=Rob |date=2022-07-08 |title=NASA Shares List of Cosmic Targets for Webb Telescope’s 1st Images |url=http://www.nasa.gov/feature/goddard/2022/nasa-shares-list-of-cosmic-targets-for-webb-telescope-s-first-images |access-date=2022-07-08 |website=NASA}}</ref>


차양막의 그림자로 인해 주어진 시점에서 제임스 웹 망원경이 관측할 수 있는 시야는 제한된다. 제임스 웹은 주어진 시기에 하늘의 40퍼센트만을 관측할 수 있지만, 6개월이 지나면 망원경이 본래 차양막이 가리던 방향을 바라보게 되기 때문에 아예 관측이 불가능한 하늘 영역은 없다.<ref name="31번 각주"/>
* [[용골자리 성운]]
* [[WASP-96b]]
* [[팔렬 성운]]
* [[슈테팡 5중주]]
* [[SMACS J0723.3-7327]], 멀리 있는 운하의 중력 렌즈<ref>{{웹 인용|last=Tingley |first=Brett |date=2022-07-08 |title=NASA unveils list of 1st targets for James Webb Space Telescope |url=https://www.space.com/james-webb-space-telescope-1st-targets-list |access-date=2022-07-08 |website=Space.com |language=en}}</ref>


=== 광학계 ===
{{본문|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 광학부}}
[[파일:Engineers Clean JWST Secondary Reflector with Carbon Dioxide Snow.jpg|thumb|upright=1.0|right|2015년, 엔지니어들이 테스트 미러를 [[이산화탄소 세척법|CO<sub>2</sub> 스노우]]로 세척하고 있다.]]
[[파일:JWST Full Mirror.jpg|thumb|upright=1.0|right|2016년 11월, 기립한 주거울의 전면 쪽에서 촬영한 거울 조립체.]]
[[파일:JWST_diffraction_spikes.svg|thumb|거울 세그먼트와 부경 지지대로 인한 [[회절 스파이크]]. 스파이크에 기여하는 요소마다 다른 색이 입혀져 있다.]]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의 주경은 금으로 코팅된 베릴륨 반사경으로, 지름이 {{cvt|6.5|m}}이며 집광 면적은 {{cvt|25.4|m2}}이다. 이를 단일 거울로 제작하면 망원경이 현존하는 발사체에 실을 수 없을 정도로 무거워지기 때문에 작은 육각 거울 조각들을 조립하는 방식({{임시링크|귀도 호른 다르투로|en|Guido Horn d'Arturo}}가 발명)으로 제작하였다. 주거울은 열여덟 장의 육각형 거울 세그먼트로 구성되어 있으며, 처음에는 접혀있다가 망원경이 발사된 후 펼쳐지는 구조다. 거울 세그먼트가 들어갈 정확한 위치는 {{임시링크|게르히베르크-색스턴 알고리즘|en|Gerchberg-Saxton algorithm|label=위상 복원}}을 통한 이미지 면의 [[파면 (물리학)|파면 검출]] 방법으로 찾으며, 거울 뒷면에 있는 초정밀 마이크로모터를 통해 맞춘다. 일단 배열을 정밀하게 맞추고 나면, 며칠에 한 번씩만 미세하게 재조정하면 최적의 초점을 유지할 수 있다.<ref name="32번 각주"/> 이러한 시스템은 [[켁 망원경]]처럼 중력과 풍하중에 의한 왜곡 효과를 극복하기 위해 [[능동 광학]]으로 거울 세그먼트를 상시 조정하는 지상 망원경과는 다르다.<ref name="33번 각주"/> 제임스 웹 망원경은 [[액추에이터]]라고 부르는 작은 모터를 132개 사용해서 주기적으로 거울 배열을 조정한다.<ref name="34번 각주"/> 이 액추에이터는 10[[나노미터]]의 정밀도로 거울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ref name="35번 각주"/>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은 넓은 화각에서 나타나는 상의 [[광학 수차]]를 제거하기 위해 곡면 반사면의 부경과 삼차경을 사용하는 {{임시링크|3거울 아나스티그맷|en|three-mirror anastigmat}} 형식의 망원경이다.<ref name="36번 각주"/> 부경은 직경이 {{cvt|0.74|m}}이며, 이러한 세 가지 거울 외에도 [[영상 흔들림 방지|상이 흔들리지 않도록]] 초당 수 회에 걸쳐 위치를 조정하는 파인 스티어링 미러({{llang|en|Fine Steering Mirror}})가 갖추어져 있다. 제임스 웹이 촬영한 이미지는 주거울의 육각 모양에 의한 여섯 {{임시링크|회절 스파이크|en|diffraction spike}}에 부경 지지대에 의한 회절 스파이크 두 개가 추가된 모습으로 나타난다.<ref name="37번 각주"/>

=== 과학 장비 ===
[[파일:JWST Nircam1lwres.jpg|thumb|upright=1.0|right|2013년, 포장재로 싸인 NIRCam.]]
[[파일:NIRSpec calibration assembly.jpg|thumb|upright=1.0|right|NIRSpec 장비를 구성하는 보정 장치.]]
[[파일:JWST MIRI.jpg|thumb|upright=1.0|right|MIRI.]]

{{임시링크|통합과학장비모듈|en|Integrated Science Instrument Module}}({{llang|en|Integrated Science Instrument Module}}, ISIM)은 제임스 웹 망원경의 전력과 컴퓨팅 리소스와 냉각 능력과 구조 안정성을 제공하는 틀이다. 접착식 흑연 에폭시 복합체로 제작되어 제임스 웹 망원경의 거울 뒷면에 달려있다. ISIM에는 아래의 네 가지 과학 장비와 지향용 카메라가 들어있다.<ref name="38번 각주"/>

* {{임시링크|NIRCam|en|NIRCam|label=근적외선 카메라}}({{llang|en|Near Infrared Camera}}, NIRCam)는 관측 [[파장]]이 가시광선의 끝단부(0.6 μm))에서 근적외선(5 μm)에 이르는 [[열화상 카메라|적외선 영상 장치]]이다.<ref name="39번 각주"/><ref name="40번 각주"/> 400만 [[화소]]의 [[이미지 센서]] 열 장이 들어있다. NIRCam은 망원경의 파면을 검출하여 주거울 세그먼트 정렬이나 포커싱 같은 제어 활동에 쓰이는 파면 측정 장치의 역할도 한다. NIRCam은 연구책임자 {{임시링크|마샤 진 리키|en|Marcia J. Rieke}}가 이끄는 [[애리조나대학교]] 개발팀이 단독 제작하였다.<ref name="41번 각주"/>

* {{임시링크|NIRSpec|en|NIRSpec|label=근적외선 분광기}}({{llang|en|Near Infrared Spectrograph}}, NIRSpec)는 NIRCam과 동일한 관측 파장에서 [[분광]]을 수행한다. [[네덜란드]] [[노르트베이크]]의 유럽우주국 {{임시링크|유럽우주연구개발센터|en|European Space Research and Technology Centre|label=ESTEC}}이 제작하였다. 주요 개발팀으로 [[에어버스 디펜스 앤드 스페이스|에어버스디펜스앤스페이스]]와 [[고더드 우주 비행 센터|고더드우주비행센터]]의 직원들이 참여하였으며, [[에콜 노르말 쉬페리외르 드 리옹]]의 피에르 페뤼({{llang|fr|Pierre Ferruit}})가 NIRSpec의 프로젝트 책임 과학자를 맡았다. NIRSpec은 세 가지 기능의 관측이 가능하다. 프리즘을 이용한 저해상도 분광 기능과 {{임시링크|분광 해상도|en|spectral resolution}} R=λ/Δλ~1000인 다중 표적 중해상도 분광 기능과 R~2700인 고해상도 {{임시링크|인테그럴 필드 분광|en|Integral field spectroscopy|label=인테그럴 필드 유닛}} 또는 롱슬릿 분광 기능이 그러하다. 이러한 기능을 전환하는 일은 필터 휠 조립체({{llang|en|Filter Wheel Assembly}})라고 하는 내장 기구로 관측 파장을 사전 선택하고, 격자 휠 조립체({{llang|en|Grating Wheel Assembly}})라는 기구로 해당 파장의 분산 장치([[프리즘]]이나 [[회절격자]])를 선택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두 가지 기구 모두 성공적이었던 {{임시링크|적외선 우주 천문대|en|Infrared Space Observatory}}의 ISOPHOT 휠 기구를 토대로 제작되었다. 다중 표적 기능은 복잡한 마이크로셔터 기구를 사용하여 NIRSpec의 화각 내에 있는 개별 천체 수백 개를 동시에 분광할 수 있다. NIRSpec에는 400만 화소짜리 이미지 센서 두 장이 들어있다.<ref name="42번 각주"/>

* {{임시링크|MIRI (중적외선 관측 장비)|en|MIRI (Mid-Infrared Instrument)|label=중적외선 관측 장비}}({{llang|en|Mid-Infrared Instrument}}, MIRI)는 5~27 μm의 범위의 적외선 파장을 관측한다.<ref name="43번 각주"/><ref name="44번 각주"/> 장비에는 [[열화상 카메라|중적외선 카메라]]와 영상 [[분광기]]가 들어있다.<ref name="45번 각주"/> MIRI는 NASA와 유럽의 다국적 컨소시엄이 협업하여 제작하였으며, 개발은 [[애리조나대학교]]의 {{임시링크|조지 헨리 리키|en|George H. Rieke}}와 [[스코틀랜드]] [[에든버러]] {{임시링크|영국천문기술센터|en|UK Astronomy Technology Centre}}의 {{임시링크|질리언 라이트 (천문학자)|en|Gillian Wright (astronomer)|label=질리언 라이트}}가 주도하였다.<ref name="41번 각주"/> MIRI의 온도는 {{cvt|6|K}}를 초과하지 않아야 하는데, 이러한 온도를 유지하기 위해서 기계식 헬륨 가스 냉각기가 장비 주변 열보호막의 온열부에 자리하고 있다.<ref name="46번 각주"/>

* {{임시링크|FGS/NIRISS|en|Fine Guidance Sensor and Near Infrared Imager and Slitless Spectrograph|label=정밀지향센서 겸 근적외선 영상 장치 겸 무슬릿 분광기}}({{llang|en|Fine Guidance Sensor and Near Infrared Imager and Slitless Spectrograph}}, FGS/NIRISS)의 정밀지향센서(FGS)는 [[캐나다우주국]]과 프로젝트 책임 과학자를 맡은 {{임시링크|헤르츠베르크천문학천체물리학연구센터|en|Herzberg Astronomy and Astrophysics Research Centre}}의 존 허칭스({{llang|en|John Hutchings}})가 주도하여 개발하였으며, 우주 망원경이 과학 관측을 하는 동안 표적 지향을 안정화하는 데 사용된다. FGS의 관측은 우주선의 전체적인 방향를 제어하거나 파인 스티어링 미러를 작동하여 이미지 흔들림을 방지하는 용도로 쓰인다. 또한, 캐나다우주국은 연구책임자 [[몬트리올대학교]]의 르네 도욘({{llang|fr|René Doyon}}) 주도로 개발한 근적외선 영상 장치 겸 무슬릿 분광기(NIRISS) 모듈을 제공하여 0.8~5μm에서 천문 [[측광]]과 분광을 가능하게 하였다.<ref name="41번 각주"/> 두 장비가 일체형으로 되어있어서 한꺼번에 지칭하는 경우가 많지만, FGS와 NIRISS는 쓰임새가 완전히 다르다. 전자는 망원경 지원 인프라의 일부이고, 후자는 천문 관측에 쓰이는 과학 장비이다.<ref name="47번 각주"/>

NIRCam과 MIRI는 별빛을 차단하는 [[코로나그래프]]를 갖추고 있어서 밝은 별 가까이의 [[외계행성]]이나 [[별주위원반]]과 같은 희미한 표적도 관측할 수 있다.<ref name="44번 각주"/>

=== 우주선 본체 ===
{{본문|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 우주선 본체}}
[[파일:SpacecraftBus-model.jpg|thumb|upright=1.0|right|우주선 본체 구조도. 태양광 패널은 초록색으로, 라디에이터는 옅은 보라색으로 칠해져 있다.]]

{{임시링크|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 우주선 본체|en|Spacecraft bus (James Webb Space Telescope)|label=우주선 본체}}({{llang|en|Spacecraft bus}})는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의 주요 지원 요소로, 컴퓨터 및 통신 및 전력 및 추진 및 구조 부속처럼 다양한 부속이 들어가 있다.<ref name="48번 각주"/> 우주선 본체는 차양막과 함께 우주 망원경의 우주선부({{llang|en|spacecraft element}})를 이룬다.<ref name="49번 각주"/><ref name="50번 각주"/> 우주선 본체는 태양을 향하는 차양막의 온열부 쪽에 있으며, 약 {{cvt|300|K}}의 온도에서 기능한다.<ref name="49번 각주"/>

우주선 본체는 중량이 {{cvt|350|kg}}이지만, {{cvt|6,200|kg}}에 달하는 우주 망원경을 지지하기 위해서 흑연 복합재를 주로 사용하여 만들어졌다.<ref name="51번 각주"/> 조립은 [[캘리포니아]]에서 이루어졌으며, 2015년에 완성된 후 2021년 발사 이전까지 우주 망원경을 구성하는 나머지 부속과 체결되었다. 우주선 본체는 1[[각초]]의 지향 정밀도로 망원경을 회전시킬 수 있으며, 2밀리각초의 미세한 떨림도 식별할 수 있다.<ref name="52번 각주"/>

제임스 웹 망원경은 발사 후 L<sub>2</sub>에 도달하는 경로를 조정하거나 {{임시링크|궤도 스테이션 키핑|en|Orbital station-keeping|label=L<sub>2</sub>에서 위치를 유지}}하기 위하여 헤일로 궤도를 조정할 용도로 로켓 엔진([[스러스터]])을 두 쌍 가지고 있다. 한 쌍은 다른 한 쌍이 고장 날 경우를 대비한 예비품이다. 이 외에도 들어있는 작은 [[스러스터]] 여덟 개는 우주선의 지향 방향을 조정하는 [[자세 제어]]에 쓰인다.<ref name="53번 각주"/> 엔진은 [[하이드라진]] 연료(발사 당시 159리터)와 [[사산화이질소]] [[산화제]](발사 당시 79.5리터)를 사용한다.<ref name="54번 각주"/>

=== 정비성 ===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은 우주에서 정비할 수 없다. 지금으로서는 허블처럼 유인 임무를 통해 망원경을 보수하고 개선하는 일이 불가능하다.<ref name="55번 각주"/> NASA 부국장 {{임시링크|토마스 쥐르뷔헨|en|Thomas Zurbuchen}}에 의하면, 해결 방법을 최대한 모색하였음에도, 원격 무인 임무 역시 요구되는 기술이 제임스 웹이 제작된 시기의 기술을 초월하는 것으로 밝혀졌다.<ref name="56번 각주"/> 제임스 웹을 발사하기 전의 오랜 시험 기간 동안 NASA 관계자들이 정비 임무에 관해서 언급한 바 있었지만, 아무런 계획도 발표된 적이 없었다.<ref name="57번 각주"/><ref name="58번 각주"/> 그러나, 발사에 성공한 후 NASA는 제임스 웹이 향후 정비 임무가 가능하게끔 어느 정도 정비성을 갖추었으며, 원격 정비 임무를 위해서 제임스 웹 표면에 십자 형태의 정밀한 유도 마커가 새겨져 있고, 재충전 가능한 연료 탱크와 탈부착 가능한 열차폐기가 사용되었으며, 부착 지점은 접근이 용이하게끔 만들어놓았다고 밝혔다.<ref name="59번 각주"/><ref name="56번 각주"/>

== 다른 망원경과 비교 ==
[[파일:JWST-HST-primary-mirrors.svg|thumb|upright=1.0|right|[[허블 우주 망원경]]과 주거울 비교.]]
[[파일:Primary Mirror Size Comparison Between Webb and Hubble.webm|thumb|upright=1.0|right|제임스 웹과 허블의 주거울 비교.]]

대형 적외선 우주 망원경에 대한 열망은 수십 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미국이 [[우주왕복선]]을 개발하던 때에 우주적외선망원경시설(후일 [[스피처 우주 망원경]])을 계획하기도 하는 등, 당시 적외선 천문학은 잠재력이 큰 마당으로 인정받고 있었다.<ref name="60번 각주"/> 우주 천문대는 지상 망원경과 달리 대기의 적외선 흡수로부터 자유로웠기 때문에 천문학자들에게 천문학의 새로운 지평을 열어주었다.

{{Blockquote|명목 비행 고도가 400km 이상인 곳의 얇은 대기에서는 측정 가능한 흡수가 나타나지 않으므로 5 μm에서 1000 μm의 파장에서 운용되는 디텍터가 큰 복사 감도를 달성할 수 있다.|S. G. McCarthy and G. W. Autio, 1978.<ref name="60번 각주"/>}}

그러나 적외선 망원경은 한 가지 단점을 지닌다. 망원경이 극도로 차가운 온도를 유지해야 하는 것이다. 적외선에서도 긴 파장을 관측할수록 더 차가운 상태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 그렇지 않으면 기기 자체가 발산하는 배경 열이 표적에서 들어오는 적외선 세기를 압도하여 디텍터를 사실상 아무것도 볼 수 없는 상태로 만든다. 이는 망원경을 [[액체 헬륨]] 같은 극저온 물질을 사용하는 {{임시링크|극저온 저장 듀어|en|Cryogenic storage dewar|label=듀어}} 속에 두는 방식처럼 우주선을 신중히 설계함으로써 극복할 수 있다. 냉매는 서서히 기화하기 때문에 장비의 수명을 짧으면 수 개월에서 길면 수 년으로 제한한다.<ref name="20번 각주"/> 이러한 방식으로 제작된 허블의 {{임시링크|근적외선 카메라 겸 다중 표적 분광기|en|Near Infrared Camera and Multi-Object Spectrometer}}(NICMOS)는 처음에 사용하던 질소 얼음 블럭 냉매가 2년 만에 고갈된 후 극저온 냉각기로 교체한 바 있었다.

냉매가 소진된 후 제한된 능력으로 실시되었던 [[스피처 우주 망원경]]과 [[광역적외선탐사위성]]의 연장 임무처럼 냉매 공급 없이 충분히 낮은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우주선을 설계하여 근적외선을 관측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은 듀어 없이 차양막과 [[라디에이터]]만으로 냉각이 가능하게끔 설계되었지만, 중적외선 관측 장비는 별도의 극저온 냉각기를 사용한다.<ref name="61번 각주"/>

{| class=wikitable style="margin:10px; text-align:center;"
|-
|+ 비교 예시로 선택된 우주 망원경과 관측 장비<ref name="62번 각주"/>
|-
! 이름
! 출시 연도 !! [[전자기 스펙트럼|파장]] <br />(μm) !! 구경 <br />(m)
! 냉각 방식
|-
| {{임시링크|스페이스랩 적외선 망원경|en|Spacelab Infrared Telescope}} (IRT)
| 1985 || 1.7~118 || 0.15
| 헬륨
|-
| {{임시링크|적외선 우주 천문대|en|Infrared Space Observatory}} (ISO)<ref name="63번 각주"/>
| 1995 || 2.5~240 || 0.60
| 헬륨
|-
| style="max-width:250px;" | 허블 {{임시링크|우주 망원경 영상 분광기|en|Space Telescope Imaging Spectrograph}} (STIS)
| 1997 || 0.115~1.03 || 2.4
| 패시브
|-
| style="max-width:250px;" | 허블 {{임시링크|근적외선 카메라 겸 다중 표적 분광기|en|Near Infrared Camera and Multi-Object Spectrometer}} (NICMOS)
| 1997 || 0.8~2.4 || 2.4
| 질소, 후일 {{임시링크|극저온 냉각기|en|cryocooler}}
|-
| [[스피처 우주 망원경]]
| 2003 || 3~180 || 0.85
| 헬륨
|-
| 허블 {{임시링크|광각 카메라 3|en|Wide Field Camera 3}} (WFC3)
| 2009 || 0.2~1.7 || 2.4
| 패시브, [[열전냉각]]<ref name="64번 각주"/>
|-
| [[허셜 우주 망원경]]
| 2009 || 55~672 || 3.5
| 헬륨
|-
|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
| 2021 || 0.6~28.5 || 6.5
| 패시브, 극저온 냉각기(MIRI)
|}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은 개발 지연과 비용에 관해서 전임 {{임시링크|대규모 전략 과학 임무|en|Large strategic science missions|label=플래그십 임무}}였던 [[허블 우주 망원경]]과 비교되는 일이 잦았다. 허블의 개발 비용은 사업이 공식적으로 시작되던 1972년에 3억 달러(2006년 기준으로 10억 달러 상당)였지만, 1990년 발사 당시에는 그 네 배를 초과하였으며, 후속으로 신형 장비 개발과 정비 임무가 이루어지면서 총비용은 2006년 기준으로 최소 90억 달러에 이르렀다.<ref name="65번 각주"/>

== 개발사 ==
{{참고|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 연표}}

=== 배경 (2003년까지의 개발) ===
{| class=wikitable style="float:right; margin-left:0.5em; font-size:88%;"
|+ 주요 이정표
! 연도 !! 사건
|-
| 1996 || 차세대 우주 망원경 프로젝트 최초 제안 (주거울 크기: 8 m)
|-
| 2001 || 차세대 우주 망원경 시범기로 추진되던 넥서스 우주 망원경 사업 취소<ref name="66번 각주"/>
|-
| 2002 || 사업 명칭을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으로 변경 제안 (주거울 크기를 6 m로 축소)
|-
| 2003 || [[노스롭 그루먼]]이 망원경 제작 하도급 계약 체결
|-
| 2007 || NASA와 ESA 간 [[양해각서]] 체결<ref name="67번 각주"/>
|-
| 2010 || 임무중요설계검토(MCDR) 통과
|-
| 2011 || 계획 취소 제안
|-
| 2016 || 최종 조립 완료
|-
| 2021 || 발사
|}

허블 우주 망원경의 후계기에 관한 논의는 1980년대부터 시작되었지만, 본격적인 계획은 1990년대 초반부터 이루어졌다.<ref name="68번 각주"/> 1989년부터 1994년 사이에는<ref name="69번 각주"/> ''Hi-Z'' 망원경이 구상되었는데, 3[[천문단위]] 궤도에서 운용할 배플{{efn|name=2번 내용주|본문에 쓰인 배플(Baffle)은 광학부가 재래의 [[광학 망원경]]과 비슷하게 망원경 시야 외에서 들어오는 빛을 차단하게끔 튜브로 감싸져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실제 용례는 다음 바깥 고리를 참고. {{cite conference|author=Freniere, E.R.|conference=Radiation Scattering in Optical Systems|book-title=Society of Photo-Optical Instrumentation Engineers (SPIE) Conference Series, First-order design of optical baffles|volume=257|pages=19–28|date=1981|bibcode=1981SPIE..257...19F|title=First-order design of optical baffles |doi=10.1117/12.959598}}}} 구조의 {{cvt|4|m}} 구경 적외선 망원경 개념이었다.<ref name="70번 각주"/> 이처럼 태양에서 먼 궤도는 {{임시링크|행성간 먼지 구름|en|Zodiacal cloud|label=황도 먼지}}에 의한 노이즈가 적다는 장점이 있었다.<ref name="70번 각주"/> 다른 초창기 계획으로는 넥서스({{llang|en|NEXUS}}) 기술 실증 망원경 임무가 있었다.<ref name="71번 각주"/><ref name="72번 각주"/>

허블 우주 망원경 임무 첫해에 일어난 [[허블 우주망원경#거울의 결함|광학 결함]]을 교정하는 일은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의 탄생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1993년, NASA는 [[STS-61]] [[허블 우주망원경#Servicing Mission 1|우주 망원경 임무]]를 실시하여 허블의 관측 장비를 교체하고 영상 분광기에 대해 주거울의 [[구면수차]]를 보정할 수 있는 기구를 설치하였다.

1994년에는 "21세기의 첫 10년 동안 우주에서 광학 천문학과 자외선 천문학을 수행할 임무와 사업을 연구하고자" 〈허블과 그 이후〉 위원회가 소집되었다.<ref name="73번 각주"/> 허블의 성공으로 대담해진 관계자들은 1996년에 최초의 은하가 탄생하는 순간까지 우주시를 거슬러 올라갈 수 있도록 규모가 크고 차가운 적외선 망원경을 구상한 보고서를 내놓았다. 망원경의 주요 과학적 목표는 허블의 능력을 웃도는 것이었다. 허블은 온도가 높아서 자체 광학계가 방출하는 적외선 때문에 그러한 파장을 관측할 수 없기 때문이었다. NASA는 허블의 임무를 2005년까지 연장하고 [[외계행성|외계 항성 주변의 행성]]을 탐색하는 기술을 개발하라는 권고에 이어서 크고 차가운 (0 ˚C보다 훨씬 낮은 온도로 복사 냉각이 가능한) 우주 망원경을 제작하라는 〈허블과 그 이후〉 위원회의 권고<ref name="74번 각주"/>를 적극적으로 수용하였으며, 후일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으로 이어지는 사업을 착수하였다.

향후 10년간의 연구 우선순위를 살피고 권고하는 검토문으로 [[전미연구평의회]]가 발간하는 {{임시링크|천문학과 천체물리학 10년 개관 보고서|en|Astronomy and Astrophysics Decadal Survey}}의 2000년 호 준비 과정에서, 차세대 우주 망원경으로 이름 붙여진 이 사업에 관해 추가적인 연구조사와<ref name="75번 각주"/> NASA 제반 기술의 발전이 다루어지기도 하였다. 때가 무르익으면서 〈허블과 그 이후〉 위원회가 "기원"으로 일원화한 바 있었던 주요 목표들인 초기 우주에서 은하의 탄생을 연구하는 일과 외계 항성 주변 행성을 탐색하는 일이 부각되기 시작하였다. 예상대로 NGST 사업은 2000년 향후10년조사에서 가장 높은 우선순위로 매겨졌다.<ref name="76번 각주"/>

당시 NASA 국장 {{임시링크|대니얼 골딘|en|Daniel Goldin|label=댄 골딘}}은 "더 빠르게, 더 좋게, 더 저렴하게"({{llang|en|faster, better, cheaper}})라는 표어를 제시하며, 천문학에 큰 변혁을 불러일으키고자 단일 거울이 아닌 분할 거울 제작 방식을 채택했다. 고장나기 쉬운 동적 부위를 최소화하기보다 감수하기로 한 선택이었다. 거울의 중량을 10분의 1로 줄이는 것을 목표로 처음에는 미세한 유리층이 덧씌워진 [[실리콘 카바이드]] 소재가 연구되었지만, 결국에는 [[베릴륨]]이 채택되었다.<ref name="68번 각주"/>

1990년대 중반의 "더 빠르게, 더 좋게, 더 저렴하게" 시대에 차세대 우주 망원경 사업은 5억 달러의 비용으로 {{cvt|8|m}} 구경의 망원경을 L<sub>2</sub>에 띄워올린다는 구상이었다.<ref name="77번 각주"/> 1997년, NASA는 고더드우주비행센터<ref name="78번 각주"/>와 {{임시링크|볼 에어로스페이스 앤 테크놀로지스|en|Ball Aerospace & Technologies}}<ref name="79번 각주"/>와 {{임시링크|TRW 주식회사|en|TRW Inc.|label=TRW}}<ref name="80번 각주"/>와 함께 차세대 우주 망원경에 관하여 제안된 세 가지 구상의 기술 요구사항과 비용을 연구하였으며, 1999년에는 [[록히드 마틴]]<ref name="81번 각주"/>과 TRW를 선정하여 기본 구상을 연구하였다.<ref name="82번 각주"/> 당초 발사는 2007년으로 계획되었지만, 여러 차례 연기되었다([[#비용과 일정 문제|아래 표]] 참고).

2002년, 차세대 우주 망원경 사업은 1961년부터 1968년까지 제2대 NASA 국장을 맡았던 [[제임스 에드윈 웨브]]의 이름으로 개칭되었다.<ref name="83번 각주"/> 웨브는 [[아폴로 계획]] 기간에 NASA를 이끌었으며, 과학 연구를 NASA의 핵심 활동으로 확립한 사람이었다.<ref name="84번 각주"/>

2003년, NASA는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 사업에 관해 TRW와 8억 2,480만 달러 규모의 원청 계약을 체결하였다. 설계 사항에서 주거울은 {{cvt|6.1|m}}로 축소되었고 발사일은 2010년까지로 요구되었다.<ref name="85번 각주"/> 당해 말엽에 TRW는 [[노스롭 그루먼]]에 적대적 인수합병되어 노스롭 그루먼 스페이스 테크놀로지로 사명이 변경되었다.<ref name="82번 각주"/>

=== 초창기 개발과 재계획 (2003~2007) ===
[[파일:JWST people.jpg|thumb|upright=1.0|right|NASA [[고더드 우주 비행 센터|고더드우주비행센터]]에 전시된 실물 크기의 초기 모형. 2005년 촬영.]]

망원경의 개발은 NASA의 고더드우주비행센터가 맡았으며, 프로젝트 책임 과학자는 [[존 C. 매더|존 크롬웰 매더]]가 맡았다. 하도급은 두 부분으로 나뉘었다. 노스롭 그루먼 에어로스페이스 시스템즈는 우주선 본체와 차양막, {{임시링크|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 광학부|en|Optical Telescope Element|label=광학부}}와 우주선 본체를 잇는 전개식 타워 조립체({{llang|en|Deployable Tower Assembly}}, DTA)와 궤도에서 차양막이 펼쳐지는 것을 돕는 미드 붐 조립체({{llang|en|Mid Boom Assembly}}, MBA) 등 우주선부의 개발과 제작을 맡았다.<ref name="86번 각주"/> 한편, 볼 에어로스페이스 앤 테크놀로지스는 광학부와 [[통합과학장비모듈]](ISIM)의 개발과 제작을 하청 받았다.<ref name="38번 각주"/>

2005년 봄에 사업 예상 비용이 증가한 것으로 밝혀지면서 2005년 8월에 대대적인 재계획이 단행되었다.<ref name="87번 각주"/> 재계획이 기술적으로 끼친 주요한 영향은 장비 통합과 시험 일정에 큰 변화가 생겼다는 점이다. 발사 일정이 2011년에서 2013년으로 22개월 지연되었으며, 1.7 μm보다 짧은 파장의 관측 기능에 대한 장치 레벨의 테스트가 생략되었다. 망원경의 다른 주요한 특징은 바뀌지 않았다. 사업은 재계획이 있은 후 2006년 4월에 외부 검토를 받기도 하였다.

2005년 재계획 당시 사업의 수명 기간 내 비용은 45억 [[달러]]로 추산되었다. 이는 설계와 개발과 발사와 운용 준비(커미셔닝)에 약 35억 달러, 발사 후 10년간 운용에 대략 10억 달러로 추산한 비용을 합한 것이다.<ref name="87번 각주"/> [[유럽우주국|ESA]]는 발사를 포함해서 약 3억 [[유로]]의 비용을 지불하기로 합의하였으며,<ref name="88번 각주"/> [[캐나다우주국]]은 2007년에 3,900만 [[캐나다 달러]]를 계약한 후<ref name="89번 각주"/> 2012년에 망원경을 지향시키고 외계행성 대기 상태를 탐지하는 장비를 제공하였다.<ref name="90번 각주"/>

=== 상세 설계와 제작 (2007~2021) ===
{{multiple image
| align = right
| total_width = 400
| image1 = James Webb Space Telescope Mirror29.jpg
| caption1 =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의 거울 세그먼트. 2010년 촬영.
| image2 = James Webb Space Telescope Mirror37.jpg
| caption2 = [[마셜 우주 비행 센터|마셜우주비행센터]]의 엑스선 극저온 시설에서 극저온 시험을 받는 거울 세그먼트.}}

[[파일:NASA’s James Webb Space Telescope Completes Environmental Testing (50427670958) (cropped).jpg|thumb|upright=0.9|환경시험을 마치고 조립된 망원경.]]

2007년 1월, 열 가지 기술개발 항목 중에서 아홉 개의 항목이 비우호검토({{llang|en|Non-Advocate Review}})를 성공적으로 통과했다.<ref name="91번 각주"/> 이러한 기술은 사업의 잠재적 위험을 없앨 수 있을 만큼 충분히 성숙한 것으로 여겨졌다. 나머지 기술개발 항목이었던 MIRI 극저온 냉각기는 2007년 4월에 기술 성숙의 여정을 마쳤다. 이러한 기술 검토는 궁극적으로 프로젝트가 상세한 설계 단계(C 단계)로 가는 과정의 첫 절차를 밟았음을 뜻하였다. 2007년 5월까지 사업 비용은 아직 목표 내에 있었다.<ref name="92번 각주"/> 2008년 3월, 사업은 기본설계검토({{llang|en|Preliminary Design Review}})를 성공적으로 완료하였다. 2008년 4월에는 비우호검토를 통과하였으며, 2009년 3월의 통합과학장비모듈 검토와 2009년 10월의 광학부 검토, 2010년 1월의 차양막 검토 역시 통과하였다.<ref name="93번 각주"/>

2010년 4월, 제임스 웹 망원경은 임무중요설계검토({{llang|en|Mission Critical Design Review}}, MCDR)의 기술 부문을 통과하였다. MCDR이 이전의 모든 설계 검토를 망라하였기 때문에 MCDR을 통과하였다는 것은 장치 통합을 마친 우주 망원경이 임무에 필요한 과학적 요건과 공학적 요건을 모두 충족할 수 있다는 의미였다.<ref name="94번 각주"/> 사업 일정은 MCDR 이후 독립종합검토패널({{llang|en|Independent Comprehensive Review Panel}})이라는 과정에서 수 개월을 검토 받았고, 재계획을 통해 2015년 발사를 목표로 하게 되었지만, 2018년으로 연기되었다. 2010년까지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 자체는 예정대로 사업이 진행되었지만, 비용 초과를 겪으면서 다른 프로젝트의 일정에 영향을 미쳤다.<ref name="95번 각주"/>

2011년까지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 사업은 최종 설계와 제작 단계(C 단계)에 있었다.

기계팔을 이용한 주거울의 육각 세그먼트 조립은 2015년 11월부터 시작되어 2016년 2월 3일에 완료되었다. 부거울은 2016년 3월 3일에 설치되었다.<ref name="96번 각주"/><ref name="97번 각주"/> 제임스 웹 망원경은 2016년 11월에 최종적으로 완성되었으며, 이후부터 대대적인 시험 절차에 들어갔다.<ref name="98번 각주"/>

2018년 3월, NASA는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의 전개 실험에서 차양막이 찢어지고 차양막 케이블의 장력이 팽팽하지 않게 펼쳐지는 바람에 망원경의 발사 일정을 2년 후인 2020년 5월로 미루었다. 2018년 6월, NASA는 2018년 3월의 테스트 전개에 실패한 후 소집된 외부 검토 위원회의 평가에 따라 발사 기한을 2021년 3월로 10개월 더 연기했다.<ref name="99번 각주"/> 검토 결과에 의하면,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의 발사와 전개는 344군데의 잠재적 [[단일 장애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실패 시 복구 수단이나 대안이 없으므로 망원경이 작동하려면 반드시 성공해야 할 과제였다.<ref name="100번 각주"/> 2019년 8월, 망원경의 기계적인 통합이 완료되었다. 이는 원래대로면 당시로부터 12년 전인 2007년에 예정되어 있었던 일이었다.<ref name="101번 각주"/>

완성된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은 캘리포니아 [[리돈도비치]]의 노스롭 그루먼 공장에서 마지막 테스트를 받았다.<ref name="102번 각주"/> 망원경은 2021년 9월 26일에 선박에 실린 채 캘리포니아를 떠나 [[파나마 운하]]를 경유한 후 2021년 10월 12일에 [[프랑스령 기아나]]에 도착했다.<ref name="103번 각주"/>

=== 비용과 일정 문제 ===

NASA의 사업 비용은 2021년 기준으로 97억 달러로 예상된다. 그 중에서 88억 달러가 우주선 설계와 개발에 사용되었고, 8억 6,100만 달러가 발사 후 5년 임무 수행에 지원될 계획이다.<ref name="104번 각주"/> [[유럽우주국|ESA]]와 [[캐나다우주국|CSA]]의 사업 참여 금액은 관계자들에 의하면 각각 7억 유로와 2억 캐나다 달러에 이른다고 한다.<ref name="105번 각주"/>

1984년, 우주과학위원회({{llang|en|Space Science Board}})의 연구에 의하면 차세대 적외선 천문대를 만들어서 궤도에 올리는 데는 40억 달러(2006년 기준 70억 달러 상당, 2020년 기준 100억 달러 상당)의 비용이 소요될 것으로 추정되었다.<ref name="65번 각주"/> 이 수치는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 사업의 최종 비용에 근접하지만, 1990년대 후반에 고려된 NASA의 사업 초안은 제작 기간 10년 동안 10억 달러를 목표로 하여 비교적 저렴했다. 시간이 지나면서 사업은 설계 요구사항이 늘어나고 예기치 않은 상황에 대한 비용이 추가되며 일정에 관해서 여러 차례 지연을 겪었다.

{| class="wikitable" style="float:right; margin-left:0.5em; font-size:0.9em;"
|+ 당시 계획된 발사 일정과 총비용
|-
! 연도
! 발사 일정
! 예산<br /><small>(억 달러)</small>
|-
| 1998 || 2007<ref name="106번 각주"/> || 10<ref name="65번 각주"/>
|-
| 2000 || 2009<ref name="43번 각주"/> || 18<ref name="65번 각주"/>
|-
| 2002 || 2010<ref name="107번 각주"/> || 25<ref name="65번 각주"/>
|-
| 2003 || 2011<ref name="108번 각주"/> || 25<ref name="65번 각주"/>
|-
| 2005 || 2013 || 30<ref name="109번 각주"/>
|-
| 2006 || 2014 || 45<ref name="110번 각주"/>
|-
|colspan=3 style="text-align:center"|2008: 기본설계검토
|-
| 2008 || 2014 || 51<ref name="111번 각주"/>
|-
|colspan=3 style="text-align:center"|2010: 중요설계검토
|-
| 2010 || 2015~2016 || 65<ref name="112번 각주"/>
|-
| 2011 || 2018 || 87<ref name="113번 각주"/>
|-
| 2017 || 2019<ref name="114번 각주"/> || 88
|-
| 2018 || 2020<ref name="115번 각주"/> || ≥88
|-
| 2019 || 2021년 3월<ref name="116번 각주"/> || 96.6
|-
| 2021 || 2021년 12월<ref name="117번 각주"/> || 97.0
|}

제임스 웹 사업이 기본설계검토에 들어가고 공식적으로 제작이 확정된 2008년에는 이미 10억 달러 이상이 망원경을 개발하는 데 쓰였고, 당시 총비용은 약 50억 달러(2021년 기준 69억 4천만 달러 상당)로 추산되었다.<ref name="118번 각주"/> 2010년 여름, 사업은 모든 기술 문제에 대해서 우수한 성적으로 중요설계검토를 통과하였지만, 당시 일정과 비용이 계획에서 엇나가는 일로 인해 [[바바라 미컬스키]] 메릴랜드 상원의원은 사업을 외부에서 검토하도록 요청하기도 하였다. [[제트추진연구소]]의 존 카사니({{llang|en|John Casani}})가 위원장으로 소집된 독립종합검토패널(ICRP)은 일러도 2015년 말에야 발사가 가능할 것이고, 15억 달러의 비용이 추가로 들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이들은 2011년 예산과 2012년 예산에 추가 예산을 편성할 필요가 있을 것이며, 발사일이 늦어질 경우 총비용이 더 증가할 것이라고 지적하였다.<ref name="112번 각주"/>

2011년 7월 6일, 미국 하원의 상업법무과학세출위원회는 NASA 총예산의 4분의 1가량을 차지하고 있던 제임스 웹 사업을 취소하기 위해 2012년 예산안에서 NASA 예산을 19억 달러 삭감하기로 하였다.<ref name="119번 각주"/><ref name="120번 각주"/><ref name="121번 각주"/><ref name="122번 각주"/> 이미 사업에 30억 달러가 지출되었으며, 망원경 하드웨어의 75%가 제작 중이던 상황이었다.<ref name="123번 각주"/> 이 예산안은 이튿날 소위원회 의결을 통해 승인되었다. 위원회는 제임스 웹 사업이 "예산보다 수십억 달러를 초과하고 부실한 관리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라고 비판했다.<ref name="119번 각주"/> 이에 대해 [[미국 천문학 협회|미국천문학회]]는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 사업을 지지하는 성명을 내었으며,<ref name="124번 각주"/> 미컬스키 상원의원 역시 마찬가지였다.<ref name="125번 각주"/> 그해에 제임스 웹 사업을 지지하는 사설 다수가 국제 언론에 기고되기도 하였다.<ref name="119번 각주"/><ref name="126번 각주"/><ref name="127번 각주"/> 2011년 11월, 미국 의회는 제임스 웹 사업 취소를 철회하는 대신 사업 완료를 위한 추가 비용을 80억 달러로 제한하기로 하였다.<ref name="128번 각주"/>

허블 망원경 등 NASA의 다른 주요 사업 역시 유사한 문제가 있었지만, 일부 과학자들은 제임스 웹 망원경의 비용 증가와 일정 지연에 관한 걱정과 함께 망원경의 예산이 다른 우주 과학 프로그램의 예산과 책정에 관해서 경쟁할 수 있다는 우려를 표했다.<ref name="129번 각주"/><ref name="130번 각주"/> 2010년 [[네이처]] 기사에서는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을 "천문학을 잡아먹은 망원경"으로 묘사하기도 하였다.<ref name="131번 각주"/> NASA는 의회로부터 사업 예산과 일정을 꾸준히 변호하고자 했다.<ref name="130번 각주"/><ref name="132번 각주"/>

2018년, 제임스 웹 사업의 새로운 감독으로 {{임시링크|그레고리 로빈슨|en|Gregory L. Robinson}}이 부임하였다.<ref name="133번 각주"/> 로빈슨이 사업 스케줄의 효율(얼마나 많은 조치가 제시간에 완료되었는지)을 50%에서 95%로 끌어올리자,<ref name="133번 각주"/> 로빈슨의 상사인 {{임시링크|토마스 쥐르뷔헨|en|Thomas Zurbuhen}}은 제임스 웹 사업의 진척도를 높이는 데 공헌을 한 그를 두고 "NASA 역사상 내가 본 임무 리더 중에서 가장 효율적인 리더"라고 평했다.<ref name="133번 각주"/> 2022년 7월, 제임스 웹이 준비 과정을 끝마치고 최초 관측 자료를 전송해오기 시작할 무렵에 로빈슨은 NASA에서 보낸 33년의 커리어를 끝마치며 은퇴했다.<ref name="134번 각주"/>

2018년 3월 27일, NASA는 발사 예정일을 2020년 5월 이후로 미루면서<ref name="115번 각주"/> [[유럽우주국]]과 함께 발사 이후에 지출될 최종 예상 비용을 추산하였다.<ref name="135번 각주"/><ref name="136번 각주"/><ref name="137번 각주"/> 2019년, 제임스 웹의 임무 비용 상한이 8억 달러 증가하였다.<ref name="138번 각주"/>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은 2020년에 코로나19 유행으로 발사가 무기한 연기되었다가<ref name="139번 각주"/> 2021년 연말이 되어서야 마침내 100억 달러에 조금 못 미치는 총비용으로 발사되었다.

=== 협력 ===

NASA와 ESA와 CSA는 망원경 사업을 1996년부터 협업하였다. ESA의 제작과 발사 부문 참여는 2003년에 승인되었고, NASA와의 협약은 2007년에 체결되었다. ESA는 완전 파트너십과 대표권과 기관 소속 천문학자들이 우주 망원경에 접근하는 권한을 대가로 NIRSpec 장비와 MIRI 광학 벤치 조립체({{llang|en|Optical Bench Assembly}})와 [[아리안 5|아리안 5 ECA]] 로켓과 운영 지원 인력을 제공하였다.<ref name="88번 각주"/><ref name="140번 각주"/> CSA는 정밀지향센서와 근적외선 영상 장치 겸 무슬릿 분광기와 운영 지원 인력을 제공하였다.<ref name="141번 각주"/>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의 제작과 시험과 장비 통합에는 15개국의 과학자와 엔지니어와 기술자 수천 명이 참여했다.<ref name="142번 각주"/> 발사 전 사업에 참여한 기업과 정부 기관과 학술단체는 총 258개에 이른다. 그중에서 미국은 142개, 유럽 12개국은 104개(영국 21개, 프랑스 16개, 독일 12개, 그 외 7개<ref name="143번 각주"/>), 캐나다는 12개 단체가 참여했다.<ref name="142번 각주"/> 그 외에 [[호주]]처럼 NASA의 파트너로서 발사 후 운영에 관여한 국가도 있었다.<ref name="144번 각주"/>

사업에 참여한 국가는 다음과 같다.
{{div col|colwidth=22em}}
* {{국기나라|오스트리아}}
* {{국기나라|벨기에}}
* {{국기나라|캐나다}}
* {{국기나라|체코}}
* {{국기나라|덴마크}}
* {{국기나라|핀란드}}
* {{국기나라|프랑스}}
* {{국기나라|독일}}
* {{국기나라|그리스}}
* {{국기나라|아일랜드}}
* {{국기나라|이탈리아}}
* {{국기나라|룩셈부르크}}
* {{국기나라|네덜란드}}
* {{국기나라|노르웨이}}
* {{국기나라|포르투갈}}
* {{국기나라|스페인}}
* {{국기나라|스웨덴}}
* {{국기나라|스위스}}
* {{국기나라|영국}}
* {{국기나라|미국}}
{{div col end}}

=== 명칭에 관한 논란 ===

2002년, NASA 국장(2001~2004) {{임시링크|션 오키프|en|Sean O'Keefe}}가 1961년부터 1968년까지 NASA 국장으로 지내며 [[머큐리 계획|머큐리]]와 [[제미니 계획|제미니]]와 [[아폴로 계획|아폴로]] 계획의 상당 부분을 추진하였던 [[제임스 에드윈 웨브]]의 이름을 따서 망원경을 개칭하였다.<ref name="83번 각주"/><ref name="84번 각주"/>

2015년, 20세기 중반 [[미국 연방정부]]가 [[라벤더 공포]]로 인해 [[동성애자]]를 대상으로 고용 차별했던 시기에 제임스 웨브의 행적에 관한 우려가 제기되었다.<ref name="145번 각주"/><ref name="146번 각주"/>

== 임무 목표 ==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은 다음의 네 가지 사항을 핵심 목표로 두고 있다.

* [[빅뱅]] 이후 [[우주]]에 나타난 최초의 별과 은하에서 오는 빛 탐색
* [[은하의 형성과 진화]] 연구
* [[항성 형성|별 탄생]]과 [[성운설#행성들의 생성|행성 형성]] 이해
* 행성계와 [[생명의 기원|생물 기원]] 연구<ref name="147번 각주"/>

이러한 목표는 가시광선 [[스펙트럼]]보다 근적외선 스펙트럼을 관측함으로써 더 효율적으로 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제임스 웹의 관측 장비는 허블 망원경처럼 [[가시광선]]이나 [[자외선]]을 측정하지 않으며, [[적외선 천문학]]을 수행하기 위한 능력만 극대화되었다. 제임스 웹은 0.6~28 μm [[파장]]([[주황색]] 가시광선에서 {{cvt|100|K}} 물체가 내는 장파 적외선 복사에 대응)에서 기능한다.

제임스 웹 망원경은 2015년 발견된 {{임시링크|KIC 8462852|en|Tabby's Star}}처럼 특이한 광도 곡선 맵시를 보여주는 천체에 관하여 물리학적인 정보를 얻을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을 것이다.<ref name="148번 각주"/> 또한, 제임스 웹이 외계행성 대기에서 [[메탄]]의 유무를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천문학자]]들은 이를 통해 메탄을 생명체가 존재하는 징후로 여길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ref name="149번 각주"/><ref name="150번 각주"/>

=== 궤도 형태 ===
[[파일:L2 rendering.jpg|thumb|upright=1.0|right|제임스 웹은 정확히 L<sub>2</sub> 점에 있지 않으며, 그 주변을 [[헤일로 궤도]]로 공전한다.]]

[[파일:Carina Nebula in Visible and Infrared.jpg|thumb|upright=1.0|right|[[용골자리 성운]]을 바라본 [[허블 우주 망원경]]의 두 가지 시각을 비교한 이미지. 위는 가시광선 이미지이고 아래는 적외선 이미지이다. 적외선에서 훨씬 많은 별들이 보인다.]]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은 태양에서 지구 궤도보다 {{cvt|1,500,000|km}} 더 멀리 있는 태양-지구계 제2 라그랑주점(L<sub>2</sub>) 주변을 공전한다. 이는 지구에서 달 궤도보다 네 배 정도 더 먼 거리다. 일반적으로 지구보다 멀리서 태양을 도는 물체는 한 번 공전하는 데 1년보다 더 오랜 시간이 걸리지만, L<sub>2</sub> 점 주변에서는 지구 [[중력]]과 태양 중력의 합력 덕분에 우주선이 지구와 같은 주기로 태양을 공전할 수 있다. 우주선이 지구 주변에 머물기 때문에 먼 궤도보다 데이터 전송률이 크다는 장점도 있다.

제임스 웹 망원경은 태양-지구 L<sub>2</sub> 점 주변을 [[황도]]에 대해 기울어진 [[헤일로 궤도]]로 맴돌며, L<sub>2</sub> 점에 대해 {{cvt|250,000|km}}에서 {{cvt|832,000|km}} 거리를 유지하면서 반년 주기로 회전한다.<ref name="24번 각주"/> L<sub>2</sub>가 중력이 작용하지 않는 평형점이기 때문에 헤일로 궤도는 일반적인 의미의 궤도가 아니다. 우주선은 실제로 태양을 공전하고 있으며, 헤일로 궤도는 우주선이 L<sub>2</sub> 점 부근에 표류하도록 하는 우주 비행으로 여길 수 있다.<ref name="151번 각주"/> 이에 따라 93 m/s의 총 {{임시링크|Δv 비용|en|Delta-v budget}}<ref name="153번 각주"/>에서 연간 2.5m/s 정도의 [[궤도 스테이션 키핑|궤도 수정]]이 필요하다.<ref name="152번 각주"/> 망원경의 추진 장치는 두 쌍의 스러스터로 구성되어 있다.<ref name="154번 각주"/> 스러스터가 제임스 웹의 태양 지향면에만 있기 때문에 모든 궤도 수정 작업은 망원경을 준안정적인 L<sub>2</sub> 점 너머로 밀어내어 원위치로 되돌릴 수 없게 되는 불상사를 피하도록 요구 추력이 조금 언더슛 되도록 설계되었다.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의 장치 통합 및 시험 프로젝트 책임 과학자 랜디 킴블({{llang|en|Randy Kimble}})은 제임스 웹의 정밀한 스테이션 키핑을 "산마루 부근의 완만한 비탈길 위에서 바위를 (…) 굴리는 [[시시포스]]"에 비유하며 "우리는 바위가 산꼭대기 아래로 굴러내려 가 시시포스에게서 멀어지는 것을 절대 원하지 않는다"라고 말했다.<ref name="155번 각주"/>

{{multiple image | align =center| direction = horizontal| width =
| header =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의 궤적 애니메이션
| image1 = Animation of James Webb Space Telescope trajectory - Polar view.gif
| caption1 = 위에서 본 모습
| image2 = Animation of James Webb Space Telescope trajectory - Equatorial view.gif
| caption2 = 옆에서 본 모습
| image3 = Animation of James Webb Space Telescope trajectory - Viewed from the Sun.gif
| caption3 = 태양에서 본 모습
| footer =
}}

=== 적외선 천문학 ===
[[파일:HUDF-JD2.jpg|thumb|upright=1.0|right|적외선으로 관측하면 이미지의 {{임시링크|HUDF-JD2|en|HUDF-JD2}}처럼 가시광선에서 보이지 않는 천체도 볼 수 있다.]]
[[파일:Atmospheric Transmission-en.svg|thumb|upright=1.0|right|적외선에서 대기의 창. 이 대역의 빛 상당 부분은 지표면에 닿지 못한다. 무지개에 비유하면 다채로운 색은 보이지 않고 한 가지 색만 보이는 셈이다.]]

제임스 웹 망원경은 [[허블 우주 망원경]]의 공식적인 후계기이지만, [[적외선 천문학]]에 중점을 두고 있기 때문에 [[스피처 우주 망원경]]의 후계기이기도 하다. 제임스 웹은 오래된 별과 은하를 관측하는 데서 두 망원경의 능력을 훨씬 웃돈다.<ref name="156번 각주"/> 적외선 스펙트럼을 관측하는 것은 그러한 일을 해내는 데 꼭 필요한 기술이다. [[적색편이#공간의 팽창에 의한 적색편이|우주론적 적색편이]] 때문에 물체를 관측하기 쉬운 파장이 옮겨간 대역이 적외선이고, 불투명한 먼지와 가스를 잘 꿰뚫어 볼 수 있는 것이 적외선이기 때문이다. 이를 통해 어둡고 차가운 천체를 관측하는 것도 가능하다. 지상 적외선 천문학은 지구 대기에 있는 [[수증기]]와 [[이산화탄소]]가 적외선을 강하게 흡수하기 때문에 대기가 덜 흡수하는 좁은 파장에만 국한되었다. 또한, 대기는 적외선을 방출하기도 하므로 표적에서 오는 적외선을 압도하는 일도 흔하다. 이러한 이유로 적외선 관측에는 우주 망원경이 선호된다.<ref name="157번 각주"/>

거리가 멀수록 천체는 더 어려 보인다. 빛이 관찰자에게 오는 데 걸리는 시간이 그만큼 더 오래 걸리기 때문이다. [[우주의 팽창|우주가 팽창]]하기 때문에 빛은 여기로 오면서 [[파장]]이 길어진다. 거리가 멀어서 빛이 여기로 오는 데 걸리는 시간이 더 많이 걸릴수록 그동안 우주가 더 많이 팽창했기 때문에 빛의 파장도 그만큼 더 길어진다. 따라서 극히 멀리서 가시광선을 방출하는 물체들은 방출한 빛이 우주의 팽창에 의해서 적외선 대역으로 옮겨가기 때문에 적외선에서 관측해야 한다.<ref name="158번 각주"/> 이러한 면에서 제임스 웹이 적외선을 관측하는 능력은 빅뱅 이후 수억 년이 지나서 최초의 은하가 형성되는 시기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ref name="159번 각주"/>

적외선 복사는 가시광선을 잘 [[산란]]하는 우주 먼지가 있는 곳도 자유롭게 통과할 수 있다. 이러한 적외선 관측을 통해 별이 탄생하는 [[분자운]]이나 행성이 만들어지는 [[별주위원반]], [[활동은하핵]]처럼 가시광선에서 가스와 먼지에 차폐되어 보이지 않는 공간의 천체도 연구할 수 있다.<ref name="158번 각주"/>

수천 도 미만의 비교적 차가운 물체는 [[플랑크 법칙]]에 따라 복사의 대부분을 적외선 대역에서 방출한다. 그 결과, 별보다 온도가 낮은 천체 대부분은 적외선에서 연구하기가 쉽다.<ref name="158번 각주"/> 그러한 천체로는 [[성간물질]]과 [[갈색왜성]]과 태양계 [[행성]] 및 [[외계행성]]과 [[혜성]]과 [[카이퍼대 천체]]가 있는데, 이들은 모두 중적외선 관측 장비(MIRI)의 관측 범주에 있다.<ref name="43번 각주"/><ref name="159번 각주"/>

적외선 천문학에서 제임스 웹의 개발에 영향을 미쳤던 우주 임무로는 [[스피처 우주 망원경|스피처]]와 [[WMAP|윌킨슨 마이크로파 비등방성 탐사기]](WMAP)가 있었다.<ref name="160번 각주"/> 스피처는 별 주변의 먼지 원반을 관측하는 등의 일에서 중적외선이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주었으며,<ref name="160번 각주"/> WMAP 탐사기는 우주가 적색편이 z≈17 무렵에 밝아졌다는 사실을 보여주어, 중적외선의 중요성을 한층 더 강조하였다.<ref name="160번 각주"/> 두 임무 모두 제임스 웹이 개발 중이던 2000년대 초에 실행되었다.<ref name="160번 각주"/>

== 지상 지원과 운용 ==

2003년, [[메릴랜드]] [[볼티모어]] [[존스홉킨스대학교|존스홉킨스대학교 홈우드캠퍼스]]에 소재하는 [[우주망원경과학연구소]](STScI)가 제임스 웹의 과학운용센터({{llang|en|Science and Operations Center}}, S&OC)로 선정되며, 발사 후 1년 동안 운용을 지원하기 위한 초기 예산으로 1억 6,220만 달러를 책정받았다.<ref name="161번 각주"/> 그러한 지위를 위임받은 STScI는 망원경의 과학적 운용을 담당하고 천문학계에 데이터 프로덕트를 전달하는 일을 맡게 되었다. 제임스 웹의 데이터는 NASA [[심우주 통신망]]을 통해 지상으로 전송된 후 STScI에서 처리하고 보정하여 세계 각지의 천문학자들에게 온라인으로 배포된다. 허블의 운용 방식과 유사하게 천문학자라면 국적을 불문하고 누구든지 관측 제안서를 제출할 수 있다. 매년 천문학자로 구성된 위원회가 제출된 제안서를 [[동료평가]]하여 다가오는 해에 관측할 프로젝트를 선정할 것이다. 계획에 선정된 관측 제안서의 저자는 새 관측에 대해 1년간 독점할 권한을 얻게 된다. 독점 기간이 만료된 데이터는 STScI에서 운영하는 온라인 데이터 아카이브에 공개되어 누구나 접근할 수 있게 된다.

대역폭과 디지털 처리량은 망원경을 임무 기간 동안 하루에 458기가비트의 데이터(실질 전송률 5.42 [[Mbps]] 상당)로 운용할 수 있게끔 설계되었다.<ref name="34번 각주"/> 망원경의 데이터는 대부분 재래식 [[싱글보드 컴퓨터]]를 통해 처리된다.<ref name="162번 각주"/> 장비의 아날로그 데이터를 디지털로 변환하는 일은 주문 제작식 SIDECAR ASIC({{llang|en|System for Image Digitization, Enhancement, Control And Retrieval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이 수행한다. NASA는 SIDECAR ASIC이 {{cvt|3|cm}}짜리 칩만으로 {{cvt|9.1|kg}}짜리 전자 장비의 기능을 모두 해낼 수 있으면서도 11밀리와트의 전력만을 소비할 것이라고 밝혔다.<ref name="163번 각주"/> 디지털 변환은 망원경에서 온도가 낮은 부분인 검출기 근처에서 수행되어야 하므로, 제임스 웹이 최적의 조건에서 작동하도록 낮은 온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전력 소모를 작게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 발사와 운용 준비 과정 ==
{{본문|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의 발사와 운용 준비 과정}}

=== 발사 ===
{{본문|아리안 플라이트 VA256}}

제임스 웹 망원경을 실은 [[아리안 5]] 로켓의 발사(아리안 플라이트 VA256으로 명명)는 2021년 12월 25일 협정세계시 12시 20분(한국 시각 21시 20분)에 [[프랑스령 기아나]]의 [[기아나 우주 센터|기아나우주센터]]에서 이루어졌다.<ref name="167번 각주"/><ref name="168번 각주"/> 전원이 켜진 것으로 확인된 제임스 웹 망원경은 2주 동안 이어질 장치 전개<ref name="169번 각주"/>와 함께 목적지로 향하는 여정을 시작하였다.<ref name="170번 각주"/><ref name="171번 각주"/><ref name="172번 각주"/> 망원경은 발사 27분 7초 후 로켓 상단 스테이지에서 분리되어 L<sub>2</sub> [[라그랑주점]]을 도는 [[헤일로 궤도]]<ref name="173번 각주"/>에 진입할 수 있도록 30일간의 궤도 조정 단계에 들어갔다.

제임스 웹 망원경은 최종 궤도에 이르는 데 필요한 속력보다 약간 느린 속력으로 발사된 후 지구와 멀어지면서 서서히 속력을 줄여 알맞은 속도로 L<sub>2</sub>에 도달하였다. 망원경이 L<sub>2</sub>에 도달하였을 때는 2022년 1월 24일이었다. 망원경의 비행에는 속력과 방향을 조정하고자 경로 수정이 세 차례 계획되었다. 이는 제임스 웹이 언더스러스트(너무 천천히 감)에서 원래대로 되돌아오는 것은 가능하였지만, 오버스러스트(너무 빨리 감)에서 원래대로 되돌아오는 것은 불가능하였기 때문이다. 온도에 민감한 장비들을 보호하도록 차양막이 항상 태양을 향하고 있어야 했기 때문에 우주선이 회전하거나 스러스터로 감속하는 게 불가능했다.<ref name="174번 각주"/>

<gallery align="left" mode="packed" heights="220px">
파일:Ariane 5 with James Webb Space Telescope Prelaunch (NHQ202112230012).jpg|alt=JWST and Ariane 5 Rollout|{{임시링크|ELA-3|en|ELA-3}} 발사대에 있는 아리안 5와 제임스 웹.
파일:James Webb Space Telescope Launch (NHQ202112250010).jpg|alt=Ariane 5 containing JWST lifting-off from the launch pad|제임스 웹이 들어있는 아리안 5가 발사대에서 이륙하는 모습.
파일:James Webb Space Telescope Launch.jpg|alt=Ariane 5 moments after lift-off|제임스 웹을 실은 아리안 5가 이륙하는 순간.
파일:JWST as seen from the ESC-D Cryotechnic upper stage.png|alt=JWST as seen from the ESC-D Cryotechnic upper stage|발사 29분 후 무렵 로켓과 분리 직후 {{임시링크|아리안 5|en|Ariane 5#second stage|label=ESC-D 크라이오테크닉 상단 스테이지}}에서 본 제임스 웹. 배경의 지구 위로 [[아덴만]]이 보인다.<ref name="175번 각주"/>
</gallery>

=== 이송 및 구조물 전개 ===
[[파일:JWSTDeployment.jpg|thumb|구조 전개 타임라인.<ref name="45번 각주"/>]]
[[파일:James-Webb-Space-Telescope-Deployment-Sequence- Nominal.webm|thumb|구조 전개 시퀀스.]]
[[파일:Animation Of Webb's Orbit.webm|thumb|제임스 웹의 헤일로 궤도 애니메이션.]]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은 순조롭게 발사된 지 27분 만에 로켓 상부 스테이지에서 분리되었다.<ref name="167번 각주"/><ref name="176번 각주"/> 발사 31분 후부터 13일 동안 태양 전지판과 안테나와 차광막과 거울을 전개하는 과정이 시작되었다.<ref name="177번 각주"/> 처음의 태양 전지판과 통신 안테나 전개를 제외하면 거의 모든 전개 작업이 [[볼티모어]]의 우주망원경과학연구소 통제 하에 실시되었다.<ref name="178번 각주"/><ref name="179번 각주"/> 임무는 지상 관제사가 문제 시 전개 순서를 수정할 수 있게끔 유연성을 갖추는 방식으로 기획되었다.<ref name="180번 각주"/>

발사로부터 12시간이 흐른 2021년 12월 26일 UTC 0시 50분, 제임스 웹 망원경의 로켓 엔진이 65분 동안 점화되어 첫 번째 중간 경로 수정에 들어갔다.<ref name="181번 각주"/> 이튿날에는 고이득 통신 안테나가 자동으로 전개되었다.<ref name="180번 각주"/>

발사에서 60시간이 경과된 2021년 12월 27일, 제임스 웹의 로켓 엔진이 9분 27초 동안 점화되면서 L<sub>2</sub>로 향하는 두 번째 중간 경로 수정이 이루어졌다.<ref name="182번 각주"/> 발사 3일 차인 2021년 12월 28일, 제임스 웹의 가장 중요한 차양막이 수일에 걸쳐 전개되기 시작했다. 2021년 12월 30일, 제임스 웹 망원경을 전개하는 데 필요한 절차 두 가지가 성공적으로 완수되었다. 후미에서 차양막이 받는 태양 복사압에 대해 밸런스를 제공하는 모멘텀 플랩({{llang|en|momentum flap}})이 전개되면서 제임스 웹의 경로를 유지하는 데 필요한 스러스터 사용을 줄임으로써 연료가 절약되었다.<ref name="183번 각주"/>

2021년 12월 31일, 지상팀은 망원경 좌현과 우현에 있는 연장식 미드 붐 두 대를 확장했다.<ref name="184번 각주"/> 좌측 미드 붐은 3시간 19분에 걸쳐 전개되었고, 우측 미드 붐은 3시간 42분이 소요되었다.<ref name="185번 각주"/><ref name="184번 각주"/> 1월 3일과 4일 사이에는 차양막 분리와 장력을 주는 명령이 성공적으로 수행되었다.<ref name="184번 각주"/> 2022년 1월 5일에는 망원경의 부경이 약 1.5mm의 허용 범위 내에서 성공적으로 전개되었다.<ref name="186번 각주"/>

마지막 구조 전개 절차는 주거울 날개를 펼치는 것이었다. 주거울 세그먼트는 제임스 웹 망원경이 발사 전에 아리안 로켓 페어링에 들어갈 수 있도록 세 패널로 나뉘어서 접혀있어야 했다. NASA는 2022년 1월 7일에 주거울 좌측의 날개를 펼치고 고정하였으며,<ref name="187번 각주"/> 1월 8일에는 우측의 거울 날개를 전개하고 고정하였다. 이로써 우주 망원경의 구조 전개는 성공적으로 완료되었다.<ref name="188번 각주"/><ref name="189번 각주"/><ref name="190번 각주"/>

2022년 1월 24일 UTC 17시 00분,<ref name="191번 각주"/> 발사 약 한 달 만에 최종 경로 수정이 이루어지면서 제임스 웹은 예정대로 태양-지구 L<sub>2</sub> 점을 도는 헤일로 궤도에 진입하게 되었다.<ref name="192번 각주"/><ref name="193번 각주"/>

=== 운용 준비 과정과 시험 ===

2022년 1월 12일, 아직 목적지로 이송 중인 동안에 거울 정렬이 시작되었다. 주거울 세그먼트와 부거울은 발사 당시 보호를 위한 위치로부터 멀어졌다. [[액추에이터]] 모터 132개<ref name="194번 각주"/>가 거울 위치를 극히 정밀하게 조정하도록 설계되어, 초기 배열 상태에서 각각 120만 단(12.5 mm)을 움직여야 했기 때문에 이 작업은 10일 정도가 소요되었다.<ref name="195번 각주"/><ref name="35번 각주"/>

거울을 정렬하려면 18개 거울 세그먼트와 부거울을 각각 50[[나노미터]]의 허용 오차 이내에 들도록 위치시켜야 한다. NASA는 이러한 정밀도에 관해서 "제임스 웹의 주거울이 [[미국]]만한 크기였더라면 각 거울 세그먼트는 [[텍사스]]만한 크기였을 것이고, 작업자들은 이 텍사스만한 세그먼트들을 1.5인치 높이의 정밀도로 조정해야 했을 것"이라고 비유하였다.<ref name="196번 각주"/>

<gallery caption="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의 거울 정렬 애니메이션" mode="packed" heights="150">
파일:JWST Segment Image Identification.gif|세그먼트 이미지 식별 절차. 18개의 거울 세그먼트를 이동시켜 각 세그먼트가 어떤 세그먼트 이미지를 생성하는지 확인한다. 거울 세그먼트를 해당 이미지와 매칭한 후, 향후 분석을 위해 거울을 기울여서 모든 이미지를 화면의 한 부분 근처로 가져간다.
파일:JWST Segment Alignment.gif|부거울을 서서히 움직여서 세그먼트 이미지를 디포커싱함으로써 거울 정렬을 실시한다. {{임시링크|위상 복원|en|phase retrieval}}이라는 수학적 분석을 통해 이미지를 디포커싱하여 세그먼트의 위치 오차를 정밀하게 측정한다. 이렇게 조정된 거울 세그먼트들은 잘 교정된 열여덟 개의 망원경이 된다. 아직 거울 세그먼트는 단일 거울로 합쳐져서 기능하지 않는다.
파일:JWST Image Stacking.gif|이미지 스택(image stacking). 거울에 들어오는 모든 빛을 한데 모은다. 각각의 거울 세그먼트가 생성하는 이미지는 차곡차곡 스택되어야 한다. 이미지 스택 절차에서 각 세그먼트 이미지는 정확히 화면 중앙으로 이동하여 하나로 통일된 이미지를 만들어낸다. 이 과정이 끝나면 망원경은 거울 세그먼트의 수직 변위를 측정하고 교정하는 거친 위상 조정(coarse phasing) 단계에 들어간다.
파일:JWST Telescope Alignment Over Instrument Fields of View.gif|관측 장비의 화각에 대한 망원경 정렬. 정밀 위상 조정(fine phasing)이 끝난 망원경은 NIRCam의 화면 한 곳에 정렬하게 된다. 이제 나머지 관측 장비에 대해서도 정렬 작업을 수행해야 한다.
</gallery>

거울 정렬은 일곱 단계로 구성되었으며, 1:6 [[스케일 모델|축척 모형]]을 이용해서 반복적으로 예행 연습할 정도로 복잡한 작업이었다.<ref name="196번 각주"/> 거울의 온도가 {{cvt|120|K}}에 이른 후,<ref name="197번 각주"/> NIRCam은 [[큰곰자리]]에 있는 [[겉보기등급|6등성]] HD 84406{{efn|name=4번 내용주|HD 84406은 큰곰자리 방향으로 지구에서 약 258.5광년 떨어진 항성이다. [[분광형]]은 G형이며 고유운동이 크게 나타난다.<ref name="198번 각주"/>}}을 표적으로 삼아서 거울을 정렬하기로 했다.<ref name="199번 각주"/><ref name="200번 각주"/> 이를 해내기 위해서 NIRCam이 하늘을 1,560회 촬영하였으며, 이렇게 광범위하게 촬영된 이미지들을 통해 주거울 세그먼트의 거울면이 어디를 향하고 있는지 확인되었다.<ref name="201번 각주"/> 처음에 주거울 세그먼트들은 크게 어긋난 채로 있었기 때문에 표적 별의 상은 열여덟 개로 분열된 채로 흐릿했다. HD 84406의 분열된 상이 각각 어떤 거울 세그먼트에 의한 것인지 확인된 후, 열여덟 주거울 세그먼트는 대략 그 별을 중심으로 해서 정렬되었다(세그먼트 이미지 식별). 그런 다음 {{임시링크|위상 복원|en|phase retrieval}}이라는 기술로 거울 세그먼트마다 개별적으로 있는 주요한 포커스 에러가 교정되면서 세그먼트가 만들어내는 이미지들의 품질이 향상되었고(세그먼트 정렬), 각각의 거울 세그먼트 이미지가 한 곳에 정밀하게 겹치면서 하나의 이미지를 만들어 내었다(이미지 스택).<ref name="196번 각주"/>

이제 상이 거의 정확히 맺히게 배치된 거울은 장치가 감지할 빛의 [[파장]]보다도 짧은 50나노미터의 정밀도로 미세하게 조정되어야 했다. 분산 간섭무늬 감지({{llang|en|dispersed fringe sensing}})라는 기술을 통해 20개의 독립된 거울 세그먼트 페어링이 만들어내는 이미지를 비교해가면 거울을 정렬할 때 생긴 오차의 대부분을 교정할 수 있으며(거친 위상 조정), 그런 다음 각 세그먼트 이미지에 디포커스를 주면 앞에서 교정되고 남은 오차의 대부분을 찾아내어 수정할 수 있다(미세 위상 조정). 이러한 두 과정은 세 차례 반복되었다. 미세 위상 조정의 경우는 망원경이 운용되는 동안에도 일상적인 점검이 이루어진다. 거친 조정과 미세 조정을 세 차례 거듭한 망원경은 NIRCam의 화면 한 곳에 정렬되었다. 모든 관측 장비에 대해서 그 장비가 촬영한 이미지 곳곳에서 빛의 세기를 측정하는 작업이 이루어졌고, 그렇게 검출된 빛의 세기에서 나타나는 변화로 산출된 보정량은 모든 관측 장비에 대해 잘 정렬된 결과를 내놓았다(관측 장비 화각에 대한 망원경 정렬). 마지막으로 앞선 절차에서 허용할 수 없는 작은 오차조차 남지 않게 하도록 모든 관측 장비에 대해서 최종 미세 조정 작업과 이미지 품질 검사가 이루어졌다(최종 교정을 위한 반복 정렬). 그리하여 망원경의 거울 세그먼트는 정렬 작업이 완료되어 초점이 정밀하게 맺힌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게 되었다.<ref name="196번 각주"/>

거울 정렬을 준비하던 2022년 2월 3일 UTC 19시 28분, NASA는 아직 이미지를 공개하지 않았지만 NIRCam이 망원경에서 온 빛을 최초로 검출하였다고 밝혔다.<ref name="196번 각주"/><ref name="202번 각주"/> 2022년 2월 11일, NASA는 망원경의 정렬 1단계 작업이 거의 막바지에 이르렀다고 밝혔다. 주거울을 구성하는 세그먼트마다 표적 별 HD 84406의 위치를 찾아내어 이미징하였고, 모든 거울 세그먼트가 대략이나마 정렬되었다.<ref name="201번 각주"/> 1단계 정렬은 2022년 2월 18일에 완료되었으며,<ref name="203번 각주"/> 일주일 후에는 2단계와 3단계 정렬 작업도 완료되었다.<ref name="204번 각주"/> 이는 열여덟 거울이 조화롭게 작용하고 있음을 의미하였지만, 정렬 7단계가 끝날 때까지 거울 세그먼트는 여전히 하나의 큰 망원경이 아닌 열여덟 개의 작은 망원경처럼 작동했다.<ref name="204번 각주"/> 주거울이 준비 과정에 들어간 동시에 다른 장비 수백 개도 준비 과정에 들어갔고, 캘리브레이션 작업도 진행되었다.<ref name="205번 각주"/>

<gallery align="left" mode="packed" heights="125">
파일:JWST - First images of HD 84406 (segments marked).png|정렬 1단계 과정 이미지. 이미지마다 그 이미지를 만들어낸 거울 세그먼트의 이름이 표시되어 있다.
파일:JWST - Images of HD 84406 after phase 1 alignment (segments marked).png|정렬 1단계가 완료된 HD 84406 이미지. 이미지마다 상응하는 거울 세그먼트의 이름이 표시되어 있다.
파일:JWST commissioning - HD 84406 animated segment alignment.gif|정렬 2단계가 완료. 거울 세그먼트의 정렬 전후에 촬영한 이미지를 비교하고 있다.
파일:JWST commissioning - HD 84406 after image stacking.jpg|정렬 3단계 완료. HD 84406의 열여덟 이미지 세그먼트를 겹쳐서 하나로 만들었다.
파일:JWST Telescope alignment evaluation image labeled.jpg|NIRCam 관측 장비가 촬영한 별 2MASS J17554042+6551277{{efn|name=5번 내용주|UVSW-V 084나 TYC 4212-1079-1로도 알려진<ref name="206번 각주"/> 2MASS J17554042+6551277은 [[용자리]]에 있는 [[우리 은하]]의 [[항성|별]]이다. 약 2000[[광년]] 거리에 있으며, [[황도좌표계|황도의 북극]]에서 1도 정도 떨어져 있다. 안시 [[겉보기등급]]이 10.95등급이기 때문에 [[맨눈]]으로는 관찰할 수 없다. 표면온도는 [[태양]]보다 낮지만, 가시광선에서 그보다 13배에서 16배가량 밝다.<ref name="207번 각주"/> 그러므로 이 별은 [[유사 태양|태양과 유사]]하지는 않다. 태양에 대한 [[시선속도]]는 -51km/s 정도이다.<ref name="206번 각주"/>}}.
파일:JWST Nircam alignment selfie labeled.jpg|정렬 과정 중에 NIRCam이 촬영한 제임스 웹의 셀프카메라.
파일:MIRI test image of the Large Magellanic Cloud - Spitzer vs webb LMC.png|스피처 우주 망원경과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이 촬영한 이미지 비교.<ref name="208번 각주"/>
파일:Webb in Full Focus.jpg|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의 이미지 센서 화각 정렬.<ref name="209번 각주"/>
파일:Fine Guidance Sensor Test Image.jpg|제임스 웹의 정밀지향센서 이미지.<ref name="210번 각주"/>
</gallery>

=== 미세유성체 충돌 ===

2022년 6월 8일, 지난 5월 23일에서 25일 사이에 C3{{efn|name=3번 내용주|C3 거울 세그먼트는 주거울을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가장 외곽 5시 방향에 있는 거울 세그먼트이다.<ref name="164번 각주"/>}} 거울 세그먼트가 티끌만 한 {{임시링크|미세유성체|en|micrometeoroid}}와 충돌하였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엔지니어들은 충돌로 인한 여파를 보정하기 위해서 액추에이터로 거울을 재조정해야 했다.<ref name="165번 각주"/> 이러한 사건이 있었지만, NASA의 운용 준비 과정 보고서에 의하면 2022년 7월 10일까지 제임스 웹의 모든 관측 기능은 검토 결과 과학적 운용 준비가 완료된 것으로 확인되었다.<ref name="166번 각주"/><ref name="22번 각주"/>

== 관측 시간 할당 ==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의 관측 시간은 일반 관측자({{llang|en|General Observers}}, GO) 프로그램과 보장 시간 관측({{llang|en|Guaranteed Time Observations}}, GTO) 프로그램과 연구소장 재량 조기 발표 과학({{llang|en|Director's Discretionary Early Release Science}}, DD-ERS) 프로그램을 통해 할당된다.<ref name="211번 각주"/> GTO 프로그램은 우주 망원경에 들어가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요소를 개발하는 데 기여한 과학자에게 관측 시간을 보장하기 위한 프로그램인 반면, GO 프로그램은 모든 천문학자에게 관측 시간을 신청할 기회를 제공하며, 제임스 웹 관측 시간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프로그램이다. GO 프로그램은 [[허블 우주 망원경]]의 관측 제안서 검토 과정처럼 시간 할당 위원회({{llang|en|Time Allocation Committee}}, TAC)의 동료평가 과정을 거쳐 선정된다.

=== 조기 발표 과학 프로그램 ===

2017년 11월, 우주망원경과학연구소가 모집된 관측 제안서를 검토하여 선정한 연구소장 재량 조기 발표 과학 프로그램 열세 개를 발표했다.<ref name="212번 각주"/><ref name="213번 각주"/> 이러한 프로그램에 대한 관측은 제임스 웹이 준비 과정을 완료하고 과학 임무에 들어간 처음의 다섯 달 동안 이루어지기로 하였다. 총 460시간의 관측 시간이 이러한 열세 프로그램에 할당되었으며, 관측이 다루는 과학적 주제는 [[태양계]]와 [[외계행성]]과 별 및 [[항성 형성|별 탄생]]과 근거리 [[은하]] 및 원거리 은하와 [[중력렌즈]]와 [[퀘이사]] 등 다양하다. 이러한 ERS 프로그램에서 오버헤드 타임과 우주선 선회 시간을 제외하고 망원경이 실제로 관측하는 시간은 총 242.8시간이다.

{| class="wikitable"
|+ 조기 발표 과학 프로그램
|- style="font-size: smaller;"
!제목
![[연구책임자]]
!분야
!관측 시간</br>(시간)
|- style="text-align:center;"
| style="text-align:left;"| Radiative Feedback from Massive Stars as Traced by Multiband Imaging and Spectroscopic Mosaics </br>({{llang|ko|다파장 영상과 분광으로 추적한 대질량성의 복사 피드백}})
| 올리비에 베르네</br>({{llang|fr|Olivier Berné}})
| 항성물리학
| 8.3<ref name="214번 각주"/>
|- style="text-align:center;"
| style="text-align:left;"| IceAge: Chemical Evolution of Ices during Star Formation </br>({{llang|ko|별 탄생 과정에서 얼음의 화학적 진화}})
| 멜리사 매클루어</br>({{llang|en|Melissa McClure}})
| 항성물리학
| 13.4<ref name=215번 각주"/>
|- style="text-align:center;"
| style="text-align:left;"| Through the Looking GLASS: A JWST Exploration of Galaxy Formation and Evolution from Cosmic Dawn to Present Day </br>({{llang|ko|GLASS-JWST 은하의 형성과 진화 탐사}})
| 토마소 트루</br>({{llang|en|Tommaso Treu}})
| 은하와 {{임시링크|온열 은하간 매질|en|Warm–hot intergalactic medium|label=IGM}}
| 24.3<ref name="216번 각주"/>
|- style="text-align:center;"
| style="text-align:left;"| A JWST Study of the Starburst-AGN Connection in Merging LIRGs </br>({{llang|ko|병합하는 LIRG 속 폭발적 별 탄생과 AGN의 상호관계 연구}})
| 리 아머스</br>({{llang|en|Lee Armus}})
| 은하와 IGM
| 8.7<ref name="217번 각주"/>
|- style="text-align:center;"
| style="text-align:left;"| The Resolved Stellar Populations Early Release Science Program </br>({{llang|ko| 항성 종족 분해 조사 조기 발표 과학 프로그램}})
| 대니얼 와이즈</br>({{llang|en|Daniel Weisz}})
| 항성 종족
| 20.3<ref name="218번 각주"/>
|- style="text-align:center;"
| style="text-align:left;"| Q-3D: Imaging Spectroscopy of Quasar Hosts with JWST Analyzed with a Powerful New PSF Decomposition and Spectral Analysis Package </br>({{llang|ko|고성능 신형 PSF 디컴포지션 및 스펙트럼 분석 패키지를 응용한 퀘이사 모은하 영상 분광 분석}})
| 도미니카 와일잘렉</br>({{llang|en|Dominika Wylezalek}})
| 거대 블랙홀과 모은하
| 17.4<ref name="219번 각주"/>
|- style="text-align:center;"
| style="text-align:left;"| The Cosmic Evolution Early Release Science (CEERS) Survey </br>({{llang|ko|우주 진화 조기 발표 과학 탐사}})
| 스티븐 핀클스타인</br>({{llang|en|Steven Finkelstein}})
| 은하와 IGM
| 36.6<ref name="220번 각주"/>
|- style="text-align:center;"
| style="text-align:left;"| Establishing Extreme Dynamic Range with JWST: Decoding Smoke Signals in the Glare of a Wolf-Rayet Binary </br>({{llang|ko|JWST의 극단적인 다이내믹 레인지를 확립하기 위한 볼프레이에 쌍성 휘광 속의 신호 해석}})
| 라이언 라우</br>({{llang|en|Ryan Lau}})
| 항성물리학
| 6.5<ref name="221번 각주"/>
|- style="text-align:center;"
| style="text-align:left;"| TEMPLATES: Targeting Extremely Magnified Panchromatic Lensed Arcs and Their Extended Star Formation </br>({{llang|ko|극도로 확대된 전색상 굴절 호의 광범위한 별 탄생 연구}})
| {{임시링크|제인 릭비|en|Jane Rigby (astrophysicist)}}
| 은하와 IGM
| 26.0<ref name="222번 각주"/>
|- style="text-align:center;"
| style="text-align:left;"| Nuclear Dynamics of a Nearby Seyfert with NIRSpec Integral Field Spectroscopy </br>({{llang|ko|NIRSpec 인테그럴 필드 분광을 이용한 근방 세이퍼트의 핵 역학 연구}})
| {{임시링크|미스티 벤츠|en|Misty Bentz}}
| 거대 블랙홀과 모은하
| 1.5<ref name="223번 각주"/>
|- style="text-align:center;"
| style="text-align:left;"| The Transiting Exoplanet Community Early Release Science Program </br>({{llang|ko|식현상 외계행성 커뮤니티 조기 발표 과학 프로그램}})
| {{임시링크|나탈리 바타야|en|Natalie Batalha}}
| 행성과 행성 형성
| 52.1<ref name="224번 각주"/>
|- style="text-align:center;"
| style="text-align:left;"| ERS observations of the Jovian System as a Demonstration of JWST's Capabilities for Solar System Science </br>({{llang|ko|JWST의 태양계 연구 능력을 입증하기 위한 목성계의 ERS 관측}})
| {{임시링크|임커 더파터|en|Imke de Pater}}
| 태양계
| 9.3<ref name=225번 각주"/>
|- style="text-align:center;"
| style="text-align:left;"| High Contrast Imaging of Exoplanets and Exoplanetary Systems with JWST </br>({{llang|ko|외계행성과 외계행성계의 고대비 이미징}})
| 사샤 힝클리</br>({{llang|en|Sasha Hinkley}})
| 행성과 행성 형성
| 18.4<ref name="226번 각주"/>
|}

=== 일반 관측자 프로그램 ===

사이클 1 GO의 경우 할당 가능한 관측 시간이 6,000시간이었다. 1,173부의 관측 제안서가 제출되었으며, 이러한 제안서가 모두 승인될 경우 총 24,500시간의 관측 시간이 필요했다.<ref name="227번 각주"/> 사이클 1 GO 프로그램 선정은 2021년 3월 30일에 발표되었으며, 266개의 프로그램이 승인되었다. 이러한 관측 프로그램에는 데이터 독점 기간이 없는 13개의 대규모 프로그램과 고가치 프로그램({{llang|en|Treasury Program}})이 포함되어 있다.<ref name="228번 각주"/>

== 과학적 성과 ==
{{본문|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 최초의 딥 필드}}
{{여러그림
| 정렬 = right
| 방향 = vertical
| 머리말 = 허블(2017)과 제임스 웹(2022)<ref name="229번 각주"/><ref name="230번 각주"/>
| 크기 = 250

| 그림1 = NASA-HubbleSpaceTelescope-DeepField-2017.jpg

| 그림2 = Webb's First Deep Field (adjusted).jpg

| 꼬리말 =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 최초의 딥 필드|딥 필드]]를 배경으로 한 [[은하단]] [[SMACS J0723.3-7327]].<ref name="231번 각주"/><ref name="232번 각주"/><ref name="233번 각주"/><ref name="234번 각주"/><ref name="208번 각주"/>
}}

최초의 컬러 이미지와 분광 데이터는 2022년 7월 12일에 공개되었다. 이날은 제임스 웹의 일반 과학 임무가 공식적으로 시작된 날이기도 하였다. 앞선 2022년 7월 11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최초의 공식 이미지인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 최초의 딥 필드|제임스 웹 최초의 딥 필드]]를 미리 공개하였다.<ref name="231번 각주"/><ref name="232번 각주"/> NASA는 당일에 공개될 관측 표적으로 다음과 같은 명단을 발표했다.<ref name="235번 각주"/><ref name="236번 각주"/><ref name="237번 각주"/>

* [[용골자리 성운]] - "우주 절벽"({{llang|en|Cosmic Cliffs}})<ref name="238번 각주"/>을 보여주는 8,500광년 거리의 별 탄생 영역 {{임시링크|NGC 3324|en|NGC 3324}}.
* {{임시링크|WASP-96b|en|WASP-96b}} - 물이 존재한다는 대기 분석 결과를 담고 있는 1,120광년 거리의 별을 공전하는 목성형 행성.
* [[팔렬 성운|남쪽 고리 성운]] - 2,500광년 거리에서 죽어가는 별이 방출한 기체 먼지 구름.
* [[슈테팡 5중주|슈테팡의 오중주]] - 가스 먼지 구름이 충돌하고 있는 다섯 은하의 모습.
* {{임시링크|SMACS J0723.3-7327|en|SMACS J0723.3-7327}} - 제임스 웹 최초의 딥 필드({{llang|en|Webb's First Deep Field}})라고 불리는 46억 광년 거리의 [[중력렌즈]]. 131억 년 전의 모습을 한 원거리 은하도 보여준다. 이따금 SMACS 0723으로 짧게 나타내기도 한다.<ref name="236번 각주"/><ref name="239번 각주"/>

2022년 7월 14일, NASA는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이 목성과 그 주변 영역을 촬영한 적외선 이미지를 최초 공개하였다.<ref name="240번 각주"/>

같은 시기에 게시된 보고서 프리프린트에서 NASA와 ESA와 CSA의 과학자들은 "전반적으로 제임스 웹의 과학적 성능이 예상보다 뛰어나다"라고 밝혔다. 이 문서는 준비 과정에서 이루어진 여러 관측을 기술하고 있다. 문서에 의하면, 관측 장비가 데이터 포인트당 1000 ppm 이상의 정밀도로 식현상을 일으키는 외계행성의 스펙트럼을 관측하였고, [[스펙]]보다 두 배 이상 빠른 초당 67밀리각초로 움직이는 천체를 추적하기도 하였으며, [[은하 중심]] 방향의 조밀한 영역에서 별 수백 개의 스펙트럼을 동시에 얻기도 하였다. 문서에서 기술하는 기타의 표적은 다음과 같다.<ref name="22번 각주"/>

* 움직이는 표적: [[목성]]([[목성의 고리|고리]]와 위성 [[유로파 (위성)|유로파]]와 [[테베 (위성)|테베]]와 [[메티스 (위성)|메티스]]), 소행성 {{임시링크|2516 로먼|en|2516 Roman}}, {{임시링크|118 페이토|en|118 Peitho}}, {{임시링크|6481 텐징|en|6481 Tenzing}}, {{임시링크|1773 룸펠슈틸츠|en|1773 Rumpelstilz}}, {{임시링크|216 클레오파트라|en|216 Kleopatra}}, {{임시링크|2035 스턴스|en|2035 Stearns}}, {{임시링크|4015 윌슨-해링턴|en|4015 Wilson-Harrington}}, 2004 JX20.
* NIRCam 그리즘 시계열, NIRISS SOSS, NIRSpec BOTS 기능: 목성형 행성 [[HAT-P-14b]].
* NIRISS {{임시링크|개구부 마스킹 간섭법|en|aperture masking interferometry}}(AMI): [[황새치자리 AB]]와 0.3각초 간격의 초저질량 동반성 C를 명확하게 탐지. 이 관측은 우주에서 실시된 최초의 AMI 관측이기도 하였다.
* MIRI 저해상도 분광(LRS): 밝은 [[적색왜성|M형 왜성]] 주변의 뜨거운 [[슈퍼지구]] 행성 {{임시링크|L 168-9 b|en|L 168-9 b}}.<ref name="241번 각주"/>

제임스 웹 최초의 이미지가 공개된 지 2주가 지나지 않아서 그전에 확인된 것보다도 훨씬 이른 시기인 빅뱅 이후 2억 3,500만 년(z=16.7)에서 2억 8천만 년까지의 초기 은하들을 광범위하게 기술하는 논문 프리프린트 몇 편이 [[동료평가]]를 받기 위해 제출되었다.<ref name="242번 각주"/> 2022년 8월 17일, NASA는 [[NIRCam|근적외선 카메라]]로 690회 촬영하여 합친 대형 모자이크 이미지를 공개하였다.<ref name="243번 각주"/><ref name="244번 각주"/> 이 이미지가 담고 있는 수많은 초기 은하 중에서는 적색편이 z=16.7([[빅뱅]] 이후 2억 3580만 년<ref name="245번 각주"/><ref name="246번 각주"/>)로 추정되는 {{임시링크|CEERS-93316|en|CEERS-93316}} 같은 고적색편이 은하 후보도 있다.

2022년 8월 24일, 천문학자들은 조기 발표 과학([[#조기 발표 과학 프로그램|ERS]])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제임스 웹이 {{임시링크|흡수 분광법|en|Absorption spectroscopy|label=투과 분광}} 관측한 [[목성형 행성|목성형]] [[외계행성]] [[WASP-39b]]의 대기에서 [[이산화탄소]]를 검출한 연구 결과를 발표하였다. 이는 태양계 바깥 행성에서 이산화탄소 검출한 것으로 확인된 첫 번째 사례이다.<ref name="247번 각주"/><ref name="248번 각주"/>


=== 갤러리 ===
=== 갤러리 ===
<gallery caption="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의 관측 이미지들 (2022년 7월 12일)" mode="packed" heights="100">
<gallery mode="packed" heights="100" caption="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 최초의 이미지. 2022년 7월 12일 공개.">
File:NASA’s Webb Reveals Cosmic Cliffs, Glittering Landscape of Star Birth.jpg|[[용골자리 성운]]
파일:NASA’s Webb Reveals Cosmic Cliffs, Glittering Landscape of Star Birth.jpg|[[용골자리 성운]]의 우주 절벽<ref name="238번 각주"/> (NIRCam)
파일:NASA’s Webb Reveals Cosmic Cliffs, Glittering Landscape of Star Birth - Flickr - James Webb Space Telescope.png|용골자리 성운 (MIRI)
File:NASA’s Webb Captures Dying Star’s Final ‘Performance’ in Fine Detail.png|[[팔렬 성운]](남쪽 고리 성운; left: NIRCam; right: MIRI)
파일:NASA’s Webb Captures Dying Star’s Final ‘Performance’ in Fine Detail.png|[[팔렬 성운|남쪽 고리 성운]] (왼쪽: (NIRCam), 오른쪽: (MIRI))
File:Stephan's Quintet taken by James Webb Space Telescope.jpg|[[슈테팡 5중주]] (NIRCam/MIRI composite)
파일:Webb’s First Deep Field (MIRI and NIRCam Images Side by Side).png|제임스 웹 최초의 딥 필드(왼쪽: ([[MIRI (중적외선 관측 장비)|MIRI]]), 오른쪽: ([[NIRCam]]))
File:Stephan's Quintet as seen by JWST's NIRCAM.png|슈테팡 5중주 (NIRCam)
File:NASA’s Webb Sheds Light on Galaxy Evolution, Black Holes.png|슈테팡 5중주 (MIRI)
파일:Stephan's Quintet taken by James Webb Space Telescope.jpg|[[슈테팡 5중주|슈테팡의 오중주]] (NIRCam/MIRI 합성)
파일:Stephan's Quintet as seen by JWST's NIRCAM.png|슈테팡의 오중주 (NIRCam)
File:WASP-96b spectrum (JWST).jpg|WASP-96b 외계 행성의 스펙트럼
파일:NASA’s Webb Sheds Light on Galaxy Evolution, Black Holes.png|슈테팡의 오중주 (MIRI)
파일:WASP-96b spectrum (JWST).jpg|[[WASP-96b]]의 스펙트럼
</gallery>
<gallery caption="[[조각가자리]]의 5억 광년 거리 [[수레바퀴 은하]]. 2022년 8월 2일 공개." mode="packed" heights="100">
파일:Cartwheel Galaxy JWST NIRCam+MIRI Full Res.png|NIRCam/MIRI 합성
파일:Cartwheel Galaxy JWST NIRCam Full Res.png|NIRCam
파일:Cartwheel Galaxy JWST MIRI Full Res.png|MIRI
</gallery>
<gallery caption="[[목성]]과 [[목성의 고리]]와 {{임시링크|목성의 자기권|en|Magnetosphere of Jupiter}}과 [[목성의 위성]] 적외선 이미지. 2022년 7월 14일과 8월 22일 공개." mode="packed" heights="100">
파일:Jupiter and Europa (NIRCam) Commissioning Image.jpg|목성과 위성 유로파
파일:Webb’s Jupiter Images Showcase Auroras, Hazes - 52303461859.png|목성 클로즈업 이미지
파일:Webb’s Jupiter Images Showcase Auroras, Hazes.png|목성의 자기권
파일:Webb’s Jupiter Images Showcase Auroras, Hazes - 52302207952.png|명칭 표시 이미지
</gallery>
<gallery caption="[[메시에 74|유령 은하]] [[메시에 74]]. 2022년 8월 29일 공개." mode="packed" heights="100">
파일:The Phantom Galaxy Across the Spectrum.jpg|[[허블 우주 망원경|허블]]과 제임스 웹 합성 이미지
파일:Webb Inspects the Heart of the Phantom Galaxy.jpg|"유령 은하" M74 ([[MIRI (중적외선 관측 장비)|MIRI]])
</gallery>
<gallery caption="[[독거미 성운|타란툴라 성운]]. 2022년 9월 6일 공개." mode="packed" heights="100">
파일:Tarantula_Nebula_by_JWST.jpg|타란툴라 성운의 중심 ([[NIRCam]])
파일:A_Cosmic_Tarantula_by_NASA’s_James_Webb_Space_Telescope.png|타란툴라 성운 ([[MIRI (중적외선 관측 장비)|MIRI]])
</gallery>
<gallery caption="[[해왕성의 고리]]와 [[해왕성의 위성]]. 2022년 9월 21일 공개." mode="packed" heights="100">
파일:New Webb Image Captures Clearest View of Neptune’s Rings in Decades.png|thumb|해왕성의 고리 ([[NIRCam]])
파일:New Webb Images Capture Rare View of Neptune’s Rings - 52374360534.png|thumb|해왕성 위성계 ([[NIRCam]])
파일:New Webb Images Capture Rare View of Neptune’s Rings (Labeled).png|thumb|명칭 표시 이미지
</gallery>
</gallery>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div col|colwidth=30em}}
{{Div col|colwidth=30em}}
* [[허블 우주망원경]]
* [[자세 제어]]
* {{임시링크|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 타임라인|en|Timeline of the James Webb Space Telescope}}
* [[우주망원경]]
* {{임시링크|칭동점 궤도|en|Libration point orbit}}
* [[고선명 우주망원경]]
* {{임시링크|딥 필드 목록|en|List of deep fields}}
* [[광각 적외선 우주망원경]]
* {{임시링크|크기순 적외선 망원경 목록|en|List of largest infrared telescopes}}
* [[뉴 월드 미션]]
* {{임시링크|크기순 광학 반사 망원경 목록|en|List of largest optical reflecting telescopes}}
* {{임시링크|우주 망원경 목록|en|List of space telescopes}}
* [[낸시 그레이스 로먼 우주 망원경]], 늦어도 2027년 안에 발사 예정
* [[뉴 월드 미션]] (제임스 웹 사업에 제안된 차폐기)
* [[물리 우주론]]
* [[물리 우주론]]
* {{임시링크|위성 본체|en|Satellite bus}}
* [[레이저 간섭계 중력파 관측소]]
* {{임시링크|우주선 태양 전지판|en|Solar panels on spacecraft}}
{{div col end}}
* {{임시링크|우주선 설계|en|Spacecraft design}}
* {{임시링크|우주선 열제어|en|Spacecraft thermal control}}
{{Div col end}}

== 내용주 ==
{{notelist}}


== 각주 ==
== 각주 ==
{{각주}}
{{각주|3|refs=

<ref name="1번 각주">{{웹 인용|url=https://www.jwst.nasa.gov/faq.html#partners|title=NASA JWST "Who are the partners in the Webb project?"|publisher=NASA|access-date=18 November 2011|archive-date=29 November 2011|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11129213226/http://www.jwst.nasa.gov/faq.html#partners|url-status=live}} {{PD-notice}}</ref>

<ref name="2번 각주">{{웹 인용|url=https://celestrak.com/satcat/tle.php?CATNR=50463|title=JWST|last=Kelso|first=Thomas S.|date=25 December 2021|website=Celestrak|publisher=Celestrak|access-date=26 December 2021|archive-date=18 January 2022|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220118030042/https://celestrak.com/satcat/tle.php?CATNR=50463|url-status=live}}</ref>

<ref name="3번 각주">{{웹 인용|url=https://jwst.nasa.gov/content/about/faqs/faq.html#howlong|title=FAQ Full General Public Webb Telescope/NASA|website=jwst.nasa.gov|access-date=13 January 2022|archive-date=23 July 2019|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90723142004/https://jwst.nasa.gov/content/about/faqs/faq.html#howlong|url-status=live}}</ref>

<ref name="4번 각주">{{웹 인용|url=https://blogs.nasa.gov/webb/2021/12/29/nasa-says-webbs-excess-fuel-likely-to-extend-its-lifetime-expectations/|title=NASA Says Webb's Excess Fuel Likely to Extend its Lifetime Expectations – James Webb Space Telescope|website=blogs.nasa.gov|access-date=30 December 2021|archive-date=6 January 2022|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220106191652/https://blogs.nasa.gov/webb/2021/12/29/nasa-says-webbs-excess-fuel-likely-to-extend-its-lifetime-expectations/|url-status=live}}</ref>

<ref name="5번 각주">{{트윗 인용 |last=Clark |first=Stephen |user=StephenClark1 |number=1473999069706129419 |title=The exact launch mass of the James Webb Space Telescope: 6161.4 kilograms. That figure includes 167.5 kg of hydrazine and 132.5 kg of dinitrogen tetroxide for the propulsion system. |date=23 December 2021 |access-date=23 December 2021}}</ref>

<ref name="6번 각주">{{웹 인용 |title=JWST Orbit |url=https://jwst-docs.stsci.edu/jwst-observatory-characteristics/jwst-orbit |website=JWST User Documentation |publisher=Space Telescope Science Institute |access-date=25 December 2021 |archive-date=11 July 2022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220711230845/https://jwst-docs.stsci.edu/jwst-observatory-characteristics/jwst-orbit |url-status=live }}</ref>

<ref name="7번 각주">{{웹 인용|title=JWST Telescope|url=https://jwst-docs.stsci.edu/jwst-observatory-hardware/jwst-telescope|work=James Webb Space Telescope User Documentation|publisher=Space Telescope Science Institute|date=23 December 2019|access-date=11 June 2020|archive-date=11 July 2022|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220711230845/https://jwst-docs.stsci.edu/jwst-observatory-hardware/jwst-telescope|url-status=live}} {{PD-notice}}</ref>

<ref name="8번 각주">{{뉴스 인용 |last=Overbye |first=Dennis |author-link=데니스 오버바이 |title=How the Webb Telescope Expanded My Universe - As new images of Jupiter and a galactic survey spring forth from NASA's new observatory, our cosmic affairs correspondent confesses he didn't anticipate their power. |url=https://www.nytimes.com/2022/08/23/science/james-webb-telescope-jupiter-galaxies.html |date=23 August 2022 |work=[[뉴욕 타임즈|The New York Times]] |access-date=24 August 2022 }}</ref>

<ref name="9번 각주">{{뉴스 인용 |last=Achenbach |first=Joel |title=The Webb telescope is astonishing. But the universe is even more so - This new tool can't do everything, but it's capturing some of the first light emitted after the big bang, and that is already revealing wonders |url=https://www.washingtonpost.com/outlook/2022/08/05/webb-telescope-universe-big-bang/ |date=5 August 2022 |newspaper=[[워싱턴 포스트|The Washington Post]] |access-date=7 August 2022 }}</ref>

<ref name="10번 각주">{{웹 인용 |last1=Fisher |first1=Alise |last2=Pinol |first2=Natasha |last3=Betz |first3=Laura |date=11 July 2022 |title=President Biden Reveals First Image from NASA's Webb Telescope |url=http://www.nasa.gov/press-release/president-biden-reveals-first-image-from-nasa-s-webb-telescope |access-date=2022-07-12 |website=NASA |archive-date=12 July 2022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220712074730/https://www.nasa.gov/press-release/president-biden-reveals-first-image-from-nasa-s-webb-telescope/ |url-status=live }}</ref>

<ref name="11번 각주">{{웹 인용 |title=Comparison: Webb vs Hubble Telescope – Webb/NASA |url=https://www.jwst.nasa.gov/content/about/comparisonWebbVsHubble.html |access-date=2022-07-12 |website=www.jwst.nasa.gov |language=en |archive-date=21 January 2022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220121063242/https://www.jwst.nasa.gov/content/about/comparisonWebbVsHubble.html |url-status=live }}</ref>

<ref name="12번 각주">{{저널 인용|arxiv=1203.0002|doi=10.1117/1.OE.51.1.011011 |title=Experience with the Hubble Space Telescope: 20 years of an archetype|year=2012|last1=Lallo|first1=Matthew D.|s2cid=15722152|journal=Optical Engineering|volume=51|issue=1|pages=011011–011011–19 |bibcode=2012OptEn..51a1011L}}</ref>

<ref name="13번 각주">{{웹 인용 |title=Mirrors Webb/NASA |url=https://webb.nasa.gov/content/observatory/ote/mirrors/index.html |access-date=2022-07-12 |website=webb.nasa.gov |language=en |archive-date=4 February 2022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220204204441/https://webb.nasa.gov/content/observatory/ote/mirrors/index.html |url-status=live }}</ref>

<ref name="14번 각주">{{웹 인용|title=A Deeper Sky &#124; by Brian Koberlein|url=https://briankoberlein.com/blog/deeper-sky|website=briankoberlein.com|access-date=5 January 2022|archive-date=19 March 2022|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220319062831/https://briankoberlein.com/blog/deeper-sky/|url-status=live}}</ref>

<ref name="15번 각주">{{웹 인용|url=https://jwst.nasa.gov/content/forScientists/faqScientists.html|title=FAQ for Scientists Webb Telescope/NASA|website=jwst.nasa.gov|access-date=5 January 2022|archive-date=5 January 2022|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220105200219/https://www.jwst.nasa.gov/content/forScientists/faqScientists.html|url-status=live}}</ref>

<ref name="16번 각주">{{웹 인용 |url=http://news.yale.edu/2016/03/03/shattering-cosmic-distance-record-once-again |title=Shattering the cosmic distance record, once again |publisher=[[예일 대학교|Yale University]] |first=Jim |last=Shelton |date=3 March 2016 |access-date=4 March 2016 |archive-date=13 March 2016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60313104425/http://news.yale.edu/2016/03/03/shattering-cosmic-distance-record-once-again |url-status=live }}</ref>

<ref name="17번 각주">{{웹 인용 |url=http://www.spacetelescope.org/news/heic1604/ |title=Hubble breaks cosmic distance record |website=SpaceTelescope.org |id=heic1604 |date=3 March 2016 |access-date=3 March 2016 |archive-date=8 March 2016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60308035800/http://www.spacetelescope.org/news/heic1604/ |url-status=live }}</ref>

<ref name="18번 각주">{{저널 인용 |title=A Remarkably Luminous Galaxy at ''z''=11.1 Measured with ''Hubble Space Telescope'' Grism Spectroscopy |journal=[[천체물리학 저널|The Astrophysical Journal]] |first1=P. A. |last1=Oesch |first2=G. |last2=Brammer |first3=P. |last3=van Dokkum |display-authors=etal |volume=819 |issue=2 |at=129 |date=March 2016 |arxiv=1603.00461 |bibcode=2016ApJ...819..129O |doi=10.3847/0004-637X/819/2/129|s2cid=119262750 }}</ref>

<ref name="19번 각주">{{뉴스 인용|url=https://www.sciencealert.com/even-when-hubble-looks-as-far-back-in-time-as-possible-it-still-can-t-find-the-first-stars|title=Hubble Has Looked Back in Time as Far as It Can And Still Can't Find The First Stars|first=Nancy|last=Atkinson|work=Universe Today|via=ScienceAlert|access-date=9 January 2022|archive-date=9 January 2022|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220109002616/https://www.sciencealert.com/even-when-hubble-looks-as-far-back-in-time-as-possible-it-still-can-t-find-the-first-stars|url-status=live}}</ref>

<ref name="20번 각주">{{웹 인용 |url=http://www.ipac.caltech.edu/outreach/Edu/orbit.html|title=Infrared astronomy from earth orbit|publisher=Infrared Processing and Analysis Center, NASA Spitzer Science Center,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date=2017|url-status=dead|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61221020839/http://www.ipac.caltech.edu/outreach/Edu/orbit.html|archive-date=21 December 2016}} {{PD-notice}}</ref>

<ref name="21번 각주">{{웹 인용 |last=Fisher |first=Alise |date=14 July 2022 |title=Webb Images of Jupiter and More Now Available in Commissioning Data |url=https://blogs.nasa.gov/webb/2022/07/14/webb-images-of-jupiter-and-more-now-available-in-commission |website=James Webb Space Telescope (NASA Blogs) |access-date=8 August 2022}}</ref>

<ref name="22번 각주">{{cite arXiv |last1=Rigby |first1=Jane |last2=Perrin |first2=Marshall |last3=McElwain |first3=Michael |last4=Kimble |first4=Randy |last5=Friedman |first5=Scott |last6=Lallo |first6=Matt |last7=Doyon |first7=René |last8=Feinberg |first8=Lee |last9=Ferruit |first9=Pierre |last10=Glasse |first10=Alistair |last11=Rieke |first11=Marcia |display-authors=etal |date=12 July 2022 |title=Characterization of JWST science performance from commissioning |class=astro-ph.IM |eprint=2207.05632}}</ref>

<ref name="23번 각주">{{웹 인용 |title=Technical FAQ Specifically On Solar System Observations |url=https://jwst.nasa.gov/content/forScientists/faqSolarsystem.html |website=James Webb Space Telescope |publisher=NASA |access-date=29 July 2022 |archive-date=12 July 2022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220712050031/https://jwst.nasa.gov/content/forScientists/faqSolarsystem.html |url-status=live }}</ref>

<ref name="24번 각주">{{웹 인용 |url=http://www.stsci.edu/jwst/overview/design/orbit|archive-url=https://wayback.archive-it.org/all/20140203174537/http://www.stsci.edu/jwst/overview/design/orbit|url-status=dead|archive-date=3 February 2014 |title=L2 Orbit|publisher=Space Telescope Science Institute|access-date=28 August 2016}}</ref>

<ref name="25번 각주">{{웹 인용|title=The Sunshield|url=http://www.jwst.nasa.gov/sunshield.html|website=nasa.gov|publisher=NASA|access-date=28 August 2016|archive-date=10 August 2017|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70810062805/https://www.jwst.nasa.gov/sunshield.html|url-status=live}} {{PD-notice}}</ref>

<ref name="26번 각주">{{웹 인용|url=http://news.nationalgeographic.com/2015/04/150423-hubble-anniversary-webb-telescope-space|title=Hubble Still Wows At 25, But Wait Till You See What's Next|publisher=National Geographic|author=Drake, Nadia|author-link=나디아 드레이크|date=24 April 2015|access-date=24 April 2015|archive-date=23 June 2019|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90623140359/https://news.nationalgeographic.com/2015/04/150423-hubble-anniversary-webb-telescope-space/|url-status=live}}</ref>

<ref name="27번 각주">{{웹 인용|url=http://jwst.nasa.gov/orbit.html|title=The James Webb Space Telescope|website=nasa.gov|access-date=28 August 2016|archive-date=30 June 2019|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90630222205/https://jwst.nasa.gov/orbit.html|url-status=live}} {{PD-notice}}</ref>

<ref name="28번 각주">{{웹 인용|url=https://www.jwst.nasa.gov/content/about/innovations/coating.html|title=Sunshield Coatings Webb/NASA|website=jwst.nasa.gov|access-date=3 May 2020|archive-date=29 December 2021|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211229232353/http://jwst.nasa.gov/content/about/innovations/coating.html|url-status=live}} {{PD-notice}}</ref>

<ref name="29번 각주">{{웹 인용 |url=https://www.science.org/content/article/nasa-announces-more-delays-giant-space-telescope |title=NASA announces more delays for giant space telescope |website=Science |last1=Clery |first1=Daniel |date=27 March 2018 |access-date=5 June 2018 |url-access=limited |archive-date=24 December 2021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211224163932/https://www.science.org/content/article/nasa-announces-more-delays-giant-space-telescope |url-status=live }}</ref>

<ref name="30번 각주">{{잡지 인용 |last=Morring |first=Frank Jr. |title=JWST Sunshade Folding, Deployment In Test |magazine=[[에이비에이션 위크 앤 스페이스 테크놀로지|Aviation Week & Space Technology]] |date=16 December 2013 |pages=48–49 |issn=0005-2175 |url=https://aviationweek.com/defense-space/space/jwst-sunshade-folding-deployment-test |url-access=subscription |access-date=27 December 2021 |archive-date=19 March 2022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220319060604/https://aviationweek.com/defense-space/space/jwst-sunshade-folding-deployment-test |url-status=live }}</ref>

<ref name="31번 각주">{{웹 인용 |last=Fisher |first=Alise |date=30 December 2021 |title=Webb Ready for Sunshield Deployment and Cooldown |url=https://blogs.nasa.gov/webb/2021/12/30/webb-ready-for-sunshield-deployment-and-cooldown/ |website=James Webb Space Telescope (NASA Blogs) |access-date=31 December 2021 |archive-date=30 December 2021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211230225404/https://blogs.nasa.gov/webb/2021/12/30/webb-ready-for-sunshield-deployment-and-cooldown/ |url-status=live }}</ref>

<ref name="32번 각주">{{웹 인용|url=http://www.stsci.edu/jwst/ote/wavefront-sensing-and-control|archive-url=https://archive.today/2012.08.05-213402/http://www.stsci.edu/jwst/ote/wavefront-sensing-and-control|url-status=dead|archive-date=5 August 2012|title=JWST Wavefront Sensing and Control|publisher=Space Telescope Science Institute|access-date=9 June 2011}}</ref>

<ref name="33번 각주">{{웹 인용 |title=Keck I and Keck II Telescopes |url=https://www.keckobservatory.org/about/telescopes-instrumentation/ |access-date=2022-07-12 |website=W. M. Keck Observatory |archive-date=1 April 2022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220401093119/https://www.keckobservatory.org/about/telescopes-instrumentation/ |url-status=live }}</ref>

<ref name="34번 각주">{{잡지 인용|last=Mallonee|first=Laura|date=22 October 2019|url=https://www.wired.com/story/nasas-biggest-telescope-ever-prepares-2021-launch/|title=NASA's Biggest Telescope Ever Prepares for a 2021 Launch|magazine=Wired|access-date=4 June 2021|url-access=limited|archive-date=16 May 2022|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220516142720/https://www.wired.com/story/nasas-biggest-telescope-ever-prepares-2021-launch/|url-status=live}}</ref>

<ref name="35번 각주">{{웹 인용|url=https://blogs.nasa.gov/webb/2022/01/13/mirror-mirroron-its-way/|title=Mirror, Mirror…On Its Way! – James Webb Space Telescope|website=Blogs.nasa.gov|access-date=12 February 2022|archive-date=27 January 2022|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220127230933/https://blogs.nasa.gov/webb/2022/01/13/mirror-mirroron-its-way/|url-status=live}}</ref>

<ref name="36번 각주">{{웹 인용|url=http://www.stsci.edu/jwst/ote/mirrors|archive-url=https://archive.today/2012.08.05-184514/http://www.stsci.edu/jwst/ote/mirrors|url-status=dead|archive-date=5 August 2012|title=JWST Mirrors|publisher=Space Telescope Science Institute|access-date=9 June 2011}}</ref>

<ref name="37번 각주">{{웹 인용 |url=http://bbc.co.uk/news/science-environment-60771210 |title=James Webb: 'Fully focused' telescope beats expectations |first=Jonathan |last=Amos |work=[[BBC News]] |date=16 March 2022 |access-date=2022-07-15 |archive-date=11 July 2022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220711223749/https://www.bbc.co.uk/news/science-environment-60771210 |url-status=live }}</ref>

<ref name="38번 각주">{{웹 인용 |url=http://jwst.nasa.gov/isim.html|title=Integrated Science Instrument Module (ISIM)|publisher=NASA James Webb Space Telescope|date=2017|access-date=30 November 2016|archive-date=3 December 2016|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61203070235/http://jwst.nasa.gov/isim.html|url-status=dead}} {{PD-notice}}</ref>

<ref name="39번 각주">{{웹 인용|url=http://www.stsci.edu/jwst/instruments/nircam/|archive-url=https://www.webcitation.org/6FHXODFHR?url=http://www.stsci.edu/jwst/instruments/nircam/|url-status=dead|archive-date=21 March 2013|title=James Webb Space Telescope Near Infrared Camera|publisher=STScI|access-date=24 October 2013}}</ref>

<ref name="40번 각주">{{웹 인용|url=http://ircamera.as.arizona.edu/nircam/|title=NIRCam for the James Webb Space Telescope|publisher=University of Arizona|access-date=24 October 2013|archive-date=3 November 2021|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211103203919/http://ircamera.as.arizona.edu/nircam/|url-status=live}}</ref>

<ref name="41번 각주">{{웹 인용|url=http://www.stsci.edu/jwst/overview/status.html|archive-url=http://arquivo.pt/wayback/20090715053935/http://www.stsci.edu/jwst/overview/status.html |url-status=dead|archive-date=15 July 2009 |title=JWST Current Status|publisher=STScI|access-date=5 July 2008}}</ref>

<ref name="42번 각주">{{웹 인용|url=http://sci.esa.int/jwst/45694-nirspec-the-near-infrared-spectrograph/|title=NIRSpec – the near-infrared spectrograph on JWST|publisher=European Space Agency|date=22 February 2015|access-date=2 February 2017|archive-date=3 April 2019|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90403162415/http://sci.esa.int/jwst/45694-nirspec-the-near-infrared-spectrograph/|url-status=live}}</ref>

<ref name="43번 각주">{{웹 인용|url=http://www.astron.nl/miri-ngst/old/public/science/phase-a/text.htm|title=MIRI spectrometer for NGST|url-status=dead|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10927053021/http://www.astron.nl/miri-ngst/old/public/science/phase-a/text.htm|archive-date=27 September 2011}}</ref>

<ref name="44번 각주">{{웹 인용|url=https://jwst.nasa.gov/miri.html|title=JWST: Mid-Infrared Instrument (MIRI)|publisher=NASA|date=2017|access-date=3 February 2017|archive-date=12 June 2019|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90612134854/https://jwst.nasa.gov/miri.html|url-status=live}} {{PD-notice}}</ref>

<ref name="45번 각주">{{웹 인용 |title=JWST |url=https://jwst.nasa.gov/faq.html#howbig |url-status=live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50626163752/http://www.jwst.nasa.gov/faq.html#howbig |archive-date=26 June 2015 |access-date=29 June 2015 |publisher=NASA}} {{PD-notice}}</ref>

<ref name="46번 각주">{{웹 인용|url=http://ircamera.as.arizona.edu/MIRI/miricooler.pdf|title=James Webb Space Telescope Mid-Infrared Instrument Cooler systems engineering|last1=Banks|first1=Kimberly|last2=Larson|first2=Melora|last3=Aymergen|first3=Cagatay|last4=Zhang|first4=Burt|s2cid=17507846|editor2-first=Martin J.|editor2-last=Cullum|editor1-first=George Z.|editor1-last=Angeli|journal=Proceedings of SPIE|volume=7017|page=5|quote=Fig. 1. Cooler Architecture Overview|access-date=6 February 2016|bibcode=2008SPIE.7017E..0AB|year=2008|doi=10.1117/12.791925|series=Modeling, Systems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for Astronomy III|archive-date=6 October 2021|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211006144251/http://ircamera.as.arizona.edu/MIRI/miricooler.pdf|url-status=live}}</ref>

<ref name="47번 각주">{{저널 인용 |last1=Doyon |first1=René |last2=Hutchings |first2=John B. |last3=Beaulieu |first3=Mathilde |last4=Albert |first4=Loic |last5=Lafrenière |first5=David |last6=Willott |first6=Chris |last7=Touahri |first7=Driss |last8=Rowlands |first8=Neil |last9=Maszkiewicz |first9=Micheal |last10=Fullerton |first10=Alex W. |last11=Volk |first11=Kevin |last12=Martel |first12=André R. |last13=Chayer |first13=Pierre |last14=Sivaramakrishnan |first14=Anand |last15=Abraham |first15=Roberto |last16=Ferrarese |first16=Laura |last17=Jayawardhana |first17=Ray |last18=Johnstone |first18=Doug |last19=Meyer |first19=Michael |last20=Pipher |first20=Judith L. |last21=Sawicki |first21=Marcin |editor-first1=Mark C |editor-first2=Giovanni G |editor-first3=Howard A |editor-first4=Jacobus M |editor-last1=Clampin |editor-last2=Fazio |editor-last3=MacEwen |editor-last4=Oschmann |title=The JWST Fine Guidance Sensor (FGS) and Near-Infrared Imager and Slitless Spectrograph (NIRISS) |journal=[[프로시딩즈 오브 에스피아이이|Proceedings of SPIE]] |series=Space Telescopes and Instrumentation 2012: Optical, Infrared, and Millimeter Wave |date=22 August 2012 |volume=8442 |pages=84422R |doi=10.1117/12.926578 |bibcode=2012SPIE.8442E..2RD |s2cid=120702854 }} "FGS features two modules: an infrared camera dedicated to fine guiding of the observatory and a science camera module, the Near-Infrared Imager and Slitless Spectrograph (NIRISS)"</ref>

<ref name="48번 각주">{{웹 인용|url=http://jwst.nasa.gov/bus.html|title=The Spacecraft Bus|publisher=NASA James Webb Space Telescope|date=2017|access-date=26 November 2016|archive-date=6 July 2019|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90706094238/https://jwst.nasa.gov/bus.html|url-status=live}} {{PD-notice}}</ref>

<ref name="49번 각주">{{웹 인용|url=http://jwst.nasa.gov/observatory.html|title=The JWST Observatory|publisher=NASA|date=2017|quote=The Observatory is the space-based portion of the James Webb Space Telescope system and is {{sic|comprised|hide=y|of}} three elements: the Integrated Science Instrument Module (ISIM), the Optical Telescope Element (OTE), which includes the mirrors and backplane, and the Spacecraft Element, which includes the spacecraft bus and the sunshield|access-date=28 December 2016|archive-date=20 May 2019|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90520132413/https://jwst.nasa.gov/observatory.html|url-status=live}} {{PD-notice}}</ref>

<ref name="50번 각주">{{웹 인용 |url=http://jwst.nasa.gov/isim.html|title=Integrated Science Instrument Module (ISIM)|publisher=NASA James Webb Space Telescope|date=2017|access-date=30 November 2016|archive-date=3 December 2016|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61203070235/http://jwst.nasa.gov/isim.html|url-status=dead}} {{PD-notice}}</ref>

<ref name= "51번 각주">{{잡지 인용| last=Willoughby |first=Scott P. |date=February 2012 |title=PRIME: The Untold Story Of NASA's James Webb Space Telescope |magazine=SatMagazine |publisher=Satnews |url=http://www.satmagazine.com/story.php?number=443229204 |access-date=2021-04-06}}</ref>

<ref name="52번 각주">{{웹 인용|url=http://www.compositesworld.com/news/james-webb-space-telescope-spacecraft-inches-towards-full-assembly|title=James Webb Space Telescope spacecraft inches towards full assembly|publisher=Composites World|author=Sloan, Jeff|date=12 October 2015|access-date=28 December 2016|archive-date=24 October 2019|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91024213903/https://www.compositesworld.com/news/james-webb-space-telescope-spacecraft-inches-towards-full-assembly|url-status=dead}}</ref>

<ref name="53번 각주">{{웹 인용 |title=JWST Propulsion |url=https://jwst-docs.stsci.edu/jwst-observatory-hardware/jwst-spacecraft-bus/jwst-propulsion |website=JWST User Documentation |publisher=Space Telescope Science Institute |access-date=29 December 2021 |archive-date=11 July 2022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220711230847/https://jwst-docs.stsci.edu/jwst-observatory-hardware/jwst-spacecraft-bus/jwst-propulsion |url-status=live }}</ref>

<ref name="54번 각주">{{웹 인용|last=Clark|first=Stephen|date=28 November 2021|title=NASA gives green light to fuel James Webb Space Telescope|url=https://spaceflightnow.com/2021/11/28/nasa-gives-green-light-to-fuel-james-webb-space-telescope/|publisher=Spaceflight Now|access-date=2 December 2021|archive-date=25 June 2022|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220625024136/https://spaceflightnow.com/2021/11/28/nasa-gives-green-light-to-fuel-james-webb-space-telescope/|url-status=live}}</ref>

<ref name="55번 각주">{{웹 인용 |title=Why is Webb not serviceable like Hubble? |url=https://webb.nasa.gov/content/about/faqs/faq.html#serviceable |website=James Webb Space Telescope (FAQ) |access-date=31 December 2021 |archive-date=3 July 2022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220703052705/https://webb.nasa.gov/content/about/faqs/faq.html#serviceable |url-status=live }}</ref>

<ref name="56번 각주">{{웹 인용|url=https://www.nationalgeographic.com/science/article/relief-as-nasas-most-powerful-space-telescope-finishes-risky-unfolding|title=Relief as NASA's most powerful space telescope finishes risky unfolding|date=8 January 2022|website=Science|access-date=11 January 2022|archive-date=31 January 2022|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220131025500/https://www.nationalgeographic.com/science/article/relief-as-nasas-most-powerful-space-telescope-finishes-risky-unfolding|url-status=live}}</ref>

<ref name="57번 각주">{{웹 인용 |last1=Smith |first1=Marcia |title=Zurbuchen Taking One Last Look at JWST Servicing |url=https://spacepolicyonline.com/news/zurbuchen-taking-one-last-look-at-jwst-servicing/ |website=SpacePolicyOnline |access-date=31 December 2021 |date=30 August 2018 |archive-date=31 December 2021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211231061210/https://spacepolicyonline.com/news/zurbuchen-taking-one-last-look-at-jwst-servicing/ |url-status=live }}</ref>

<ref name="58번 각주">{{웹 인용 |last1=Foust |first1=Jeff |title=Scientists, engineers push for servicing and assembly of future space observatories |url=https://spacenews.com/scientists-engineers-push-for-servicing-and-assembly-of-future-space-observatories/ |website=SpaceNews |access-date=31 December 2021 |date=2 February 2018 |archive-date=15 July 2022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220715144456/https://spacenews.com/scientists-engineers-push-for-servicing-and-assembly-of-future-space-observatories/ |url-status=live }}</ref>

<ref name="59번 각주">{{웹 인용|url=https://www.theverge.com/2021/12/28/22816310/nasa-james-webb-space-telescope-jwst-deployment-sequence|title=NASA's James Webb Space Telescope is about to transform into its final form|first=Loren|last=Grush|date=28 December 2021|website=The Verge|access-date=11 January 2022|archive-date=9 July 2022|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220709002158/https://www.theverge.com/2021/12/28/22816310/nasa-james-webb-space-telescope-jwst-deployment-sequence|url-status=live}}</ref>

<ref name="60번 각주">{{컨퍼런스 인용|url=http://proceedings.spiedigitallibrary.org/proceeding.aspx?articleid=1227080|conference=1978 Los Angeles Technical Symposium|publisher=Society of Photographic Instrumentation Engineers|title=Infrared Detector Performance In The Shuttle Infrared Telescope Facility (SIRTF)|vauthors=McCarthy SG, Autio GW|doi=10.1117/12.956060|volume=81|issue=6 June|pages=81–88|year=1978|series=Utilization of Infrared Detectors|bibcode=1978SPIE..132...81M|access-date=8 December 2016|archive-date=5 March 2017|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70305015734/http://proceedings.spiedigitallibrary.org/proceeding.aspx?articleid=1227080|url-status=live}}</ref>

<ref name="61번 각주>{{웹 인용|url=https://phys.org/news/2016-06-cold-cooler-nasa-telescope.html|title=How cold can you go? Cooler tested for NASA telescope|publisher=Phys.org|date=14 June 2016|access-date=31 January 2017|archive-date=11 July 2022|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220711122922/https://phys.org/news/2016-06-cold-cooler-nasa-telescope.html|url-status=live}}</ref>

<ref name="62번 각주">{{웹 인용|url=http://herschel.jpl.nasa.gov/relatedMissions.shtml|title=JPL: Herschel Space Observatory: Related Missions|publisher=NASA, Jet Propulsion Laboratory, Goddard Flight Center,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access-date=4 June 2012|archive-date=3 December 2016|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61203091854/https://herschel.jpl.nasa.gov/relatedMissions.shtml|url-status=live}} {{PD-notice}}</ref>

<ref name="63번 각주">{{웹 인용|url=https://www.cosmos.esa.int/web/iso/what-is-iso-|title=What is ISO?|publisher=[[ESA]]|date=2016|access-date=4 June 2021|archive-date=10 November 2021|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211110190424/https://www.cosmos.esa.int/web/iso/what-is-iso-|url-status=live}}</ref>

<ref name="64번 각주">{{웹 인용|url=https://www.nasa.gov/content/hubble-space-telescope-wide-field-camera-3|title=Hubble Space Telescope – Wide Field Camera 3|publisher=NASA|date=22 August 2016|access-date=9 December 2016|archive-date=13 November 2021|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211113213252/https://www.nasa.gov/content/hubble-space-telescope-wide-field-camera-3/|url-status=live}} {{PD-notice}}</ref>

<ref name="65번 각주">{{저널 인용|title=US astronomy: Is the next big thing too big?|first=Tony|last=Reichhardt|date=March 2006|journal=Nature|volume=440|issue=7081|doi=10.1038/440140a|pmid=16525437
|pages=140–143|bibcode=2006Natur.440..140R|doi-access=free}}</ref>

<ref name="66번 각주">{{웹 인용|url=http://strategic.mit.edu/downloads.php|title=Nexus Space Telescope|publisher=MIT|access-date=23 August 2011|archive-date=29 August 2011|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10829234559/http://strategic.mit.edu/downloads.php|url-status=live}}</ref>

<ref name="67번 각주">Dwayne Brown/Michael Braukus [https://www.nasa.gov/home/hqnews/2007/jun/HQ_07139_Paris_MOUs.html (18 Jun 2007) NASA and ESA Sign Agreements for Future Cooperation] {{Web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220319194241/https://www.nasa.gov/home/hqnews/2007/jun/HQ_07139_Paris_MOUs.html |date=19 March 2022 }} RELEASE : 07-139</ref>

<ref name="68번 각주">{{뉴스 인용| url= https://www.timesofisrael.com/space-is-changing-webb-is-just-the-start-says-ex-israeli-who-was-in-from-its-dawn/| title= Space is changing. Webb is just the start, says ex-Israeli who was in from its dawn| author= Haviv Rettig Gur| work= The Times of Israel| date= 5 January 2022| access-date= 7 January 2022| archive-date= 19 March 2022| archive-url= https://web.archive.org/web/20220319060604/https://www.timesofisrael.com/space-is-changing-webb-is-just-the-start-says-ex-israeli-who-was-in-from-its-dawn/| url-status= live}}</ref>

<ref name="69번 각주">{{웹 인용|url=http://optics.nasa.gov/concept/hi-z.html|publisher=NASA Space Optics Manufacturing Technology Center|title=Advanced Concepts Studies – The 4 m Aperture "Hi-Z" Telescope|url-status=dead|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11015142938/http://optics.nasa.gov/concept/hi-z.html|archive-date=15 October 2011}} {{PD-notice}}</ref>

<ref name="70번 각주">{{웹 인용 |url=http://www.stsci.edu/jwst/overview/history/1994|archive-url=https://wayback.archive-it.org/all/20140203162406/http://www.stsci.edu/jwst/overview/history/1994|url-status=dead|archive-date=3 February 2014 |title=STSCI JWST History 1994|access-date=29 December 2018}}</ref>

<ref name="71번 각주">{{웹 인용 |url=http://www.nap.edu/html/aanm/web/tier3text/ngst.htm |title=Astrononmy and Astrophysics in the New Millennium |publisher=NASA |access-date=27 July 2011 |archive-date=25 December 2021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211225151946/https://www.nap.edu/html/aanm/web/tier3text/ngst.htm |url-status=live }} {{PD-notice}}</ref>

<ref name="72번 각주">{{서적 인용|chapter-url=http://strategic.mit.edu/docs/3_13_SPIE-4849-39.pdf|first1=Olivier L.|last1=de Weck|first2=David W.|last2=Miller|first3=Gary E.|last3=Mosier|title=Highly Innovative Space Telescope Concepts|volume=4849|page=294|s2cid=18725988|editor1-first=Howard A.|editor1-last=MacEwen|date=2002|series=Highly Innovative Space Telescope Concepts|chapter=Multidisciplinary analysis of the NEXUS precursor space telescope|doi=10.1117/12.460079|citeseerx=10.1.1.664.8727|bibcode=2002SPIE.4849..294D|access-date=27 July 2011|archive-date=23 September 2017|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70923001351/http://strategic.mit.edu/docs/3_13_SPIE-4849-39.pdf|url-status=live}}</ref>

<ref name="73번 각주">{{저널 인용 |last1=Brown |first1=R. A. |year=1996 |title=1996swhs.conf..603B Page 603 |url=https://adsabs.harvard.edu/full/1996swhs.conf..603B |url-status=live |journal=Science with the Hubble Space Telescope – Ii |page=603 |bibcode=1996swhs.conf..603B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220114133425/https://adsabs.harvard.edu/full/1996swhs.conf..603B |archive-date=14 January 2022 |access-date=23 September 2022}}</ref>

<ref name="74번 각주">{{웹 인용|url=https://www.stsci.edu/files/live/sites/www/files/home/hst/documentation/_documents/HSTandBeyond.pdf|title=Exploration and the Search for Origins: A Vision for Ultraviolet-Optical-Infrared Space Astronomy Report of the 'HST & Beyond' Committee|year=1996|editor-first=A.|editor-last=Dressler|publisher=Association of Universities for Research in Astronomy|website=Stsci.edu|access-date=12 February 2022|archive-date=15 July 2022|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220715144434/https://www.stsci.edu/files/live/sites/www/files/home/hst/documentation/_documents/HSTandBeyond.pdf|url-status=live}}</ref>

<ref name="75번 각주">Stockman, H. S. (June 1997). "The Next Generation Space Telescope. Visiting a time when galaxies were young". Space Telescope Science Institute, Baltimore, Maryland. The Association of Universities for Research in Astronomy, Washington, D.C.</ref>

<ref name="76번 각주">{{서적 인용|author=((Astronomy and Astrophysics Survey Committee))|url=https://www.nap.edu/catalog/9839|title=Astronomy and Astrophysics in the New Millennium|author2=((Board on Physics and Astronomy))|author3=((Space Studies Board))|author4=((Commission on Physical Sciences, Mathematics, and Applications))|author5=((National Research Council))|date=16 January 2001|publisher=National Academies Press|isbn=978-0-309-07031-7|location=Washington, D.C.|doi=10.17226/9839|access-date=15 December 2021|archive-date=15 July 2022|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220715144439/https://nap.nationalacademies.org/catalog/9839/astronomy-and-astrophysics-in-the-new-millennium|url-status=live}}</ref>

<ref name="77번 각주">{{웹 인용|url=http://www.stsci.edu/jwst/overview/history/1996|archive-url=https://archive.today/2012.12.12-155047/http://www.stsci.edu/jwst/overview/history/1996|url-status=dead|archive-date=12 December 2012|title=STSCI JWST History 1996|publisher=Stsci.edu|access-date=16 January 2012}}</ref>

<ref name="78번 각주">[http://www.spacetelescope.org/images/opo9820b/ "Goddard Space Flight Center design"] {{Web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60106122413/http://www.spacetelescope.org/images/opo9820b/ |date=6 January 2016 }}. spacetelescope.org. Retrieved on 13 January 2014</ref>

<ref name="79번 각주">[http://sci.esa.int/science-e/www/object/index.cfm?fobjectid=29549 "ESA Science & Technology: Ball Aerospace design for JWST"]. {{webarchive |url=https://archive.today/2012.12.12-222215/http://sci.esa.int/science-e/www/object/index.cfm?fobjectid=29549|date=12 December 2012}}. Sci.esa.int. Retrieved 21 August 2013</ref>

<ref name="80번 각주">[http://sci.esa.int/science-e/www/object/index.cfm?fobjectid=29551 "ESA Science & Technology: TRW design for JWST"]. {{webarchive |url=https://archive.today/2012.12.12-002141/http://sci.esa.int/science-e/www/object/index.cfm?fobjectid=29551 |date=12 December 2012}}. Sci.esa.int. Retrieved 21 August 2013</ref>

<ref name="81번 각주">[http://sci.esa.int/science-e/www/object/index.cfm?fobjectid=29550 "ESA Science & Technology: Lockheed-Martin design for JWST"]. {{webarchive|url=https://archive.today/2012.12.13-002044/http://sci.esa.int/science-e/www/object/index.cfm?fobjectid=29550|date=13 December 2012}}. Sci.esa.int. Retrieved 21 August 2013</ref>

<ref name="82번 각주">{{웹 인용 |url=http://jwstsite.stsci.edu/webb_telescope/webb_past_and_future/|title=HubbleSite – Webb: Past and Future |access-date=13 January 2012 |archive-url=https://archive.today/2012.12.10-103643/http://jwstsite.stsci.edu/webb_telescope/webb_past_and_future/|archive-date=10 December 2012|url-status=dead}}</ref>

<ref name="83번 각주">{{웹 인용|url=https://www.nasa.gov/home/hqnews/2002/02-171.txt|title=NASA ANNOUNCES CONTRACT FOR NEXT-GENERATION SPACE TELESCOPE NAMED AFTER SPACE PIONEER|date=10 September 2002|access-date=26 August 2022|publisher=NASA}}</ref>

<ref name="84번 각주">{{웹 인용|url=http://www.jwst.nasa.gov/whois.html|title=About James Webb|publisher=NASA|access-date=15 March 2013|archive-date=27 March 2018|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80327233836/https://www.jwst.nasa.gov/whois.html|url-status=live}} {{PD-notice}}</ref>

<ref name="85번 각주">{{웹 인용 |url=http://www.stsci.edu/jwst/news/2003/nasa-announces-contract|archive-url=https://archive.today/2012.08.05-155712/http://www.stsci.edu/jwst/news/2003/nasa-announces-contract|url-status=dead|archive-date=5 August 2012|title=TRW Selected as JWST Prime Contractor|date=11 September 2003|access-date=13 January 2012|publisher=STCI}}</ref>

<ref name="86번 각주">{{뉴스 인용| url=http://www.spacedaily.com/reports/Northrop_Grumman_Completes_Fabrication_Of_Sunshield_Deployment_Flight_Structure_For_JWST_999.html| title=Northrop Grumman Completes Fabrication Of Sunshield Deployment Flight Structure For JWST| publisher=Space Daily| date=13 December 2011| access-date=10 December 2014| archive-date=18 January 2022|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220118030148/https://www.spacedaily.com/reports/Northrop_Grumman_Completes_Fabrication_Of_Sunshield_Deployment_Flight_Structure_For_JWST_999.html| url-status=live}}</ref>

<ref name="87번 각주">{{웹 인용|url=http://www7.nationalacademies.org/bpa/CAA_Nov2005_Presentation_Mather.pdf|title=James Webb Space Telescope (JWST)|author=John Mather |publisher=National Academy of Science|access-date=5 July 2008|url-status=dead|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081110180605/http://www7.nationalacademies.org/bpa/CAA_Nov2005_Presentation_Mather.pdf |archive-date=10 November 2008}} {{PD-notice}}</ref>

<ref name="88번 각주">{{보도자료 인용|url=http://www.esa.int/esaSC/Pr_10_2004_s_en.html|title=European agreement on James Webb Space Telescope's Mid-Infrared Instrument (MIRI) signed|date=9 June 2004|publisher=ESA Media Relations Service|access-date=6 May 2009|archive-date=18 May 2009|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090518064607/http://www.esa.int/esaSC/Pr_10_2004_s_en.html|url-status=dead}}</ref>

<ref name="89번 각주">{{웹 인용|publisher=Canadian Space Agency|date=4 June 2007|title=Canada's contribution to NASA's James Webb Space Telescope|url=https://www.canada.ca/en/news/archive/2007/06/canada-contribution-nasa-james-webb-space-telescope.html|access-date=3 July 2021|website=canada.ca|archive-date=18 January 2022|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220118031434/https://www.canada.ca/en/news/archive/2007/06/canada-contribution-nasa-james-webb-space-telescope.html|url-status=live}}</ref>

<ref name="90번 각주">{{웹 인용|date=30 July 2012|title=Canadian Space Agency Delivers Canada's Contributions to the James Webb Space Telescope|url=https://spaceq.ca/canadian_space_agency_delivers_canadas_contributions_to_the_james_webb_space_telescope/|access-date=3 July 2021|website=SpaceQ|archive-date=18 January 2022|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220118031451/https://spaceq.ca/canadian_space_agency_delivers_canadas_contributions_to_the_james_webb_space_telescope/|url-status=live}}</ref>

<ref name="91번 각주">{{웹 인용|url=http://www.stsci.edu/jwst/news/2007/jwst-passes-tnar|archive-url=https://archive.today/2012.08.05-232222/http://www.stsci.edu/jwst/news/2007/jwst-passes-tnar|url-status=dead|archive-date=5 August 2012|title=JWST Passes TNAR|publisher=STScI|access-date=5 July 2008}}</ref>

<ref name="92번 각주">{{웹 인용|url=http://www.space.com/businesstechnology/070523_techwed_jwst_dock.html|title=NASA Adds Docking Capability For Next Space Observatory|first=Brian|last=Berger|date=23 May 2007|website=SPACE.com|access-date=5 July 2008|archive-date=30 June 2008|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080630180805/http://www.space.com/businesstechnology/070523_techwed_jwst_dock.html|url-status=live}}</ref>

<ref name="93번 각주">{{웹 인용 |title=James Webb Space Telescope sunshield is ready to fabricate |url=https://www.laserfocusworld.com/test-measurement/research/article/16568637/james-webb-space-telescope-sunshield-is-ready-to-fabricate |website=www.laserfocusworld.com |access-date=30 December 2021 |archive-date=30 December 2021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211230172444/https://www.laserfocusworld.com/test-measurement/research/article/16568637/james-webb-space-telescope-sunshield-is-ready-to-fabricate |url-status=live }}</ref>

<ref name="94번 각주">{{웹 인용|url=http://www.nasa.gov/home/hqnews/2010/apr/HQ_10-099_Webb_Telescope_Milestone.html|title=NASA's Webb Telescope Passes Key Mission Design Review Milestone|publisher=NASA|access-date=2 May 2010|archive-date=1 May 2010|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00501144204/http://www.nasa.gov/home/hqnews/2010/apr/HQ_10-099_Webb_Telescope_Milestone.html|url-status=live}} {{PD-notice}}</ref>

<ref name="95번 각주">{{웹 인용|url=http://www.spaceflightnow.com/news/n1008/12jwst/|title=NASA says JWST cost crunch impeding new missions|first=Stephen|last=Clark|publisher=Spaceflight Now|date=12 August 2010|access-date=13 August 2010|archive-date=29 April 2021|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210429114441/https://spaceflightnow.com/news/n1008/12jwst/|url-status=live}}</ref>

<ref name="96번 각주">{{웹 인용|url=https://www.nasa.gov/press-release/nasas-james-webb-space-telescope-primary-mirror-fully-assembled|title=NASA's James Webb Space Telescope Primary Mirror Fully Assembled|date=3 February 2016|website=nasa.gov|access-date=4 February 2016|archive-date=4 February 2016|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60204202435/https://www.nasa.gov/press-release/nasas-james-webb-space-telescope-primary-mirror-fully-assembled|url-status=live}} {{PD-notice}}</ref>

<ref name="97번 각주">{{웹 인용|url=https://www.nasa.gov/feature/goddard/2016/nasas-james-webb-space-telescope-secondary-mirror-installed/|publisher=NASA|title=NASA's James Webb Space Telescope Secondary Mirror Installed|access-date=23 March 2016|date=7 March 2016|archive-date=17 March 2016|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60317190252/http://www.nasa.gov/feature/goddard/2016/nasas-james-webb-space-telescope-secondary-mirror-installed/|url-status=live}} {{PD-notice}}</ref>

<ref name="98번 각주">{{웹 인용|url=https://www.theguardian.com/science/2016/nov/04/nasa-testing-james-webb-space-telescope-gold|title=Nasa begins testing enormous space telescope made of gold mirrors|newspaper=The Guardian|first=Alan|last=Yuhas|date=4 November 2016|access-date=5 November 2016|archive-date=5 November 2016|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61105135156/https://www.theguardian.com/science/2016/nov/04/nasa-testing-james-webb-space-telescope-gold|url-status=live}}</ref>

<ref name="99번 각주">{{뉴스 인용|date=27 June 2018|title=NASA Completes Webb Telescope Review, Commits to Launch in Early 2021|publisher=NASA|url=https://www.nasa.gov/press-release/nasa-completes-webb-telescope-review-commits-to-launch-in-early-2021|access-date=27 June 2018|archive-date=14 March 2020|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200314025315/https://www.nasa.gov/press-release/nasa-completes-webb-telescope-review-commits-to-launch-in-early-2021|url-status=live}} {{PD-notice}}</ref>

<ref name="100번 각주">{{웹 인용|url=https://www.washingtonpost.com/news/speaking-of-science/wp/2018/07/26/northrop-grumman-ceo-is-grilled-about-james-webb-space-telescope-errors/|title=Northrop Grumman CEO is grilled about James Webb Space Telescope errors|last=Achenbach|first=Joel|date=26 July 2018|newspaper=The Washington Post|access-date=28 December 2019|archive-date=28 December 2019|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91228145204/https://www.washingtonpost.com/news/speaking-of-science/wp/2018/07/26/northrop-grumman-ceo-is-grilled-about-james-webb-space-telescope-errors/|url-status=live}}</ref>

<ref name="101번 각주">{{웹 인용|url=https://www.businessinsider.in/nasa-hubble-telescope-replacement-james-webb-space-telescope-assembled-after-12-years/articleshow/70886209.cms|title=The two halves of Hubble's US$10 billion successor have finally come together after 12 years of waiting|publisher=Business Insider|access-date=29 August 2019|archive-date=15 July 2022|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220715144438/https://www.businessinsider.in/nasa-hubble-telescope-replacement-james-webb-space-telescope-assembled-after-12-years/articleshow/70886209.cms|url-status=live}}</ref>

<ref name="102번 각주">{{웹 인용|last=Clark|first=Stephen|date=30 September 2021|title=After two decades, the Webb telescope is finished and on the way to its launch site|url=https://spaceflightnow.com/2021/09/30/webb-on-the-way-to-french-guiana/|website=Spaceflight Now|access-date=6 October 2021|archive-date=6 October 2021|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211006070009/https://spaceflightnow.com/2021/09/30/webb-on-the-way-to-french-guiana/|url-status=live}}</ref>

<ref name="103번 각주">{{웹 인용|last=Wall|first=Mike|date=12 October 2021|title=NASA's James Webb Space Telescope arrives in French Guiana ahead of December 18 launch|url=https://www.space.com/nasa-james-webb-space-telescope-arrives-french-guiana|website=Space.com|access-date=13 October 2021|archive-date=12 October 2021|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211012234511/https://www.space.com/nasa-james-webb-space-telescope-arrives-french-guiana|url-status=live}}</ref>

<ref name="104번 각주">{{웹 인용|title=FY 2022 NASA Congressional Budget Justification|url=https://www.nasa.gov/sites/default/files/atoms/files/fy2022_congressional_justification_nasa_budget_request.pdf|publisher=NASA|page=JWST-2|access-date=21 October 2021|archive-date=10 June 2021|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210610114215/https://www.nasa.gov/sites/default/files/atoms/files/fy2022_congressional_justification_nasa_budget_request.pdf|url-status=live}} {{PD-notice}}</ref>

<ref name="105번 각주">{{뉴스 인용|last1=Foust|first1=Jeff|title=JWST launch slips to November|url=https://spacenews.com/jwst-launch-slips-to-november/|publisher=SpaceNews|date=2 June 2021|access-date=21 October 2021|archive-date=15 July 2022|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220715144437/https://spacenews.com/jwst-launch-slips-to-november/|url-status=live}}</ref>

<ref name="106번 각주">{{웹 인용|last1=Lilly|first1=Simon|url=http://www.casca.ca/lrp/vol2/ngst/hstng.html|title=The Next Generation Space Telescope (NGST)|publisher=University of Toronto|date=27 November 1998|access-date=23 August 2011|archive-date=25 December 2021|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211225224535/https://www.casca.ca/lrp/vol2/ngst/hstng.html|url-status=live}}</ref>

<ref name="107번 각주">{{웹 인용|url=http://www.spaceref.com/news/viewsr.html?pid=5319|title=NGST Weekly Missive|date=25 April 2002|access-date=23 August 2011|archive-date=15 July 2022|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220715144440/https://spaceref.com/status-report/ngst-weekly-missive-25-apr-2002/|url-status=live}}</ref>

<ref name="108번 각주">{{웹 인용|url=http://www.nasa.gov/home/hqnews/2003/nov/HQ_c03pp_telescope_mod.html|title=NASA Modifies James Webb Space Telescope Contract|date=12 November 2003|access-date=23 August 2011|archive-date=25 December 2021|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211225224505/https://www.nasa.gov/home/hqnews/2003/nov/HQ_c03pp_telescope_mod.html|url-status=live}} {{PD-notice}}</ref>

<ref name="109번 각주">{{웹 인용|url=http://www.spacepolitics.com/2005/05/21/problems-for-jwst/|title=Problems for JWST|date=21 May 2005|access-date=25 August 2011|archive-date=25 December 2021|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211225224620/http://www.spacepolitics.com/2005/05/21/problems-for-jwst/|url-status=live}}</ref>

<ref name="110번 각주">{{저널 인용|title=Refocusing NASA's vision|journal=Nature|date=9 March 2006|volume=440|issue=7081|doi=10.1038/440127a|pmid=16525425|page=127|bibcode=2006Natur.440..127.|doi-access=free}}</ref>

<ref name="111번 각주">{{웹 인용|url=http://news.sciencemag.org/scienceinsider/2011/08/webb-telescope-delayed-costs.html?ref=hp|first=Ron|last=Cowen|title=Webb Telescope Delayed, Costs Rise to $8 Billion|date=25 August 2011|publisher=ScienceInsider|url-status=dead|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20114105805/http://news.sciencemag.org/scienceinsider/2011/08/webb-telescope-delayed-costs.html?ref=hp|archive-date=14 January 2012}}</ref>

<ref name="112번 각주">{{웹 인용|url=http://www.nasa.gov/pdf/499224main_JWST-ICRP_Report-FINAL.pdf|title=Independent Comprehensive Review Panel, Final Report|date=29 October 2010|access-date=10 June 2011|archive-date=17 November 2021|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211117185346/https://www.nasa.gov/pdf/499224main_JWST-ICRP_Report-FINAL.pdf|url-status=live}} {{PD-notice}}</ref>

<ref name="113번 각주">{{뉴스 인용|url=https://www.bbc.co.uk/news/science-environment-14625362|first=Jonathan|last=Amos|title=JWST price tag now put at over $8 bn|publisher=BBC|date=22 August 2011|access-date=22 June 2018|archive-date=25 December 2021|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211225224448/https://www.bbc.co.uk/news/science-environment-14625362|url-status=live}}</ref>

<ref name="114번 각주">{{웹 인용|url=https://www.nasa.gov/feature/nasa-s-james-webb-space-telescope-to-be-launched-spring-2019|title=NASA's James Webb Space Telescope to be Launched Spring 2019|publisher=NASA|date=28 September 2017|access-date=28 September 2017|archive-date=7 February 2018|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80207135912/https://www.nasa.gov/feature/nasa-s-james-webb-space-telescope-to-be-launched-spring-2019/|url-status=live}} {{PD-notice}}</ref>

<ref name="115번 각주">{{뉴스 인용|url=https://www.space.com/40102-james-webb-space-telescope-launch-delay-2020.html|title=NASA Delays Launch of James Webb Space Telescope to 2020|publisher=Space.com|access-date=27 March 2018|archive-date=28 April 2022|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220428191901/https://www.space.com/40102-james-webb-space-telescope-launch-delay-2020.html|url-status=live}}</ref>

<ref name="116번 각주">{{웹 인용|url=https://www.nasa.gov/press-release/nasa-completes-webb-telescope-review-commits-to-launch-in-early-2021|title=NASA Completes Webb Telescope Review, Commits to Launch in Early 2021|publisher=NASA|website=nasa.gov|date=27 June 2018|access-date=28 June 2018|archive-date=14 March 2020|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200314025315/https://www.nasa.gov/press-release/nasa-completes-webb-telescope-review-commits-to-launch-in-early-2021|url-status=live}} {{PD-notice}}</ref>

<ref name="117번 각주">{{웹 인용|url=https://spaceflightnow.com/2021/12/14/nasa-delays-launch-of-webb-telescope-to-no-earlier-than-dec-24/|title=NASA delays launch of Webb telescope to no earlier than Dec. 24|date=14 December 2021|access-date=14 December 2021|archive-date=15 December 2021|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211215014428/https://spaceflightnow.com/2021/12/14/nasa-delays-launch-of-webb-telescope-to-no-earlier-than-dec-24/|url-status=live}} {{PD-notice}}</ref>

<ref name="118번 각주">{{서적 인용|last = McCusker |first = J. J. |year = 1997 |title = How Much Is That in Real Money? A Historical Price Index for Use as a Deflator of Money Values in the Economy of the United States: Addenda et Corrigenda |url=https://www.americanantiquarian.org/proceedings/44525121.pdf |publisher = [[미국 앤티쿼리언 협회|American Antiquarian Society]]}} 1700–1799: {{cite book |last = McCusker |first = J. J. |year = 1992 |url = https://www.americanantiquarian.org/proceedings/44517778.pdf |title = How Much Is That in Real Money? A Historical Price Index for Use as a Deflator of Money Values in the Economy of the United States |publisher = [[미국 앤티쿼리언 협회|American Antiquarian Society]] }} 1800–present: {{cite web |author= Federal Reserve Bank of Minneapolis |url= https://www.minneapolisfed.org/about-us/monetary-policy/inflation-calculator/consumer-price-index-1800- |title= Consumer Price Index (estimate) 1800– |website= |access-date= {{#if:{{{df|}}}|16 April 2022 | April 16, 2022 }} |mode= {{{mode|}}} }}</ref>

<ref name="119번 각주">{{뉴스 인용|url=https://www.theguardian.com/science/2011/jul/09/nasa-james-webb-space-telescope|title=Nasa fights to save the James Webb space telescope from the axe|newspaper=The Guardian|location=London|first=Robin|last=McKie|date=9 July 2011|access-date=14 December 2016|archive-date=17 March 2017|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70317210545/https://www.theguardian.com/science/2011/jul/09/nasa-james-webb-space-telescope|url-status=live}}</ref>

<ref name="120번 각주">{{웹 인용|url=http://appropriations.house.gov/news/DocumentSingle.aspx?DocumentID=250023|title=Appropriations Committee Releases the Fiscal Year 2012 Commerce, Justice, Science Appropriations|publisher=US House of representatives Committee on Appropriations|date=6 July 2011|access-date=7 July 2011|archive-date=23 March 2012|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20323111945/http://appropriations.house.gov/News/DocumentSingle.aspx?DocumentID=250023|url-status=live}} {{PD-notice}}</ref>

<ref name="121번 각주">{{웹 인용|url=http://www.spacedaily.com/reports/US_lawmakers_vote_to_kill_Hubble_successor_999.html|title=US lawmakers vote to kill Hubble successor|publisher=SpaceDaily|date=7 July 2011|access-date=8 July 2011|archive-date=10 July 2011|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10710020814/http://www.spacedaily.com/reports/US_lawmakers_vote_to_kill_Hubble_successor_999.html|url-status=live}}</ref>

<ref name="122번 각주">{{웹 인용|url=http://www.space.com/12187-nasa-budget-bill-cancels-space-telescope-house.html|title=Proposed NASA Budget Bill Would Cancel Major Space Telescope|publisher=Space.com|date=6 July 2011|access-date=11 July 2011|archive-date=9 July 2011|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10709024728/http://www.space.com/12187-nasa-budget-bill-cancels-space-telescope-house.html|url-status=live}}</ref>

<ref name="123번 각주">{{웹 인용|last1=Bergin|first1=Chris|title=James Webb Space Telescope hardware entering key test phase|url=http://www.nasaspaceflight.com/2015/01/jwst-hardware-entering-test-phase/|publisher=NASASpaceFlight.com|date=7 January 2015|access-date=28 August 2016|archive-date=7 November 2017|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71107152854/https://www.nasaspaceflight.com/2015/01/jwst-hardware-entering-test-phase/|url-status=live}}</ref>

<ref name="124번 각주">{{웹 인용|url=https://aas.org/media/press-releases/aas-issues-statement-proposed-cancellation-james-webb-space-telescope|title=AAS Issues Statement on Proposed Cancellation of James Webb Space Telescope|last=Hand|first=E.|date=7 July 2011|publisher=American Astronomical Society|access-date=1 February 2017|archive-date=19 March 2018|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80319213552/https://aas.org/media/press-releases/aas-issues-statement-proposed-cancellation-james-webb-space-telescope|url-status=live}}</ref>

<ref name="125번 각주">{{웹 인용|url=http://www.spaceref.com/news/viewpr.html?pid=34063|title=Mikulski Statement on House Appropriations Subcommittee Termination of James Webb Telescope|work=SpaceRef|date=11 July 2011|access-date=1 February 2017|archive-date=15 July 2022|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220715144441/https://spaceref.com/press-release/mikulski-statement-on-house-appropriations-subcommittee-termination-of-james-webb-space-telescope/|url-status=live}}</ref>

<ref name="126번 각주">{{뉴스 인용|title=Way Above the Shuttle Flight|date=9 July 2011|newspaper=The New York Times|url=https://www.nytimes.com/2011/07/10/opinion/sunday/10sun2.html?ref=opinion|access-date=27 February 2017|archive-date=19 March 2018|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80319214529/http://www.nytimes.com/2011/07/10/opinion/sunday/10sun2.html?ref=opinion|url-status=live}}</ref>

<ref name="127번 각주">{{웹 인용|last=Harrold|first=Max|date=7 July 2011|title=Bad news for Canada: U.S. could scrap new space telescope|newspaper=The Vancouver Sun|url=https://vancouversun.com/technology/space-shuttle/news+Canada+could+scrap+space+telescope/5067942/story.html|access-date=27 January 2019|archive-date=31 July 2018|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80731183330/http://www.vancouversun.com/technology/space-shuttle/news+Canada+could+scrap+space+telescope/5067942/story.html|url-status=live}}</ref>

<ref name="128번 각주">{{뉴스 인용 |title=NASA budget plan saves telescope, cuts space taxis |url=https://www.reuters.com/article/us-usa-space-budget-idUSTRE7AF06320111116 |work=Reuters|date=16 November 2011|access-date=1 July 2017|archive-date=24 September 2015|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50924160524/http://www.reuters.com/article/2011/11/16/us-usa-space-budget-idUSTRE7AF06320111116 |url-status=live}}</ref>

<ref name="129번 각주">{{뉴스 인용|url=http://www.space.com/13528-nasa-jwst-telescope-funding-delay-science-missions.html|title=NASA Acknowledges James Webb Telescope Costs Will Delay Other Science Missions|first=Dan|last=Leone|publisher=SpaceNews|date=7 November 2012|access-date=12 January 2013|archive-date=22 January 2013|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30122080648/http://www.space.com/13528-nasa-jwst-telescope-funding-delay-science-missions.html|url-status=live}}</ref>

<ref name="130번 각주">{{웹 인용 |last=Moskowitz |first=Clara |date=30 March 2015 |title=NASA Assures Skeptical Congress That the James Webb Telescope Is on Track |url=https://www.scientificamerican.com/article/nasa-assures-skeptical-congress-that-the-james-webb-telescope-is-on-track/ |access-date=29 January 2017 |publisher=Scientific American |archive-date=2 February 2017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70202070132/https://www.scientificamerican.com/article/nasa-assures-skeptical-congress-that-the-james-webb-telescope-is-on-track/ |url-status=live }}</ref>

<ref name="131번 각주">{{저널 인용|title=The telescope that ate astronomy|journal=Nature|volume=467|issue=7319|pages=1028–1030|date=27 October 2010|doi=10.1038/4671028a|pmid=20981068 |last1=Billings|first1=Lee|doi-access=free}}</ref>

<ref name="132번 각주">{{웹 인용|url=https://www.theatlantic.com/science/archive/2016/12/james-webb-space-telescope-goddard/509840/|title=The Extreme Hazing of the Most Expensive Telescope Ever Built|last=Koren|first=Marina|date=7 December 2016|publisher=The Atlantic|access-date=29 January 2017|archive-date=2 February 2017|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70202065139/https://www.theatlantic.com/science/archive/2016/12/james-webb-space-telescope-goddard/509840/|url-status=live}}</ref>

<ref name="133번 각주">{{뉴스 인용 |last=Cohen |first=Ben |date=2022-07-08 |title=The NASA Engineer Who Made the James Webb Space Telescope Work |language=en-US |work=[[The Wall Street Journal]] |url=https://www.wsj.com/articles/nasa-james-webb-space-telescope-greg-robinson-images-11657137487 |url-status=live |access-date=2022-07-12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220711105706/https://www.wsj.com/articles/nasa-james-webb-space-telescope-greg-robinson-images-11657137487 |archive-date=2022-07-11 |issn=0099-9660}}</ref>

<ref name="134번 각주">{{웹 인용 |last=Potter |first=Sean |date=2022-07-22 |title=NASA Webb Program Director Greg Robinson Announces Retirement |url=http://www.nasa.gov/feature/nasa-webb-program-director-greg-robinson-announces-retirement |access-date=2022-07-22 |website=NASA |archive-date=23 July 2022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220723123416/https://www.nasa.gov/feature/nasa-webb-program-director-greg-robinson-announces-retirement/ |url-status=live }}</ref>

<ref name="135번 각주">{{뉴스 인용|url=https://www.nasa.gov/press-release/nasa-s-webb-observatory-requires-more-time-for-testing-and-evaluation-new-launch|title=NASA's Webb Observatory Requires More Time for Testing and Evaluation|last1=Wang|first1=Jen Rae|last2=Cole|first2=Steve|last3=Northon|first3=Karen|date=27 March 2018|publisher=NASA|access-date=27 March 2018|archive-date=29 March 2018|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80329030036/https://www.nasa.gov/press-release/nasa-s-webb-observatory-requires-more-time-for-testing-and-evaluation-new-launch|url-status=live}} {{PD-notice}}</ref>

<ref name="136번 각주">{{뉴스 인용|url=https://www.bbc.com/news/science-environment-43559980|title=Hubble 'successor' faces new delay|last=Amos|first=Jonathan|date=27 March 2018|work=BBC News|access-date=27 March 2018|archive-date=28 March 2018|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80328001344/http://www.bbc.com/news/science-environment-43559980|url-status=live}}</ref>

<ref name="137번 각주">{{저널 인용|title=NASA reveals major delay for $8-billion Hubble successor|last=Witze|first=Alexandra|journal=Nature|doi=10.1038/d41586-018-03863-5|doi-access=free|bibcode=2018Natur.556...11W|date=27 March 2018|volume=556|issue=7699|pages=11–12}}</ref>

<ref name="138번 각주">{{뉴스 인용 |last=Dreier |first=Casey |date=15 February 2019 |title=NASA just got its best budget in a decade |url=http://www.planetary.org/blogs/casey-dreier/2019/0215-fy2019-nasa-gets-its-best-budget-in-decades.html |access-date=7 March 2019 |archive-date=16 February 2019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90216012055/http://www.planetary.org/blogs/casey-dreier/2019/0215-fy2019-nasa-gets-its-best-budget-in-decades.html |url-status=live }}</ref>

<ref name="139번 각주">{{뉴스 인용|url=https://spacenews.com/coronavirus-pauses-work-on-jwst/|title=Coronavirus pauses work on JWST|date=20 March 2020|first=Jeff|last=Foust|work=SpaceNews|access-date=15 April 2020|archive-date=15 July 2022|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220715144438/https://spacenews.com/coronavirus-pauses-work-on-jwst/|url-status=live}}</ref>

<ref name="140번 각주">{{웹 인용|url=https://sci.esa.int/web/jwst/-/45728-europe-s-role|title=ESA Science & Technology – Europe's Contributions to the JWST Mission|website=European Space Agency|access-date=19 December 2021|archive-date=19 March 2022|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220319004958/https://sci.esa.int/web/jwst/-/45728-europe-s-role|url-status=live}}</ref>

<ref name="141번 각주">{{웹 인용 |url=http://www.asc-csa.gc.ca/eng/media/news_releases/2012/0730.asp |title=Canadian Space Agency 'Eyes' Hubble's Successor: Canada Delivers its Contribution to the World's Most Powerful Space Telescope |publisher=Canadian Space Agency |date=12 April 2013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30412124143/http://www.asc-csa.gc.ca/eng/media/news_releases/2012/0730.asp |archive-date=12 April 2013 |url-status=dead}}</ref>

<ref name="142번 각주">{{웹 인용|last=Jenner|first=Lynn|date=1 June 2020|title=NASA's Webb Telescope is an International Endeavor|url=http://www.nasa.gov/feature/goddard/2020/nasa-s-webb-telescope-is-an-international-endeavor|access-date=23 September 2021|website=NASA|archive-date=19 March 2022|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220319062122/https://www.nasa.gov/feature/goddard/2020/nasa-s-webb-telescope-is-an-international-endeavor/|url-status=live}}</ref>

<ref name="143번 각주">[https://jwst.nasa.gov/content/meetTheTeam/team.html "Meet the team: Partners and Contributors"] {{Web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220108010154/http://www.jwst.nasa.gov/content/meetTheTeam/team.html |date=8 January 2022 }}. official NASA website of James Webb Space Telescope</ref>

<ref name="144번 각주">{{뉴스 인용 |last1=Shepherd |first1=Tony |title=James Webb: world's most powerful telescope makes its first call to Australia on Christmas Day |url=https://www.theguardian.com/science/2021/dec/25/james-webb-worlds-most-powerful-telescope-makes-its-first-call-to-australia-on-christmas-day |access-date=5 January 2022 |work=the Guardian |date=25 December 2021 |language=en |archive-date=19 March 2022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220319004958/https://www.theguardian.com/science/2021/dec/25/james-webb-worlds-most-powerful-telescope-makes-its-first-call-to-australia-on-christmas-day |url-status=live }}</ref>

<ref name="145번 각주">{{웹 인용 |last=Francis |first=Matthew |title=The Problem With Naming Observatories For Bigots |url=https://www.forbes.com/sites/matthewfrancis/2015/06/11/the-problem-with-naming-observatories-for-bigots/ |access-date=2022-04-11 |website=Forbes |language=en |archive-date=11 April 2022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220411042530/https://www.forbes.com/sites/matthewfrancis/2015/06/11/the-problem-with-naming-observatories-for-bigots/ |url-status=live }}</ref>

<ref name="146번 각주">{{웹 인용 |date=January 21, 2015 |first=Dan |last=Savage |title=Should NASA Name a Telescope After a Dead Guy Who Persecuted Gay People in the 1950s? |url=http://slog.thestranger.com/slog/archives/2015/01/21/should-nasa-name-a-telescope-after-a-dead-guy-who-persecuted-gay-people-in-the-1950s |access-date=2022-04-11 |website=The Stranger |language=en |archive-date=24 January 2015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50124072342/http://slog.thestranger.com/slog/archives/2015/01/21/should-nasa-name-a-telescope-after-a-dead-guy-who-persecuted-gay-people-in-the-1950s |url-status=live }}</ref>

<ref name="147번 각주">{{웹 인용|author1=Maggie Masetti|author2=Anita Krishnamurthi|url=http://www.jwst.nasa.gov/science.html|title=JWST Science|publisher=NASA|date=2009|access-date=14 April 2013|archive-date=24 November 2017|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71124152624/https://jwst.nasa.gov/science.html|url-status=live}} {{PD-notice}}</ref>

<ref name="148번 각주">{{웹 인용|url=http://www.popularmechanics.com/space/telescopes/a19346/james-webb-telescope-alien-megastructure/|title=NASA's Next Telescope Could ID Alien Megastructures|date=9 February 2016|access-date=1 September 2016|archive-date=9 October 2019|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91009124137/https://www.popularmechanics.com/space/telescopes/a19346/james-webb-telescope-alien-megastructure/|url-status=live}}</ref>

<ref name="149번 각주">{{뉴스 인용 |last=Zimmer |first=Carl |author-link=칼 짐머 |title=Webb Telescope Will Look for Signs of Life Way Out There – The first question astronomers want to answer about exoplanets: Do they have atmospheres friendly to life? |url=https://www.nytimes.com/2022/07/02/science/webb-telescope-exoplanets-atmosphere.html |date=2 July 2022 |work=[[뉴욕 타임즈|The New York Times]] |access-date=2 July 2022 |archive-date=2 July 2022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220702090649/https://www.nytimes.com/2022/07/02/science/webb-telescope-exoplanets-atmosphere.html/ |url-status=live }}</ref>

<ref name="150번 각주">[https://www.space.com/methane-biosignature-search-for-life-cautions NASA's new James Webb Space Telescope will be able to sniff out methane. Here's how to tell if it's a sign of life.] {{Web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220330213317/https://www.space.com/methane-biosignature-search-for-life-cautions |date=30 March 2022 }} Stefanie Waldek, Space.com. 29 March 2022</ref>

<ref name="151번 각주">{{웹 인용|title=Basics of Space Flight|url=http://www2.jpl.nasa.gov/basics/bsf5-1.php|publisher=Jet Propulsion Laboratory|access-date=28 August 2016|archive-date=11 June 2012|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20611064749/http://www2.jpl.nasa.gov/basics/bsf5-1.php|url-status=live}} {{PD-notice}}</ref>

<ref name="152번 각주">{{웹 인용 |url=https://ntrs.nasa.gov/api/citations/20140007519/downloads/20140007519.pdf |title=STATIONKEEPING MONTE CARLO SIMULATION FOR THE JAMES WEBB SPACE TELESCOPE|author=Donald J. Dichmann|author2=Cassandra M. Alberding|author3=Wayne H. Yu|publisher=NASA Goddard Space Flight Center|date=5 May 2014|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211217000634/https://ntrs.nasa.gov/api/citations/20140007519/downloads/20140007519.pdf|archive-date=17 December 2021|access-date=29 December 2021}} {{PD-notice}}</ref>

<ref name="153번 각주">{{웹 인용|url=https://ntrs.nasa.gov/api/citations/20170004986/downloads/20170004986.pdf|title=The James Webb Space Telescope Mission|author=Matt Greenhouse|date=1 April 2016|publisher=NASA Goddard Space Flight Center|access-date=29 December 2021|archive-date=29 December 2021|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211229192654/https://ntrs.nasa.gov/api/citations/20170004986/downloads/20170004986.pdf|url-status=live}}</ref>

<ref name="154번 각주">"[https://ntrs.nasa.gov/search.jsp?R=20140008868 James Webb Space Telescope Initial Mid-Course Correction Monte Carlo Implementation using Task Parallelism] {{Web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60319033503/http://ntrs.nasa.gov/search.jsp?R=20140008868 |date=19 March 2016 }}" 3.1 Propulsion System Overview. J. Petersen et al. {{PD-notice}}</ref>

<ref name="155번 각주">{{웹 인용 |last=Kimble |first=Randy |url=https://blogs.nasa.gov/webb/2021/12/27/more-than-you-wanted-to-know-about-webbs-mid-course-corrections/ |title=More Than You Wanted to Know About Webb's Mid-Course Corrections! |work=[[NASA]] |date=27 December 2021 |access-date=27 December 2021 |archive-date=27 December 2021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211227141617/https://blogs.nasa.gov/webb/2021/12/27/more-than-you-wanted-to-know-about-webbs-mid-course-corrections/ |url-status=live }} {{PD-notice}}</ref>

<ref name="156번 각주">Howard, Rick, [https://www.nasa.gov/pdf/629955main_RHoward_JWST_3_6_12.pdf "James Webb Space Telescope (JWST)"] {{Web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211221150840/https://www.nasa.gov/pdf/629955main_RHoward_JWST_3_6_12.pdf |date=21 December 2021 }}, ''nasa.gov'', 6 March 2012 {{PD-notice}}</ref>

<ref name="157번 각주">{{웹 인용|url=http://coolcosmos.ipac.caltech.edu/cosmic_classroom/ir_tutorial/irwindows.html|title=Infrared Atmospheric Windows|publisher=Cool Cosmos|access-date=28 August 2016|archive-date=11 October 2018|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81011101051/http://coolcosmos.ipac.caltech.edu/cosmic_classroom/ir_tutorial/irwindows.html|url-status=dead}}</ref>

<ref name="158번 각주">{{웹 인용|url=http://www.jwst.nasa.gov/firstlight.html|title=Webb Science: The End of the Dark Ages: First Light and Reionization|publisher=NASA|access-date=9 June 2011|archive-date=22 November 2017|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71122181907/https://jwst.nasa.gov/firstlight.html|url-status=live}} {{PD-notice}}</ref>

<ref name="159번 각주">{{웹 인용|url=http://www.ipac.caltech.edu/Outreach/Edu/importance.html|title=Infrared Astronomy: Overview|publisher=NASA Infrared Astronomy and Processing Center|access-date=30 October 2006|url-status=dead|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061208151300/http://www.ipac.caltech.edu/Outreach/Edu/importance.html|archive-date=8 December 2006}} {{PD-notice}}</ref>

<ref name="160번 각주">{{웹 인용 |last=Mather |first=John |url=https://jwst.nasa.gov/resources/ssb_2006/mather_sciencesummary.pdf |title=James Webb Space Telescope (JWST) Science Summary for SSB |work=[[NASA]] |date=13 June 2006 |access-date=4 June 2021 |archive-date=27 March 2021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210327214005/https://jwst.nasa.gov/resources/ssb_2006/mather_sciencesummary.pdf |url-status=live }} {{PD-notice}}</ref>

<ref name="161번 각주">{{웹 인용|url=https://www.nasa.gov/home/hqnews/2003/jun/HQ_c03r_Webb.html|title=Webb Spacecraft Science & Operations Center Contract Awarded|author1=Savage, Donald|author2=Neal, Nancy|date=6 June 2003|publisher=NASA|access-date=1 February 2017|archive-date=3 January 2022|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220103132040/https://www.nasa.gov/home/hqnews/2003/jun/HQ_c03r_Webb.html|url-status=live}} {{PD-notice}}</ref>

<ref name="162번 각주">{{웹 인용|url=http://www.fbodaily.com/archive/2002/10-October/30-Oct-2002/FBO-00195113.htm|title=Single Board Computer|publisher=FBO Daily Issue, FBO #0332|date=30 October 2002|access-date=23 April 2008|archive-date=18 May 2009|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090518064128/http://www.fbodaily.com/archive/2002/10-October/30-Oct-2002/FBO-00195113.htm|url-status=live}}</ref>

<ref name="163번 각주">{{웹 인용|url=http://www.nasa.gov/topics/universe/features/jwst_digital.html|title=Amazing Miniaturized 'SIDECAR' Drives Webb Telescope's Signal|date=20 February 2008|publisher=NASA|access-date=22 February 2008|archive-date=27 February 2008|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080227160340/http://www.nasa.gov/topics/universe/features/jwst_digital.html|url-status=live}} {{PD-notice}}</ref>

<ref name="164번 각주">{{웹 인용 |last=Sutherland |first=Scott |url=https://www.theweathernetwork.com/ca/news/article/james-webb-space-telescope-mirror-segment-hit-by-micrometeoroid |title=Webb's primary mirror was just hit by a meteoroid, but it was built to endure |website=The Weather Network |date=10 June 2022 |access-date=10 June 2022 |archive-date=9 June 2022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220609191423/https://www.theweathernetwork.com/ca/news/article/james-webb-space-telescope-mirror-segment-hit-by-micrometeoroid |url-status=live }}</ref>

<ref name="165번 각주">{{웹 인용 |last=Harwood |first=William |url=https://www.cbsnews.com/news/webb-telescope-micrometeoroid-impact-mirror-segment/ |title=Webb telescope still performing well after micrometeoroid impact on mirror segment, NASA says |website=CBS News |date=9 June 2022 |access-date=10 June 2022 |archive-date=9 June 2022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220609203112/https://www.cbsnews.com/news/webb-telescope-micrometeoroid-impact-mirror-segment/ |url-status=live }}</ref>

<ref name="166번 각주">{{웹 인용 |last=Howell |first=Elizabeth |url=https://www.space.com/james-webb-space-telescope-micrometeoroid-damage/ |title=James Webb Space Telescope picture shows noticeable damage from micrometeoroid strike |website=Space.com |date=18 July 2022 |access-date=26 September 2022}}</ref>

<ref name="167번 각주">{{보도자료 인용 |url=https://www.arianespace.com/press-release/ariane-5-successful-launch-webb-space-telescope/ |title=Ariane 5 goes down in history with successful launch of Webb |work=[[Arianespace]] |date=25 December 2021 |access-date=25 December 2021 |archive-date=10 March 2022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220310095539/https://www.arianespace.com/press-release/ariane-5-successful-launch-webb-space-telescope/ |url-status=live }}</ref>

<ref name="168번 각주">{{뉴스 인용 |last1=Pinoi |first1=Natasha |last2=Fiser |first2=Alise |last3=Betz |first3=Laura |title=NASA's Webb Telescope Launches to See First Galaxies, Distant Worlds – NASA's James Webb Space Telescope launched at 7:20 a.m. EST Saturday [Dec. 25, 2021] on an Ariane 5 rocket French Guiana, South America |url=https://www.nasa.gov/press-release/nasas-webb-telescope-launches-to-see-first-galaxies-distant-worlds |date=27 December 2021 |work=[[NASA]] |access-date=28 December 2021 |archive-date=12 April 2022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220412131658/https://www.nasa.gov/press-release/nasas-webb-telescope-launches-to-see-first-galaxies-distant-worlds/ |url-status=live }}</ref>

<ref name="169번 각주">{{웹 인용 | title=How to track James Webb Space Telescope, mission timeline | website=Space Explored | date=31 December 2021 | url=https://spaceexplored.com/2021/12/30/how-to-track-james-webb-space-telescope-mission-timeline/ | access-date=1 January 2022 | archive-date=1 January 2022 |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220101084226/https://spaceexplored.com/2021/12/30/how-to-track-james-webb-space-telescope-mission-timeline/ | url-status=live }}</ref>

<ref name="170번 각주">{{뉴스 인용 |last=Achenbach |first=Joel |title=NASA's James Webb Space Telescope launches in French Guiana – $10 billion successor to Hubble telescope will capture light from first stars and study distant worlds |url=https://www.washingtonpost.com/science/2021/12/25/webb-space-telescope-launch/ |date=25 December 2021 |newspaper=[[워싱턴 포스트|The Washington Post]] |access-date=25 December 2021 |archive-date=25 December 2021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211225125938/https://www.washingtonpost.com/science/2021/12/25/webb-space-telescope-launch/ |url-status=live }}</ref>

<ref name="171번 각주">{{뉴스 인용 |title=Live Updates: Webb Telescope Launches on Long-Awaited Journey |url=https://www.nytimes.com/live/2021/12/25/science/webb-telescope-launch-nasa |date=25 December 2021 |work=[[뉴욕 타임즈|The New York Times]] |access-date=25 December 2021 |archive-date=25 December 2021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211225104032/https://www.nytimes.com/live/2021/12/25/science/webb-telescope-launch-nasa |url-status=live }}</ref>

<ref name="172번 각주">{{뉴스 인용 |last1=Overbye |first1=Dennis |last2=Roulette |first2=Joey |title=James Webb Space Telescope Launches on Journey to See the Dawn of Starlight – Astronomers were jubilant as the spacecraft made it off the launchpad, following decades of delays and cost overruns. The Webb is set to offer a new keyhole into the earliest moments of our universe. |url=https://www.nytimes.com/2021/12/25/science/james-webb-telescope-launch.html |date=25 December 2021 |work=[[뉴욕 타임즈|The New York Times]] |access-date=25 December 2021 |archive-date=29 December 2021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211229103315/https://www.nytimes.com/2021/12/25/science/james-webb-telescope-launch.html |url-status=live }}</ref>

<ref name="173번 각주">{{웹 인용|url=https://webb.nasa.gov/content/about/orbit.html|title=Webb Orbit|website=webb.nasa.gov|access-date=27 September 2022|url-status=live}}</ref>

<ref name="174번 각주">{{웹 인용|url=https://blogs.nasa.gov/webb/|title=James Webb Space Telescope|website=blogs.nasa.gov|access-date=22 November 2021|archive-date=18 November 2021|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211118051619/https://blogs.nasa.gov/webb/|url-status=live}}</ref>

<ref name="175번 각주">Camera on ESC-D Cryotechnic upper stage [https://www.youtube.com/watch?v=7nT7JGZMbtM&t=6637s (25 Dec 2021) view of newly separated JWST, as seen from the ESC-D Cryotechnic upper stage] {{Web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211225214400/https://www.youtube.com/watch?v=7nT7JGZMbtM&t=6637s |date=25 December 2021 }}</ref>

<ref name="176번 각주">{{웹 인용|url=https://www.space.com/james-webb-space-telescope-launch-nasa-reaction|title='It's truly Christmas': James Webb Space Telescope's yuletide launch has NASA overjoyed|author1=Tereza Pultarova|date=25 December 2021|website=Space.com|access-date=4 January 2022|archive-date=4 January 2022|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220104054403/https://www.space.com/james-webb-space-telescope-launch-nasa-reaction|url-status=live}}</ref>

<ref name="177번 각주">{{인용|title=James Webb Space Telescope Deployment Sequence (Nominal)|url=https://www.youtube.com/watch?v=RzGLKQ7_KZQ |archive-url=https://ghostarchive.org/varchive/RzGLKQ7_KZQ|archive-date=23 December 2021|url-status=live|pages=1:47|access-date=23 December 2021}}{{cbignore}}</ref>

<ref name="178번 각주">{{웹 인용 |last1=Warren |first1=Haygen |title=James Webb Space Telescope en route to L2; deployment sequence underway |url=https://www.nasaspaceflight.com/2021/12/james-webb-deployment-sequence-underway/ |website=NASA spaceflight.com |access-date=5 January 2022 |date=27 December 2021 |archive-date=5 January 2022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220105013628/https://www.nasaspaceflight.com/2021/12/james-webb-deployment-sequence-underway/ |url-status=live }}</ref>

<ref name="179번 각주">{{뉴스 인용 |last1=Achenbach |first1=Joel |title=NASA thrilled: Webb Space Telescope deploys sun shield, evades many potential 'single-point failures' |url=https://www.washingtonpost.com/science/2022/01/04/webb-telescope-sun-shield-deployed/ |newspaper=The Washington Post |access-date=5 January 2022 |date=4 January 2022 |archive-date=4 January 2022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220104233214/https://www.washingtonpost.com/science/2022/01/04/webb-telescope-sun-shield-deployed/ |url-status=live }}</ref>

<ref name="180번 각주">{{웹 인용 |title=Gimbaled Antenna Assembly |url=https://webb.nasa.gov/content/webbLaunch/deploymentExplorer.html |url-status=live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220127113812/https://webb.nasa.gov/content/webbLaunch/deploymentExplorer.html |archive-date=27 January 2022 |access-date=27 December 2021 |website=James Webb Space Telescope |publisher=NASA}}</ref>

<ref name="181번 각주">{{웹 인용 |last1=Fox |first1=Karen |title=The First Mid-Course Correction Burn |url=https://blogs.nasa.gov/webb/2021/12/25/the-first-mid-course-correction-burn/ |website=NASA Blogs |access-date=27 December 2021 |archive-date=26 December 2021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211226224905/https://blogs.nasa.gov/webb/2021/12/25/the-first-mid-course-correction-burn/ |url-status=live }}</ref>

<ref name="182번 각주">{{웹 인용 |last1=Fox |first1=Karen |title=Webb's Second Mid-Course Correction Burn |url=https://blogs.nasa.gov/webb/2021/12/27/webbs-second-mid-course-correction-burn/ |website=James Webb Space Telescope (NASA Blogs) |access-date=29 December 2021 |archive-date=29 December 2021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211229005346/https://blogs.nasa.gov/webb/2021/12/27/webbs-second-mid-course-correction-burn/ |url-status=live }}</ref>

<ref name="183번 각주">{{웹 인용 |last=Fisher |first=Alise |date=30 December 2021 |title=Webb's Aft Momentum Flap Deployed |url=https://blogs.nasa.gov/webb/2021/12/30/webbs-aft-momentum-flap-deployed/ |website=James Webb Space Telescope (NASA Blogs) |access-date=31 December 2021 |archive-date=30 December 2021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211230221838/https://blogs.nasa.gov/webb/2021/12/30/webbs-aft-momentum-flap-deployed/ |url-status=live }}</ref>

<ref name="184번 각주">{{웹 인용 |last1=Lynch |first1=Patrick |title=With Webb's Mid-Booms Extended, Sunshield Takes Shape |url=https://blogs.nasa.gov/webb/2021/12/31/with-webbs-mid-booms-extended-sunshield-takes-shape/ |website=James Webb Space Telescope (NASA Blogs) |access-date=1 January 2022 |date=31 December 2021 |archive-date=24 May 2022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220524194046/https://blogs.nasa.gov/webb/2021/12/31/with-webbs-mid-booms-extended-sunshield-takes-shape/ |url-status=live }}</ref>

<ref name="185번 각주">{{웹 인용 |last1=Lynch |first1=Patrick |date=31 December 2021 |title=First of Two Sunshield Mid-Booms Deploys |url=https://blogs.nasa.gov/webb/2021/12/31/first-of-two-sunshield-mid-booms-deploys/ |url-status=live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220429111850/https://blogs.nasa.gov/webb/2021/12/31/first-of-two-sunshield-mid-booms-deploys/ |archive-date=29 April 2022 |access-date=1 January 2022 |website=James Webb Space Telescope (NASA Blogs)}}</ref>

<ref name="186번 각주">{{웹 인용 |last=Fisher |first=Alise |date=5 January 2022 |title=Secondary Mirror Deployment Confirmed |url=https://blogs.nasa.gov/webb/2022/01/05/secondary-mirror-deployment-confirmed/ |website=James Webb Space Telescope (NASA Blogs) |access-date=6 January 2022 |archive-date=5 January 2022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220105225237/https://blogs.nasa.gov/webb/2022/01/05/secondary-mirror-deployment-confirmed/ |url-status=live }}</ref>

<ref name="187번 각주">{{웹 인용 |last=Fisher |first=Alise |date=7 January 2022 |title=First of Two Primary Mirror Wings Unfolds |website=James Webb Space Telescope (NASA Blogs) |access-date=8 January 2022 |url=https://blogs.nasa.gov/webb/2022/01/07/first-of-two-primary-mirror-wings-unfolds/ |archive-date=7 January 2022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220107230121/https://blogs.nasa.gov/webb/2022/01/07/first-of-two-primary-mirror-wings-unfolds/ |url-status=live }}</ref>

<ref name="188번 각주">{{웹 인용|url=https://blogs.nasa.gov/webb/2022/01/08/primary-mirror-wings-deployed-all-major-deployments-complete/|title=Primary Mirror Wings Deployed, All Major Deployments Complete|last=Fisher|first=Alise|date=8 January 2022|website=James Webb Space Telescope (NASA Blogs)|access-date=8 January 2022|archive-date=23 January 2022|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220123110611/https://blogs.nasa.gov/webb/2022/01/08/primary-mirror-wings-deployed-all-major-deployments-complete/|url-status=live}}</ref>

<ref name="189번 각주">{{웹 인용 |last1=Berger |first1=Eric |title=Remarkably, NASA has completed deployment of the Webb space telescope |url=https://cansciencenews.com/2022/01/08/remarkably-nasa-has-completed-deployment-of-the-webb-space-telescope/ |website=cansciencenews.com |access-date=8 January 2022 |date=8 January 2022 |archive-date=9 January 2022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220109071434/https://cansciencenews.com/2022/01/08/remarkably-nasa-has-completed-deployment-of-the-webb-space-telescope/ |url-status=live }}</ref>

<ref name="190번 각주">{{웹 인용 |title=Space telescope's 'golden eye' opens, last major hurdle |url=https://phys.org/news/2022-01-space-telescope-golden-eye-major.html |website=phys.org |access-date=9 January 2022 |date=8 January 2022 |archive-date=8 January 2022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220108210342/https://phys.org/news/2022-01-space-telescope-golden-eye-major.html |url-status=live }}</ref>

<ref name="191번 각주">{{웹 인용 |last=Fisher |first=Alise |date=21 January 2022 |title=Webb's Journey to L2 Is Nearly Complete |url=https://blogs.nasa.gov/webb/2022/01/21/webbs-journey-to-l2-is-nearly-complete |access-date=25 January 2022 |website=James Webb Space Telescope (NASA Blogs) |archive-date=25 January 2022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220125000731/https://blogs.nasa.gov/webb/2022/01/21/webbs-journey-to-l2-is-nearly-complete/ |url-status=live }}</ref>

<ref name="192번 각주">{{뉴스 인용 |last=Roulette |first=Joey |title=After Million-Mile Journey, James Webb Telescope Reaches Destination – The telescope's safe arrival is a relief to scientists who plan to spend the next 10 or more years using it to study ancient galaxies.|url=https://www.nytimes.com/2022/01/24/science/james-webb-telescope-arrival.html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220124191053/https://www.nytimes.com/2022/01/24/science/james-webb-telescope-arrival.html |archive-date=2022-01-24 |url-access=subscription |url-status=live |date=24 January 2022 |newspaper=[[뉴욕 타임즈|The New York Times]] |access-date=24 January 2022 }}</ref>

<ref name="193번 각주">{{웹 인용|url=https://blogs.nasa.gov/webb/2022/01/24/orbital-insertion-burn-a-success-webb-arrives-at-l2/|title=Orbital Insertion Burn a Success, Webb Arrives at L2 – James Webb Space Telescope|website=Blogs.nasa.gov|access-date=12 February 2022|archive-date=12 February 2022|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220212041650/https://blogs.nasa.gov/webb/2022/01/24/orbital-insertion-burn-a-success-webb-arrives-at-l2/|url-status=live}}</ref>

<ref name="194번 각주">{{웹 인용|url=https://blogs.nasa.gov/webb/2022/01/19/webb-mirror-segment-deployments-complete|title=Webb Mirror Segment Deployments Complete – James Webb Space Telescope|access-date=24 January 2022|archive-date=24 January 2022|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220124072108/https://blogs.nasa.gov/webb/2022/01/19/webb-mirror-segment-deployments-complete/|url-status=live}}</ref>

<ref name="195번 각주">{{웹 인용|url=https://blogs.nasa.gov/webb/2022/01/12/webb-begins-its-months-long-mirror-alignment|title=Webb Begins Its Months-Long Mirror Alignment – James Webb Space Telescope|access-date=17 January 2022|archive-date=16 January 2022|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220116205042/https://blogs.nasa.gov/webb/2022/01/12/webb-begins-its-months-long-mirror-alignment/|url-status=live}}</ref>

<ref name="196번 각주">{{웹 인용|url=https://blogs.nasa.gov/webb/2022/02/03/photons-incoming-webb-team-begins-aligning-the-telescope|title=Photons Incoming: Webb Team Begins Aligning the Telescope – James Webb Space Telescope|access-date=5 February 2022|archive-date=30 April 2022|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220430083322/https://blogs.nasa.gov/webb/2022/02/03/photons-incoming-webb-team-begins-aligning-the-telescope/|url-status=live}} {{PD-notice}}</ref>

<ref name="197번 각주">{{웹 인용|url=https://blogs.nasa.gov/webb/2022/01/31/following-webbs-arrival-at-l2-telescope-commissioning-set-to-begin/|title=Following Webb's Arrival at L2, Telescope Commissioning Set to Begin – James Webb Space Telescope|access-date=5 February 2022|archive-date=5 February 2022|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220205043153/https://blogs.nasa.gov/webb/2022/01/31/following-webbs-arrival-at-l2-telescope-commissioning-set-to-begin/|url-status=live}}</ref>

<ref name="198번 각주">{{cite simbad| |title=HD 84406 |access-date=2022-01-25}}</ref>

<ref name="199번 각주">{{뉴스 인용 |last=Dvorsky |first=George |date=4 February 2022 |title=Webb Space Telescope Successfully Sees Its First Glimmer of Light – HD 84406 will go down in history as the first star spotted by the $10 billion space telescope. |work=[[Gizmodo]] |url=https://gizmodo.com/james-webb-space-telescop-first-star-light-hd-84406-1848480785 |url-status=live |access-date=4 February 2022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220224094756/https://gizmodo.com/james-webb-space-telescop-first-star-light-hd-84406-1848480785 |archive-date=24 February 2022}}</ref>

<ref name="200번 각주">{{뉴스 인용|last=Hood |first=Abby Lee |date=6 February 2022 |title=The James Webb Space Telescope Just Detected Its First Signal – We're Watching The Future Unfold In Real Time |work=Futurism.com |url=https://futurism.com/the-byte/james-webb-telescope-first-signal |url-status=live |access-date=6 February 2022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220319005008/https://futurism.com/the-byte/james-webb-telescope-first-signal |archive-date=19 March 2022}}</ref>

<ref name="201번 각주">{{웹 인용 |title=Photons Received: Webb Sees Its First Star – 18 Times – James Webb Space Telescope |url=https://blogs.nasa.gov/webb/2022/02/11/photons-received-webb-sees-its-first-star-18-times/ |url-status=live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220211235906/https://blogs.nasa.gov/webb/2022/02/11/photons-received-webb-sees-its-first-star-18-times/ |archive-date=11 February 2022 |access-date=12 February 2022 |website=Blogs.nasa.gov}}</ref>

<ref name="202번 각주">{{웹 인용|url=https://mobile.twitter.com/NASAWebb/status/1489319970324496386|title=Our NIRCam instrument's detectors saw their 1st photons of starlight! While #NASAWebb is not yet ready for science, this is the first of many steps to capture images that are at first unfocused, used to slowly fine-tune the optics|website=Twitter.com|access-date=12 February 2022|archive-date=8 February 2022|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220208224751/https://mobile.twitter.com/nasawebb/status/1489319970324496386|url-status=live}}</ref>

<ref name="203번 각주">{{웹 인용|url=https://blogs.nasa.gov/webb/2022/02/18/webb-team-brings-18-dots-of-starlight-into-hexagonal-formation/|title=Webb Team Brings 18 Dots of Starlight Into Hexagonal Formation|website=Blogs.nasa.gov|access-date=18 February 2022|archive-date=18 February 2022|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220218195020/https://blogs.nasa.gov/webb/2022/02/18/webb-team-brings-18-dots-of-starlight-into-hexagonal-formation/|url-status=live}}</ref>

<ref name="204번 각주">[https://blogs.nasa.gov/webb/2022/02/25/webb-mirror-alignment-continues-successfully Webb Mirror Alignment Continues Successfully] {{Web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220226103026/https://blogs.nasa.gov/webb/2022/02/25/webb-mirror-alignment-continues-successfully/ |date=26 February 2022 }} – NASA blog</ref>

<ref name="205번 각주">[https://blogs.nasa.gov/webb/2022/02/24/to-find-the-first-galaxies-webb-pays-attention-to-detail-and-theory To Find the First Galaxies, Webb Pays Attention to Detail and Theory] {{Web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220226040343/https://blogs.nasa.gov/webb/2022/02/24/to-find-the-first-galaxies-webb-pays-attention-to-detail-and-theory/ |date=26 February 2022 }} – NASA</ref>

<ref name="206번 각주">{{웹 인용 |title=2mass j17554042+6551277 – Facts about the Star |url=https://www.universeguide.com/star/138939/2massj175540426551277 |website=Universe Guide – Guide to Space, Planets and the Rest of the Universe |date=16 March 2022 |publisher=universeguide.com |access-date=21 March 2022 |ref=16 March 2022 |archive-date=15 July 2022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220715144546/https://www.universeguide.com/star/138939/2massj175540426551277 |url-status=live }}</ref>

<ref name="207번 각주">{{웹 인용 |last1=Kluger |first1=Jeffrey |title=The James Webb Space Telescope Took Its Best Picture Yet |url=https://time.com/6158745/james-webb-space-telescope-picture/ |access-date=21 March 2022 |agency=TIME |publisher=time.com |date=18 March 2022 |archive-date=21 March 2022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220321013150/https://time.com/6158745/james-webb-space-telescope-picture/ |url-status=live }}</ref>

<ref name="208번 각주">{{뉴스 인용|last=Atkinson |first=Nancy |title=Now, We can Finally Compare Webb to Other Infrared Observatories |url=https://www.universetoday.com/155686/now-we-can-finally-compare-webb-to-other-infrared-observatories/ |date=2 May 2022 |work=[[유니버스 투데이|Universe Today]] |access-date=12 May 2022 |archive-date=10 May 2022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220510035557/https://www.universetoday.com/155686/now-we-can-finally-compare-webb-to-other-infrared-observatories/ |url-status=live }}</ref>

<ref name="209번 각주">{{웹 인용 | url=https://www.esa.int/ESA_Multimedia/Images/2022/04/Webb_in_full_focus | title=Webb in full focus }}</ref>

<ref name="210번 각주">{{웹 인용 | url=https://blogs.nasa.gov/webb/2022/07/06/webbs-fine-guidance-sensor-provides-a-preview/ | title=Webb's Fine Guidance Sensor Provides a Preview – James Webb Space Telescope }}</ref>

<ref name="211번 각주">{{웹 인용|title=Calls for Proposals & Policy|url=https://jwst.stsci.edu/science-planning/calls-for-proposals-and-policy|publisher=Space Telescope Science Institute|access-date=13 November 2017|archive-date=15 July 2022|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220715144546/https://www.stsci.edu/jwst/science-planning/calls-for-proposals-and-policy|url-status=live}} {{PD-notice}}</ref>

<ref name="212번 각주">{{웹 인용|title=Selections Made for the JWST Director's Discretionary Early Release Science Program|url=https://jwst.stsci.edu/news-events/news/News%20items/selections-made-for-the-jwst-directors-discretionary-early-release-science-program|publisher=Space Telescope Science Institute|access-date=13 November 2017|archive-url=https://wayback.archive-it.org/all/20180808190059/https://jwst.stsci.edu/news-events/news/News%2520items/selections-made-for-the-jwst-directors-discretionary-early-release-science-program|archive-date=8 August 2018|url-status=dead}} {{PD-notice}}</ref>

<ref name="213번 각주">{{웹 인용|title=Director's Discretionary Early Release Science Programs|url=https://www.stsci.edu/jwst/science-execution/approved-ers-programs|publisher=Space Telescope Science Institute|access-date=26 December 2021|archive-date=15 July 2022|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220715144545/https://www.stsci.edu/jwst/science-execution/approved-ers-programs|url-status=live}}</ref>

<ref name="214번 각주">{{웹 인용 |title=Radiative Feedback from Massive Stars as Traced by Multiband Imaging and Spectroscopic Mosaic |url=https://www.stsci.edu/files/live/sites/www/files/home/jwst/news-events/news/pre-2018/_documents/ers-1288-berne.pdf |access-date=17 March 2022 |archive-date=15 July 2022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220715144623/https://www.stsci.edu/files/live/sites/www/files/home/jwst/news-events/news/pre-2018/_documents/ers-1288-berne.pdf |url-status=live }}</ref>

<ref name=215번 각주">{{웹 인용 |title=IceAge: Chemical Evolution of Ices during Star Formation |url=https://www.stsci.edu/files/live/sites/www/files/home/jwst/news-events/news/pre-2018/_documents/ers-1309-mcclure.pdf |access-date=17 March 2022 |archive-date=15 July 2022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220715144623/https://www.stsci.edu/files/live/sites/www/files/home/jwst/news-events/news/pre-2018/_documents/ers-1309-mcclure.pdf |url-status=live }}</ref>

<ref name="216번 각주">{{웹 인용 |title=Through the Looking GLASS: A JWST Exploration of Galaxy Formation and Evolution from Cosmic Dawn to Present Day |url=https://www.stsci.edu/files/live/sites/www/files/home/jwst/news-events/news/pre-2018/_documents/ers-1324-treu.pdf |access-date=17 March 2022 |archive-date=15 July 2022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220715144623/https://www.stsci.edu/files/live/sites/www/files/home/jwst/news-events/news/pre-2018/_documents/ers-1324-treu.pdf |url-status=live }}</ref>

<ref name="217번 각주">{{웹 인용 |title=A JWST Study of the Starburst-AGN Connection in Merging LIRGs |url=https://www.stsci.edu/files/live/sites/www/files/home/jwst/news-events/news/pre-2018/_documents/ers-1328-armus.pdf |access-date=17 March 2022 |archive-date=15 July 2022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220715144624/https://www.stsci.edu/files/live/sites/www/files/home/jwst/news-events/news/pre-2018/_documents/ers-1328-armus.pdf |url-status=live }}</ref>

<ref name="218번 각주">{{웹 인용 |title=The Resolved Stellar Populations Early Release Science Program |url=https://www.stsci.edu/files/live/sites/www/files/home/jwst/news-events/news/pre-2018/_documents/ers-1334-weisz.pdf |access-date=17 March 2022 |archive-date=15 July 2022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220715144624/https://www.stsci.edu/files/live/sites/www/files/home/jwst/news-events/news/pre-2018/_documents/ers-1334-weisz.pdf |url-status=live }}</ref>

<ref name="219번 각주">{{웹 인용 |title=Q-3D: Imaging Spectroscopy of Quasar Hosts with JWST Analyzed with a Powerful New PSF Decomposition and Spectral Analysis Package |author=Dominika Wylezalek |url=https://www.stsci.edu/files/live/sites/www/files/home/jwst/news-events/news/pre-2018/_documents/ers-1335-wylezalek.pdf |access-date=17 March 2022 |archive-date=15 July 2022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220715144624/https://www.stsci.edu/files/live/sites/www/files/home/jwst/news-events/news/pre-2018/_documents/ers-1335-wylezalek.pdf |url-status=live }}</ref>

<ref name="220번 각주">{{cite web |title=The Cosmic Evolution Early Release Science (CEERS) Survey |url=https://www.stsci.edu/files/live/sites/www/files/home/jwst/news-events/news/pre-2018/_documents/ers-1345-finkelstein.pdf |access-date=17 March 2022 |archive-date=15 July 2022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220715144624/https://www.stsci.edu/files/live/sites/www/files/home/jwst/news-events/news/pre-2018/_documents/ers-1345-finkelstein.pdf |url-status=live }}</ref>

<ref name="221번 각주">{{웹 인용 |title=Establishing Extreme Dynamic Range with JWST: Decoding Smoke Signals in the Glare of a Wolf-Rayet Binary |url=https://www.stsci.edu/files/live/sites/www/files/home/jwst/news-events/news/pre-2018/_documents/ers-1349-lau.pdf |access-date=17 March 2022 |archive-date=15 July 2022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220715144625/https://www.stsci.edu/files/live/sites/www/files/home/jwst/news-events/news/pre-2018/_documents/ers-1349-lau.pdf |url-status=live }}</ref>

<ref name="222번 각주">{{웹 인용 |title=TEMPLATES: Targeting Extremely Magnified Panchromatic Lensed Arcs and Their Extended Star Formation |url=https://www.stsci.edu/files/live/sites/www/files/home/jwst/news-events/news/pre-2018/_documents/ers-1355-rigby.pdf |access-date=17 March 2022 |archive-date=15 July 2022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220715144625/https://www.stsci.edu/files/live/sites/www/files/home/jwst/news-events/news/pre-2018/_documents/ers-1355-rigby.pdf |url-status=live }}</ref>

<ref name="223번 각주">{{웹 인용 |title=Nuclear Dynamics of a Nearby Seyfert with NIRSpec Integral Field Spectroscopy |url=https://www.stsci.edu/files/live/sites/www/files/home/jwst/news-events/news/pre-2018/_documents/ers-1364-bentz.pdf |access-date=17 March 2022 |archive-date=15 July 2022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220715144625/https://www.stsci.edu/files/live/sites/www/files/home/jwst/news-events/news/pre-2018/_documents/ers-1364-bentz.pdf |url-status=live }}</ref>

<ref name="224번 각주">{{웹 인용 |title=The Transiting Exoplanet Community Early Release Science Program |url=https://www.stsci.edu/files/live/sites/www/files/home/jwst/news-events/news/pre-2018/_documents/ers-1366-batalha.pdf |access-date=17 March 2022 |archive-date=15 July 2022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220715144626/https://www.stsci.edu/files/live/sites/www/files/home/jwst/news-events/news/pre-2018/_documents/ers-1366-batalha.pdf |url-status=live }}</ref>

<ref name=225번 각주">{{웹 인용 |title=ERS observations of the Jovian System as a Demonstration of JWST's Capabilities for Solar System Science |url=https://www.stsci.edu/files/live/sites/www/files/home/jwst/news-events/news/pre-2018/_documents/ers-1373-depater.pdf |access-date=17 March 2022 |archive-date=15 July 2022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220715144626/https://www.stsci.edu/files/live/sites/www/files/home/jwst/news-events/news/pre-2018/_documents/ers-1373-depater.pdf |url-status=live }}</ref>

<ref name="226번 각주">{{웹 인용 |title=High Contrast Imaging of Exoplanets and Exoplanetary Systems with JWST |url=https://www.stsci.edu/files/live/sites/www/files/home/jwst/news-events/news/pre-2018/_documents/ers-1386-hinkley.pdf |access-date=17 March 2022 |archive-date=15 July 2022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220715144626/https://www.stsci.edu/files/live/sites/www/files/home/jwst/news-events/news/pre-2018/_documents/ers-1386-hinkley.pdf |url-status=live }}</ref>

<ref name="227번 각주">{{웹 인용 |title=JWST Cycle 1 General Observer Submission Statistics |url=https://www.stsci.edu/contents/news/jwst/2020/jwst-cycle-1-general-observer-submission-statistics |publisher=Space Telescope Science Institute |access-date=10 January 2022 |archive-date=15 July 2022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220715144630/https://www.stsci.edu/contents/news/jwst/2020/jwst-cycle-1-general-observer-submission-statistics |url-status=live }}</ref>

<ref name="228번 각주">{{웹 인용|title=STScI Announces the JWST Cycle 1 General Observer Program|url=https://www.stsci.edu/contents/news/jwst/2021/stsci-announces-the-jwst-cycle-1-general-observer-program|access-date=30 March 2021|archive-date=15 July 2022|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220715144630/https://www.stsci.edu/contents/news/jwst/2021/stsci-announces-the-jwst-cycle-1-general-observer-program|url-status=live}}</ref>

<ref name="229번 각주">{{뉴스 인용 |last1=Chow |first1=Denise |last2=Wu |first2=Jiachuan |title=Photos: How pictures from the Webb telescope compare to Hubble's - NASA's $10 billion telescope peers deeper into space than ever, revealing previously undetectable details in the cosmos. |url=https://www.nbcnews.com/data-graphics/compare-photos-nasas-james-webb-space-telescope-hubble-space-telescope-rcna37875 |date=12 July 2022 |work=[[NBC News]] |access-date=16 July 2022 |archive-date=15 July 2022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220715193545/https://www.nbcnews.com/data-graphics/compare-photos-nasas-james-webb-space-telescope-hubble-space-telescope-rcna37875 |url-status=live }}</ref>

<ref name="230번 각주">{{뉴스 인용 |last1=Deliso |first1=Meredith |last2=Longo |first2=Meredith |last3=Rothenberg |first3=Nicolas |title=Hubble vs. James Webb telescope images: See the difference |url=https://abcnews.go.com/Technology/hubble-james-webb-telescope-images-difference/story?id=86763039 |date=14 July 2022 |work=[[ABC News]] |access-date=15 July 2022 |archive-date=15 July 2022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220715003405/https://abcnews.go.com/Technology/hubble-james-webb-telescope-images-difference/story?id=86763039 |url-status=live }}</ref>

<ref name="231번 각주">{{뉴스 인용 |last=Garner |first=Rob |title=NASA's Webb Delivers Deepest Infrared Image of Universe Yet |url=https://www.nasa.gov/image-feature/goddard/2022/nasa-s-webb-delivers-deepest-infrared-image-of-universe-yet |date=11 July 2022 |work=[[NASA]] |access-date=12 July 2022 |archive-date=12 July 2022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220712000119/https://www.nasa.gov/image-feature/goddard/2022/nasa-s-webb-delivers-deepest-infrared-image-of-universe-yet/ |url-status=live }}</ref>

<ref name="232번 각주">{{뉴스 인용 |last1=Overbye |first1=Dennis |last2=Chang |first2=Kenneth |last3=Tankersley |first3=Jim |title=Biden and NASA Share First Webb Space Telescope Image – From the White House on Monday, humanity got its first glimpse of what the observatory in space has been seeing: a cluster of early galaxies. |url=https://www.nytimes.com/2022/07/11/science/nasa-webb-telescope-images-livestream.html |date=11 July 2022 |work=[[뉴욕 타임즈|The New York Times]] |access-date=12 July 2022 |archive-date=12 July 2022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220712005736/https://www.nytimes.com/2022/07/11/science/nasa-webb-telescope-images-livestream.html |url-status=live }}</ref>

<ref name="233번 각주">{{뉴스 인용 |last=Pacucci |first=Fabio |title=How Taking Pictures of 'Nothing' Changed Astronomy - Deep-field images of "empty" regions of the sky from Webb and other space telescopes are revealing more of the universe than we ever thought possible |url=https://www.scientificamerican.com/article/how-taking-pictures-of-nothing-changed-astronomy1/ |date=15 July 2022 |work=[[Scientific American]] |access-date=16 July 2022 |archive-date=16 July 2022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220716023339/https://www.scientificamerican.com/article/how-taking-pictures-of-nothing-changed-astronomy1/ |url-status=live }}</ref>

<ref name="234번 각주">{{뉴스 인용 |last=Kooser |first=Amanda |title=Hubble and James Webb Space Telescope Images Compared: See the Difference - The James Webb Space Telescope builds on Hubble's legacy with stunning new views of the cosmos. |url=https://www.cnet.com/pictures/hubble-and-james-webb-space-telescope-images-compared-see-the-difference/ |date=13 July 2012 |work=[[CNET]] |access-date=16 July 2022 |archive-date=17 July 2022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220717015540/https://www.cnet.com/pictures/hubble-and-james-webb-space-telescope-images-compared-see-the-difference/ |url-status=live }}</ref>

<ref name="235번 각주">{{웹 인용 |last=Timmer |first=John |date=2022-07-08 |title=NASA names first five targets for Webb images |url=https://arstechnica.com/science/2022/07/nasa-names-first-five-targets-for-webb-images/ |access-date=2022-07-08 |website=Ars Technica |language=en-us |archive-date=8 July 2022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220708195443/https://arstechnica.com/science/2022/07/nasa-names-first-five-targets-for-webb-images/ |url-status=live }}</ref>

<ref name="236번 각주">{{웹 인용 |date=2022-07-08 |title=First Images from the James Webb Space Telescope |url=https://www.nasa.gov/webbfirstimages |access-date=2022-07-08 |website=NASA |archive-date=13 July 2022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220713043735/https://www.nasa.gov/webbfirstimages/ |url-status=live }}</ref>

<ref name="237번 각주">{{뉴스 인용 |last=Stirone |first=Shannon |title=Gawking in Awe at the Universe, Together |url=https://www.nytimes.com/2022/07/12/opinion/nasa-james-webb-space-telescope-awe.html#permid=119279300 |date=12 July 2022 |work=[[The New York Times]] |access-date=13 July 2022 |archive-date=15 July 2022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220715144629/https://www.nytimes.com/2022/07/12/opinion/nasa-james-webb-space-telescope-awe.html#permid=119279300 |url-status=live }}</ref>

<ref name="238번 각주">{{웹 인용 |last=Jena |first=H. |date=2022-09-14 |title=Webb Telescope Revealed "Cosmic Cliff" and Star Formation |url=https://theemergingsciences.com/webb-telescope-cosmic-cliff/ |access-date=2022-09-15 |website=Emerging Sciences |language=en-US}}</ref>

<ref name="239번 각주">{{웹 인용|url=https://www.nytimes.com/2022/07/12/science/james-webb-telescope-images-nasa.html?smid=url-share|author1=Dennis Overbye|author2=Kenneth Chang|author3=Joshua Sokol|date=July 12, 2022|title=Webb Telescope Reveals a New Vision of an Ancient Universe|work=|access-date=13 July 2022|archive-date=15 July 2022|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220715144629/https://www.nytimes.com/2022/07/12/science/james-webb-telescope-images-nasa.html?smid=url-share|url-status=live}}</ref>

<ref name="240번 각주">{{뉴스 인용 |last=Chang |first=Kenneth |title=NASA Shows Webb's View of Something Closer to Home: Jupiter - The powerful telescope will help scientists make discoveries both within our solar system and well beyond it. |url=https://www.nytimes.com/2022/07/15/science/webb-telescope-jupiter-images.html |date=15 July 2022 |work=[[뉴욕 타임즈|The New York Times]] |access-date=16 July 2022 |archive-date=16 July 2022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220716000145/https://www.nytimes.com/2022/07/15/science/webb-telescope-jupiter-images.html/ |url-status=live }}</ref>

<ref name="241번 각주">{{저널 인용 |last1=Astudillo-Defru |first1=N. |last2=Cloutier |first2=R. |last3=Wang |first3=S. X. |last4=Teske |first4=J. |last5=Brahm |first5=R. |last6=Hellier |first6=C. |last7=Ricker |first7=G. |last8=Vanderspek |first8=R. |last9=Latham |first9=D. |last10=Seager |first10=S. |last11=Winn |first11=J. N. |display-authors=etal |date=2020-04-01 |title=A hot terrestrial planet orbiting the bright M dwarf L 168-9 unveiled by TESS |url=https://ui.adsabs.harvard.edu/abs/2020A&A...636A..58A |journal=Astronomy and Astrophysics |volume=636 |pages=A58 |doi=10.1051/0004-6361/201937179 |arxiv=2001.09175 |bibcode=2020A&A...636A..58A |s2cid=210920549 |issn=0004-6361 |access-date=15 July 2022 |archive-date=8 March 2022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220308154037/https://ui.adsabs.harvard.edu/abs/2020A%26A...636A..58A |url-status=live }}</ref>

<ref name="242번 각주">{{뉴스 인용 |title=Scottish astronomers push James Webb deeper back in time |url=https://www.bbc.co.uk/news/science-environment-62311562 |access-date=26 July 2022 |work=BBC News |date=26 July 2022 |archive-date=26 July 2022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220726164247/https://www.bbc.co.uk/news/science-environment-62311562 |url-status=live }}</ref>

<ref name="243번 각주">{{뉴스 인용 |last=Atkinson |first=Nancy |title=Here's the Largest Image JWST Has Taken So Far |url=https://www.universetoday.com/157168/heres-the-largest-image-jwst-has-taken-so-far/ |date=17 August 2022 |work=[[유니버스 투데이|Universe Today]] |access-date=18 August 2022 }}</ref>

<ref name="244번 각주">{{뉴스 인용 |last=Whitt |first=Kelly Kizer |title=Webb's largest image of galaxies yet |url=https://earthsky.org/space/webb-largest-image-of-galaxies-yet/ |date=18 August 2022 |work=[[어스 앤 스카이|Earth & Sky]] |access-date=19 August 2022 }}</ref>

<ref name="245번 각주">{{뉴스 인용 |author=Staff |title=Edinburgh astronomers find most distant galaxy - Early data from a new space telescope has enabled Edinburgh astronomers to locate the most distant galaxy ever found.|url=https://www.ed.ac.uk/news/2022/edinburgh-astronomers-find-most-distant-galaxy |date=1 August 2022 |work=[[에든버러 대학교|University of Edinburgh]] |access-date=18 August 2022 }}</ref>

<ref name="246번 각주">{{저널 인용 |author=Planck Collaboration |year=2020 |title=Planck 2018 results. VI.&nbsp;Cosmological parameters |journal=Astronomy & Astrophysics |volume=641 |at=page&nbsp;A6 (see PDFpage&nbsp;15, Table&nbsp;2: "Age/Gyr", last&nbsp;column) |doi=10.1051/0004-6361/201833910 |arxiv=1807.06209|bibcode=2020A&A...641A...6P |s2cid=119335614}}</ref>

<ref name="247번 각주">{{웹 인용 |last=Grossman |first=Lisa |date=26 August 2022 |title=The James Webb telescope spotted {{chem|CO|2}} in an exoplanet's atmosphere |url=https://www.sciencenews.org/article/james-webb-space-telescope-carbon-dioxide-exoplanet-atmosphere |website=Science News |access-date=2022-08-28 }}</ref>

<ref name="248번 각주">{{cite arXiv|first1=Eva-Maria |last1=Ahrer|first2=Lili |last2=Alderson|first3=Natalie M. |last3=Batalha |author3-link=나탈리 바타야|first4=Natasha E. |last4=Batalha|first5=Jacob L. |last5=Bean|first6=Thomas G. |last6=Beatty|first7=Taylor J. |last7=Bell|first8=Björn |last8=Benneke|first9=Zachory K. |last9=Berta-Thompson|first10=Aarynn L. |last10=Carter|first11=Ian J.M.|last11=Crossfield|last12=Espinoza |first12=Néstor; <abbr title="Adina D. Feinstein, Jonathan J. Fortney, Neale P. Gibson, Jayesh M. Goyal, Eliza M.-R. Kempton, James Kirk, Laura Kreidberg, Mercedes López-Morales, Michael R. Line, Joshua D. Lothringer, Sarah E. Moran, Sagnick Mukherjee, Kazumasa Ohno, Vivien Parmentier, Caroline Piaulet, Zafar Rustamkulov, Everett Schlawin, David K. Sing, Kevin B. Stevenson, Hannah R. Wakeford, Natalie H. Allen, Stephan M. Birkmann, Jonathan Brande, Nicolas Crouzet, Patricio E. Cubillos, Mario Damiano, Jean-Michel Désert, Peter Gao, Joseph Harrington, Renyu Hu, Sarah Kendrew, Heather A. Knutson, Pierre-Olivier Lagage, Jérémy Leconte, Monika Lendl, Ryan J. MacDonald, E.M. May, Yamila Miguel, Karan Molaverdikhani, Julianne I. Moses, Catriona Anne Murray, Molly Nehring, Nikolay K. Nikolov, D.J.M. Petit dit de la Roche, Michael Radica, Pierre-Alexis Roy, Keivan G. Stassun, Jake Taylor, William C. Waalkes, Patcharapol Wachiraphan, Luis Welbanks, Peter J. Wheatley, Keshav Aggarwal, Munazza K. Alam, Agnibha Banerjee, Joanna K. Barstow, Jasmina Blecic, S.L. Casewell, Quentin Changeat, K.L. Chubb, Knicole D. Colón, Louis-Philippe Coulombe, Tansu Daylan, Miguel de Val-Borro, Leen Decin, Leonardo A. Dos Santos, Laura Flagg, Kevin France, Guangwei Fu, A. García Muñoz, John E. Gizis, Ana Glidden, David Grant, Kevin Heng, Thomas Henning, Yu-Cian Hong, Julie Inglis, Nicolas Iro, Tiffany Kataria, Thaddeus D. Komacek, Jessica E. Krick, Elspeth K.H. Lee, Nikole K. Lewis, Jorge Lillo-Box, Jacob Lustig-Yaeger, Luigi Mancini, Avi M. Mandell, Megan Mansfield, Mark S. Marley, Thomas Mikal-Evans, Giuseppe Morello, Matthew C. Nixon, Kevin Ortiz Ceballos, Anjali A.A. Piette, Diana Powell, Benjamin V. Rackham, Lakeisha Ramos-Rosado, Emily Rauscher, Seth Redfield, Laura K. Rogers, Michael T. Roman, Gael M. Roudier, Nicholas Scarsdale, Evgenya L. Shkolnik, John Southworth, Jessica J. Spake, Maria E. Steinrueck, Xianyu Tan, Johanna K. Teske, Pascal Tremblin, Shang-Min Tsai, Gregory S. Tucker, Jake D. Turner, Jeff A. Valenti, Olivia Venot, Ingo P. Waldmann, Nicole L. Wallack, Xi Zhang, Sebastian Zięba">et al.</abbr>|eprint=2208.11692|title=Identification of carbon dioxide in an exoplanet atmosphere|class=astro-ph.EP|date=24 August 2022}}</ref>

}}

== 추가 정보 ==
* {{저널 인용|title=The James Webb Space Telescope|author=Jonathan P. Gardner|s2cid=118865272|display-authors=et al|doi=10.1007/s11214-006-8315-7|journal=Space Science Reviews|volume=123|issue=4 |date=November 2006|pages=484–606 |arxiv=astro-ph/0606175|bibcode=2006SSRv..123..485G}} The formal case for JWST science presented in 2006.
* {{저널 인용|title=Scientific discovery with the James Webb Space Telescope|author=Jason Kalirai |s2cid=85539627|doi=10.1080/00107514.2018.1467648|journal=Contemporary Physics|volume=59|issue=3 |date=April 2018|pages=259–290 |arxiv=1805.06941|bibcode=2018ConPh..59..251K}} A review of JWST capabilities and scientific opportunities.
* {{cite arXiv |last1=Rigby |first1=Jane |last2=Perrin |first2=Marshall |last3=McElwain |first3=Michael |last4=Kimble |first4=Randy |last5=Friedman |first5=Scott |display-authors=etal |title=Characterization of JWST science performance from commissioning |date=12 July 2022 |class=astro-ph.IM |eprint=2207.05632}}


== 외부 링크 ==
== 외부 링크 ==
* [https://jwst.nasa.gov/content/webbLaunch/index.html NASA 공식 웹사이트] (영어) / [https://webbtelescope.org/ STScI 공식 웹사이트] (영어) / [https://jwst.fr/ 프랑스 공식 웹사이트] (프랑스어)
{{위키공용분류}}
* [https://www.nasa.gov/mission_pages/webb/main/index.html James Webb Space Telescope]
* [https://jwst.nasa.gov/content/webbLaunch/whereIsWebb.html?units=metric JWST NASA '''TRACKING''' Page − Launch to Final Calibrations] (영어)
* [https://jwst.nasa.gov/content/about/orbit.html JWST NASA – About page] − Timeline details / Webb orbit / L2 / Communicating (영어)
* [https://archive.today/2021.12.30-000734/https://medium.com/starts-with-a-bang/5-critical-moments-will-determine-the-success-or-failure-of-nasas-james-webb-space-telescope-b405414a062b JWST Text – Most Critical Events – Launching and Deployment] (2021) (영어)
* [https://www.youtube.com/watch?v=aICaAEXDJQQ JWST Video (031:22): Highlights − Technical Engineering Details] (2021) (영어)
* [https://www.youtube.com/watch?v=v6ihVeEoUdo JWST Video (012:02): 1st Month – Launching and Deployment] (animation; 2017) (영어)
* [https://www.youtube.com/watch?v=uUAvXYW5bmI JWST Video (008:06): 1st Month − Launching and Deployment] (update; 2021) (영어)
* [https://www.youtube.com/watch?v=QlwatKpla8s JWST Video (003:00): 2nd Month − Mirror Alignment details] (2/11/2022) (영어)
* JWST Videos (Mission Control Live) – Deployment Events − Now Successfully Completed (2022) (영어):
** [https://www.youtube.com/watch?v=ViXoWdbF-Ys {{small|'''LAUNCH''' (005:07; 25 Dec 2021)]}} '''⇒''' [https://www.youtube.com/watch?v=dRqHlta6lr8 {{small|'''SEPARATION''' (003:14; 25 Dec 2021)]}} ([https://www.esa.int/ESA_Multimedia/Videos/2021/12/Webb_separation_from_Ariane_5 mirror]) '''⇒''' [https://www.youtube.com/watch?v=IBPNi7uGgWM James Webb Space Telescope: Sunshield Deployment - Mission Control Live] {{small|'''SUNSHIELD''' (152:45; 04 Jan 2022)]}} '''⇒'''
** [https://www.youtube.com/watch?v=-EnlaXnFcGs James Webb Space Telescope: Secondary Mirror Deployment - Mission Control Live] {{small|'''SECONDARY MIRROR''' (087:15; 05 Jan 2022)]}} '''⇒''' [https://www.youtube.com/watch?v=tlGTem8vkB0 James Webb Space Telescope: Primary Mirror Deployment – Mission Control Live] {{small|'''PRIMARY MIRROR''' (242:29; 08 Jan 2022)]}} '''⇒''' [https://www.youtube.com/watch?v=hET2MS1tIjA News Update on James Webb Space Telescope's Full Deployment] {{small|'''FINAL DEPLOYMENT''' (085:15; 08 Jan 2022)]}} '''⇒'''
** [https://www.youtube.com/watch?v=VmD8pefGG2k Media Briefing: What’s Next for the James Webb Space Telescope] {{small|'''ARRIVAL AT L<sub>2</sub>''' (077:14; 24 Jan 2022)]}} '''⇒''' [https://www.youtube.com/watch?v=DYDNS471jc8 JAMES WEBB TELESCOPE First Photos, Data & Calibrations Explained] {{small|'''TESTINGS & CALIBRATIONS'''}} '''⇒''' [https://www.youtube.com/watch?v=4Pl749Dgx0A The First Thing That James Webb Will See] {{small|'''FIRST LIGHT''']}}


{{전거 통제}}
{{전거 통제}}

2022년 9월 28일 (수) 15:07 판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
James Webb Space Telescope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의 전개 모습.
임무 유형 천문학, 우주 망원경
운영자 STScI (NASA)[1] / ESA / CSA
COSPAR ID 2021-130A
SATCAT no. 50463[2]
웹사이트 jwst.nasa.gov
webbtelescope.org
esawebb.org
임무 기간 5+12년 (초기 임무)[3]
10년 (계획)
20년 (기대 수명)[4]
우주선 제원
제작사 노스롭 그루먼
볼 에어로스페이스
L3해리스
발사 중량 6,161.4 kg (13,584 lb)[5]
크기 20.197 m × 14.162 m (66.26 ft × 46.46 ft), 차양막 기준
출력 2 kW
임무 시작
발사일 2021년 12월 25일 UTC 12:20
발사체 아리안 5 ECA
발사 위치 기아나우주센터, ELA-3 발사대
관측 시작 2022년 2월 2일 (퍼스트 라이트)
2022년 7월 12일 (공식 과학 임무)
임무 종료
궤도 변수
기준계 태양-지구 L2 궤도
레짐 헤일로 궤도
근점 고도 250,000 km (160,000 mi)[6]
원점 고도 832,000 km (517,000 mi)[6]
공전 주기 6개월
주 망원경
유형 코르슈 망원경
구경 6.5 m (21 ft)
초점거리 131.4 m (431 ft)
구경비 f/20.2
집광 면적 25.4 m2 (273 ft2)[7]
파장 0.6–28.3 μm (주황색~중적외선)
트랜스폰더
계측기
장비 1 FGS/NIRISS
특징 정밀지향센서 겸 근적외선 영상 장치 겸 무슬릿 분광기
장비 2 MIRI
특징 중적외선 관측 장비
장비 3 NIRCam
특징 근적외선 카메라
장비 4 NIRSpec
특징 근적외선 분광기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영어: James Webb Space Telescope, JWST)은 적외선 천문 관측을 주목적으로 하는 우주 망원경이다. 현존하는 광학 우주 망원경 중에서 규모가 가장 크며, 뛰어난 적외선 분해능과 감도 덕분에 허블 우주 망원경조차 관측하기 어려울 정도로 멀고 어두운 천체들을 관측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최초의 별최초의 은하가 형성되는 모습을 포착하는 등 천문학우주론 마당에서 광범위한 연구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8][9]

제임스 웹의 설계와 개발은 미국항공우주국(NASA)이 유럽우주국(ESA)과 캐나다우주국(CSA)과 협력하여 이끌었다. 망원경의 개발은 메릴랜드에 소재하는 NASA의 고더드우주비행센터(GSFC)가 맡았으며, 망원경의 운용은 볼티모어 존스홉킨스대학교 홈우드캠퍼스에 소재하는 우주망원경과학연구소가 하고 있다. 사업에 참여한 주요 기업으로는 노스롭 그루먼이 있다. 망원경의 명칭은 1961년부터 1968년까지 NASA 국장을 역임하며 머큐리, 제미니, 아폴로 계획을 추진한 제임스 에드윈 웨브의 이름에서 따온 것이다.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은 2021년 12월 25일 프랑스령 기아나 쿠루에서 아리안 5 로켓에 실려 발사된 후, 2022년 1월에 태양-지구 L2 라그랑주점에 안착하였다. 2022년 7월 11일에는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참석한 기자 회견에서 제임스 웹의 최초 공식 이미지가 공개되었다.[10]

제임스 웹 망원경의 주거울은 열여덟 장의 작은 거울 세그먼트로 구성되어 있으며, 거울 세그먼트는 으로 코팅된 베릴륨 재질이다. 세그먼트가 하나로 모인 주거울은 직경이 6.5미터에 달하여 2.4미터의 허블 주거울보다도 크다. 이러한 주거울의 집광 면적은 25제곱미터로, 허블의 집광 면적의 여섯 배에 달한다. 그러나 근자외선가시광선(0.1~0.8 μm), 근적외선(0.8~2.5 μm)[11] 스펙트럼을 관측하는 허블과는 달리, 제임스 웹은 파장이 긴 가시광선(적색)에서 중적외선(0.6~28.3 μm)까지를 관측한다. 제임스 웹은 망원경 자체가 발산하는 적외선이 외부의 빛을 받아들이는 데 방해가 되지 않도록 50 K (−223.2 °C; −369.7 °F)보다 낮은 극저온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지구 근처에서 제임스 웹을 가열할 수 있는 열원으로는 태양과 지구와 달이 있는데, 제임스 웹은 차양막이 이 셋을 동시에 가릴 수 있도록 지구에서 150만 킬로미터가량 떨어진 태양-지구 L2 라그랑주점 근처에서 태양을 도는 궤도에 위치한다.

1996년, 최초 구상 단계에서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은 차세대 우주 망원경(영어: Next Generation Space Telescope, NGST)이라는 명칭이 주어졌었다. 1999년에는 10억 달러의 예산과 2007년 발사를 목표로 두 가지 컨셉의 연구가 진행되었다. 하지만 초창기 사업은 막대한 비용 증가와 개발 지연으로 난항을 겪었고, 2005년에 이르러서 지금 형식의 대대적인 재설계를 거친 후 2016년에야 100억 달러에 이르는 총비용으로 망원경을 완성하였다. 이 때문에 언론과 과학자와 공학자들은 망원경의 복잡성과 발사의 큰 위험 부담에 관해서 주목하고 우려한 바 있었다.

특징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의 중량은 허블 우주 망원경 중량의 절반밖에 되지 않는다. 금으로 코팅된 베릴륨 재질의 주거울은 직경이 6.5 m (21 ft)이며, 작은 육각형 거울 열여덟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거울의 총면적은 26.3 m2 (283 ft2)이지만, 0.9 m2 (9.7 ft2)가 부거울과 부거울 지지대에 가려져 있기 때문에 집광부의 총면적은 25.4 m2 (273 ft2)이다.[12] 이는 직경 2.4미터인 허블 주경의 집광 면적 4.0 m2 (43 ft2)보다 여섯 배 이상 크다. 제임스 웹의 거울이 금으로 코팅된 것은 적외선 반사율을 높이기 위함이며, 금 코팅은 내구성 때문에 얇은 유리막으로 덮여있다.[13]

제임스 웹 망원경은 근적외선 관측을 주목적으로 설계되었으나, 사용하는 관측 장비에 따라 주황색에서 빨간색의 가시광선도 관측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중적외선 영역도 가능하다.[8][9] 허블이 관측할 수 있는 것보다 100분의 1 정도로 어두운 천체까지 관측할 수 있으며, 적색편이 z≈20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우주 역사에서 이른 시대(빅뱅 이후 1억 8천만 년 무렵의 우주시)의 천체들도 관측할 수 있다.[14] 비교컨대, 최초의 별이 z≈30에서 z≈20(1억 년에서 1억 8천만 년 사이의 우주시) 무렵에 탄생하였고,[15] 최초의 은하가 z≈15(2억 7천만 년 무렵의 우주시) 무렵에 탄생했으리라 여겨지지만, 허블은 z≈11.1 무렵(4억 년의 우주시에 존재하는 은하 GN-z11)의 극초기 재이온화[16][17] 시대 너머의 과거를 볼 수 없다.[18][19][14]

제임스 웹 망원경은 다음과 같은 이유에 의해서 근적외선과 중적외선에서 기능하는 것으로 설계되었다.

  • 적색편이가 큰 (즉, 거리가 멀고 시간적으로 극초기 우주의) 천체는 가시광선 방출이 적외선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오늘날에 그러한 빛을 관측하려면 근적외선 천문학이 필수다.[11]
  • 적외선은 가시광선보다 먼지 구름을 쉽게 통과한다.[11]
  • 먼지 원반이나 행성 같은 저온 천체는 적외선을 가장 많이 방출한다.
  • 이러한 적외선 대역은 지상 망원경이나 허블과 같이 현존하는 우주 망원경으로는 연구하기 어렵다.
가시광선을 포함해서 전자기 복사의 파장별로 지구 대기가 흡수하는 정도(불투명도)를 보여주는 그림.

지상 망원경은 그 위치 때문에 지표면을 덮는 대기를 꿰뚫어 볼 수밖에 없는데, 지구 대기는 다양한 적외선 대역에서 불투명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심지어 대기가 투명한 장소일지라도 적외선 천문학의 주요 표적에서 관측하기 쉬운 화학 성분이 물이나 이산화탄소, 메탄처럼 지구 대기에도 풍부하게 존재하는 화합물이기 때문에 분석이 매우 까다롭다. 허블과 같이 현존하는 우주 망원경은 거울이 적외선 관측이 요구하는 온도보다 뜨겁기 때문에 이러한 대역에서 관측이 불가능하다. 예컨대 허블의 주거울은 약 15 °C (59 °F)로 유지되는데, 이 온도에서 망원경은 적외선을 강하게 방출한다.[20]

제임스 웹 망원경은 태양에 대해 85˚ 이상의 회피각에서 초당 0.03각초보다 느린 각속도로 움직이는 태양계 천체를 관측할 수 있기도 하다.[a] 이러한 천체로는 화성,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 명왕성, 앞에서 열거한 천체들의 위성, 화성 궤도 너머의 혜성, 소행성이 있다. 제임스 웹은 알려진 카이퍼대 천체를 모두 관측할 수 있을 정도의 적외선 감도를 가지고 있으며,[15][23] 초신성이나 감마선 폭발처럼 한시적이고 관측 계획에 없던 표적도 일정 변경을 통해 48시간 이내에 관측할 수 있는 유연한 관측 체계도 갖추고 있다.[15]

위치와 궤도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은 태양에 대한 지구 궤도 너머 약 1,500,000 km 떨어진 태양-지구 L2 라그랑주점을 중심으로 도는 헤일로 궤도에서 운용된다. 망원경이 공전하면서 실제 위치는 L2 점에 대해 약 250,000 km에서 832,000 km 거리까지 변화하지만, 지구와 달의 그림자에 들어가는 일은 없다. 태양과 지구의 L2 점 근처에 있는 물체는 지구와 같은 속도로 태양을 공전할 수 있기 때문에 망원경이 태양지구에 대해 거리를 거의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24] 차양막과 우주선 본체를 일정한 각도로 유지할 수 있다. 제임스 웹 망원경은 지구와 달의 그림자를 피하기 위해서 폭넓은 궤도를 가지기 때문에 태양을 향하는 면에서 꾸준히 태양광을 받으며 전력을 공급하고 지구와 교신하면서도 차양막을 통해 태양과 지구와 달에서 관측 장비로 오는 열과 빛을 차단하고, 지구와 달의 그림자에 들어갔을 때 우주선에 생길 수 있는 미세한 온도 변화를 피할 수 있다. 이러한 배열과 자세를 통해 우주선의 온도를 희미한 적외선 관측에 필요한 50K 아래로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25][26]

차양막 보호

2014년, 캘리포니아 노스롭 그루먼 시설에서 겹치고 펼치는 실험을 한 차양막 테스트 유닛.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은 적외선 스펙트럼을 관측할 수 있도록 50 K (−223.2 °C; −369.7 °F) 이하로 유지되어야 한다. 그렇지 않을 경우, 망원경이 방출하는 적외선 복사가 관측 장비가 감지할 적외선을 압도할 수 있다. 제임스 웹은 태양지구에서 오는 빛과 열을 차단하기 위해서 커다란 차양막(영어: sunshield)을 갖추고 있다. 태양-지구 L2 근처에 있는 제임스 웹의 위치는 우주선이 항상 같은 면만 세 물체를 바라보도록 한다.[27] L2 점을 도는 제임스 웹의 헤일로 궤도는 태양과 달의 그림자를 피하면서 차양막과 태양 전지판이 미세한 변화 없이 일정한 환경에 있도록 유지한다.[24] 그리하여 빛을 받지 않는 면에 있는 장치들의 온도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데, 이는 주거울 세그먼트의 정밀한 정렬 상태를 유지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25]

다섯 겹으로 이루어진 차양막은 캡톤 E(영어판) 필름 양면에 알루미늄을 코팅하여 만들어졌으며, 한 겹이 머리카락 한 올만큼 얇다.[28] 태양열을 받아서 가장 뜨거운 두 겹은 태양열을 반사하기 위해서 태양을 향하는 면에 도핑 규소로 된 층이 있다.[25] 재질이 연약해서 2018년에 전개 테스트를 하는 과정에서 필름 구조가 찢어지는 바람에 망원경의 발사 일정이 늦추어지기도 하였다.[29]

차양막은 직경이 4.57 m (15.0 ft)이고 길이가 16.19 m (53.1 ft)인 아리안 5 로켓의 페이로드 페어링에 탑재될 수 있도록 콘체르티나 접기 방식으로 열두 번 접히도록 설계되었다. 차양막을 완전히 전개하였을 때 치수는 14.162 m × 21.197 m (46.46 ft × 69.54 ft)이다.[30]

차양막의 그림자로 인해 주어진 시점에서 제임스 웹 망원경이 관측할 수 있는 시야는 제한된다. 제임스 웹은 주어진 시기에 하늘의 40퍼센트만을 관측할 수 있지만, 6개월이 지나면 망원경이 본래 차양막이 가리던 방향을 바라보게 되기 때문에 아예 관측이 불가능한 하늘 영역은 없다.[31]

광학계

2015년, 엔지니어들이 테스트 미러를 CO2 스노우로 세척하고 있다.
2016년 11월, 기립한 주거울의 전면 쪽에서 촬영한 거울 조립체.
거울 세그먼트와 부경 지지대로 인한 회절 스파이크. 스파이크에 기여하는 요소마다 다른 색이 입혀져 있다.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의 주경은 금으로 코팅된 베릴륨 반사경으로, 지름이 6.5 m (21 ft)이며 집광 면적은 25.4 m2 (273 ft2)이다. 이를 단일 거울로 제작하면 망원경이 현존하는 발사체에 실을 수 없을 정도로 무거워지기 때문에 작은 육각 거울 조각들을 조립하는 방식(귀도 호른 다르투로(영어판)가 발명)으로 제작하였다. 주거울은 열여덟 장의 육각형 거울 세그먼트로 구성되어 있으며, 처음에는 접혀있다가 망원경이 발사된 후 펼쳐지는 구조다. 거울 세그먼트가 들어갈 정확한 위치는 위상 복원(영어판)을 통한 이미지 면의 파면 검출 방법으로 찾으며, 거울 뒷면에 있는 초정밀 마이크로모터를 통해 맞춘다. 일단 배열을 정밀하게 맞추고 나면, 며칠에 한 번씩만 미세하게 재조정하면 최적의 초점을 유지할 수 있다.[32] 이러한 시스템은 켁 망원경처럼 중력과 풍하중에 의한 왜곡 효과를 극복하기 위해 능동 광학으로 거울 세그먼트를 상시 조정하는 지상 망원경과는 다르다.[33] 제임스 웹 망원경은 액추에이터라고 부르는 작은 모터를 132개 사용해서 주기적으로 거울 배열을 조정한다.[34] 이 액추에이터는 10나노미터의 정밀도로 거울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35]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은 넓은 화각에서 나타나는 상의 광학 수차를 제거하기 위해 곡면 반사면의 부경과 삼차경을 사용하는 3거울 아나스티그맷(영어판) 형식의 망원경이다.[36] 부경은 직경이 0.74 m (2 ft 5 in)이며, 이러한 세 가지 거울 외에도 상이 흔들리지 않도록 초당 수 회에 걸쳐 위치를 조정하는 파인 스티어링 미러(영어: Fine Steering Mirror)가 갖추어져 있다. 제임스 웹이 촬영한 이미지는 주거울의 육각 모양에 의한 여섯 회절 스파이크(영어판)에 부경 지지대에 의한 회절 스파이크 두 개가 추가된 모습으로 나타난다.[37]

과학 장비

2013년, 포장재로 싸인 NIRCam.
NIRSpec 장비를 구성하는 보정 장치.
MIRI.

통합과학장비모듈(영어판)(영어: Integrated Science Instrument Module, ISIM)은 제임스 웹 망원경의 전력과 컴퓨팅 리소스와 냉각 능력과 구조 안정성을 제공하는 틀이다. 접착식 흑연 에폭시 복합체로 제작되어 제임스 웹 망원경의 거울 뒷면에 달려있다. ISIM에는 아래의 네 가지 과학 장비와 지향용 카메라가 들어있다.[38]

  • 정밀지향센서 겸 근적외선 영상 장치 겸 무슬릿 분광기(영어판)(영어: Fine Guidance Sensor and Near Infrared Imager and Slitless Spectrograph, FGS/NIRISS)의 정밀지향센서(FGS)는 캐나다우주국과 프로젝트 책임 과학자를 맡은 헤르츠베르크천문학천체물리학연구센터(영어판)의 존 허칭스(영어: John Hutchings)가 주도하여 개발하였으며, 우주 망원경이 과학 관측을 하는 동안 표적 지향을 안정화하는 데 사용된다. FGS의 관측은 우주선의 전체적인 방향를 제어하거나 파인 스티어링 미러를 작동하여 이미지 흔들림을 방지하는 용도로 쓰인다. 또한, 캐나다우주국은 연구책임자 몬트리올대학교의 르네 도욘(프랑스어: René Doyon) 주도로 개발한 근적외선 영상 장치 겸 무슬릿 분광기(NIRISS) 모듈을 제공하여 0.8~5μm에서 천문 측광과 분광을 가능하게 하였다.[41] 두 장비가 일체형으로 되어있어서 한꺼번에 지칭하는 경우가 많지만, FGS와 NIRISS는 쓰임새가 완전히 다르다. 전자는 망원경 지원 인프라의 일부이고, 후자는 천문 관측에 쓰이는 과학 장비이다.[47]

NIRCam과 MIRI는 별빛을 차단하는 코로나그래프를 갖추고 있어서 밝은 별 가까이의 외계행성이나 별주위원반과 같은 희미한 표적도 관측할 수 있다.[44]

우주선 본체

우주선 본체 구조도. 태양광 패널은 초록색으로, 라디에이터는 옅은 보라색으로 칠해져 있다.

우주선 본체(영어판)(영어: Spacecraft bus)는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의 주요 지원 요소로, 컴퓨터 및 통신 및 전력 및 추진 및 구조 부속처럼 다양한 부속이 들어가 있다.[48] 우주선 본체는 차양막과 함께 우주 망원경의 우주선부(영어: spacecraft element)를 이룬다.[49][50] 우주선 본체는 태양을 향하는 차양막의 온열부 쪽에 있으며, 약 300 K (27 °C; 80 °F)의 온도에서 기능한다.[49]

우주선 본체는 중량이 350 kg (770 lb)이지만, 6,200 kg (13,700 lb)에 달하는 우주 망원경을 지지하기 위해서 흑연 복합재를 주로 사용하여 만들어졌다.[51] 조립은 캘리포니아에서 이루어졌으며, 2015년에 완성된 후 2021년 발사 이전까지 우주 망원경을 구성하는 나머지 부속과 체결되었다. 우주선 본체는 1각초의 지향 정밀도로 망원경을 회전시킬 수 있으며, 2밀리각초의 미세한 떨림도 식별할 수 있다.[52]

제임스 웹 망원경은 발사 후 L2에 도달하는 경로를 조정하거나 L2에서 위치를 유지(영어판)하기 위하여 헤일로 궤도를 조정할 용도로 로켓 엔진(스러스터)을 두 쌍 가지고 있다. 한 쌍은 다른 한 쌍이 고장 날 경우를 대비한 예비품이다. 이 외에도 들어있는 작은 스러스터 여덟 개는 우주선의 지향 방향을 조정하는 자세 제어에 쓰인다.[53] 엔진은 하이드라진 연료(발사 당시 159리터)와 사산화이질소 산화제(발사 당시 79.5리터)를 사용한다.[54]

정비성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은 우주에서 정비할 수 없다. 지금으로서는 허블처럼 유인 임무를 통해 망원경을 보수하고 개선하는 일이 불가능하다.[55] NASA 부국장 토마스 쥐르뷔헨(영어판)에 의하면, 해결 방법을 최대한 모색하였음에도, 원격 무인 임무 역시 요구되는 기술이 제임스 웹이 제작된 시기의 기술을 초월하는 것으로 밝혀졌다.[56] 제임스 웹을 발사하기 전의 오랜 시험 기간 동안 NASA 관계자들이 정비 임무에 관해서 언급한 바 있었지만, 아무런 계획도 발표된 적이 없었다.[57][58] 그러나, 발사에 성공한 후 NASA는 제임스 웹이 향후 정비 임무가 가능하게끔 어느 정도 정비성을 갖추었으며, 원격 정비 임무를 위해서 제임스 웹 표면에 십자 형태의 정밀한 유도 마커가 새겨져 있고, 재충전 가능한 연료 탱크와 탈부착 가능한 열차폐기가 사용되었으며, 부착 지점은 접근이 용이하게끔 만들어놓았다고 밝혔다.[59][56]

다른 망원경과 비교

허블 우주 망원경과 주거울 비교.
제임스 웹과 허블의 주거울 비교.

대형 적외선 우주 망원경에 대한 열망은 수십 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미국이 우주왕복선을 개발하던 때에 우주적외선망원경시설(후일 스피처 우주 망원경)을 계획하기도 하는 등, 당시 적외선 천문학은 잠재력이 큰 마당으로 인정받고 있었다.[60] 우주 천문대는 지상 망원경과 달리 대기의 적외선 흡수로부터 자유로웠기 때문에 천문학자들에게 천문학의 새로운 지평을 열어주었다.

명목 비행 고도가 400km 이상인 곳의 얇은 대기에서는 측정 가능한 흡수가 나타나지 않으므로 5 μm에서 1000 μm의 파장에서 운용되는 디텍터가 큰 복사 감도를 달성할 수 있다.

— S. G. McCarthy and G. W. Autio, 1978.[60]

그러나 적외선 망원경은 한 가지 단점을 지닌다. 망원경이 극도로 차가운 온도를 유지해야 하는 것이다. 적외선에서도 긴 파장을 관측할수록 더 차가운 상태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 그렇지 않으면 기기 자체가 발산하는 배경 열이 표적에서 들어오는 적외선 세기를 압도하여 디텍터를 사실상 아무것도 볼 수 없는 상태로 만든다. 이는 망원경을 액체 헬륨 같은 극저온 물질을 사용하는 듀어(영어판) 속에 두는 방식처럼 우주선을 신중히 설계함으로써 극복할 수 있다. 냉매는 서서히 기화하기 때문에 장비의 수명을 짧으면 수 개월에서 길면 수 년으로 제한한다.[20] 이러한 방식으로 제작된 허블의 근적외선 카메라 겸 다중 표적 분광기(영어판)(NICMOS)는 처음에 사용하던 질소 얼음 블럭 냉매가 2년 만에 고갈된 후 극저온 냉각기로 교체한 바 있었다.

냉매가 소진된 후 제한된 능력으로 실시되었던 스피처 우주 망원경광역적외선탐사위성의 연장 임무처럼 냉매 공급 없이 충분히 낮은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우주선을 설계하여 근적외선을 관측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은 듀어 없이 차양막과 라디에이터만으로 냉각이 가능하게끔 설계되었지만, 중적외선 관측 장비는 별도의 극저온 냉각기를 사용한다.[61]

비교 예시로 선택된 우주 망원경과 관측 장비[62]
이름 출시 연도 파장
(μm)
구경
(m)
냉각 방식
스페이스랩 적외선 망원경(영어판) (IRT) 1985 1.7~118 0.15 헬륨
적외선 우주 천문대 (ISO)[63] 1995 2.5~240 0.60 헬륨
허블 우주 망원경 영상 분광기(영어판) (STIS) 1997 0.115~1.03 2.4 패시브
허블 근적외선 카메라 겸 다중 표적 분광기(영어판) (NICMOS) 1997 0.8~2.4 2.4 질소, 후일 극저온 냉각기(영어판)
스피처 우주 망원경 2003 3~180 0.85 헬륨
허블 광각 카메라 3(영어판) (WFC3) 2009 0.2~1.7 2.4 패시브, 열전냉각[64]
허셜 우주 망원경 2009 55~672 3.5 헬륨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 2021 0.6~28.5 6.5 패시브, 극저온 냉각기(MIRI)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은 개발 지연과 비용에 관해서 전임 플래그십 임무(영어판)였던 허블 우주 망원경과 비교되는 일이 잦았다. 허블의 개발 비용은 사업이 공식적으로 시작되던 1972년에 3억 달러(2006년 기준으로 10억 달러 상당)였지만, 1990년 발사 당시에는 그 네 배를 초과하였으며, 후속으로 신형 장비 개발과 정비 임무가 이루어지면서 총비용은 2006년 기준으로 최소 90억 달러에 이르렀다.[65]

개발사

배경 (2003년까지의 개발)

주요 이정표
연도 사건
1996 차세대 우주 망원경 프로젝트 최초 제안 (주거울 크기: 8 m)
2001 차세대 우주 망원경 시범기로 추진되던 넥서스 우주 망원경 사업 취소[66]
2002 사업 명칭을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으로 변경 제안 (주거울 크기를 6 m로 축소)
2003 노스롭 그루먼이 망원경 제작 하도급 계약 체결
2007 NASA와 ESA 간 양해각서 체결[67]
2010 임무중요설계검토(MCDR) 통과
2011 계획 취소 제안
2016 최종 조립 완료
2021 발사

허블 우주 망원경의 후계기에 관한 논의는 1980년대부터 시작되었지만, 본격적인 계획은 1990년대 초반부터 이루어졌다.[68] 1989년부터 1994년 사이에는[69] Hi-Z 망원경이 구상되었는데, 3천문단위 궤도에서 운용할 배플[b] 구조의 4 m (13 ft) 구경 적외선 망원경 개념이었다.[70] 이처럼 태양에서 먼 궤도는 황도 먼지(영어판)에 의한 노이즈가 적다는 장점이 있었다.[70] 다른 초창기 계획으로는 넥서스(영어: NEXUS) 기술 실증 망원경 임무가 있었다.[71][72]

허블 우주 망원경 임무 첫해에 일어난 광학 결함을 교정하는 일은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의 탄생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1993년, NASA는 STS-61 우주 망원경 임무를 실시하여 허블의 관측 장비를 교체하고 영상 분광기에 대해 주거울의 구면수차를 보정할 수 있는 기구를 설치하였다.

1994년에는 "21세기의 첫 10년 동안 우주에서 광학 천문학과 자외선 천문학을 수행할 임무와 사업을 연구하고자" 〈허블과 그 이후〉 위원회가 소집되었다.[73] 허블의 성공으로 대담해진 관계자들은 1996년에 최초의 은하가 탄생하는 순간까지 우주시를 거슬러 올라갈 수 있도록 규모가 크고 차가운 적외선 망원경을 구상한 보고서를 내놓았다. 망원경의 주요 과학적 목표는 허블의 능력을 웃도는 것이었다. 허블은 온도가 높아서 자체 광학계가 방출하는 적외선 때문에 그러한 파장을 관측할 수 없기 때문이었다. NASA는 허블의 임무를 2005년까지 연장하고 외계 항성 주변의 행성을 탐색하는 기술을 개발하라는 권고에 이어서 크고 차가운 (0 ˚C보다 훨씬 낮은 온도로 복사 냉각이 가능한) 우주 망원경을 제작하라는 〈허블과 그 이후〉 위원회의 권고[74]를 적극적으로 수용하였으며, 후일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으로 이어지는 사업을 착수하였다.

향후 10년간의 연구 우선순위를 살피고 권고하는 검토문으로 전미연구평의회가 발간하는 천문학과 천체물리학 10년 개관 보고서(영어판)의 2000년 호 준비 과정에서, 차세대 우주 망원경으로 이름 붙여진 이 사업에 관해 추가적인 연구조사와[75] NASA 제반 기술의 발전이 다루어지기도 하였다. 때가 무르익으면서 〈허블과 그 이후〉 위원회가 "기원"으로 일원화한 바 있었던 주요 목표들인 초기 우주에서 은하의 탄생을 연구하는 일과 외계 항성 주변 행성을 탐색하는 일이 부각되기 시작하였다. 예상대로 NGST 사업은 2000년 향후10년조사에서 가장 높은 우선순위로 매겨졌다.[76]

당시 NASA 국장 댄 골딘(영어판)은 "더 빠르게, 더 좋게, 더 저렴하게"(영어: faster, better, cheaper)라는 표어를 제시하며, 천문학에 큰 변혁을 불러일으키고자 단일 거울이 아닌 분할 거울 제작 방식을 채택했다. 고장나기 쉬운 동적 부위를 최소화하기보다 감수하기로 한 선택이었다. 거울의 중량을 10분의 1로 줄이는 것을 목표로 처음에는 미세한 유리층이 덧씌워진 실리콘 카바이드 소재가 연구되었지만, 결국에는 베릴륨이 채택되었다.[68]

1990년대 중반의 "더 빠르게, 더 좋게, 더 저렴하게" 시대에 차세대 우주 망원경 사업은 5억 달러의 비용으로 8 m (26 ft) 구경의 망원경을 L2에 띄워올린다는 구상이었다.[77] 1997년, NASA는 고더드우주비행센터[78]볼 에어로스페이스 앤 테크놀로지스(영어판)[79]TRW(영어판)[80]와 함께 차세대 우주 망원경에 관하여 제안된 세 가지 구상의 기술 요구사항과 비용을 연구하였으며, 1999년에는 록히드 마틴[81]과 TRW를 선정하여 기본 구상을 연구하였다.[82] 당초 발사는 2007년으로 계획되었지만, 여러 차례 연기되었다(아래 표 참고).

2002년, 차세대 우주 망원경 사업은 1961년부터 1968년까지 제2대 NASA 국장을 맡았던 제임스 에드윈 웨브의 이름으로 개칭되었다.[83] 웨브는 아폴로 계획 기간에 NASA를 이끌었으며, 과학 연구를 NASA의 핵심 활동으로 확립한 사람이었다.[84]

2003년, NASA는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 사업에 관해 TRW와 8억 2,480만 달러 규모의 원청 계약을 체결하였다. 설계 사항에서 주거울은 6.1 m (20 ft)로 축소되었고 발사일은 2010년까지로 요구되었다.[85] 당해 말엽에 TRW는 노스롭 그루먼에 적대적 인수합병되어 노스롭 그루먼 스페이스 테크놀로지로 사명이 변경되었다.[82]

초창기 개발과 재계획 (2003~2007)

NASA 고더드우주비행센터에 전시된 실물 크기의 초기 모형. 2005년 촬영.

망원경의 개발은 NASA의 고더드우주비행센터가 맡았으며, 프로젝트 책임 과학자는 존 크롬웰 매더가 맡았다. 하도급은 두 부분으로 나뉘었다. 노스롭 그루먼 에어로스페이스 시스템즈는 우주선 본체와 차양막, 광학부(영어판)와 우주선 본체를 잇는 전개식 타워 조립체(영어: Deployable Tower Assembly, DTA)와 궤도에서 차양막이 펼쳐지는 것을 돕는 미드 붐 조립체(영어: Mid Boom Assembly, MBA) 등 우주선부의 개발과 제작을 맡았다.[86] 한편, 볼 에어로스페이스 앤 테크놀로지스는 광학부와 통합과학장비모듈(ISIM)의 개발과 제작을 하청 받았다.[38]

2005년 봄에 사업 예상 비용이 증가한 것으로 밝혀지면서 2005년 8월에 대대적인 재계획이 단행되었다.[87] 재계획이 기술적으로 끼친 주요한 영향은 장비 통합과 시험 일정에 큰 변화가 생겼다는 점이다. 발사 일정이 2011년에서 2013년으로 22개월 지연되었으며, 1.7 μm보다 짧은 파장의 관측 기능에 대한 장치 레벨의 테스트가 생략되었다. 망원경의 다른 주요한 특징은 바뀌지 않았다. 사업은 재계획이 있은 후 2006년 4월에 외부 검토를 받기도 하였다.

2005년 재계획 당시 사업의 수명 기간 내 비용은 45억 달러로 추산되었다. 이는 설계와 개발과 발사와 운용 준비(커미셔닝)에 약 35억 달러, 발사 후 10년간 운용에 대략 10억 달러로 추산한 비용을 합한 것이다.[87] ESA는 발사를 포함해서 약 3억 유로의 비용을 지불하기로 합의하였으며,[88] 캐나다우주국은 2007년에 3,900만 캐나다 달러를 계약한 후[89] 2012년에 망원경을 지향시키고 외계행성 대기 상태를 탐지하는 장비를 제공하였다.[90]

상세 설계와 제작 (2007~2021)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의 거울 세그먼트. 2010년 촬영.
마셜우주비행센터의 엑스선 극저온 시설에서 극저온 시험을 받는 거울 세그먼트.
환경시험을 마치고 조립된 망원경.

2007년 1월, 열 가지 기술개발 항목 중에서 아홉 개의 항목이 비우호검토(영어: Non-Advocate Review)를 성공적으로 통과했다.[91] 이러한 기술은 사업의 잠재적 위험을 없앨 수 있을 만큼 충분히 성숙한 것으로 여겨졌다. 나머지 기술개발 항목이었던 MIRI 극저온 냉각기는 2007년 4월에 기술 성숙의 여정을 마쳤다. 이러한 기술 검토는 궁극적으로 프로젝트가 상세한 설계 단계(C 단계)로 가는 과정의 첫 절차를 밟았음을 뜻하였다. 2007년 5월까지 사업 비용은 아직 목표 내에 있었다.[92] 2008년 3월, 사업은 기본설계검토(영어: Preliminary Design Review)를 성공적으로 완료하였다. 2008년 4월에는 비우호검토를 통과하였으며, 2009년 3월의 통합과학장비모듈 검토와 2009년 10월의 광학부 검토, 2010년 1월의 차양막 검토 역시 통과하였다.[93]

2010년 4월, 제임스 웹 망원경은 임무중요설계검토(영어: Mission Critical Design Review, MCDR)의 기술 부문을 통과하였다. MCDR이 이전의 모든 설계 검토를 망라하였기 때문에 MCDR을 통과하였다는 것은 장치 통합을 마친 우주 망원경이 임무에 필요한 과학적 요건과 공학적 요건을 모두 충족할 수 있다는 의미였다.[94] 사업 일정은 MCDR 이후 독립종합검토패널(영어: Independent Comprehensive Review Panel)이라는 과정에서 수 개월을 검토 받았고, 재계획을 통해 2015년 발사를 목표로 하게 되었지만, 2018년으로 연기되었다. 2010년까지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 자체는 예정대로 사업이 진행되었지만, 비용 초과를 겪으면서 다른 프로젝트의 일정에 영향을 미쳤다.[95]

2011년까지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 사업은 최종 설계와 제작 단계(C 단계)에 있었다.

기계팔을 이용한 주거울의 육각 세그먼트 조립은 2015년 11월부터 시작되어 2016년 2월 3일에 완료되었다. 부거울은 2016년 3월 3일에 설치되었다.[96][97] 제임스 웹 망원경은 2016년 11월에 최종적으로 완성되었으며, 이후부터 대대적인 시험 절차에 들어갔다.[98]

2018년 3월, NASA는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의 전개 실험에서 차양막이 찢어지고 차양막 케이블의 장력이 팽팽하지 않게 펼쳐지는 바람에 망원경의 발사 일정을 2년 후인 2020년 5월로 미루었다. 2018년 6월, NASA는 2018년 3월의 테스트 전개에 실패한 후 소집된 외부 검토 위원회의 평가에 따라 발사 기한을 2021년 3월로 10개월 더 연기했다.[99] 검토 결과에 의하면,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의 발사와 전개는 344군데의 잠재적 단일 장애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실패 시 복구 수단이나 대안이 없으므로 망원경이 작동하려면 반드시 성공해야 할 과제였다.[100] 2019년 8월, 망원경의 기계적인 통합이 완료되었다. 이는 원래대로면 당시로부터 12년 전인 2007년에 예정되어 있었던 일이었다.[101]

완성된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은 캘리포니아 리돈도비치의 노스롭 그루먼 공장에서 마지막 테스트를 받았다.[102] 망원경은 2021년 9월 26일에 선박에 실린 채 캘리포니아를 떠나 파나마 운하를 경유한 후 2021년 10월 12일에 프랑스령 기아나에 도착했다.[103]

비용과 일정 문제

NASA의 사업 비용은 2021년 기준으로 97억 달러로 예상된다. 그 중에서 88억 달러가 우주선 설계와 개발에 사용되었고, 8억 6,100만 달러가 발사 후 5년 임무 수행에 지원될 계획이다.[104] ESACSA의 사업 참여 금액은 관계자들에 의하면 각각 7억 유로와 2억 캐나다 달러에 이른다고 한다.[105]

1984년, 우주과학위원회(영어: Space Science Board)의 연구에 의하면 차세대 적외선 천문대를 만들어서 궤도에 올리는 데는 40억 달러(2006년 기준 70억 달러 상당, 2020년 기준 100억 달러 상당)의 비용이 소요될 것으로 추정되었다.[65] 이 수치는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 사업의 최종 비용에 근접하지만, 1990년대 후반에 고려된 NASA의 사업 초안은 제작 기간 10년 동안 10억 달러를 목표로 하여 비교적 저렴했다. 시간이 지나면서 사업은 설계 요구사항이 늘어나고 예기치 않은 상황에 대한 비용이 추가되며 일정에 관해서 여러 차례 지연을 겪었다.

당시 계획된 발사 일정과 총비용
연도 발사 일정 예산
(억 달러)
1998 2007[106] 10[65]
2000 2009[43] 18[65]
2002 2010[107] 25[65]
2003 2011[108] 25[65]
2005 2013 30[109]
2006 2014 45[110]
2008: 기본설계검토
2008 2014 51[111]
2010: 중요설계검토
2010 2015~2016 65[112]
2011 2018 87[113]
2017 2019[114] 88
2018 2020[115] ≥88
2019 2021년 3월[116] 96.6
2021 2021년 12월[117] 97.0

제임스 웹 사업이 기본설계검토에 들어가고 공식적으로 제작이 확정된 2008년에는 이미 10억 달러 이상이 망원경을 개발하는 데 쓰였고, 당시 총비용은 약 50억 달러(2021년 기준 69억 4천만 달러 상당)로 추산되었다.[118] 2010년 여름, 사업은 모든 기술 문제에 대해서 우수한 성적으로 중요설계검토를 통과하였지만, 당시 일정과 비용이 계획에서 엇나가는 일로 인해 바바라 미컬스키 메릴랜드 상원의원은 사업을 외부에서 검토하도록 요청하기도 하였다. 제트추진연구소의 존 카사니(영어: John Casani)가 위원장으로 소집된 독립종합검토패널(ICRP)은 일러도 2015년 말에야 발사가 가능할 것이고, 15억 달러의 비용이 추가로 들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이들은 2011년 예산과 2012년 예산에 추가 예산을 편성할 필요가 있을 것이며, 발사일이 늦어질 경우 총비용이 더 증가할 것이라고 지적하였다.[112]

2011년 7월 6일, 미국 하원의 상업법무과학세출위원회는 NASA 총예산의 4분의 1가량을 차지하고 있던 제임스 웹 사업을 취소하기 위해 2012년 예산안에서 NASA 예산을 19억 달러 삭감하기로 하였다.[119][120][121][122] 이미 사업에 30억 달러가 지출되었으며, 망원경 하드웨어의 75%가 제작 중이던 상황이었다.[123] 이 예산안은 이튿날 소위원회 의결을 통해 승인되었다. 위원회는 제임스 웹 사업이 "예산보다 수십억 달러를 초과하고 부실한 관리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라고 비판했다.[119] 이에 대해 미국천문학회는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 사업을 지지하는 성명을 내었으며,[124] 미컬스키 상원의원 역시 마찬가지였다.[125] 그해에 제임스 웹 사업을 지지하는 사설 다수가 국제 언론에 기고되기도 하였다.[119][126][127] 2011년 11월, 미국 의회는 제임스 웹 사업 취소를 철회하는 대신 사업 완료를 위한 추가 비용을 80억 달러로 제한하기로 하였다.[128]

허블 망원경 등 NASA의 다른 주요 사업 역시 유사한 문제가 있었지만, 일부 과학자들은 제임스 웹 망원경의 비용 증가와 일정 지연에 관한 걱정과 함께 망원경의 예산이 다른 우주 과학 프로그램의 예산과 책정에 관해서 경쟁할 수 있다는 우려를 표했다.[129][130] 2010년 네이처 기사에서는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을 "천문학을 잡아먹은 망원경"으로 묘사하기도 하였다.[131] NASA는 의회로부터 사업 예산과 일정을 꾸준히 변호하고자 했다.[130][132]

2018년, 제임스 웹 사업의 새로운 감독으로 그레고리 로빈슨(영어판)이 부임하였다.[133] 로빈슨이 사업 스케줄의 효율(얼마나 많은 조치가 제시간에 완료되었는지)을 50%에서 95%로 끌어올리자,[133] 로빈슨의 상사인 토마스 쥐르뷔헨(영어판)은 제임스 웹 사업의 진척도를 높이는 데 공헌을 한 그를 두고 "NASA 역사상 내가 본 임무 리더 중에서 가장 효율적인 리더"라고 평했다.[133] 2022년 7월, 제임스 웹이 준비 과정을 끝마치고 최초 관측 자료를 전송해오기 시작할 무렵에 로빈슨은 NASA에서 보낸 33년의 커리어를 끝마치며 은퇴했다.[134]

2018년 3월 27일, NASA는 발사 예정일을 2020년 5월 이후로 미루면서[115] 유럽우주국과 함께 발사 이후에 지출될 최종 예상 비용을 추산하였다.[135][136][137] 2019년, 제임스 웹의 임무 비용 상한이 8억 달러 증가하였다.[138]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은 2020년에 코로나19 유행으로 발사가 무기한 연기되었다가[139] 2021년 연말이 되어서야 마침내 100억 달러에 조금 못 미치는 총비용으로 발사되었다.

협력

NASA와 ESA와 CSA는 망원경 사업을 1996년부터 협업하였다. ESA의 제작과 발사 부문 참여는 2003년에 승인되었고, NASA와의 협약은 2007년에 체결되었다. ESA는 완전 파트너십과 대표권과 기관 소속 천문학자들이 우주 망원경에 접근하는 권한을 대가로 NIRSpec 장비와 MIRI 광학 벤치 조립체(영어: Optical Bench Assembly)와 아리안 5 ECA 로켓과 운영 지원 인력을 제공하였다.[88][140] CSA는 정밀지향센서와 근적외선 영상 장치 겸 무슬릿 분광기와 운영 지원 인력을 제공하였다.[141]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의 제작과 시험과 장비 통합에는 15개국의 과학자와 엔지니어와 기술자 수천 명이 참여했다.[142] 발사 전 사업에 참여한 기업과 정부 기관과 학술단체는 총 258개에 이른다. 그중에서 미국은 142개, 유럽 12개국은 104개(영국 21개, 프랑스 16개, 독일 12개, 그 외 7개[143]), 캐나다는 12개 단체가 참여했다.[142] 그 외에 호주처럼 NASA의 파트너로서 발사 후 운영에 관여한 국가도 있었다.[144]

사업에 참여한 국가는 다음과 같다.

명칭에 관한 논란

2002년, NASA 국장(2001~2004) 션 오키프(영어판)가 1961년부터 1968년까지 NASA 국장으로 지내며 머큐리제미니아폴로 계획의 상당 부분을 추진하였던 제임스 에드윈 웨브의 이름을 따서 망원경을 개칭하였다.[83][84]

2015년, 20세기 중반 미국 연방정부라벤더 공포로 인해 동성애자를 대상으로 고용 차별했던 시기에 제임스 웨브의 행적에 관한 우려가 제기되었다.[145][146]

임무 목표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은 다음의 네 가지 사항을 핵심 목표로 두고 있다.

이러한 목표는 가시광선 스펙트럼보다 근적외선 스펙트럼을 관측함으로써 더 효율적으로 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제임스 웹의 관측 장비는 허블 망원경처럼 가시광선이나 자외선을 측정하지 않으며, 적외선 천문학을 수행하기 위한 능력만 극대화되었다. 제임스 웹은 0.6~28 μm 파장(주황색 가시광선에서 100 K (−173 °C; −280 °F) 물체가 내는 장파 적외선 복사에 대응)에서 기능한다.

제임스 웹 망원경은 2015년 발견된 KIC 8462852(영어판)처럼 특이한 광도 곡선 맵시를 보여주는 천체에 관하여 물리학적인 정보를 얻을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을 것이다.[148] 또한, 제임스 웹이 외계행성 대기에서 메탄의 유무를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천문학자들은 이를 통해 메탄을 생명체가 존재하는 징후로 여길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149][150]

궤도 형태

제임스 웹은 정확히 L2 점에 있지 않으며, 그 주변을 헤일로 궤도로 공전한다.
용골자리 성운을 바라본 허블 우주 망원경의 두 가지 시각을 비교한 이미지. 위는 가시광선 이미지이고 아래는 적외선 이미지이다. 적외선에서 훨씬 많은 별들이 보인다.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은 태양에서 지구 궤도보다 1,500,000 km (930,000 mi) 더 멀리 있는 태양-지구계 제2 라그랑주점(L2) 주변을 공전한다. 이는 지구에서 달 궤도보다 네 배 정도 더 먼 거리다. 일반적으로 지구보다 멀리서 태양을 도는 물체는 한 번 공전하는 데 1년보다 더 오랜 시간이 걸리지만, L2 점 주변에서는 지구 중력과 태양 중력의 합력 덕분에 우주선이 지구와 같은 주기로 태양을 공전할 수 있다. 우주선이 지구 주변에 머물기 때문에 먼 궤도보다 데이터 전송률이 크다는 장점도 있다.

제임스 웹 망원경은 태양-지구 L2 점 주변을 황도에 대해 기울어진 헤일로 궤도로 맴돌며, L2 점에 대해 250,000 km (160,000 mi)에서 832,000 km (517,000 mi) 거리를 유지하면서 반년 주기로 회전한다.[24] L2가 중력이 작용하지 않는 평형점이기 때문에 헤일로 궤도는 일반적인 의미의 궤도가 아니다. 우주선은 실제로 태양을 공전하고 있으며, 헤일로 궤도는 우주선이 L2 점 부근에 표류하도록 하는 우주 비행으로 여길 수 있다.[151] 이에 따라 93 m/s의 총 Δv 비용(영어판)[152]에서 연간 2.5m/s 정도의 궤도 수정이 필요하다.[153] 망원경의 추진 장치는 두 쌍의 스러스터로 구성되어 있다.[154] 스러스터가 제임스 웹의 태양 지향면에만 있기 때문에 모든 궤도 수정 작업은 망원경을 준안정적인 L2 점 너머로 밀어내어 원위치로 되돌릴 수 없게 되는 불상사를 피하도록 요구 추력이 조금 언더슛 되도록 설계되었다.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의 장치 통합 및 시험 프로젝트 책임 과학자 랜디 킴블(영어: Randy Kimble)은 제임스 웹의 정밀한 스테이션 키핑을 "산마루 부근의 완만한 비탈길 위에서 바위를 (…) 굴리는 시시포스"에 비유하며 "우리는 바위가 산꼭대기 아래로 굴러내려 가 시시포스에게서 멀어지는 것을 절대 원하지 않는다"라고 말했다.[155]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의 궤적 애니메이션
위에서 본 모습
옆에서 본 모습
태양에서 본 모습

적외선 천문학

적외선으로 관측하면 이미지의 HUDF-JD2(영어판)처럼 가시광선에서 보이지 않는 천체도 볼 수 있다.
적외선에서 대기의 창. 이 대역의 빛 상당 부분은 지표면에 닿지 못한다. 무지개에 비유하면 다채로운 색은 보이지 않고 한 가지 색만 보이는 셈이다.

제임스 웹 망원경은 허블 우주 망원경의 공식적인 후계기이지만, 적외선 천문학에 중점을 두고 있기 때문에 스피처 우주 망원경의 후계기이기도 하다. 제임스 웹은 오래된 별과 은하를 관측하는 데서 두 망원경의 능력을 훨씬 웃돈다.[156] 적외선 스펙트럼을 관측하는 것은 그러한 일을 해내는 데 꼭 필요한 기술이다. 우주론적 적색편이 때문에 물체를 관측하기 쉬운 파장이 옮겨간 대역이 적외선이고, 불투명한 먼지와 가스를 잘 꿰뚫어 볼 수 있는 것이 적외선이기 때문이다. 이를 통해 어둡고 차가운 천체를 관측하는 것도 가능하다. 지상 적외선 천문학은 지구 대기에 있는 수증기이산화탄소가 적외선을 강하게 흡수하기 때문에 대기가 덜 흡수하는 좁은 파장에만 국한되었다. 또한, 대기는 적외선을 방출하기도 하므로 표적에서 오는 적외선을 압도하는 일도 흔하다. 이러한 이유로 적외선 관측에는 우주 망원경이 선호된다.[157]

거리가 멀수록 천체는 더 어려 보인다. 빛이 관찰자에게 오는 데 걸리는 시간이 그만큼 더 오래 걸리기 때문이다. 우주가 팽창하기 때문에 빛은 여기로 오면서 파장이 길어진다. 거리가 멀어서 빛이 여기로 오는 데 걸리는 시간이 더 많이 걸릴수록 그동안 우주가 더 많이 팽창했기 때문에 빛의 파장도 그만큼 더 길어진다. 따라서 극히 멀리서 가시광선을 방출하는 물체들은 방출한 빛이 우주의 팽창에 의해서 적외선 대역으로 옮겨가기 때문에 적외선에서 관측해야 한다.[158] 이러한 면에서 제임스 웹이 적외선을 관측하는 능력은 빅뱅 이후 수억 년이 지나서 최초의 은하가 형성되는 시기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159]

적외선 복사는 가시광선을 잘 산란하는 우주 먼지가 있는 곳도 자유롭게 통과할 수 있다. 이러한 적외선 관측을 통해 별이 탄생하는 분자운이나 행성이 만들어지는 별주위원반, 활동은하핵처럼 가시광선에서 가스와 먼지에 차폐되어 보이지 않는 공간의 천체도 연구할 수 있다.[158]

수천 도 미만의 비교적 차가운 물체는 플랑크 법칙에 따라 복사의 대부분을 적외선 대역에서 방출한다. 그 결과, 별보다 온도가 낮은 천체 대부분은 적외선에서 연구하기가 쉽다.[158] 그러한 천체로는 성간물질갈색왜성과 태양계 행성외계행성혜성카이퍼대 천체가 있는데, 이들은 모두 중적외선 관측 장비(MIRI)의 관측 범주에 있다.[43][159]

적외선 천문학에서 제임스 웹의 개발에 영향을 미쳤던 우주 임무로는 스피처윌킨슨 마이크로파 비등방성 탐사기(WMAP)가 있었다.[160] 스피처는 별 주변의 먼지 원반을 관측하는 등의 일에서 중적외선이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주었으며,[160] WMAP 탐사기는 우주가 적색편이 z≈17 무렵에 밝아졌다는 사실을 보여주어, 중적외선의 중요성을 한층 더 강조하였다.[160] 두 임무 모두 제임스 웹이 개발 중이던 2000년대 초에 실행되었다.[160]

지상 지원과 운용

2003년, 메릴랜드 볼티모어 존스홉킨스대학교 홈우드캠퍼스에 소재하는 우주망원경과학연구소(STScI)가 제임스 웹의 과학운용센터(영어: Science and Operations Center, S&OC)로 선정되며, 발사 후 1년 동안 운용을 지원하기 위한 초기 예산으로 1억 6,220만 달러를 책정받았다.[161] 그러한 지위를 위임받은 STScI는 망원경의 과학적 운용을 담당하고 천문학계에 데이터 프로덕트를 전달하는 일을 맡게 되었다. 제임스 웹의 데이터는 NASA 심우주 통신망을 통해 지상으로 전송된 후 STScI에서 처리하고 보정하여 세계 각지의 천문학자들에게 온라인으로 배포된다. 허블의 운용 방식과 유사하게 천문학자라면 국적을 불문하고 누구든지 관측 제안서를 제출할 수 있다. 매년 천문학자로 구성된 위원회가 제출된 제안서를 동료평가하여 다가오는 해에 관측할 프로젝트를 선정할 것이다. 계획에 선정된 관측 제안서의 저자는 새 관측에 대해 1년간 독점할 권한을 얻게 된다. 독점 기간이 만료된 데이터는 STScI에서 운영하는 온라인 데이터 아카이브에 공개되어 누구나 접근할 수 있게 된다.

대역폭과 디지털 처리량은 망원경을 임무 기간 동안 하루에 458기가비트의 데이터(실질 전송률 5.42 Mbps 상당)로 운용할 수 있게끔 설계되었다.[34] 망원경의 데이터는 대부분 재래식 싱글보드 컴퓨터를 통해 처리된다.[162] 장비의 아날로그 데이터를 디지털로 변환하는 일은 주문 제작식 SIDECAR ASIC(영어: System for Image Digitization, Enhancement, Control And Retrieval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이 수행한다. NASA는 SIDECAR ASIC이 3 cm (1.2 in)짜리 칩만으로 9.1 kg (20 lb)짜리 전자 장비의 기능을 모두 해낼 수 있으면서도 11밀리와트의 전력만을 소비할 것이라고 밝혔다.[163] 디지털 변환은 망원경에서 온도가 낮은 부분인 검출기 근처에서 수행되어야 하므로, 제임스 웹이 최적의 조건에서 작동하도록 낮은 온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전력 소모를 작게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발사와 운용 준비 과정

발사

제임스 웹 망원경을 실은 아리안 5 로켓의 발사(아리안 플라이트 VA256으로 명명)는 2021년 12월 25일 협정세계시 12시 20분(한국 시각 21시 20분)에 프랑스령 기아나기아나우주센터에서 이루어졌다.[164][165] 전원이 켜진 것으로 확인된 제임스 웹 망원경은 2주 동안 이어질 장치 전개[166]와 함께 목적지로 향하는 여정을 시작하였다.[167][168][169] 망원경은 발사 27분 7초 후 로켓 상단 스테이지에서 분리되어 L2 라그랑주점을 도는 헤일로 궤도[170]에 진입할 수 있도록 30일간의 궤도 조정 단계에 들어갔다.

제임스 웹 망원경은 최종 궤도에 이르는 데 필요한 속력보다 약간 느린 속력으로 발사된 후 지구와 멀어지면서 서서히 속력을 줄여 알맞은 속도로 L2에 도달하였다. 망원경이 L2에 도달하였을 때는 2022년 1월 24일이었다. 망원경의 비행에는 속력과 방향을 조정하고자 경로 수정이 세 차례 계획되었다. 이는 제임스 웹이 언더스러스트(너무 천천히 감)에서 원래대로 되돌아오는 것은 가능하였지만, 오버스러스트(너무 빨리 감)에서 원래대로 되돌아오는 것은 불가능하였기 때문이다. 온도에 민감한 장비들을 보호하도록 차양막이 항상 태양을 향하고 있어야 했기 때문에 우주선이 회전하거나 스러스터로 감속하는 게 불가능했다.[171]

이송 및 구조물 전개

구조 전개 타임라인.[45]
구조 전개 시퀀스.
제임스 웹의 헤일로 궤도 애니메이션.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은 순조롭게 발사된 지 27분 만에 로켓 상부 스테이지에서 분리되었다.[164][173] 발사 31분 후부터 13일 동안 태양 전지판과 안테나와 차광막과 거울을 전개하는 과정이 시작되었다.[174] 처음의 태양 전지판과 통신 안테나 전개를 제외하면 거의 모든 전개 작업이 볼티모어의 우주망원경과학연구소 통제 하에 실시되었다.[175][176] 임무는 지상 관제사가 문제 시 전개 순서를 수정할 수 있게끔 유연성을 갖추는 방식으로 기획되었다.[177]

발사로부터 12시간이 흐른 2021년 12월 26일 UTC 0시 50분, 제임스 웹 망원경의 로켓 엔진이 65분 동안 점화되어 첫 번째 중간 경로 수정에 들어갔다.[178] 이튿날에는 고이득 통신 안테나가 자동으로 전개되었다.[177]

발사에서 60시간이 경과된 2021년 12월 27일, 제임스 웹의 로켓 엔진이 9분 27초 동안 점화되면서 L2로 향하는 두 번째 중간 경로 수정이 이루어졌다.[179] 발사 3일 차인 2021년 12월 28일, 제임스 웹의 가장 중요한 차양막이 수일에 걸쳐 전개되기 시작했다. 2021년 12월 30일, 제임스 웹 망원경을 전개하는 데 필요한 절차 두 가지가 성공적으로 완수되었다. 후미에서 차양막이 받는 태양 복사압에 대해 밸런스를 제공하는 모멘텀 플랩(영어: momentum flap)이 전개되면서 제임스 웹의 경로를 유지하는 데 필요한 스러스터 사용을 줄임으로써 연료가 절약되었다.[180]

2021년 12월 31일, 지상팀은 망원경 좌현과 우현에 있는 연장식 미드 붐 두 대를 확장했다.[181] 좌측 미드 붐은 3시간 19분에 걸쳐 전개되었고, 우측 미드 붐은 3시간 42분이 소요되었다.[182][181] 1월 3일과 4일 사이에는 차양막 분리와 장력을 주는 명령이 성공적으로 수행되었다.[181] 2022년 1월 5일에는 망원경의 부경이 약 1.5mm의 허용 범위 내에서 성공적으로 전개되었다.[183]

마지막 구조 전개 절차는 주거울 날개를 펼치는 것이었다. 주거울 세그먼트는 제임스 웹 망원경이 발사 전에 아리안 로켓 페어링에 들어갈 수 있도록 세 패널로 나뉘어서 접혀있어야 했다. NASA는 2022년 1월 7일에 주거울 좌측의 날개를 펼치고 고정하였으며,[184] 1월 8일에는 우측의 거울 날개를 전개하고 고정하였다. 이로써 우주 망원경의 구조 전개는 성공적으로 완료되었다.[185][186][187]

2022년 1월 24일 UTC 17시 00분,[188] 발사 약 한 달 만에 최종 경로 수정이 이루어지면서 제임스 웹은 예정대로 태양-지구 L2 점을 도는 헤일로 궤도에 진입하게 되었다.[189][190]

운용 준비 과정과 시험

2022년 1월 12일, 아직 목적지로 이송 중인 동안에 거울 정렬이 시작되었다. 주거울 세그먼트와 부거울은 발사 당시 보호를 위한 위치로부터 멀어졌다. 액추에이터 모터 132개[191]가 거울 위치를 극히 정밀하게 조정하도록 설계되어, 초기 배열 상태에서 각각 120만 단(12.5 mm)을 움직여야 했기 때문에 이 작업은 10일 정도가 소요되었다.[192][35]

거울을 정렬하려면 18개 거울 세그먼트와 부거울을 각각 50나노미터의 허용 오차 이내에 들도록 위치시켜야 한다. NASA는 이러한 정밀도에 관해서 "제임스 웹의 주거울이 미국만한 크기였더라면 각 거울 세그먼트는 텍사스만한 크기였을 것이고, 작업자들은 이 텍사스만한 세그먼트들을 1.5인치 높이의 정밀도로 조정해야 했을 것"이라고 비유하였다.[193]

거울 정렬은 일곱 단계로 구성되었으며, 1:6 축척 모형을 이용해서 반복적으로 예행 연습할 정도로 복잡한 작업이었다.[193] 거울의 온도가 120 K (−153 °C; −244 °F)에 이른 후,[194] NIRCam은 큰곰자리에 있는 6등성 HD 84406[c]을 표적으로 삼아서 거울을 정렬하기로 했다.[196][197] 이를 해내기 위해서 NIRCam이 하늘을 1,560회 촬영하였으며, 이렇게 광범위하게 촬영된 이미지들을 통해 주거울 세그먼트의 거울면이 어디를 향하고 있는지 확인되었다.[198] 처음에 주거울 세그먼트들은 크게 어긋난 채로 있었기 때문에 표적 별의 상은 열여덟 개로 분열된 채로 흐릿했다. HD 84406의 분열된 상이 각각 어떤 거울 세그먼트에 의한 것인지 확인된 후, 열여덟 주거울 세그먼트는 대략 그 별을 중심으로 해서 정렬되었다(세그먼트 이미지 식별). 그런 다음 위상 복원(영어판)이라는 기술로 거울 세그먼트마다 개별적으로 있는 주요한 포커스 에러가 교정되면서 세그먼트가 만들어내는 이미지들의 품질이 향상되었고(세그먼트 정렬), 각각의 거울 세그먼트 이미지가 한 곳에 정밀하게 겹치면서 하나의 이미지를 만들어 내었다(이미지 스택).[193]

이제 상이 거의 정확히 맺히게 배치된 거울은 장치가 감지할 빛의 파장보다도 짧은 50나노미터의 정밀도로 미세하게 조정되어야 했다. 분산 간섭무늬 감지(영어: dispersed fringe sensing)라는 기술을 통해 20개의 독립된 거울 세그먼트 페어링이 만들어내는 이미지를 비교해가면 거울을 정렬할 때 생긴 오차의 대부분을 교정할 수 있으며(거친 위상 조정), 그런 다음 각 세그먼트 이미지에 디포커스를 주면 앞에서 교정되고 남은 오차의 대부분을 찾아내어 수정할 수 있다(미세 위상 조정). 이러한 두 과정은 세 차례 반복되었다. 미세 위상 조정의 경우는 망원경이 운용되는 동안에도 일상적인 점검이 이루어진다. 거친 조정과 미세 조정을 세 차례 거듭한 망원경은 NIRCam의 화면 한 곳에 정렬되었다. 모든 관측 장비에 대해서 그 장비가 촬영한 이미지 곳곳에서 빛의 세기를 측정하는 작업이 이루어졌고, 그렇게 검출된 빛의 세기에서 나타나는 변화로 산출된 보정량은 모든 관측 장비에 대해 잘 정렬된 결과를 내놓았다(관측 장비 화각에 대한 망원경 정렬). 마지막으로 앞선 절차에서 허용할 수 없는 작은 오차조차 남지 않게 하도록 모든 관측 장비에 대해서 최종 미세 조정 작업과 이미지 품질 검사가 이루어졌다(최종 교정을 위한 반복 정렬). 그리하여 망원경의 거울 세그먼트는 정렬 작업이 완료되어 초점이 정밀하게 맺힌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게 되었다.[193]

거울 정렬을 준비하던 2022년 2월 3일 UTC 19시 28분, NASA는 아직 이미지를 공개하지 않았지만 NIRCam이 망원경에서 온 빛을 최초로 검출하였다고 밝혔다.[193][199] 2022년 2월 11일, NASA는 망원경의 정렬 1단계 작업이 거의 막바지에 이르렀다고 밝혔다. 주거울을 구성하는 세그먼트마다 표적 별 HD 84406의 위치를 찾아내어 이미징하였고, 모든 거울 세그먼트가 대략이나마 정렬되었다.[198] 1단계 정렬은 2022년 2월 18일에 완료되었으며,[200] 일주일 후에는 2단계와 3단계 정렬 작업도 완료되었다.[201] 이는 열여덟 거울이 조화롭게 작용하고 있음을 의미하였지만, 정렬 7단계가 끝날 때까지 거울 세그먼트는 여전히 하나의 큰 망원경이 아닌 열여덟 개의 작은 망원경처럼 작동했다.[201] 주거울이 준비 과정에 들어간 동시에 다른 장비 수백 개도 준비 과정에 들어갔고, 캘리브레이션 작업도 진행되었다.[202]

미세유성체 충돌

2022년 6월 8일, 지난 5월 23일에서 25일 사이에 C3[e] 거울 세그먼트가 티끌만 한 미세유성체와 충돌하였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엔지니어들은 충돌로 인한 여파를 보정하기 위해서 액추에이터로 거울을 재조정해야 했다.[209] 이러한 사건이 있었지만, NASA의 운용 준비 과정 보고서에 의하면 2022년 7월 10일까지 제임스 웹의 모든 관측 기능은 검토 결과 과학적 운용 준비가 완료된 것으로 확인되었다.[210][22]

관측 시간 할당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의 관측 시간은 일반 관측자(영어: General Observers, GO) 프로그램과 보장 시간 관측(영어: Guaranteed Time Observations, GTO) 프로그램과 연구소장 재량 조기 발표 과학(영어: Director's Discretionary Early Release Science, DD-ERS) 프로그램을 통해 할당된다.[211] GTO 프로그램은 우주 망원경에 들어가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요소를 개발하는 데 기여한 과학자에게 관측 시간을 보장하기 위한 프로그램인 반면, GO 프로그램은 모든 천문학자에게 관측 시간을 신청할 기회를 제공하며, 제임스 웹 관측 시간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프로그램이다. GO 프로그램은 허블 우주 망원경의 관측 제안서 검토 과정처럼 시간 할당 위원회(영어: Time Allocation Committee, TAC)의 동료평가 과정을 거쳐 선정된다.

조기 발표 과학 프로그램

2017년 11월, 우주망원경과학연구소가 모집된 관측 제안서를 검토하여 선정한 연구소장 재량 조기 발표 과학 프로그램 열세 개를 발표했다.[212][213] 이러한 프로그램에 대한 관측은 제임스 웹이 준비 과정을 완료하고 과학 임무에 들어간 처음의 다섯 달 동안 이루어지기로 하였다. 총 460시간의 관측 시간이 이러한 열세 프로그램에 할당되었으며, 관측이 다루는 과학적 주제는 태양계외계행성과 별 및 별 탄생과 근거리 은하 및 원거리 은하와 중력렌즈퀘이사 등 다양하다. 이러한 ERS 프로그램에서 오버헤드 타임과 우주선 선회 시간을 제외하고 망원경이 실제로 관측하는 시간은 총 242.8시간이다.

조기 발표 과학 프로그램
제목 연구책임자 분야 관측 시간
(시간)
Radiative Feedback from Massive Stars as Traced by Multiband Imaging and Spectroscopic Mosaics
(한국어: 다파장 영상과 분광으로 추적한 대질량성의 복사 피드백)
올리비에 베르네
(프랑스어: Olivier Berné)
항성물리학 8.3[214]
IceAge: Chemical Evolution of Ices during Star Formation
(한국어: 별 탄생 과정에서 얼음의 화학적 진화)
멜리사 매클루어
(영어: Melissa McClure)
항성물리학 13.4[215]
Through the Looking GLASS: A JWST Exploration of Galaxy Formation and Evolution from Cosmic Dawn to Present Day
(한국어: GLASS-JWST 은하의 형성과 진화 탐사)
토마소 트루
(영어: Tommaso Treu)
은하와 IGM(영어판) 24.3[216]
A JWST Study of the Starburst-AGN Connection in Merging LIRGs
(한국어: 병합하는 LIRG 속 폭발적 별 탄생과 AGN의 상호관계 연구)
리 아머스
(영어: Lee Armus)
은하와 IGM 8.7[217]
The Resolved Stellar Populations Early Release Science Program
(한국어: 항성 종족 분해 조사 조기 발표 과학 프로그램)
대니얼 와이즈
(영어: Daniel Weisz)
항성 종족 20.3[218]
Q-3D: Imaging Spectroscopy of Quasar Hosts with JWST Analyzed with a Powerful New PSF Decomposition and Spectral Analysis Package
(한국어: 고성능 신형 PSF 디컴포지션 및 스펙트럼 분석 패키지를 응용한 퀘이사 모은하 영상 분광 분석)
도미니카 와일잘렉
(영어: Dominika Wylezalek)
거대 블랙홀과 모은하 17.4[219]
The Cosmic Evolution Early Release Science (CEERS) Survey
(한국어: 우주 진화 조기 발표 과학 탐사)
스티븐 핀클스타인
(영어: Steven Finkelstein)
은하와 IGM 36.6[220]
Establishing Extreme Dynamic Range with JWST: Decoding Smoke Signals in the Glare of a Wolf-Rayet Binary
(한국어: JWST의 극단적인 다이내믹 레인지를 확립하기 위한 볼프레이에 쌍성 휘광 속의 신호 해석)
라이언 라우
(영어: Ryan Lau)
항성물리학 6.5[221]
TEMPLATES: Targeting Extremely Magnified Panchromatic Lensed Arcs and Their Extended Star Formation
(한국어: 극도로 확대된 전색상 굴절 호의 광범위한 별 탄생 연구)
제인 릭비(영어판) 은하와 IGM 26.0[222]
Nuclear Dynamics of a Nearby Seyfert with NIRSpec Integral Field Spectroscopy
(한국어: NIRSpec 인테그럴 필드 분광을 이용한 근방 세이퍼트의 핵 역학 연구)
미스티 벤츠(영어판) 거대 블랙홀과 모은하 1.5[223]
The Transiting Exoplanet Community Early Release Science Program
(한국어: 식현상 외계행성 커뮤니티 조기 발표 과학 프로그램)
나탈리 바타야(영어판) 행성과 행성 형성 52.1[224]
ERS observations of the Jovian System as a Demonstration of JWST's Capabilities for Solar System Science
(한국어: JWST의 태양계 연구 능력을 입증하기 위한 목성계의 ERS 관측)
임커 더파터(영어판) 태양계 9.3[225]
High Contrast Imaging of Exoplanets and Exoplanetary Systems with JWST
(한국어: 외계행성과 외계행성계의 고대비 이미징)
사샤 힝클리
(영어: Sasha Hinkley)
행성과 행성 형성 18.4[226]

일반 관측자 프로그램

사이클 1 GO의 경우 할당 가능한 관측 시간이 6,000시간이었다. 1,173부의 관측 제안서가 제출되었으며, 이러한 제안서가 모두 승인될 경우 총 24,500시간의 관측 시간이 필요했다.[227] 사이클 1 GO 프로그램 선정은 2021년 3월 30일에 발표되었으며, 266개의 프로그램이 승인되었다. 이러한 관측 프로그램에는 데이터 독점 기간이 없는 13개의 대규모 프로그램과 고가치 프로그램(영어: Treasury Program)이 포함되어 있다.[228]

과학적 성과

허블(2017)과 제임스 웹(2022)[229][230]

최초의 컬러 이미지와 분광 데이터는 2022년 7월 12일에 공개되었다. 이날은 제임스 웹의 일반 과학 임무가 공식적으로 시작된 날이기도 하였다. 앞선 2022년 7월 11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최초의 공식 이미지인 제임스 웹 최초의 딥 필드를 미리 공개하였다.[231][232] NASA는 당일에 공개될 관측 표적으로 다음과 같은 명단을 발표했다.[235][236][237]

2022년 7월 14일, NASA는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이 목성과 그 주변 영역을 촬영한 적외선 이미지를 최초 공개하였다.[240]

같은 시기에 게시된 보고서 프리프린트에서 NASA와 ESA와 CSA의 과학자들은 "전반적으로 제임스 웹의 과학적 성능이 예상보다 뛰어나다"라고 밝혔다. 이 문서는 준비 과정에서 이루어진 여러 관측을 기술하고 있다. 문서에 의하면, 관측 장비가 데이터 포인트당 1000 ppm 이상의 정밀도로 식현상을 일으키는 외계행성의 스펙트럼을 관측하였고, 스펙보다 두 배 이상 빠른 초당 67밀리각초로 움직이는 천체를 추적하기도 하였으며, 은하 중심 방향의 조밀한 영역에서 별 수백 개의 스펙트럼을 동시에 얻기도 하였다. 문서에서 기술하는 기타의 표적은 다음과 같다.[22]

제임스 웹 최초의 이미지가 공개된 지 2주가 지나지 않아서 그전에 확인된 것보다도 훨씬 이른 시기인 빅뱅 이후 2억 3,500만 년(z=16.7)에서 2억 8천만 년까지의 초기 은하들을 광범위하게 기술하는 논문 프리프린트 몇 편이 동료평가를 받기 위해 제출되었다.[242] 2022년 8월 17일, NASA는 근적외선 카메라로 690회 촬영하여 합친 대형 모자이크 이미지를 공개하였다.[243][244] 이 이미지가 담고 있는 수많은 초기 은하 중에서는 적색편이 z=16.7(빅뱅 이후 2억 3580만 년[245][246])로 추정되는 CEERS-93316(영어판) 같은 고적색편이 은하 후보도 있다.

2022년 8월 24일, 천문학자들은 조기 발표 과학(ERS)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제임스 웹이 투과 분광 관측한 목성형 외계행성 WASP-39b의 대기에서 이산화탄소를 검출한 연구 결과를 발표하였다. 이는 태양계 바깥 행성에서 이산화탄소 검출한 것으로 확인된 첫 번째 사례이다.[247][248]

갤러리

같이 보기

내용주

  1. 제임스 웹 망원경은 최대 30mas/s로 움직이는 화성처럼 빠른 각속도의 천체도 추적할 수 있게끔 설계되었지만, 이는 기술사양서에 적힌 명목상의 값일 뿐이다.[21]
    커미셔닝 기간에 장비의 실제 한계를 측정하기 위해 다양한 소행성을 관측한 결과, 제임스 웹은 명목상의 값의 두 배 이상 빠른 67mas/s의 천체도 관측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30~67mas/s 속도를 추적할 때의 정밀도는 그보다 느린 표적을 추적할 때와 비슷하다. 즉, 제임스 웹은 근지구 소행성(NEA)과 근일점에 가까운 혜성과 성간 천체 역시 관측할 수 있다.[22]
  2. 본문에 쓰인 배플(Baffle)은 광학부가 재래의 광학 망원경과 비슷하게 망원경 시야 외에서 들어오는 빛을 차단하게끔 튜브로 감싸져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실제 용례는 다음 바깥 고리를 참고. Freniere, E.R. (1981). 〈First-order design of optical baffles〉. 《Society of Photo-Optical Instrumentation Engineers (SPIE) Conference Series, First-order design of optical baffles》. Radiation Scattering in Optical Systems. 19–28쪽. Bibcode:1981SPIE..257...19F. doi:10.1117/12.959598. 
  3. HD 84406은 큰곰자리 방향으로 지구에서 약 258.5광년 떨어진 항성이다. 분광형은 G형이며 고유운동이 크게 나타난다.[195]
  4. UVSW-V 084나 TYC 4212-1079-1로도 알려진[203] 2MASS J17554042+6551277은 용자리에 있는 우리 은하이다. 약 2000광년 거리에 있으며, 황도의 북극에서 1도 정도 떨어져 있다. 안시 겉보기등급이 10.95등급이기 때문에 맨눈으로는 관찰할 수 없다. 표면온도는 태양보다 낮지만, 가시광선에서 그보다 13배에서 16배가량 밝다.[204] 그러므로 이 별은 태양과 유사하지는 않다. 태양에 대한 시선속도는 -51km/s 정도이다.[203]
  5. C3 거울 세그먼트는 주거울을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가장 외곽 5시 방향에 있는 거울 세그먼트이다.[208]

각주

  1. “NASA JWST "Who are the partners in the Webb project?". NASA. 2011년 11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11월 18일에 확인함.  이 문서는 퍼블릭 도메인 출처의 본문을 포함합니다.
  2. Kelso, Thomas S. (2021년 12월 25일). “JWST”. 《Celestrak》. Celestrak. 2022년 1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12월 26일에 확인함. 
  3. “FAQ Full General Public Webb Telescope/NASA”. 《jwst.nasa.gov》. 2019년 7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1월 13일에 확인함. 
  4. “NASA Says Webb's Excess Fuel Likely to Extend its Lifetime Expectations – James Webb Space Telescope”. 《blogs.nasa.gov》. 2022년 1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12월 30일에 확인함. 
  5. StephenClark1 (2021년 12월 23일). “The exact launch mass of the James Webb Space Telescope: 6161.4 kilograms. That figure includes 167.5 kg of hydrazine and 132.5 kg of dinitrogen tetroxide for the propulsion system.” (트윗). 2021년 12월 23일에 확인함. 
  6. “JWST Orbit”. 《JWST User Documentation》. Space Telescope Science Institute. 2022년 7월 1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12월 25일에 확인함. 
  7. “JWST Telescope”. 《James Webb Space Telescope User Documentation》. Space Telescope Science Institute. 2019년 12월 23일. 2022년 7월 1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6월 11일에 확인함.  이 문서는 퍼블릭 도메인 출처의 본문을 포함합니다.
  8. Overbye, Dennis (2022년 8월 23일). “How the Webb Telescope Expanded My Universe - As new images of Jupiter and a galactic survey spring forth from NASA's new observatory, our cosmic affairs correspondent confesses he didn't anticipate their power.”. 《The New York Times. 2022년 8월 24일에 확인함. 
  9. Achenbach, Joel (2022년 8월 5일). “The Webb telescope is astonishing. But the universe is even more so - This new tool can't do everything, but it's capturing some of the first light emitted after the big bang, and that is already revealing wonders”. 《The Washington Post. 2022년 8월 7일에 확인함. 
  10. Fisher, Alise; Pinol, Natasha; Betz, Laura (2022년 7월 11일). “President Biden Reveals First Image from NASA's Webb Telescope”. 《NASA》. 2022년 7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7월 12일에 확인함. 
  11. “Comparison: Webb vs Hubble Telescope – Webb/NASA”. 《www.jwst.nasa.gov》 (영어). 2022년 1월 2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7월 12일에 확인함. 
  12. Lallo, Matthew D. (2012). “Experience with the Hubble Space Telescope: 20 years of an archetype”. 《Optical Engineering》 51 (1): 011011–011011–19. arXiv:1203.0002. Bibcode:2012OptEn..51a1011L. doi:10.1117/1.OE.51.1.011011. S2CID 15722152. 
  13. “Mirrors Webb/NASA”. 《webb.nasa.gov》 (영어). 2022년 2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7월 12일에 확인함. 
  14. “A Deeper Sky | by Brian Koberlein”. 《briankoberlein.com》. 2022년 3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1월 5일에 확인함. 
  15. “FAQ for Scientists Webb Telescope/NASA”. 《jwst.nasa.gov》. 2022년 1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1월 5일에 확인함. 
  16. Shelton, Jim (2016년 3월 3일). “Shattering the cosmic distance record, once again”. Yale University. 2016년 3월 1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3월 4일에 확인함. 
  17. “Hubble breaks cosmic distance record”. 《SpaceTelescope.org》. 2016년 3월 3일. heic1604. 2016년 3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3월 3일에 확인함. 
  18. Oesch, P. A.; Brammer, G.; van Dokkum, P.; 외. (March 2016). “A Remarkably Luminous Galaxy at z=11.1 Measured with Hubble Space Telescope Grism Spectroscopy”. 《The Astrophysical Journal819 (2). 129. arXiv:1603.00461. Bibcode:2016ApJ...819..129O. doi:10.3847/0004-637X/819/2/129. S2CID 119262750. 
  19. Atkinson, Nancy. “Hubble Has Looked Back in Time as Far as It Can And Still Can't Find The First Stars”. 《Universe Today》. 2022년 1월 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1월 9일에 확인함 – ScienceAlert 경유. 
  20. “Infrared astronomy from earth orbit”. Infrared Processing and Analysis Center, NASA Spitzer Science Center,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2017. 2016년 12월 2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이 문서는 퍼블릭 도메인 출처의 본문을 포함합니다.
  21. Fisher, Alise (2022년 7월 14일). “Webb Images of Jupiter and More Now Available in Commissioning Data”. 《James Webb Space Telescope (NASA Blogs)》. 2022년 8월 8일에 확인함. 
  22. Rigby, Jane; Perrin, Marshall; McElwain, Michael; Kimble, Randy; Friedman, Scott; Lallo, Matt; Doyon, René; Feinberg, Lee; Ferruit, Pierre; Glasse, Alistair; Rieke, Marcia; 외. (2022년 7월 12일). “Characterization of JWST science performance from commissioning”. arXiv:2207.05632 [astro-ph.IM]. 
  23. “Technical FAQ Specifically On Solar System Observations”. 《James Webb Space Telescope》. NASA. 2022년 7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7월 29일에 확인함. 
  24. “L2 Orbit”. Space Telescope Science Institute. 2014년 2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8월 28일에 확인함. 
  25. “The Sunshield”. 《nasa.gov》. NASA. 2017년 8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8월 28일에 확인함.  이 문서는 퍼블릭 도메인 출처의 본문을 포함합니다.
  26. Drake, Nadia (2015년 4월 24일). “Hubble Still Wows At 25, But Wait Till You See What's Next”. National Geographic. 2019년 6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4월 24일에 확인함. 
  27. “The James Webb Space Telescope”. 《nasa.gov》. 2019년 6월 3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8월 28일에 확인함.  이 문서는 퍼블릭 도메인 출처의 본문을 포함합니다.
  28. “Sunshield Coatings Webb/NASA”. 《jwst.nasa.gov》. 2021년 12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5월 3일에 확인함.  이 문서는 퍼블릭 도메인 출처의 본문을 포함합니다.
  29. Clery, Daniel (2018년 3월 27일). “NASA announces more delays for giant space telescope”. 《Science》. 2021년 12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6월 5일에 확인함. 
  30. Morring, Frank Jr. (2013년 12월 16일). “JWST Sunshade Folding, Deployment In Test”. 《Aviation Week & Space Technology》. 48–49쪽. ISSN 0005-2175. 2022년 3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12월 27일에 확인함. 
  31. Fisher, Alise (2021년 12월 30일). “Webb Ready for Sunshield Deployment and Cooldown”. 《James Webb Space Telescope (NASA Blogs)》. 2021년 12월 3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12월 31일에 확인함. 
  32. “JWST Wavefront Sensing and Control”. Space Telescope Science Institute. 2012년 8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6월 9일에 확인함. 
  33. “Keck I and Keck II Telescopes”. 《W. M. Keck Observatory》. 2022년 4월 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7월 12일에 확인함. 
  34. Mallonee, Laura (2019년 10월 22일). “NASA's Biggest Telescope Ever Prepares for a 2021 Launch”. 《Wired》. 2022년 5월 1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6월 4일에 확인함. 
  35. “Mirror, Mirror…On Its Way! – James Webb Space Telescope”. 《Blogs.nasa.gov》. 2022년 1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2월 12일에 확인함. 
  36. “JWST Mirrors”. Space Telescope Science Institute. 2012년 8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6월 9일에 확인함. 
  37. Amos, Jonathan (2022년 3월 16일). “James Webb: 'Fully focused' telescope beats expectations”. 《BBC News》. 2022년 7월 1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7월 15일에 확인함. 
  38. “Integrated Science Instrument Module (ISIM)”. NASA James Webb Space Telescope. 2017. 2016년 12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1월 30일에 확인함.  이 문서는 퍼블릭 도메인 출처의 본문을 포함합니다.
  39. “James Webb Space Telescope Near Infrared Camera”. STScI. 2013년 3월 2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10월 24일에 확인함. 
  40. “NIRCam for the James Webb Space Telescope”. University of Arizona. 2021년 11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10월 24일에 확인함. 
  41. “JWST Current Status”. STScI. 2009년 7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7월 5일에 확인함. 
  42. “NIRSpec – the near-infrared spectrograph on JWST”. European Space Agency. 2015년 2월 22일. 2019년 4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2월 2일에 확인함. 
  43. “MIRI spectrometer for NGST”. 2011년 9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44. “JWST: Mid-Infrared Instrument (MIRI)”. NASA. 2017. 2019년 6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2월 3일에 확인함.  이 문서는 퍼블릭 도메인 출처의 본문을 포함합니다.
  45. “JWST”. NASA. 2015년 6월 2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6월 29일에 확인함.  이 문서는 퍼블릭 도메인 출처의 본문을 포함합니다.
  46. Banks, Kimberly; Larson, Melora; Aymergen, Cagatay; Zhang, Burt (2008). Angeli, George Z.; Cullum, Martin J., 편집. “James Webb Space Telescope Mid-Infrared Instrument Cooler systems engineering” (PDF). 《Proceedings of SPIE》. Modeling, Systems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for Astronomy III. 5쪽. Bibcode:2008SPIE.7017E..0AB. doi:10.1117/12.791925. S2CID 17507846. 2021년 10월 6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2월 6일에 확인함. Fig. 1. Cooler Architecture Overview 
  47. Doyon, René; Hutchings, John B.; Beaulieu, Mathilde; Albert, Loic; Lafrenière, David; Willott, Chris; Touahri, Driss; Rowlands, Neil; Maszkiewicz, Micheal; Fullerton, Alex W.; Volk, Kevin; Martel, André R.; Chayer, Pierre; Sivaramakrishnan, Anand; Abraham, Roberto; Ferrarese, Laura; Jayawardhana, Ray; Johnstone, Doug; Meyer, Michael; Pipher, Judith L.; Sawicki, Marcin (2012년 8월 22일). Clampin, Mark C; Fazio, Giovanni G; MacEwen, Howard A; Oschmann, Jacobus M, 편집. “The JWST Fine Guidance Sensor (FGS) and Near-Infrared Imager and Slitless Spectrograph (NIRISS)”. 《Proceedings of SPIE》. Space Telescopes and Instrumentation 2012: Optical, Infrared, and Millimeter Wave 8442: 84422R. Bibcode:2012SPIE.8442E..2RD. doi:10.1117/12.926578. S2CID 120702854.  "FGS features two modules: an infrared camera dedicated to fine guiding of the observatory and a science camera module, the Near-Infrared Imager and Slitless Spectrograph (NIRISS)"
  48. “The Spacecraft Bus”. NASA James Webb Space Telescope. 2017. 2019년 7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1월 26일에 확인함.  이 문서는 퍼블릭 도메인 출처의 본문을 포함합니다.
  49. “The JWST Observatory”. NASA. 2017. 2019년 5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2월 28일에 확인함. The Observatory is the space-based portion of the James Webb Space Telescope system and is comprisedof three elements: the Integrated Science Instrument Module (ISIM), the Optical Telescope Element (OTE), which includes the mirrors and backplane, and the Spacecraft Element, which includes the spacecraft bus and the sunshield  이 문서는 퍼블릭 도메인 출처의 본문을 포함합니다.
  50. “Integrated Science Instrument Module (ISIM)”. NASA James Webb Space Telescope. 2017. 2016년 12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1월 30일에 확인함.  이 문서는 퍼블릭 도메인 출처의 본문을 포함합니다.
  51. Willoughby, Scott P. (February 2012). “PRIME: The Untold Story Of NASA's James Webb Space Telescope”. 《SatMagazine》 (Satnews). 2021년 4월 6일에 확인함. 
  52. Sloan, Jeff (2015년 10월 12일). “James Webb Space Telescope spacecraft inches towards full assembly”. Composites World. 2019년 10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2월 28일에 확인함. 
  53. “JWST Propulsion”. 《JWST User Documentation》. Space Telescope Science Institute. 2022년 7월 1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12월 29일에 확인함. 
  54. Clark, Stephen (2021년 11월 28일). “NASA gives green light to fuel James Webb Space Telescope”. Spaceflight Now. 2022년 6월 2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12월 2일에 확인함. 
  55. “Why is Webb not serviceable like Hubble?”. 《James Webb Space Telescope (FAQ)》. 2022년 7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12월 31일에 확인함. 
  56. “Relief as NASA's most powerful space telescope finishes risky unfolding”. 《Science》. 2022년 1월 8일. 2022년 1월 3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1월 11일에 확인함. 
  57. Smith, Marcia (2018년 8월 30일). “Zurbuchen Taking One Last Look at JWST Servicing”. 《SpacePolicyOnline》. 2021년 12월 3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12월 31일에 확인함. 
  58. Foust, Jeff (2018년 2월 2일). “Scientists, engineers push for servicing and assembly of future space observatories”. 《SpaceNews》. 2022년 7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12월 31일에 확인함. 
  59. Grush, Loren (2021년 12월 28일). “NASA's James Webb Space Telescope is about to transform into its final form”. 《The Verge》. 2022년 7월 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1월 11일에 확인함. 
  60. McCarthy SG, Autio GW (1978). 《Infrared Detector Performance In The Shuttle Infrared Telescope Facility (SIRTF)》. 1978 Los Angeles Technical Symposium. Utilization of Infrared Detectors. Society of Photographic Instrumentation Engineers. 81–88쪽. Bibcode:1978SPIE..132...81M. doi:10.1117/12.956060. 2017년 3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2월 8일에 확인함. 
  61. “How cold can you go? Cooler tested for NASA telescope”. Phys.org. 2016년 6월 14일. 2022년 7월 1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1월 31일에 확인함. 
  62. “JPL: Herschel Space Observatory: Related Missions”. NASA, Jet Propulsion Laboratory, Goddard Flight Center,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2016년 12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6월 4일에 확인함.  이 문서는 퍼블릭 도메인 출처의 본문을 포함합니다.
  63. “What is ISO?”. ESA. 2016. 2021년 11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6월 4일에 확인함. 
  64. “Hubble Space Telescope – Wide Field Camera 3”. NASA. 2016년 8월 22일. 2021년 11월 1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2월 9일에 확인함.  이 문서는 퍼블릭 도메인 출처의 본문을 포함합니다.
  65. Reichhardt, Tony (March 2006). “US astronomy: Is the next big thing too big?”. 《Nature》 440 (7081): 140–143. Bibcode:2006Natur.440..140R. doi:10.1038/440140a. PMID 16525437. 
  66. “Nexus Space Telescope”. MIT. 2011년 8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8월 23일에 확인함. 
  67. Dwayne Brown/Michael Braukus (18 Jun 2007) NASA and ESA Sign Agreements for Future Cooperation 보관됨 19 3월 2022 - 웨이백 머신 RELEASE : 07-139
  68. Haviv Rettig Gur (2022년 1월 5일). “Space is changing. Webb is just the start, says ex-Israeli who was in from its dawn”. 《The Times of Israel》. 2022년 3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1월 7일에 확인함. 
  69. “Advanced Concepts Studies – The 4 m Aperture "Hi-Z" Telescope”. NASA Space Optics Manufacturing Technology Center. 2011년 10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이 문서는 퍼블릭 도메인 출처의 본문을 포함합니다.
  70. “STSCI JWST History 1994”. 2014년 2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12월 29일에 확인함. 
  71. “Astrononmy and Astrophysics in the New Millennium”. NASA. 2021년 12월 2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7월 27일에 확인함.  이 문서는 퍼블릭 도메인 출처의 본문을 포함합니다.
  72. de Weck, Olivier L.; Miller, David W.; Mosier, Gary E. (2002). 〈Multidisciplinary analysis of the NEXUS precursor space telescope〉 (PDF). MacEwen, Howard A. 《Highly Innovative Space Telescope Concepts》. Highly Innovative Space Telescope Concepts 4849. 294쪽. Bibcode:2002SPIE.4849..294D. CiteSeerX 10.1.1.664.8727. doi:10.1117/12.460079. S2CID 18725988. 2017년 9월 23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7월 27일에 확인함. 
  73. Brown, R. A. (1996). “1996swhs.conf..603B Page 603”. 《Science with the Hubble Space Telescope – Ii》: 603. Bibcode:1996swhs.conf..603B. 2022년 1월 1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9월 23일에 확인함. 
  74. Dressler, A., 편집. (1996). “Exploration and the Search for Origins: A Vision for Ultraviolet-Optical-Infrared Space Astronomy Report of the 'HST & Beyond' Committee” (PDF). 《Stsci.edu》. Association of Universities for Research in Astronomy. 2022년 7월 15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2월 12일에 확인함. 
  75. Stockman, H. S. (June 1997). "The Next Generation Space Telescope. Visiting a time when galaxies were young". Space Telescope Science Institute, Baltimore, Maryland. The Association of Universities for Research in Astronomy, Washington, D.C.
  76. Astronomy and Astrophysics Survey Committee; Board on Physics and Astronomy; Space Studies Board; Commission on Physical Sciences, Mathematics, and Applications; National Research Council (2001년 1월 16일). 《Astronomy and Astrophysics in the New Millennium》.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ies Press. doi:10.17226/9839. ISBN 978-0-309-07031-7. 2022년 7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12월 15일에 확인함. 
  77. “STSCI JWST History 1996”. Stsci.edu. 2012년 12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1월 16일에 확인함. 
  78. "Goddard Space Flight Center design" 보관됨 6 1월 2016 - 웨이백 머신. spacetelescope.org. Retrieved on 13 January 2014
  79. "ESA Science & Technology: Ball Aerospace design for JWST". 보관됨 12 12월 2012 - archive.today. Sci.esa.int. Retrieved 21 August 2013
  80. "ESA Science & Technology: TRW design for JWST". 보관됨 12 12월 2012 - archive.today. Sci.esa.int. Retrieved 21 August 2013
  81. "ESA Science & Technology: Lockheed-Martin design for JWST". 보관됨 13 12월 2012 - archive.today. Sci.esa.int. Retrieved 21 August 2013
  82. “HubbleSite – Webb: Past and Future”. 2012년 12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1월 13일에 확인함. 
  83. “NASA ANNOUNCES CONTRACT FOR NEXT-GENERATION SPACE TELESCOPE NAMED AFTER SPACE PIONEER”. NASA. 2002년 9월 10일. 2022년 8월 26일에 확인함. 
  84. “About James Webb”. NASA. 2018년 3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3월 15일에 확인함.  이 문서는 퍼블릭 도메인 출처의 본문을 포함합니다.
  85. “TRW Selected as JWST Prime Contractor”. STCI. 2003년 9월 11일. 2012년 8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1월 13일에 확인함. 
  86. “Northrop Grumman Completes Fabrication Of Sunshield Deployment Flight Structure For JWST”. Space Daily. 2011년 12월 13일. 2022년 1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12월 10일에 확인함. 
  87. John Mather. “James Webb Space Telescope (JWST)” (PDF). National Academy of Science. 2008년 11월 10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7월 5일에 확인함.  이 문서는 퍼블릭 도메인 출처의 본문을 포함합니다.
  88. “European agreement on James Webb Space Telescope's Mid-Infrared Instrument (MIRI) signed” (보도 자료). ESA Media Relations Service. 2004년 6월 9일. 2009년 5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5월 6일에 확인함. 
  89. “Canada's contribution to NASA's James Webb Space Telescope”. 《canada.ca》. Canadian Space Agency. 2007년 6월 4일. 2022년 1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7월 3일에 확인함. 
  90. “Canadian Space Agency Delivers Canada's Contributions to the James Webb Space Telescope”. 《SpaceQ》. 2012년 7월 30일. 2022년 1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7월 3일에 확인함. 
  91. “JWST Passes TNAR”. STScI. 2012년 8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7월 5일에 확인함. 
  92. Berger, Brian (2007년 5월 23일). “NASA Adds Docking Capability For Next Space Observatory”. 《SPACE.com》. 2008년 6월 3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7월 5일에 확인함. 
  93. “James Webb Space Telescope sunshield is ready to fabricate”. 《www.laserfocusworld.com》. 2021년 12월 3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12월 30일에 확인함. 
  94. “NASA's Webb Telescope Passes Key Mission Design Review Milestone”. NASA. 2010년 5월 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5월 2일에 확인함.  이 문서는 퍼블릭 도메인 출처의 본문을 포함합니다.
  95. Clark, Stephen (2010년 8월 12일). “NASA says JWST cost crunch impeding new missions”. Spaceflight Now. 2021년 4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8월 13일에 확인함. 
  96. “NASA's James Webb Space Telescope Primary Mirror Fully Assembled”. 《nasa.gov》. 2016년 2월 3일. 2016년 2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2월 4일에 확인함.  이 문서는 퍼블릭 도메인 출처의 본문을 포함합니다.
  97. “NASA's James Webb Space Telescope Secondary Mirror Installed”. NASA. 2016년 3월 7일. 2016년 3월 1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3월 23일에 확인함.  이 문서는 퍼블릭 도메인 출처의 본문을 포함합니다.
  98. Yuhas, Alan (2016년 11월 4일). “Nasa begins testing enormous space telescope made of gold mirrors”. 《The Guardian》. 2016년 11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1월 5일에 확인함. 
  99. “NASA Completes Webb Telescope Review, Commits to Launch in Early 2021”. NASA. 2018년 6월 27일. 2020년 3월 1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6월 27일에 확인함.  이 문서는 퍼블릭 도메인 출처의 본문을 포함합니다.
  100. Achenbach, Joel (2018년 7월 26일). “Northrop Grumman CEO is grilled about James Webb Space Telescope errors”. 《The Washington Post》. 2019년 12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12월 28일에 확인함. 
  101. “The two halves of Hubble's US$10 billion successor have finally come together after 12 years of waiting”. Business Insider. 2022년 7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8월 29일에 확인함. 
  102. Clark, Stephen (2021년 9월 30일). “After two decades, the Webb telescope is finished and on the way to its launch site”. 《Spaceflight Now》. 2021년 10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10월 6일에 확인함. 
  103. Wall, Mike (2021년 10월 12일). “NASA's James Webb Space Telescope arrives in French Guiana ahead of December 18 launch”. 《Space.com》. 2021년 10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10월 13일에 확인함. 
  104. “FY 2022 NASA Congressional Budget Justification” (PDF). NASA. JWST-2쪽. 2021년 6월 10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10월 21일에 확인함.  이 문서는 퍼블릭 도메인 출처의 본문을 포함합니다.
  105. Foust, Jeff (2021년 6월 2일). “JWST launch slips to November”. SpaceNews. 2022년 7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10월 21일에 확인함. 
  106. Lilly, Simon (1998년 11월 27일). “The Next Generation Space Telescope (NGST)”. University of Toronto. 2021년 12월 2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8월 23일에 확인함. 
  107. “NGST Weekly Missive”. 2002년 4월 25일. 2022년 7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8월 23일에 확인함. 
  108. “NASA Modifies James Webb Space Telescope Contract”. 2003년 11월 12일. 2021년 12월 2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8월 23일에 확인함.  이 문서는 퍼블릭 도메인 출처의 본문을 포함합니다.
  109. “Problems for JWST”. 2005년 5월 21일. 2021년 12월 2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8월 25일에 확인함. 
  110. “Refocusing NASA's vision”. 《Nature》 440 (7081): 127. 2006년 3월 9일. Bibcode:2006Natur.440..127.. doi:10.1038/440127a. PMID 16525425. 
  111. Cowen, Ron (2011년 8월 25일). “Webb Telescope Delayed, Costs Rise to $8 Billion”. ScienceInsider. 2012년 1월 1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112. “Independent Comprehensive Review Panel, Final Report” (PDF). 2010년 10월 29일. 2021년 11월 17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6월 10일에 확인함.  이 문서는 퍼블릭 도메인 출처의 본문을 포함합니다.
  113. Amos, Jonathan (2011년 8월 22일). “JWST price tag now put at over $8 bn”. BBC. 2021년 12월 2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6월 22일에 확인함. 
  114. “NASA's James Webb Space Telescope to be Launched Spring 2019”. NASA. 2017년 9월 28일. 2018년 2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9월 28일에 확인함.  이 문서는 퍼블릭 도메인 출처의 본문을 포함합니다.
  115. “NASA Delays Launch of James Webb Space Telescope to 2020”. Space.com. 2022년 4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3월 27일에 확인함. 
  116. “NASA Completes Webb Telescope Review, Commits to Launch in Early 2021”. 《nasa.gov》. NASA. 2018년 6월 27일. 2020년 3월 1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6월 28일에 확인함.  이 문서는 퍼블릭 도메인 출처의 본문을 포함합니다.
  117. “NASA delays launch of Webb telescope to no earlier than Dec. 24”. 2021년 12월 14일. 2021년 12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12월 14일에 확인함.  이 문서는 퍼블릭 도메인 출처의 본문을 포함합니다.
  118. McCusker, J. J. (1997). 《How Much Is That in Real Money? A Historical Price Index for Use as a Deflator of Money Values in the Economy of the United States: Addenda et Corrigenda》 (PDF). American Antiquarian Society.  1700–1799: McCusker, J. J. (1992). 《How Much Is That in Real Money? A Historical Price Index for Use as a Deflator of Money Values in the Economy of the United States》 (PDF). American Antiquarian Society.  1800–present: Federal Reserve Bank of Minneapolis. “Consumer Price Index (estimate) 1800–”. 2022년 4월 16일에 확인함. 
  119. McKie, Robin (2011년 7월 9일). “Nasa fights to save the James Webb space telescope from the axe”. 《The Guardian》 (London). 2017년 3월 1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2월 14일에 확인함. 
  120. “Appropriations Committee Releases the Fiscal Year 2012 Commerce, Justice, Science Appropriations”. US House of representatives Committee on Appropriations. 2011년 7월 6일. 2012년 3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7월 7일에 확인함.  이 문서는 퍼블릭 도메인 출처의 본문을 포함합니다.
  121. “US lawmakers vote to kill Hubble successor”. SpaceDaily. 2011년 7월 7일. 2011년 7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7월 8일에 확인함. 
  122. “Proposed NASA Budget Bill Would Cancel Major Space Telescope”. Space.com. 2011년 7월 6일. 2011년 7월 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7월 11일에 확인함. 
  123. Bergin, Chris (2015년 1월 7일). “James Webb Space Telescope hardware entering key test phase”. NASASpaceFlight.com. 2017년 11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8월 28일에 확인함. 
  124. Hand, E. (2011년 7월 7일). “AAS Issues Statement on Proposed Cancellation of James Webb Space Telescope”. American Astronomical Society. 2018년 3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2월 1일에 확인함. 
  125. “Mikulski Statement on House Appropriations Subcommittee Termination of James Webb Telescope”. 《SpaceRef》. 2011년 7월 11일. 2022년 7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2월 1일에 확인함. 
  126. “Way Above the Shuttle Flight”. 《The New York Times》. 2011년 7월 9일. 2018년 3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2월 27일에 확인함. 
  127. Harrold, Max (2011년 7월 7일). “Bad news for Canada: U.S. could scrap new space telescope”. 《The Vancouver Sun》. 2018년 7월 3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1월 27일에 확인함. 
  128. “NASA budget plan saves telescope, cuts space taxis”. 《Reuters》. 2011년 11월 16일. 2015년 9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7월 1일에 확인함. 
  129. Leone, Dan (2012년 11월 7일). “NASA Acknowledges James Webb Telescope Costs Will Delay Other Science Missions”. SpaceNews. 2013년 1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1월 12일에 확인함. 
  130. Moskowitz, Clara (2015년 3월 30일). “NASA Assures Skeptical Congress That the James Webb Telescope Is on Track”. Scientific American. 2017년 2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1월 29일에 확인함. 
  131. Billings, Lee (2010년 10월 27일). “The telescope that ate astronomy”. 《Nature》 467 (7319): 1028–1030. doi:10.1038/4671028a. PMID 20981068. 
  132. Koren, Marina (2016년 12월 7일). “The Extreme Hazing of the Most Expensive Telescope Ever Built”. The Atlantic. 2017년 2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1월 29일에 확인함. 
  133. Cohen, Ben (2022년 7월 8일). “The NASA Engineer Who Made the James Webb Space Telescope Work”. 《The Wall Street Journal》 (미국 영어). ISSN 0099-9660. 2022년 7월 1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7월 12일에 확인함. 
  134. Potter, Sean (2022년 7월 22일). “NASA Webb Program Director Greg Robinson Announces Retirement”. 《NASA》. 2022년 7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7월 22일에 확인함. 
  135. Wang, Jen Rae; Cole, Steve; Northon, Karen (2018년 3월 27일). “NASA's Webb Observatory Requires More Time for Testing and Evaluation”. NASA. 2018년 3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3월 27일에 확인함.  이 문서는 퍼블릭 도메인 출처의 본문을 포함합니다.
  136. Amos, Jonathan (2018년 3월 27일). “Hubble 'successor' faces new delay”. 《BBC News》. 2018년 3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3월 27일에 확인함. 
  137. Witze, Alexandra (2018년 3월 27일). “NASA reveals major delay for $8-billion Hubble successor”. 《Nature》 556 (7699): 11–12. Bibcode:2018Natur.556...11W. doi:10.1038/d41586-018-03863-5. 
  138. Dreier, Casey (2019년 2월 15일). “NASA just got its best budget in a decade”. 2019년 2월 1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3월 7일에 확인함. 
  139. Foust, Jeff (2020년 3월 20일). “Coronavirus pauses work on JWST”. 《SpaceNews》. 2022년 7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4월 15일에 확인함. 
  140. “ESA Science & Technology – Europe's Contributions to the JWST Mission”. 《European Space Agency》. 2022년 3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12월 19일에 확인함. 
  141. “Canadian Space Agency 'Eyes' Hubble's Successor: Canada Delivers its Contribution to the World's Most Powerful Space Telescope”. Canadian Space Agency. 2013년 4월 12일. 2013년 4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142. Jenner, Lynn (2020년 6월 1일). “NASA's Webb Telescope is an International Endeavor”. 《NASA》. 2022년 3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9월 23일에 확인함. 
  143. "Meet the team: Partners and Contributors" 보관됨 8 1월 2022 - 웨이백 머신. official NASA website of James Webb Space Telescope
  144. Shepherd, Tony (2021년 12월 25일). “James Webb: world's most powerful telescope makes its first call to Australia on Christmas Day”. 《the Guardian》 (영어). 2022년 3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1월 5일에 확인함. 
  145. Francis, Matthew. “The Problem With Naming Observatories For Bigots”. 《Forbes》 (영어). 2022년 4월 1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4월 11일에 확인함. 
  146. Savage, Dan (2015년 1월 21일). “Should NASA Name a Telescope After a Dead Guy Who Persecuted Gay People in the 1950s?”. 《The Stranger》 (영어). 2015년 1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4월 11일에 확인함. 
  147. Maggie Masetti; Anita Krishnamurthi (2009). “JWST Science”. NASA. 2017년 11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4월 14일에 확인함.  이 문서는 퍼블릭 도메인 출처의 본문을 포함합니다.
  148. “NASA's Next Telescope Could ID Alien Megastructures”. 2016년 2월 9일. 2019년 10월 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9월 1일에 확인함. 
  149. Zimmer, Carl (2022년 7월 2일). “Webb Telescope Will Look for Signs of Life Way Out There – The first question astronomers want to answer about exoplanets: Do they have atmospheres friendly to life?”. 《The New York Times》. 2022년 7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7월 2일에 확인함. 
  150. NASA's new James Webb Space Telescope will be able to sniff out methane. Here's how to tell if it's a sign of life. 보관됨 30 3월 2022 - 웨이백 머신 Stefanie Waldek, Space.com. 29 March 2022
  151. “Basics of Space Flight”. Jet Propulsion Laboratory. 2012년 6월 1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8월 28일에 확인함.  이 문서는 퍼블릭 도메인 출처의 본문을 포함합니다.
  152. Matt Greenhouse (2016년 4월 1일). “The James Webb Space Telescope Mission” (PDF). NASA Goddard Space Flight Center. 2021년 12월 29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12월 29일에 확인함. 
  153. Donald J. Dichmann; Cassandra M. Alberding; Wayne H. Yu (2014년 5월 5일). “STATIONKEEPING MONTE CARLO SIMULATION FOR THE JAMES WEBB SPACE TELESCOPE” (PDF). NASA Goddard Space Flight Center. 2021년 12월 17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12월 29일에 확인함.  이 문서는 퍼블릭 도메인 출처의 본문을 포함합니다.
  154. "James Webb Space Telescope Initial Mid-Course Correction Monte Carlo Implementation using Task Parallelism 보관됨 19 3월 2016 - 웨이백 머신" 3.1 Propulsion System Overview. J. Petersen et al. 이 문서는 퍼블릭 도메인 출처의 본문을 포함합니다.
  155. Kimble, Randy (2021년 12월 27일). “More Than You Wanted to Know About Webb's Mid-Course Corrections!”. 《NASA》. 2021년 12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12월 27일에 확인함.  이 문서는 퍼블릭 도메인 출처의 본문을 포함합니다.
  156. Howard, Rick, "James Webb Space Telescope (JWST)" 보관됨 21 12월 2021 - 웨이백 머신, nasa.gov, 6 March 2012 이 문서는 퍼블릭 도메인 출처의 본문을 포함합니다.
  157. “Infrared Atmospheric Windows”. Cool Cosmos. 2018년 10월 1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8월 28일에 확인함. 
  158. “Webb Science: The End of the Dark Ages: First Light and Reionization”. NASA. 2017년 11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6월 9일에 확인함.  이 문서는 퍼블릭 도메인 출처의 본문을 포함합니다.
  159. “Infrared Astronomy: Overview”. NASA Infrared Astronomy and Processing Center. 2006년 12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6년 10월 30일에 확인함.  이 문서는 퍼블릭 도메인 출처의 본문을 포함합니다.
  160. Mather, John (2006년 6월 13일). “James Webb Space Telescope (JWST) Science Summary for SSB” (PDF). 《NASA》. 2021년 3월 27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6월 4일에 확인함.  이 문서는 퍼블릭 도메인 출처의 본문을 포함합니다.
  161. Savage, Donald; Neal, Nancy (2003년 6월 6일). “Webb Spacecraft Science & Operations Center Contract Awarded”. NASA. 2022년 1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2월 1일에 확인함.  이 문서는 퍼블릭 도메인 출처의 본문을 포함합니다.
  162. “Single Board Computer”. FBO Daily Issue, FBO #0332. 2002년 10월 30일. 2009년 5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4월 23일에 확인함. 
  163. “Amazing Miniaturized 'SIDECAR' Drives Webb Telescope's Signal”. NASA. 2008년 2월 20일. 2008년 2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2월 22일에 확인함.  이 문서는 퍼블릭 도메인 출처의 본문을 포함합니다.
  164. “Ariane 5 goes down in history with successful launch of Webb”. 《Arianespace》 (보도 자료). 2021년 12월 25일. 2022년 3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12월 25일에 확인함. 
  165. Pinoi, Natasha; Fiser, Alise; Betz, Laura (2021년 12월 27일). “NASA's Webb Telescope Launches to See First Galaxies, Distant Worlds – NASA's James Webb Space Telescope launched at 7:20 a.m. EST Saturday [Dec. 25, 2021] on an Ariane 5 rocket French Guiana, South America”. 《NASA》. 2022년 4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12월 28일에 확인함. 
  166. “How to track James Webb Space Telescope, mission timeline”. 《Space Explored》. 2021년 12월 31일. 2022년 1월 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1월 1일에 확인함. 
  167. Achenbach, Joel (2021년 12월 25일). “NASA's James Webb Space Telescope launches in French Guiana – $10 billion successor to Hubble telescope will capture light from first stars and study distant worlds”. 《The Washington Post》. 2021년 12월 2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12월 25일에 확인함. 
  168. “Live Updates: Webb Telescope Launches on Long-Awaited Journey”. 《The New York Times》. 2021년 12월 25일. 2021년 12월 2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12월 25일에 확인함. 
  169. Overbye, Dennis; Roulette, Joey (2021년 12월 25일). “James Webb Space Telescope Launches on Journey to See the Dawn of Starlight – Astronomers were jubilant as the spacecraft made it off the launchpad, following decades of delays and cost overruns. The Webb is set to offer a new keyhole into the earliest moments of our universe.”. 《The New York Times》. 2021년 12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12월 25일에 확인함. 
  170. “Webb Orbit”. 《webb.nasa.gov》. 2022년 9월 27일에 확인함. 
  171. “James Webb Space Telescope”. 《blogs.nasa.gov》. 2021년 11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11월 22일에 확인함. 
  172. Camera on ESC-D Cryotechnic upper stage (25 Dec 2021) view of newly separated JWST, as seen from the ESC-D Cryotechnic upper stage 보관됨 25 12월 2021 - 웨이백 머신
  173. Tereza Pultarova (2021년 12월 25일). 'It's truly Christmas': James Webb Space Telescope's yuletide launch has NASA overjoyed”. 《Space.com》. 2022년 1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1월 4일에 확인함. 
  174. 《James Webb Space Telescope Deployment Sequence (Nominal)》, 1:47쪽, 2021년 12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12월 23일에 확인함 
  175. Warren, Haygen (2021년 12월 27일). “James Webb Space Telescope en route to L2; deployment sequence underway”. 《NASA spaceflight.com》. 2022년 1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1월 5일에 확인함. 
  176. Achenbach, Joel (2022년 1월 4일). “NASA thrilled: Webb Space Telescope deploys sun shield, evades many potential 'single-point failures'. 《The Washington Post》. 2022년 1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1월 5일에 확인함. 
  177. “Gimbaled Antenna Assembly”. 《James Webb Space Telescope》. NASA. 2022년 1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12월 27일에 확인함. 
  178. Fox, Karen. “The First Mid-Course Correction Burn”. 《NASA Blogs》. 2021년 12월 2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12월 27일에 확인함. 
  179. Fox, Karen. “Webb's Second Mid-Course Correction Burn”. 《James Webb Space Telescope (NASA Blogs)》. 2021년 12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12월 29일에 확인함. 
  180. Fisher, Alise (2021년 12월 30일). “Webb's Aft Momentum Flap Deployed”. 《James Webb Space Telescope (NASA Blogs)》. 2021년 12월 3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12월 31일에 확인함. 
  181. Lynch, Patrick (2021년 12월 31일). “With Webb's Mid-Booms Extended, Sunshield Takes Shape”. 《James Webb Space Telescope (NASA Blogs)》. 2022년 5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1월 1일에 확인함. 
  182. Lynch, Patrick (2021년 12월 31일). “First of Two Sunshield Mid-Booms Deploys”. 《James Webb Space Telescope (NASA Blogs)》. 2022년 4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1월 1일에 확인함. 
  183. Fisher, Alise (2022년 1월 5일). “Secondary Mirror Deployment Confirmed”. 《James Webb Space Telescope (NASA Blogs)》. 2022년 1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1월 6일에 확인함. 
  184. Fisher, Alise (2022년 1월 7일). “First of Two Primary Mirror Wings Unfolds”. 《James Webb Space Telescope (NASA Blogs)》. 2022년 1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1월 8일에 확인함. 
  185. Fisher, Alise (2022년 1월 8일). “Primary Mirror Wings Deployed, All Major Deployments Complete”. 《James Webb Space Telescope (NASA Blogs)》. 2022년 1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1월 8일에 확인함. 
  186. Berger, Eric (2022년 1월 8일). “Remarkably, NASA has completed deployment of the Webb space telescope”. 《cansciencenews.com》. 2022년 1월 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1월 8일에 확인함. 
  187. “Space telescope's 'golden eye' opens, last major hurdle”. 《phys.org》. 2022년 1월 8일. 2022년 1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1월 9일에 확인함. 
  188. Fisher, Alise (2022년 1월 21일). “Webb's Journey to L2 Is Nearly Complete”. 《James Webb Space Telescope (NASA Blogs)》. 2022년 1월 2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1월 25일에 확인함. 
  189. Roulette, Joey (2022년 1월 24일). “After Million-Mile Journey, James Webb Telescope Reaches Destination – The telescope's safe arrival is a relief to scientists who plan to spend the next 10 or more years using it to study ancient galaxies.”. 《The New York Times》. 2022년 1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1월 24일에 확인함. 
  190. “Orbital Insertion Burn a Success, Webb Arrives at L2 – James Webb Space Telescope”. 《Blogs.nasa.gov》. 2022년 2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2월 12일에 확인함. 
  191. “Webb Mirror Segment Deployments Complete – James Webb Space Telescope”. 2022년 1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1월 24일에 확인함. 
  192. “Webb Begins Its Months-Long Mirror Alignment – James Webb Space Telescope”. 2022년 1월 1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1월 17일에 확인함. 
  193. “Photons Incoming: Webb Team Begins Aligning the Telescope – James Webb Space Telescope”. 2022년 4월 3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2월 5일에 확인함.  이 문서는 퍼블릭 도메인 출처의 본문을 포함합니다.
  194. “Following Webb's Arrival at L2, Telescope Commissioning Set to Begin – James Webb Space Telescope”. 2022년 2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2월 5일에 확인함. 
  195. “HD 84406”. 《SIMBAD》. Centre de données astronomiques de Strasbourg. 2022년 1월 25일에 확인함. 
  196. Dvorsky, George (2022년 2월 4일). “Webb Space Telescope Successfully Sees Its First Glimmer of Light – HD 84406 will go down in history as the first star spotted by the $10 billion space telescope.”. 《Gizmodo》. 2022년 2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2월 4일에 확인함. 
  197. Hood, Abby Lee (2022년 2월 6일). “The James Webb Space Telescope Just Detected Its First Signal – We're Watching The Future Unfold In Real Time”. 《Futurism.com》. 2022년 3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2월 6일에 확인함. 
  198. “Photons Received: Webb Sees Its First Star – 18 Times – James Webb Space Telescope”. 《Blogs.nasa.gov》. 2022년 2월 1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2월 12일에 확인함. 
  199. “Our NIRCam instrument's detectors saw their 1st photons of starlight! While #NASAWebb is not yet ready for science, this is the first of many steps to capture images that are at first unfocused, used to slowly fine-tune the optics”. 《Twitter.com》. 2022년 2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2월 12일에 확인함. 
  200. “Webb Team Brings 18 Dots of Starlight Into Hexagonal Formation”. 《Blogs.nasa.gov》. 2022년 2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2월 18일에 확인함. 
  201. Webb Mirror Alignment Continues Successfully 보관됨 26 2월 2022 - 웨이백 머신 – NASA blog
  202. To Find the First Galaxies, Webb Pays Attention to Detail and Theory 보관됨 26 2월 2022 - 웨이백 머신 – NASA
  203. “2mass j17554042+6551277 – Facts about the Star”. 《Universe Guide – Guide to Space, Planets and the Rest of the Universe》. universeguide.com. 2022년 3월 16일. 2022년 7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3월 21일에 확인함. 
  204. Kluger, Jeffrey (2022년 3월 18일). “The James Webb Space Telescope Took Its Best Picture Yet”. time.com. TIME. 2022년 3월 2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3월 21일에 확인함. 
  205. Atkinson, Nancy (2022년 5월 2일). “Now, We can Finally Compare Webb to Other Infrared Observatories”. 《Universe Today》. 2022년 5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5월 12일에 확인함. 
  206. “Webb in full focus”. 
  207. “Webb's Fine Guidance Sensor Provides a Preview – James Webb Space Telescope”. 
  208. Sutherland, Scott (2022년 6월 10일). “Webb's primary mirror was just hit by a meteoroid, but it was built to endure”. 《The Weather Network》. 2022년 6월 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6월 10일에 확인함. 
  209. Harwood, William (2022년 6월 9일). “Webb telescope still performing well after micrometeoroid impact on mirror segment, NASA says”. 《CBS News》. 2022년 6월 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6월 10일에 확인함. 
  210. Howell, Elizabeth (2022년 7월 18일). “James Webb Space Telescope picture shows noticeable damage from micrometeoroid strike”. 《Space.com》. 2022년 9월 26일에 확인함. 
  211. “Calls for Proposals & Policy”. Space Telescope Science Institute. 2022년 7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11월 13일에 확인함.  이 문서는 퍼블릭 도메인 출처의 본문을 포함합니다.
  212. “Selections Made for the JWST Director's Discretionary Early Release Science Program”. Space Telescope Science Institute. 2018년 8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11월 13일에 확인함.  이 문서는 퍼블릭 도메인 출처의 본문을 포함합니다.
  213. “Director's Discretionary Early Release Science Programs”. Space Telescope Science Institute. 2022년 7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12월 26일에 확인함. 
  214. “Radiative Feedback from Massive Stars as Traced by Multiband Imaging and Spectroscopic Mosaic” (PDF). 2022년 7월 15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3월 17일에 확인함. 
  215. “IceAge: Chemical Evolution of Ices during Star Formation” (PDF). 2022년 7월 15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3월 17일에 확인함. 
  216. “Through the Looking GLASS: A JWST Exploration of Galaxy Formation and Evolution from Cosmic Dawn to Present Day” (PDF). 2022년 7월 15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3월 17일에 확인함. 
  217. “A JWST Study of the Starburst-AGN Connection in Merging LIRGs” (PDF). 2022년 7월 15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3월 17일에 확인함. 
  218. “The Resolved Stellar Populations Early Release Science Program” (PDF). 2022년 7월 15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3월 17일에 확인함. 
  219. Dominika Wylezalek. “Q-3D: Imaging Spectroscopy of Quasar Hosts with JWST Analyzed with a Powerful New PSF Decomposition and Spectral Analysis Package” (PDF). 2022년 7월 15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3월 17일에 확인함. 
  220. “The Cosmic Evolution Early Release Science (CEERS) Survey” (PDF). 2022년 7월 15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3월 17일에 확인함. 
  221. “Establishing Extreme Dynamic Range with JWST: Decoding Smoke Signals in the Glare of a Wolf-Rayet Binary” (PDF). 2022년 7월 15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3월 17일에 확인함. 
  222. “TEMPLATES: Targeting Extremely Magnified Panchromatic Lensed Arcs and Their Extended Star Formation” (PDF). 2022년 7월 15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3월 17일에 확인함. 
  223. “Nuclear Dynamics of a Nearby Seyfert with NIRSpec Integral Field Spectroscopy” (PDF). 2022년 7월 15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3월 17일에 확인함. 
  224. “The Transiting Exoplanet Community Early Release Science Program” (PDF). 2022년 7월 15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3월 17일에 확인함. 
  225. “ERS observations of the Jovian System as a Demonstration of JWST's Capabilities for Solar System Science” (PDF). 2022년 7월 15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3월 17일에 확인함. 
  226. “High Contrast Imaging of Exoplanets and Exoplanetary Systems with JWST” (PDF). 2022년 7월 15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3월 17일에 확인함. 
  227. “JWST Cycle 1 General Observer Submission Statistics”. Space Telescope Science Institute. 2022년 7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1월 10일에 확인함. 
  228. “STScI Announces the JWST Cycle 1 General Observer Program”. 2022년 7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3월 30일에 확인함. 
  229. Chow, Denise; Wu, Jiachuan (2022년 7월 12일). “Photos: How pictures from the Webb telescope compare to Hubble's - NASA's $10 billion telescope peers deeper into space than ever, revealing previously undetectable details in the cosmos.”. 《NBC News》. 2022년 7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7월 16일에 확인함. 
  230. Deliso, Meredith; Longo, Meredith; Rothenberg, Nicolas (2022년 7월 14일). “Hubble vs. James Webb telescope images: See the difference”. 《ABC News》. 2022년 7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7월 15일에 확인함. 
  231. Garner, Rob (2022년 7월 11일). “NASA's Webb Delivers Deepest Infrared Image of Universe Yet”. 《NASA》. 2022년 7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7월 12일에 확인함. 
  232. Overbye, Dennis; Chang, Kenneth; Tankersley, Jim (2022년 7월 11일). “Biden and NASA Share First Webb Space Telescope Image – From the White House on Monday, humanity got its first glimpse of what the observatory in space has been seeing: a cluster of early galaxies.”. 《The New York Times》. 2022년 7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7월 12일에 확인함. 
  233. Pacucci, Fabio (2022년 7월 15일). “How Taking Pictures of 'Nothing' Changed Astronomy - Deep-field images of "empty" regions of the sky from Webb and other space telescopes are revealing more of the universe than we ever thought possible”. 《Scientific American》. 2022년 7월 1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7월 16일에 확인함. 
  234. Kooser, Amanda (2012년 7월 13일). “Hubble and James Webb Space Telescope Images Compared: See the Difference - The James Webb Space Telescope builds on Hubble's legacy with stunning new views of the cosmos.”. 《CNET》. 2022년 7월 1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7월 16일에 확인함. 
  235. Timmer, John (2022년 7월 8일). “NASA names first five targets for Webb images”. 《Ars Technica》 (미국 영어). 2022년 7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7월 8일에 확인함. 
  236. “First Images from the James Webb Space Telescope”. 《NASA》. 2022년 7월 8일. 2022년 7월 1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7월 8일에 확인함. 
  237. Stirone, Shannon (2022년 7월 12일). “Gawking in Awe at the Universe, Together”. 《The New York Times》. 2022년 7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7월 13일에 확인함. 
  238. Jena, H. (2022년 9월 14일). “Webb Telescope Revealed "Cosmic Cliff" and Star Formation”. 《Emerging Sciences》 (미국 영어). 2022년 9월 15일에 확인함. 
  239. Dennis Overbye; Kenneth Chang; Joshua Sokol (2022년 7월 12일). “Webb Telescope Reveals a New Vision of an Ancient Universe”. 2022년 7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7월 13일에 확인함. 
  240. Chang, Kenneth (2022년 7월 15일). “NASA Shows Webb's View of Something Closer to Home: Jupiter - The powerful telescope will help scientists make discoveries both within our solar system and well beyond it.”. 《The New York Times》. 2022년 7월 1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7월 16일에 확인함. 
  241. Astudillo-Defru, N.; Cloutier, R.; Wang, S. X.; Teske, J.; Brahm, R.; Hellier, C.; Ricker, G.; Vanderspek, R.; Latham, D.; Seager, S.; Winn, J. N.; 외. (2020년 4월 1일). “A hot terrestrial planet orbiting the bright M dwarf L 168-9 unveiled by TESS”. 《Astronomy and Astrophysics》 636: A58. arXiv:2001.09175. Bibcode:2020A&A...636A..58A. doi:10.1051/0004-6361/201937179. ISSN 0004-6361. S2CID 210920549. 2022년 3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7월 15일에 확인함. 
  242. “Scottish astronomers push James Webb deeper back in time”. 《BBC News》. 2022년 7월 26일. 2022년 7월 2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7월 26일에 확인함. 
  243. Atkinson, Nancy (2022년 8월 17일). “Here's the Largest Image JWST Has Taken So Far”. 《Universe Today. 2022년 8월 18일에 확인함. 
  244. Whitt, Kelly Kizer (2022년 8월 18일). “Webb's largest image of galaxies yet”. 《Earth & Sky. 2022년 8월 19일에 확인함. 
  245. Staff (2022년 8월 1일). “Edinburgh astronomers find most distant galaxy - Early data from a new space telescope has enabled Edinburgh astronomers to locate the most distant galaxy ever found.”. 《University of Edinburgh. 2022년 8월 18일에 확인함. 
  246. Planck Collaboration (2020). “Planck 2018 results. VI. Cosmological parameters”. 《Astronomy & Astrophysics》 641. page A6 (see PDFpage 15, Table 2: "Age/Gyr", last column). arXiv:1807.06209. Bibcode:2020A&A...641A...6P. doi:10.1051/0004-6361/201833910. S2CID 119335614. 
  247. Grossman, Lisa (2022년 8월 26일). “The James Webb telescope spotted CO
    2
    in an exoplanet's atmosphere”
    . 《Science News》. 2022년 8월 28일에 확인함.
     
  248. Ahrer, Eva-Maria; Alderson, Lili; Batalha, Natalie M.; Batalha, Natasha E.; Bean, Jacob L.; Beatty, Thomas G.; Bell, Taylor J.; Benneke, Björn; Berta-Thompson, Zachory K.; Carter, Aarynn L.; Crossfield, Ian J.M.; Espinoza, Néstor; et al. (2022년 8월 24일). “Identification of carbon dioxide in an exoplanet atmosphere”. arXiv:2208.11692 [astro-ph.EP]. 

추가 정보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