핸들리쥐속
![]() | ||||||||||||||||||||
![]() 알파로쌀쥐 두개골 | ||||||||||||||||||||
생물 분류![]() | ||||||||||||||||||||
---|---|---|---|---|---|---|---|---|---|---|---|---|---|---|---|---|---|---|---|---|
| ||||||||||||||||||||
모식종 | ||||||||||||||||||||
Aepeomys fuscatus J.A. Allen, 1912 | ||||||||||||||||||||
종 | ||||||||||||||||||||
|
핸들리쥐속(Handleyomys)은 비단털쥐과 쌀쥐족에 속하는 남아메리카 설치류 속이다.[1] 이전에는 구별되고 관련이 없는 두 속, 산지생쥐속(Aepeomys)과 쌀쥐속(Oryzomys)에 포함되었던 콜롬비아 안데스 산맥의 2종을 포함하여 2002년에 처음 기재했고 이 두 종은 근연종으로 확인되었다. 그 후 2006년에 쌀쥐속으로부터 6종을 분리하여 추가했다.[2]
하위 종[편집]
- 알파로쌀쥐 (Handleyomys alfaroi)
- 채프먼쌀쥐 (Handleyomys chapmani)
- 검은발핸들리쥐 (Handleyomys fuscatus)
- 콜롬비아쌀쥐 또는 흰발핸들리쥐 (Handleyomys intectus)
- 검은귀쌀쥐 (Handleyomys melanotis)
- 줄무늬쌀쥐 (Handleyomys rhabdops)
- 긴코쌀쥐 (Handleyomys rostratus)
- 운무림쌀쥐 (Handleyomys saturatior)
계통 분류[편집]
다음은 2006년 웩슬러 등(Weksler_et_al..)[3]의 연구에 기초한 계통 분류이다.
쌀쥐족 |
| ||||||||||||||||||
각주[편집]
- ↑ Musser, G.G.; Carleton, M.D. (2005). 〈Superfamily Muroidea〉 [쥐상과]. Wilson, D.E.; Reeder, D.M. 《Mammal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영어) 3판. 존스 홉킨스 대학교 출판사. ISBN 978-0-8018-8221-0. OCLC 62265494.
- ↑ Weksler, M.; Percequillo, A. R.; Voss, R. S. (2006년 10월 19일). “Ten new genera of oryzomyine rodents (Cricetidae: Sigmodontinae)”. 《American Museum Novitates》 (American Museum of Natural History) 3537: 1–29. doi:10.1206/0003-0082(2006)3537[1:TNGOOR]2.0.CO;2. hdl:2246/5815.
- ↑ Weksler, M. 2006. Phylogenetic relationships of oryzomyine rodents (Muroidea: Sigmodontinae): separate and combined analyses of morphological and molecular data. Bulletin of the American Museum of Natural History 296:1–1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