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색나무쌀쥐
![]() | ||||||||||||||||||||||
보전 상태 | ||||||||||||||||||||||
---|---|---|---|---|---|---|---|---|---|---|---|---|---|---|---|---|---|---|---|---|---|---|
![]() 최소관심(LC), IUCN 3.1[1] | ||||||||||||||||||||||
생물 분류![]() | ||||||||||||||||||||||
| ||||||||||||||||||||||
학명 | ||||||||||||||||||||||
Oecomys concolor Wagner, 1845 | ||||||||||||||||||||||
![]() 단색나무쌀쥐의 분포 지역(녹색)[2], 근연종 시드니앤더슨나무쌀쥐(적색), 마모레나무쌀쥐(감청색), 기타(연청색) |
단색나무쌀쥐(Oecomys concolor)는 비단털쥐과 나무쌀쥐속에 속하는 설치류이다.[3] 아마존 생물 군계의 열대 우림에서 발견되지만 알려져 있는 정보는 많지 않다. 브라질 북서부와 콜롬비아 남동부, 베네수엘라 남부에서 발견된다.[1]
각주[편집]
- ↑ 가 나 Costa, L., Percequillo, A., Weksler, M., Langguth, A., Patton, J. and Catzeflis, F. 2008. Oecomys concolor. In IUCN.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Version 2009.2. <www.iucnredlist.org>. Downloaded on November 30, 2009.
- ↑ Carleton, M.D., Emmons, L.H. and Musser, G.G. 2009. A new species of the rodent genus Oecomys (Cricetidae: Sigmodontinae: Oryzomyini) from eastern Bolivia, with emended definitions of O. concolor (Wagner) and O. mamorae (Thomas). American Museum Novitates 3661:1–32.
- ↑ Musser, G.G.; Carleton, M.D. (2005). “Superfamily Muroidea” [쥐상과]. Wilson, D.E.; Reeder, D.M. Mammal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영어) 3판. 존스 홉킨스 대학교 출판사. 894–1531쪽. ISBN 978-0-8018-8221-0. OCLC 62265494.